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85221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학분석 과정관리


1. 기체 상태의 수소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 X의 수소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X의 수소 화합물 1mol에 포함된 수소 원자의 질량(g)은?(2022년 04월)

   

     1. 80.64
     2. 8.064
     3. 0.8064
     4. 0.08064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표준상태 기체 1mol 부피 = 22.4L
밀도 2g/L = Xg / 22.4L
X=44.8g
화합물 중 H 백분율 = 18wt%
-> 화합물1mol 중 H질량    0.18 * 44.8 = 8.064g
[해설작성자 : 죠]

2. 다음 표준규격에 관한 설명 중에서 옳은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2020년 08월)

   

     1. A, B
     2. A, B, C
     3. A, C, D
     4. A, B, C, D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RoHS: 유럽연합(EU)에서 제정한 전기 및 전자장비 내에 특정 유해물질 사용에 관한 제한 지침 기준
[해설작성자 : 취업할래]

3. C7H16의 구조 이성질체 개수는?(2021년 09월)
     1. 7개
     2. 8개
     3. 9개
     4. 10개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1H4 : 1
C2H6 : 1
C3H8 : 1
C4H10 : 2
C5H12 : 3
C6H14 : 5
C7H16 : 9
[해설작성자 : 바다아이]

4. 다음 화합물의 올바른 IUPAC 이름은?(2021년 05월)

   

     1. 2,2,4-트리메틸-7-프로필노네인
(2,2,4-trimethyl-7-propylnonane)
     2. 7-에틸-2,2,4-트리메틸데케인
(7-ethyl-2,2,4-trimethyldecane)
     3. 3-프로필-6,8,8-트리메틸노네인
(3-propyl-6,8,8-trimethylnonane)
     4. 4-에틸-7,9,9-트리메틸데케인
(4-ethyl-7,9,9-trmethyldecane)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유기화학 이름 명명법

1.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찾는다 → 10개의 탄소사슬이 가장 긺(이 그림에서는 ㄴ자 모양이네요)
     → 10개의 탄소는 데케인(Decane)

2.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제외하고 치환기가 붙어있는 자리와 종류를 본다!
     (이그림을 기준으로는
        1) 우측에서부터 탄소에 번호를 세었을 때 : 7번 에틸 + 4,2,2 메틸
        2) 좌측에서부터 탄소에 번호를 세었을 때 : 4번 에틸 + 7,9,9 메틸
        치환기 번호가 작은 것이 우선적으로 와야하기에 !!!!7번 에틸,4,2,2 메틸!!)
                                    =======     ======
3. 메틸 3개는 트리메틸이므로

답: 7-에틸,2,2,4-트리메틸데케인 임.
[해설작성자 : Thing]

[참고]
유기화학 탄소의 이름 명명방법!
탄소1개: 메타, 탄소2개: 에타, 탄소3개: 프로파, 4개: 부타,
5개: 펜타, 6개: 헥사, 7개: 헵타, 8개: 옥타, 9개: 노나, 10개: 데카

치환기일경우??
탄소1개: 메틸
탄소2개: 에틸
탄소3개: 프로필
탄소4개: 부틸 정도만 알면될꺼에요...!
[해설작성자 : Thing]

5. 다음 중 광학분광법에서 이용하지 않는 현상은?(2020년 09월)
     1. 형광
     2. 흡수
     3. 발광
     4. 흡착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광학분광법은 형광, 인광, 산란, 발광, 흡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해설작성자 : Ibk]

6. 0.10M KNO3용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이 용액 0.10L에는 6.02×1022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2. 이 용액 0.10L에는 6.02×1023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3. 이 용액 0.10L에는 0.010몰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4. 이 용액 0.10L에는 1.0몰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0.1M KNO3에는 0.1M의 K+이온이 존재
0.1M=0.1mol/L이므로
0.1L에는 0.1mol/L×0.1L=0.01mol
1몰은 6.02×10^23/mol이므로
0.01mol×6.02×10^23/mol=6.02×10^21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7. 입체이성질체의 분류에 속하는 것은?(2021년 05월)
     1. 배위권이성질체
     2. 기하이성질체
     3. 결합이성질체
     4. 구조이성질체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기하 이성질체와 광학 이성질체가 입체 이성질체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8. C2H5OH 8.72g을 얼렸을 때의 △H는 약 몇 kJ인가? (단, C2H5OH열은 4.81kJ/mol이다.)(2020년 08월)
     1. +0.9
     2. -0.9
     3. +41.9
     4. -41.9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4.81kJ/46gX8.72=약 0.9kJ
엔탈피 값은(-)값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화분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식 위에처럼 하시면 틀려요.    
8.72g    X     Mol/46g
하시고 나온거를 4.81kJ/mol에 곱해주면 kJ만 남게 되고 그이후에 엔탈피인거 확인후 -(마이너스) 부호
[해설작성자 : 대전화학의신]

9. 레이저 발생과정에서 간섭성인 것은?(2021년 05월)
     1. 펌핑
     2. 흡수
     3. 자극방출
     4. 자발방출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위상과 방향이 일치해 들어오는 복사선과 간섭성이 된다
[해설작성자 : zzaro]

10. N2O4 NO2의 평형식과 실험 데이터가 아래와 같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론한 평형상수와 가장 가까운 값은?(2021년 05월)

    

     1. 0.125
     2. 0.210
     3. 0.323
     4. 0.422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K=[NO2]^2/[N2O4]
(K(실험1)+K(실험2))/2≒0.210
[해설작성자 : 끼마]

11. 바탕시료 분석을 통해 분석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2022년 04월)
     1. 영점
     2. 오차
     3. 처리시간
     4. 매트릭스 바탕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바탕시료는 blank값을 잡을때 사용하죠
[해설작성자 : 박상신]

12. 비활성 기체로 채워진 관 안의 두 전극 사이에 발생한 기체 이온과 전자를 이용하는 분광법은?(2020년 09월)
     1. 원자 형광 분광법
     2. 글로우 방전 분광법
     3. 플라즈마 방출 분광법
     4. 레이저 유도 파괴 분광법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글로방전
*시료도입과 시료원자화를 동시에 수행
*250~1000V로 유지되고 있는 두 전극 사이에 들어있는 낮은 압력의 아르곤 기체에서 발생
*전압을 걸어주면 아르곤 기체는 양이온과 전자로 분리됨
[해설작성자 : 화분기가즈아]

13. 탄화수소유도체를 잘못 나타낸 것은?(2020년 06월)
     1. R-OH:알코올
     2. R-CO-R:케톤
     3. R-CHO:에테르
     4. R-CONH2:아마이드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R-CHO:알데히드
R-O-R':에테르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14. 고분자의 생성 메카니즘(축합, 중합)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2020년 08월)
     1. 나일론(nylon)
     2. PVC(polyvinyl chloride)
     3. 폴리에스터(polyester)
     4. 단백질(protein)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PVC는 이중결합을 가진
단량체인 CH2=CHCl가
첨가 중합을 통해 생성
나일론, 폴리에스터, 단백질은
두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가 축합 중합을 통해 생성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15. 다음 설명에 가장 관련 깊은 것은?(2020년 06월)

    

     1. 주양자수
     2. 부양자수(각운동량 양자수)
     3. 자기양자수
     4. 스핀양자수

     정답 : []
     정답률 : 82%

16. 이온반지름의 크기를 잘못 비교한 것은?(2020년 09월)
     1. Mg2+ > Ca2+
     2. F- < O2-
     3. Al3+ < Mg2+
     4. O2-< S2-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같은 족 원소에서 원자번호가 클수록 이온반지름 큼. 따라서, Mg < Ca
2. 등전자이온에서 핵전하량이 클수록 이온반지름 작음. F < O
3. 등전자이온에서 핵전하량이 클수록 이온반지름 작음. Al < Mg
4. 같은 족 원소에서 원자번호가 클수록 이온반지름 큼. O < S
[해설작성자 : 단츄즈]

17. 적외선 분광법의 시료용기 재료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AgBr
     2. CaF2
     3. KBr
     4. SiO2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적외선 분광법에서 사용하는 시료용기는 이온성 물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KangCorn]

18. 원자가전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원자가전자는 최외각에 있는 전자이다.
     2. 원자가전자는 원자들 사이에서 물리결합을 형성한다.
     3. 원자가전자는 그 원소의 물리적 성질을 지배한다.
     4. 원자가전자는 핵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에너지가 가장 낮다.

     정답 : []
     정답률 : 77%

19. 전자가 보어모델(Bohr Model)의 n=5 궤도에서 n=3 궤도로 전이할 때 수소원자의 방출되는 빛의 파장(nm)은? (단, 뤼드베리 상수는 1.9678 ×10-2 nm-1 이다.)(2020년 09월)
     1. 434.5
     2. 486.1
     3. 714.6
     4. 954.6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파장=뤼드베리상수*(1/m^2-1/n^2) (※n>m)
=1.9678 ×10-2 nm-1*(1/9-1/25)
그러므로 파장=7.14x10^2 nm
[해설작성자 : 심찡]

20. 다음 화합물 중 octet rule을 만족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H2O의 O
     2. CO2의 C
     3. PCl5의 P
     4. NO3-의 N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PCl5의 P는 5쌍의 공유전자쌍을 가지므로 옥텟룰을 만족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화학물질 특성분석


21. 분자 흡수 분광법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복사선의 광원은?(2020년 08월)
     1. 중수소등
     2. 니크롬선등
     3. 속빈 음극등
     4. 텅스텐 필라멘트등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중수소등 - UV/VIS 광원 (자외선 영역) A
니크롬선등 - Near IR 광원, IR 광원, Far IR 광원
속빈음극등 - AAS 광원
텅스텐 필라멘트등 - UV/VIS 광원 (가시광선), Near IR 광원
[해설작성자 : 히야]

22. 원자 분광법에서 시료 형태에 따른 시료 도입방법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고체 : 직접 주입
     2. 용액 : 기체 분무화
     3. 고체 : 초음파 분무화
     4. 전도성 고체 : 글로우 방전 튕김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3. '분무' 고체를 분무하진 않죠.
4. 금속과 다른 전도성 고체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해설작성자 : Rivolo]

23.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약산의 농도가 클수록 당량점 근처에서 pH 변화폭이 크다.
     2. 당량점에서 pH는 7보다 크다.
     3. 약산의 해리상수가 클수록 당량점 근처에서 pH 변화 폭이 크다.
     4. 약산의 해리상수가 작을수록 적정 반응의 완결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약산의 해리상수가 작을수록 적정 반응의 완결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요정]

문제가 좋은 문제라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1.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실제 그래프 예시를 찾아서 확인해봤는데,
사용하는 염기의 종류가 같으면    거의/아예 차이가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농도를 약산에 맞춰서 올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러면 적정 이후 pH가 더 높은 수치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이 경우로 추정됩니다.
2. 당량점에서는. 약산의 짝염기 가수분해 결과 및 약산이 완전히 해리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pH가 7보다 높다.
3. 2번과 유사한 맥락인데, 강산에 가까울수록 짝염기의 가수분해가 줄고, 약산이 더 잘 해리되므로, 변화 폭은 커집니다.
( 해리가 잘 되니깐 pH 7 부근에서 버티고 있는 약산의 양이 적음, 결국 당량점 부근에서 pH가 잘 변한다. )
4. 우리가 알고 싶은 건 정확한 약산의 양. 그런데 해리상수가 작으면 약산이 완전히 해리되기 어렵습니다.
해리가 안되면 적정으로 확인이 안 됩니다. 즉, 반응이 완전히 종결되지 않습니다.(완결되지 못 한다.)
[해설작성자 : Rivolo]

24. Cu(s) + 2Fe3+ ⇆ 2Fe2++Cu2+ 반응의 평형상수는?(2021년 05월)

    

     1. 2.0 x 108
     2. 4.0 x 1014
     3. 4.0 x 1016
     4. 2.0 x 104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u(s) + 2Fe3+ ⇆ 2Fe2++Cu2+ 이므로
첫번째 반응식 - 두번째 반응식
즉, E'= 0.771-0.339= 0.432V
E'(표준환원전위)= (0.0592/2 )*logK
K= 10^(0.432*2/0.0592)
= 3.932 * 10^14 = 4.0 x10^14
[해설작성자 : 구동매]

25. 원자흡수분광법에서 분석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관계없는 것은?(2022년 03월)
     1. 고주파 출력값
     2. 분광기의 슬릿폭
     3. 불꽃을 투과하는 광속의 위치
     4.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 종류 및 이들 가스의 유량과 압력

     정답 : []
     정답률 : 43%

26. 원자 흡수 분광법과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 기기의 부분 장치 배열에서의 가장 큰 차이는?(2020년 06월)
     1. 원자 흡수 분광법은 광원 다음에 시료가 나오고 원자 형광 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2. 원자 흡수 분광법은 파장 선택기가 광원보다 먼저 나오고 원자 형광 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3. 원자 흡광 분광법과는 다르게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는 입사 광원과 직각 방향에서 형광선을 검출한다.
     4. 원자 흡수 분광법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할 수 없으나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는 사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원자 흡수 분광법: 광원>파장선택기>시료>검출기>기록계
원자 형광 분광법: 광원>파장선택기>시료>직각 방향으로 꺽어서 파장선택기 배치>검출기>기록계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27. 0℃에서 액체 물의 밀도는 0.9998 g/mL 이고 이온화상수는 1.14×10-15 이다. 0℃에서 액체 물의 해리 백분율(mol%)은?(2021년 09월)
     1. 3.4×10-8
     2. 3.4×10-6
     3. 6.1×10-8
     4. 7.5×10-6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H2O ↔    H+    + OH-
                 (-x)     (+x)    (+x)
             -----------------------
                 a-x         x         x

x^2 = 1.14x10^-15
x = 3.376 x 10^-8 M = [H+] = [OH-]

*H2O 가 1 ml 있다고 가정하면
                0.9998g

H+의 몰수 = 3.376x10^-8 M * 1ml = 3.376x10^-8 mmol

H2O의 초기 몰수 = 0.9998g/18g/mol = 0.0555mol = 55.5mmol
         평형 상태의 몰수= 55.5mmol - 3.376x10^-8mmol (훨씬 작은 수이므로 무시할 수 있음)
                                         = 55.5mmol

해리 백분율 = (3.376x10^-8 / 55.5) x 100 = 6.1x10^-8
[해설작성자 : KangCorn]

28. 0.1M H2SO4 수용액 10mL에 0.05M NaOH 수용액 10mL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 용액의 pH는? (단, 황산은 100% 이온화된다.)(2020년 06월)
     1. 0.875
     2. 1.125
     3. 1.25
     4. 1.375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0.1×10×2=2mmol H+
0.05×10=0.5mmol OH-
중화반응으로 1.5mmol H+
최종부피 10+10=20이므로
1.5/20=0.075
pH=-log(0.075)=1.125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9. ppm과 ppb의 관계가 옳게 표현된 것은?(2020년 09월)
     1. 1 ppm = 1000 ppb
     2. 1 ppm = 10 ppb
     3. 1 ppm = 1 ppb
     4. 1 ppm = 0.001 ppb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ppm 은 백만 분율로 10^-6 이며, ppb는 십억 분율로 10^-9이다.
따라서 1 ppm은 1ppb에 10^3=1000 을 곱해야 나오는 수가 된다.
[해설작성자 : 화학어려워]

30. 이온 세기와 이와 관련된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이온세기는 용액 중에 있는 이온의 전체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2. 염을 첨가하면, 이온 분위기가 형성되어 더 많은 고체가 녹는다.
     3. 염을 증가시키면 이온 간 인력이 순수한 물에서 보다 감소한다.
     4. 이온 세기가 클수록 이온 분위기의 전하는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이온 세기가 클수록 이온 분위기의 전하도 커집니다 쑥쑥
[해설작성자 : KangCorn]

31. 0.10M NaCl 용액에 PbI2가 용해되어 생성된 Pb2+농도(mg/L)는? (단, Pb2+의 질량은 207.0 g/mol, PbI2의 용해도곱상수는 7.9x10-9, 이온세기가 0.10M일 때 Pb2+과 I-의 활동도계수는 각각 0.36과 0.75이다.)(2021년 05월)
     1. 0.221
     2. 0.442
     3. 221
     4. 442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0.36 * pb2+][0.75 * i1-]^2 = 7.9 * 10^-9 = (0.36*x)(2*0.75*x)^2 = 7.9 *10^-9, x = 2.136 * 10^-3M = [pb2+]
2.136 * 10^-3 mol/l * 207g/mol = 442mg/l (mg/l 임을 주의)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

a = r * c    활동도 = 활동도 계수 * 농도
활동도란 열역학적으로 보정된 농도를 말하며
문제에서 활동도 계수를 주었으므로 활동도 계수*농도 (활동도) 으로 나온 값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계산하는 농도값으로 이용하면 됨
[해설작성자 : KangCorn]

32. 용액의 농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몰농도는 용액 1L에 포함된 용질의 몰수로 정의한다.
     2. 몰랄농도는 용액 1L에 포함된 용매의 몰수로 정의한다.
     3. 노르말농도는 용액 1L에 포함된 용질의 그램 당량수로 정의한다.
     4. 몰분율은 그 성분의 몰수를 모든 성분의 전체 몰수로 나눈 것으로 정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몰랄농도는 용매 1kg에 포함된 용질의 몰수로 정의한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33. pH=6인 완충용액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4월)

    

     1.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52%

34. 0.10M HOCH2CO2H를 0.050M KOH로 적정할 때 당량점에서의 pH는? (단, HOCH2CO2H의 Ka는 1.48×10-4 이고, Kw는 1.0×10-14 이다.)(2022년 04월)
     1. 3.83
     2. 5.82
     3. 8.18
     4. 10.2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반응 후에 A-만 존재하기 때문에 화학식은 A- + H20 -> HA + OH-이다. HA 초기 부피를 1V라고 두면 KOH부피는 2V가 된다.(몰농도가 2배이므로 부피도 2배. MV = M'V'생각하자.) 따라서 총 용액부피는 3V이다. [OH-] = x로 두고 식을 세우면, Kb = 1.0 x 10^-14 / 1.48 x 10^-4 = x^2 / (0.10 / 3) - X이다. [OH-] = x = 1.5007 x 10^-6이다. pH = 8.1763이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MV = M'V'는 0.1 x 1 = 0.05 x 2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35. 원자 분광법에서 이온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2021년 09월)
     1. 불꽃 온도를 내리고 압력을 올린다.
     2. 불꽃 온도를 올리고 압력도 올린다.
     3. 불꽃 온도를 내리고 압력도 내린다.
     4. 불꽃 온도를 올리고 압력을 내린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온도를 올리면 원자끼리 붙어있기 더워서 이온화가 잘 일어나며
압력을 올리면 공간이 좁아져서 이온화가 일어나지 않고 붙어있다 생각하면 편해용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36. Ag 및 Cd와 관련된 반쪽 반응식과 표준 환원 전위가 아래와 같을 때, 25℃에서 다음 전지의 전위(V)는?(2021년 09월)

    

     1. -0.461
     2. 0.320
     3. 0.781
     4. 1.213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Nernst Equation
E = E0 - 0.0592/n * logQ

Ag^+의 E0 더 크므로 환원 전위
Cd^2+의 E0 더 작으므로 산화 전위

산화 전위 식을 반대로 돌리자!

2Ag^+ + Cd → 2Ag + Cd^2+

            [Cd^+2]
Q =     -------            
            [Ag^+]^2

E = (0.799+0.402) - 0.0592/2 * log (0.1)/(0.5)^2
    = 1.2127…
    = 1.213
[해설작성자 : KangCorn]

37. 원자흡수분광기의 불꽃 원자화기에 공급하는 공기-아세틸렌 가스를 아산화질소-아세틸렌 가스로 대체하는 주된 목적은?(2021년 05월)
     1. 불꽃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2. 불꽃의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
     3. 가스 연료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4. 시료의 분무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기 - 아세틸렌 가스의 최대 온도는 2300'c
아산화질소 - 아세틸렌 가스의 최대 온도는 2900'c 이다.
[해설작성자 : KangCorn]

38. 온도가 증가할 때, 아래 두 반응의 평형상수 변화는?(2021년 09월)

    

     1. (a), (b) 모두 증가
     2. (a), (b) 모두 감소
     3. (a) 증가, (b) 감소
     4. (a) 감소, (b) 증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외부 T 가 증가하면 평형 T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a)는 발열 반응이므로 온도를 감소시키려면 역반응이 진행되어야 하며 평형 상수가 감소함
(b)는 흡열 반응이므로 온도를 감소시키려면 정반응이 진행되어야 하며 평형 상수가 증가함
[해설작성자 : KangCorn]

39. 갈바니(혹은 불타) 전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극에서 환원이 일어난다.
     2. (-)극에서 산화가 일어난다.
     3. 일회용 건전지는 갈바니 전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4. 산화-환원 반응을 통한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꾼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갈바니 전지
자발적안 화학 반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환원 : (+)극 산화 : (-)극
전자의 이동 : (-)극 -> (+)극
전류의 아동 : (+)극 -> (-)극
염다리 : 이온의 이동으로 전하의 축적을 상쇄하여 전기적 중성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IU 5th album LILAC 3.25]

40. CaCO3(s) ⇆ CaO(s) + CO2(g)반응에서 평형에 영향을 주는 인자만을 고른 것은?(2021년 05월)
     1. CaO의 농도, 반응온도
     2. CO2의 농도, 반응온도
     3. CO2의 압력, CaO의 농도
     4. CaCO3의 농도, CaO의 농도

     정답 : []
     정답률 : 65%

3과목 : 화학물질 구조분석


41. 온도 변화에 따른 시료의 무게 감량을 측정하는 분석법은?(2021년 09월)
     1. FT-IR
     2. TGA
     3. GPC
     4. GC/MS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FT-IR 적외선 분광법
TGA : 질량 변화 측정
GPC : 용매의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크로마토 그래피
GC/MS :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질량 분석

+
DTA 온도 변화 측정
DSC 에너지 변화 측정
[해설작성자 : KangCorn]

42. 전압-전류법의 전압-전류 곡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용액의 밀도
     2. 정량 및 정성 분석
     3. 전극 반응의 가역성
     4. 금속 착물의 안정도 상수 및 배위수

     정답 : []
     정답률 : 56%

43. 조절환원전극 전기분해장치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위는?(2020년 06월)
     1. 전지 전위
     2. 산화전극 전위
     3. 환원전극 전위
     4. 염다리 접촉전위

     정답 : []
     정답률 : 43%

44. 폭이 매우 좁은 KBr셀 만을 적외선 분광기에 걸고 적외선 스펙트럼을 얻었다. 시료가 없기 때문에 적외선 흡수 밴드는 보이지 않고, 그림과 같이 파도 모양의 간섭파를 스펙트럼에 얻었다. 이 셀의 폭(mm)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1. 0.1242
     2. 12.42
     3. 24.82
     4. 248.4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b=△N/2(V1-V2) = 30/2*(1906-698)=0.01242cm → 0.1242mm
[해설작성자 : 병아리쿠킹]

45. 질량분석기에서 분석을 위해서는 분석물이 이온화되어야 한다. 이온화 방법은 분석물의 화학결합이 끊어지는 Hard Ionization 방법과 화학결합이 그대로 있는 Soft Ionization 방법이 있다. 다음 중 가장 Hard Ionization에 가까운 것은?(2020년 09월)
     1. 전자 충돌 이온화(Electron Impact Ionization)
     2. 전기 분무 이온화(ESI, Electrospray Ionization)
     3. 메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MALDI,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4. 화학 이온화(CI, Chemical Ionization)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Hard ion- 전자충격이온화방법
SOFT ION- 화학적 이온화 방법, 탈착이온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백금(Pt) 전극을 써서 수소 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량 적정법으로 염기 수용액을 정량할 때 전해 용역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22년 04월)
     1. 0.08 M TiCl3 수용액
     2. 0.01 M FeSO4 수용액
     3. 0.10 M Na2SO4 수용액
     4. 0.10 M Ce2(SO4)3 수용액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활동도가 높아야함 <- 이온세기(전하)는 낮아야 하고, 농도는 높아야 함
[해설작성자 : 빠이팅]

47. 열무게분석 장치에서 필요하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분석저울
     2. 전기로
     3. 기체 주입장치
     4. 회절발

     정답 : []
     정답률 : 57%

48. 분석 시료와 시료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연결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2년 04월)
     1. 잉크나 엽록소 – 얇은 층 크로마토그래피(TLC)
     2. 무기 전해질 염 - 종이 크로마토그래피(PC)
     3. 유기약산의 염 –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4. 단백질이나 녹말 –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EC)

     정답 : []
     정답률 : 61%

49. 전기량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전기량의 단위로 F(Faraday)가 사용되는데 1F는 96485 C/mole e-로 되는데 1C는 1V×1A 이다.
     2. 전기량법 적정은 전해전지를 구성한 분석용액에 뷰렛으로부터 표준용액을 가하면서 전류의 변화를 읽어서 종말점을 구한다.
     3. 조절-전위 전기량법을 위한 전지는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 및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구성되는데 기준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의 전위를 조정한다.
     4. 구리의 전기분해 전지에서 전위를 일정하게 놓고 전기분해를 하면 시간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는데 이는 구리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고 환원전극 농도 편극의 증가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1C = 1A * 1s
2. 전기량법은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후 종말점까지 소요된 전기량을 측정하는 거쥬
3. 상대 전극과 작업 전극 사이의 전위입니다

4. 소거법으로 정답.

        e- -> ┌─│l│l ─┐    
불순물+Cu │                     │ Cu
                 ~~~~~~~~~~~~~~~~~~~
                             Cu2+
Cu에서 2e- 가 나오면서 이온화, 2e-를 받고 Cu2+가 석출 반복하면
Cu 이온의 농도는 변하지 않음.
다만 불순물이 이온화하여 불순물 이온이 생기고, 여기서 나온 전자를 받아 Cu 이온이 석출되면
구리 이온의 농도는 줄어들게 되는데 이 내용을 가정으로 해야 4번이 맞음
[해설작성자 : KangCorn]

50. 시료물질과 기준물질을 조절된 온도프로그램으로 가열하면서 이 두 물질에 흘러 들어간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열량분석법은?(2021년 03월)
     1. 시차주사열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rtyl DSC)
     2. 열무게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3.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4. 직접주사엔탈피법(Direct-Injection Enthalpimetry; DIE)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시차주사열량법은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시차열분석법은 온도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51.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초임계유체 크로마토그래피(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2. 결합 역상 크로마토그래피(bonded reversed-phase chromatography)
     3. 분자 배제 크로마토그래피(molecular exclusion chromatography)
     4.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는 GC 와 HPLC의 장점을 결합시킨 방법으로, GC와 HPLC로 분리되지 않는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법]

52. 분자질량분석법에서 분자량이 83인 C6H11+의 분자량 M에 대한 M+1 봉우리 높이 비는? (단, 가장 많은 동위 원소에 대한 상대 존재 백분율은 2H : 0.015, 13C : 1.08 이다.)(2021년 03월)
     1. (M+1)/M = 6.65%
     2. (M+1)/M = 5.55%
     3. (M+1)/M = 4.09%
     4. (M+1)/M = 3.36%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분자량 M+1인 경우: C 1개가 13C 또는 H 1개가 2H

C 1개가 13C: 6C1 * 0.0108 = 0.0648
H 1개가 2H: 11C1 * 0.00015 = 0.00165

M+1: 0.0648 + 0.00165 = 0.06645

따라서, (M+1)/M = 0.06645 = 6.645%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53. 원자 및 분자 질량(atomic & molecular ma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원소들의 원자 질량은 탄소-12의 질량을 12 amu 또는 Dalton으로 놓고 그것에 대한 상대 질량을 의미한다.
     2. 원자량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존재비와 질량으로 해서 평균한 질량을 말한다.
     3. 화학식량은 자연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대표적인 동위원소의 질량을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합으로 나타낸 것이다.
     4. 동위원소는 원자번호는 같으나 질량이 다른 원소를 의미하며 화학적 성질은 같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원자량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평균원자량이다. 화학식량은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원자량의 합을 나타내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Ibk]

54. 질량분석법에서 시료의 이온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전기장으로 가속시킨 전자 또는 음으로 하전된 이온을 시료 분자에 충격하면 시료 분자의 양이온을 얻을 수 있다. 2가로 하전된 이온(질량 3.32×10-23kg)을 104V의 전기장으로 가속시켜 시료분자에 충격하려 할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전자의 전하는 1.6×10-19C이다.)(2020년 08월)
     1. 이 이온의 운동에너지는 3.2×10-15J이다.
     2. 이 이온의 속도는 1.39×104m/sec이다.
     3. 질량이 6.64×10-23kg인 이온을 이용하면 운동에너지는 2배가 된다.
     4. 같은 양의 운동에너지를 갖는다면 가장 큰 질량을 가진 이온이 가장 느린 속도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KE=zeV이로서 운동에너지는
질량에 영향을 받지않는다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오류인것 같아요
(KE=zeV=1/2x질량x속도의 제곱) 이여서 질량에 영향을 받는 것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지니]

[오류신고 반론]
제이마리러버님의 해설이 맞습니다. Ke=1/2mv^2=zeV 여기서 zeV는 일정하기 때문
[해설작성자 : 김]

55. Ag2SO3 + 2e- ⇄ 2Ag + SO32- 반쪽반응의 표준환원전위에 가장 가까운 값(V)은? (단, Ag2SO3의 용해도곱 상수는 1.5×10-14이고, 은 이온이 은 금속으로 환원되는 표준 환원전위는 +0.799V 이다.)(2021년 03월)
     1. -0.019
     2. +0.39
     3. +0.80
     4. +1.21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E=E0 + 0.05916/n log Ksp
E = 0.799 + 0.05916 / 2 log(1.5 x 10^-14)
E = 0.39
[해설작성자 : 경뚱]

보통 네른스트식 하면 E=E0-0.05916/n log Q로 많이 외우시는데
이때 Q는 환원/산화
Ksp는 Ag2+가 전자를 얻는 환원 반응이므로 산화/환원
역수를 취해주거나 위에 선생님처럼 +0.05916/n log Q로 해주거나
이거까지 적어주셨으면 완벽하셨을 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Rivolo]

56. 열분석은 물질의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기술이다. 열분석 종류와 측정방법을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2020년 08월)
     1. 시차주사열량법(DSC) - 열과 전이 및 반응온도
     2. 시차열분석(DTA) - 전이와 반응온도
     3. 열중량분석(TGA) - 크기와 점도의 변화
     4. 방출기체분석(EGA) - 열적으로 유도된 기체생성물의 양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GA는 온도 변화에 따른 질량 변화를 확인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57.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TLC)의 일반적인 용도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혼합물 중에 포함된 성분의 수를 결정
     2. 화학반응 중에 생성되는 중간체 확인
     3. 혼합물의 화학결합 존재여부 확인
     4. 화합물의 순도 확인

     정답 : []
     정답률 : 46%

58.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C2H4+(m=28.0313)과 CH2N+(m=27.9949)이온을 분리 하려면 분리능이 얼마나 되어야 하는가?(2020년 06월)
     1. 770
     2. 1170
     3. 1970
     4. 227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평균/차
=((28.0313+27.9949)/2)/(28.0313-27.9949)
=770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59. 니켈(Ni2+)과 카드뮴(Cd2+)이 각각 0.1M인 혼합용액에서 니켈만 전기화학적으로 석출하고자 한다. 카드뮴이온은 석출되지 않고, 니켈이온이 0.01%만 남도록 하는 전압(V)은?(2020년 09월)

    

     1. -0.2
     2. -0.3
     3. -0.4
     4. -0.5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Ni^2+] = 0.1M*0.01% = 1*10^-5
E = -0.250-0.05916/2*log(1/1*10^-5) = -0.3979 (약 -0.4)
[해설작성자 : 히야]

60. 고체표면의 원소 성분을 정량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원자 질량분석법은?(2020년 06월)
     1. 양이온 검출법과 음이온 검출법
     2. 이차이온 질량분석법과 글로우 방전질량분석법
     3. 레이저 마이크로탐침 질량분석법과 글로우 방전 질량분석법
     4. 이차이온 질량분석법과 레이저 마이크로탑침 질량분석법

     정답 : []
     정답률 : 51%

4과목 : 시험법 밸리데이션


61. 측정값-유효숫자 개수를 짝지은 것 중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12.9840g - 유효숫자 6개
     2. 1830.3m - 유효숫자 5개
     3. 0.0012g - 유효숫자 4개
     4. 1.005L - 유효숫자 4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번 유효숫자 2개
[해설작성자 : 콩콩]

62. 밸리데이션 통계적 처리를 위해 평균, 표준편차, 상대표준편차, 퍼센트 상대표준편차, 변동계수 등의 계산이 요구된다. 이때 통계처리를 위한 반복 측정횟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3가지 종류의 농도에 대해서 각각 2회 측정
     2. 시험방법 전체 조작을 10회 반복 측정
     3.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각각 6회 반복 측정
     4.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각각 10회 반복 측정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가지 종류의 농도에 대해 각각 3회 측정 (총 적어도 9회 측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하여 투과율을 8회 반복 측정한 결과와 T-table을 활용하여, 이 실험의 측정 신뢰도가 95%일 때 우연불확도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64. 시료를 반복 측정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 대한 90% 신뢰구간을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One side Student의 t값은 90% 신뢰구간 : 1.533, 95% 신뢰구간 : 2.132 이다.)(2020년 08월)

    

     1. 12.5 ± 0.04
     2. 12.5 ± 0.4
     3. 12.5 ± 0.02
     4. 12.5 ± 0.2

     정답 : []
     정답률 : 49%

65. 시료분석 시의 정도관리 요소 중 바탕값(black)의 종류와 내용이 옳게 연결된 것은?(2020년 09월)
     1. 현장바탕시료(field black sample)는 시료채취 과정에서 시료와 동일한 채취과정의 조작을 수행하는 시료를 말한다.
     2. 운송바탕시료(trip balck sample)는 시험 수행과정에서 사용하는 시약과 정제수의 오염과 실험절차의 오염,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 사용한다.
     3. 정제수 바탕시료(reagent black sample)는 시료채취과정의 오염과 채취용기의 오염 등 현장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4. 시험바탕시료(method blanks)는 시약 조제, 시료 희석, 세척 등에 사용하는 시료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운송바탕시료: 운송 중 용기로부터 오염되는 것 확인
3. 정제수 바탕시료: 실험절차, 시약 및 측정 장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 확인
4. 시험바탕시료: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시료
[해설작성자 : 화분기홧팅]

66. 분석방법의 유효성평가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3월)

    

     1. A, B, C, D, E
     2. A, B, C, D
     3. A, B, D, E
     4. A, B, E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C : 측정횟수를 늘려 분석 -> 정밀성
[해설작성자 : 최수빈살려 ]

67. 정량 분석법 중 간접 측정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무게법 : 분석물과 혹은 분석물과 관련 있는 화합물의 질량을 측정한다.
     2. 부피법 : 분석물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반응물 용액의 부피를 측정한다.
     3. 전기분석법 : 전위, 전류, 저항, 전하량, 질량 대 전하의 비(m/z)를 측정한다.
     4. 분광법 : 분석물과 빛 사이의 상호 작용 또는 분석물이 방출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질량 대 전하의 비 m/z 는 질량분석 MS
[해설작성자 : KangCorm]

68. 분석장비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3월)

    

     1. A, B, D
     2. A, C, D
     3. B, C, D
     4. A, B, C

     정답 : []
     정답률 : 44%

69. 정밀도와 정확도를 표현하는 방법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21년 05월)
     1. 정밀도 : 중앙값, 정확도 : 회수율
     2. 정밀도 : 중앙값, 정확도 : 변동계수
     3. 정밀도 : 상대표준편차, 정확도 : 변동계수
     4. 정밀도 : 상대표준편차, 정확도 : 회수율

     정답 : []
     정답률 : 65%

70. 다음은 검출 한계를 특정하는 여러 방법 중 한 가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된 것은?(2021년 09월)

    

     1. 잔차 - y절편
     2. 기울기 - y절편
     3. 상관계수 - 잔차
     4. 기울기 – 상관계수

     정답 : []
     정답률 : 52%

71. Na+을 포함하는 미지시료를 AES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 4.00mV이고, 미지시료 95.0mL에 2.00M NaCl 표준용액 5.00mL를 첨가한 후 측정하였더니, 8.00mV였을 때, 미지시료 중에 함유된 Na+의 농도(M)는?(2021년 09월)
     1. 0.95
     2. 0.095
     3. 0.0095
     4. 0.00095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미지시료 95ml → 4.00mV
미지시료 95ml + 2.00M NaCl 5ml → 8.00mV

농도가 바뀜에 따라 전압이 바뀌는 것을 인지.
비례식으로 풀 수 있다.

미지시료에도 Na+가 존재할 것임.
2.00M * 5.00ml = 10mmol

                    x mmol                                x+10 mmol                        
4.00mV : --------    =    8.00mV : ----------
                     95ml                                     100ml

식을 풀면 x = 9.05mmol

문제는 미지시료에 존재하는 Na+의 농도를 물었으므로

            9.05 mmol
M = ------------        = 0.095 M
             95 ml


[해설작성자 : KangCorn]

72.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상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생략할 수 있는 품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대한민국약전에 실려 있는 품목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3.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품목과 주성분의 함량은 동일하나 제형만 다른 품목
     4. 원개발사의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자료, 시험방법 이전을 받았음을 증빙하는 자료 및 제조원의 실험실과의 비교시험 자료가 있는 품목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제 4조 3항

라. 다음 사항의 경우 별표 13의 적격성 평가 및 밸리데이션에 따른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생략할 수 있다.

1) 대한민국약전에 실려 있는 품목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공정서 및 의약품집에 실려 있는 품목
3)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4)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품목과 제형 및 시험방법은 동일하나 주성분의 함량만 다른 품목
5) 원개발사의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자료, 시험방법 이전을 받았음을 증빙하는 자료 및 제조원의 실험실과의 비교시험 자료가 있는 품목
[해설작성자 : log2]

73. 특정 화합물의 분석 시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6회 반복하여 측정한 값이 아래와 같을 때, 상대 표준편차(%)는?(2020년 08월)

    

     1. 1.71
     2. 1.83
     3. 1.87
     4. 1.9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상대표준편차 = (표준편차/평균)x100
[해설작성자 : 3일천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평균 = 100, 표준편차 = (2.5^2*2+1.5^2*2+0.5^2*2)/6 = 1.71 -> 1.71/100 x 100 = 1.71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아돈노]

[오류신고 반론]
표준편차를 구할 때는 n이 아니라 n-1로 나눠줘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이화학 분석에 관현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험에 필요한 유리기구를 세척, 건조해야 하며, 이 때 이전에 사용한 시약 또는 분석대상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분석이 완료된 후 철저히 세척해야 한다.
     2. 분석결과의 통계처리는 일반적으로 평균, 표준편차 및 상대표준편차가 많이 이용된다.
     3. 정확성은 측정값이 참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4. 정밀성은 데이터의 입출력과 흐름을 추적하고 조작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75. 시험법 밸리데이션 과정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방법 검증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1년 09월)

    

     1. A, B, C, D, E
     2. A, C, D, E
     3. A, B, C, D
     4. A, B, C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제가 알기로는..
시험법 밸리데이션에 안정성은 포함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검증항목: 검출한계, 정량한계, 선택성, 정밀성(반복성, 실험실내/실험실간), 정확성, 범위, 직선성, 완건성(?) 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답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오류신고 반론]
안전성은 포함되지 않고, 안정성은 포함
[해설작성자 : 호랑이]

76. 분석장비의 소모품으로 탐침(probe)이 필요한 장비는?(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1년 03월)
     1. NMR
     2. AA
     3. EM
     4. XPS

     정답 : []
     정답률 : 77%

77. 시험·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장비 : 시험검사를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하드웨어
     2. 측정불확도 : 측정량에 귀속된 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정결과와 관련된 값으로써 측정결과를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
     3. 인증표준물질 : 국가 또는 공인된 기관이 발행한 문서가 있으며 유효한 절차에 의하여 추정된 불확도와 소급성 정보 등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가지는 표준물질
     4. 표준균주 : 특정 미생물 항목의 시험, 검사를 수행할 때 검출된 미생물에 대한 생화학적 특성의 비교대상이 되는 균주 또는 생화학적 시험, 검사에 필요한 균주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장비 : 시험,검사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분석(측정) 장비, 소프트웨어, 측정표준 등과 그 집합
즉, 소프트웨어 포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아스피린 알약의 순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일련의 바탕용약 흡광도를 측정한 값으로부터 표준편차 0.0048과 아스피린 표준용액의 흡광도로부터 얻은 검정곡선의 기울기가 0.12 흡광도단위/ppm 이였을 때, 검출한계(ppm)는?(2022년 04월)
     1. 0.132
     2. 0.0412
     3. 0.151
     4. 0.500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검출한계 = (3.3×표준편차)÷기울기
[해설작성자 : 스펙업]

79. 제작자의 규격, 교정성적서 혹은 다른 출처로부터 인용되고 인용된 불확도가 표준편차의 특정 배수라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면 표준불확도 U(x)는 인용된 값을 그 배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명목상 1kg 스테인리스강 표준분동의 성적서에 질량과 불확도가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을 때, 표준 분동의 표준불확도(μg)는?(2022년 03월)

    

     1. 0.8
     2. 1.37
     3. 130
     4. 26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표준불확도 U(x)는 인용된 값을 그 배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불확도가 260(2시그마수준) 260/2 = 130
[해설작성자 : 만거]

80. 유효숫자 표기 방법에 의한 계산 결과 값이 유효숫자 2자리인 것은?(2020년 06월)
     1. (7.6-0.34)÷1.95
     2. (1.05×104)×(9.92×106)
     3. 850000-(9.0×105)
     4. 83.25×102+1.35×10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유효숫자 2개
2. 유효숫자 3개
3. 유효숫자 1개
4. 유효숫자 4개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도 유효숫자 두개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진짜 모르겠음]

[오류신고 반론]
3번은 13 - 11일 때 2이면 유효숫자가 1개로 줄어드는 것처럼 (8.5-9.0)*10^5이라 0.5로 줄어서 유효숫자가 1이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ㅁㄴㅇ]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3개입니다. 8.46*10^3
덧셈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가장 적은 유효숫자로 제한합니다.
[해설작성자 : 태미원]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4개가 맞습니다.
8.460*10^3으로, 불확도가 여전히 소숫점 셋째자리에 머무르므로 해당 자리수까지 유효슷자를 가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도파마이드]

81.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단시간노출기준(STEL)은 15분간의 시간가중평균노출값으로서 근로자가 STEL이하로 유해인자에 노출되기 위해선 1회 노출 지속시간이 15분 미만이어야 하고, 1일 4회 이하로 발생해야하며, 각 노출의 간격은 60분 이하이어야 한다.
     2. 최고노출기준(C)은 근로자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하며, 노출기준 앞에 C를 붙여 표시 한다.
     3.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 인자의 측정치에 발생 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4. 특정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이 규정되지 않았을 경우 ACGIH의 TLVs를 준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STEL(단시간 노출 기준)은 근로자가 1회에 15분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경우의 기준으로 이 기준 이하에서는 1회 노출 간격이 1시간 이상인 경우에 1일 작업 시간 동안 4회까지 노출이 허용될 수 있는 기준을 말한다.
2. TWA(시간 가중 평균 노출 기준)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 인자의 측정치에 발생 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3. C(최고 노출 기준)은 근로자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하며, 노출 기준 앞에 'C'를 붙여 표시한다.
4. 노출 기준이 규정되지 아니한 유해 인자의 노출 기준은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회(ACGIH,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에서 매년 채택하는 노출 기준(TLVs)를 준용한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

82. 다음의 유해화학물질의 건강유해성의 표시 그림문자가 나타내지 않는 사항은?(2020년 09월)

    

     1. 호흡기 과민성
     2. 발암성
     3. 생식독성
     4. 급성독성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급성독성은 해골 그림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이네..?]

83. 비누화 반응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에스테르 결합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끊을 수 있다.
     2. 비누화 반응의 생성물은 글리세롤과 세 개의 지방산 나트륨의 염이다.
     3. 비누화 반응의 생성물인 비누는 극성인 머리와 무극성의 긴 꼬리로 구성되어 있다.
     4. 비누화 반응으로 얻은 비누 분자의 머리 부분에 기름이 들러붙어 제거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비누 분자 머리 : 친수성
비누 분자 꼬리 : 친유성
[해설작성자 : 한번에 통과ㄱ]

84. 고압가스 용기 색상 중 수소 가스를 나타내는 것은?(2021년 03월)
     1. 녹색
     2. 백색
     3. 황색
     4. 주황색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업용가스용기의 색상
녹색 - 산소
백삭 - 암모니아
황색 - 아세틸렌
주황색 - 수소
[해설작성자 : 까칠고기]

85.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상 제1류 위험물과 가장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위험물은?(2020년 06월)
     1. 제2류 위험물
     2. 제4류 위험물
     3. 제5류 위험물
     4. 제6류 위험물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제1류 위험물(산화성고체)
제2류 위험물(가연성고체)
제3류 위험물(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 물질)
제6류 위험물(산화성액체)

따라서 제1류와 제6류가 모두 산화성으로 답은 4번이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

86. 위험물의 운반용기 외부에 수납하는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표시해야하는 주의사항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단,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표시해야하는 주의사항이 다수일 경우, 주의사항을 모두 표기해야한다.)(2022년 04월)
     1. 철분 - 물기엄금
     2. 질산 - 화기엄금
     3. 염소산칼륨 - 물기엄금
     4. 아세톤 – 화기엄금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세톤= 4류 인화성액체 화기엄금
철분= 2류 가연성고체(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화기엄금, 물기엄금 / 인화성고체: 화기엄금 / 그 외: 화기주의)
[해설작성자 : ㄱㄱㅇㅇㅅㅅ]

질산= 6류위험물 가연물접촉주의
염소산칼륨= 1류위험물 충격,화기주의 물기엄금 가연물접촉주의
[해설작성자 : 송히]

8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저장소의 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일반저장소
     2. 암반탱크저장소
     3. 옥내탱크저장소
     4. 지하탱크저장소

     정답 : []
     정답률 : 54%

88. 농약의 유독성·유해성 분류와 분류기준이 잘못 연결된 것은?(2022년 03월)
     1. 급성독성 물질 - 입이나 피부를 통해 1회 또는 12시간 내에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6시간 동안 흡입 노출되었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2. 눈 자극성 물질 - 눈 앞쪽 표면에 접촉시켰을 때 21일 이내에 완전히 회복 가능한 어떤 변화를 눈에 일으키는 물질
     3. 발암성 물질 - 암을 일으키거나 암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물질
     4. 생식독성 물질 – 생식 기능, 생식 능력 또는 태아 발육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급성독성 물질"은 입이나 피부를 통하여 1회 또는 24시간 이내에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4시간 동안 흡입노출시켰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하며, 입이나 피부를 통한 투여 또는 흡입 노출에 대해 각각 4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한다.
[해설작성자 : 천포기]

89. 폐기물관리법령상 위해의료폐기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조직물류폐기물
     2. 병리계폐기물
     3. 손상성폐기물
     4. 격리의료폐기물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의료폐기물 분류
(1) 격리의료폐기물
(2) 위해의료폐기물
- 조직물류, 병리계, 손상성, 생물화학, 혈액오염폐기물
(3) 일반의료폐기물
[해설작성자 : 콩콩]

90. GHS에 의한 화학물질의 분류에 있어 성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가스는 50℃에서 증기압이 300kPaAbs를 초과하는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2. 고체는 액체 또는 가스의 정의에 부합되지 않는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3. 증기는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부터 방출되는 가스 형태의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4. 액체는 101.3 kPa에서 녹는점이나 초기 녹는점이 25℃ 이하인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4. 초기 녹는점이 "20'c" 이하인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해설작성자 : KangCorn]

91. 유해화학물질의 유출·누출 사고 시 즉시 신고해야하는 화학물질명 - 유출·누출량을 짝지은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염산 - 50kg
     2. 황산 - 100kg
     3. 염소 가스 - 5L
     4. 페놀 – 500kg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황산 500kg
[해설작성자 : ㄱㄱㅇㅇㅅㅅ]

92.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상 유해화학물질의 표시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5개 이상의 그림문자에 해당하는 물질의 경우 4개만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2. “위험”, “경고” 모두에 해당되는 경우 “위험”만 표시한다.
     3. 대상 화학물질이름으로 IUPAC 표준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4. 급성독성의 그림문자는 “해골과 X자형 뼈”와 “감탄부호”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해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급성독성의 그림문자는 "해골과 X자형 뼈"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정신체리!]

93. 환경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소음기준은 1일 동안 노출시간이 길어지거나 노출회수가 많아질수록 소음강도수준(dB(A))은 커진다.
     2.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한다.
     3. 단시간 노출 기준(STEL)의 단시간이란 1회에 15분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4. 최고 노출 기준(C)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소음 기준은 1일 동안 노출시간이 길어지거나 노출회수가 많아질수록 소음강도수준(dB(A))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정신체리!]

94. 소화기의 장·단점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ㄴ.CO2 소화기는 약제 잔여물이 없지만 소화효율이 별로 좋지 않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가어케아누]

95. 화학물질의 분류ㆍ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시 혼합물의 유해성ㆍ위험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단, ATE는 급성독성추정값, C는 농도를 의미한다.)(2020년 06월)
     1. 혼합물 전체로서 시험된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그 시험결과에 따라 단일물질의 분류기준을 적용한다.
     2. 혼합물 전체로서 시험된 자료는 없지만, 유사 혼합물의 분류자료 등을 통하여 혼합물 전체로서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희석값을 대푯값으로 하여 적용ㆍ분류한다.
     3. 혼합물 전체로서 유해성을 평가할 자료는 없지만, 구성성분의 유해성 평가자료가 있는 경우의 급성독성 추정값 공식은 개별 성분의 농도/급성독성추정값의 조화평균이다.
     4. 혼합물 전체로서 유해성을 평가할 자료는 없지만, 구성성분의 90% 미만 성분의 유해성 평가자료가 있거나 추정 가능할 경우의 급성독성 추적 값 공식은 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9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안전보건표지의 형태 및 색체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금지표지: 바탕-흰색, 기본모형-빨간색, 부호 및 그림-검은색
     2. 경고표지: 바탕-노란색, 기본모형-검정색, 부호 및 그림-검정색
     3. 지시표시: 바탕-흰색, 부호 및 그림-녹색 또는 바탕-녹색, 부호 및 그림-흰색
     4. 안내표시: 바탕-파란색, 기본모형-흰색, 부호 및 그림-흰색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도 된다고 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경고표지를 검색했을 때 두 종류의 경고표지를 볼 수 있습니다. 2번 선택지에 묘사된 경고표지도 경고표지가 맞습니다. 다만, 문제에는 연구실이라고 명시되어 있고 2번에 묘사된 경고표지는 연구실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쓰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2번은 틀린 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칸쵸]

[오류신고 반론]
2번은 바탕색 흰색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귤이]

[오류신고 반론]
경고표지는 2번 선지와 같지만 추가로 이놔성, 산화성, 폭발성 등등의 물질일 땐, 바탕 무색, 기본모형 빨간색(검정도) 가능하기에 틀림
[해설작성자 : 5일천하]

97. 대기오염방지시설 중 오염물질이 통과하는 관로(덕트)에 1.225 kg/m3의 밀도를 갖는 공기가 20m/s 의 속도로 통과할 때 동압(mmH2O)은?(2020년 09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동압=기체밀도x풍속^2/(2x중력가속도)=(1.225x20^2)/(2x9.8)=25
[해설작성자 : 부평베토벤]

9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아닌 것은? (단, 기타 시설은 제외한다)(2022년 03월)
     1. 중력집진시설
     2. 흡수에 의한 시설
     3.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시설
     4. 가스교환을 이용한 처리시설

     정답 : []
     정답률 : 33%

99. 실험복 및 개인보호구 착의 순서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긴 소매 실험복 → 마스크 → 보안면 → 실험장갑
     2. 긴 소매 실험복 → 보안면 → 실험장갑 → 마스크
     3. 마스크 → 긴 소매 실험복 → 보안면 → 실험장갑
     4. 실험장갑 → 긴 소매 실험복 → 마스크 → 보안면

     정답 : []
     정답률 : 71%

100. 폐기물관리법령상 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기간 등에 관한 아래의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기간은?(2021년 05월)

    

     1. a: 6개월, b: 1년
     2. a: 1년, b: 6개월
     3. a: 3개월, b: 6개월
     4. a: 6개월, b: 3개월

     정답 : []
     정답률 : 48%


정 답 지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85221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학분석 과정관리


1. 기체 상태의 수소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 X의 수소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X의 수소 화합물 1mol에 포함된 수소 원자의 질량(g)은?(2022년 04월)

   

     1. 80.64
     2. 8.064
     3. 0.8064
     4. 0.08064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표준상태 기체 1mol 부피 = 22.4L
밀도 2g/L = Xg / 22.4L
X=44.8g
화합물 중 H 백분율 = 18wt%
-> 화합물1mol 중 H질량    0.18 * 44.8 = 8.064g
[해설작성자 : 죠]

2. 다음 표준규격에 관한 설명 중에서 옳은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2020년 08월)

   

     1. A, B
     2. A, B, C
     3. A, C, D
     4. A, B, C, D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RoHS: 유럽연합(EU)에서 제정한 전기 및 전자장비 내에 특정 유해물질 사용에 관한 제한 지침 기준
[해설작성자 : 취업할래]

3. C7H16의 구조 이성질체 개수는?(2021년 09월)
     1. 7개
     2. 8개
     3. 9개
     4. 10개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1H4 : 1
C2H6 : 1
C3H8 : 1
C4H10 : 2
C5H12 : 3
C6H14 : 5
C7H16 : 9
[해설작성자 : 바다아이]

4. 다음 화합물의 올바른 IUPAC 이름은?(2021년 05월)

   

     1. 2,2,4-트리메틸-7-프로필노네인
(2,2,4-trimethyl-7-propylnonane)
     2. 7-에틸-2,2,4-트리메틸데케인
(7-ethyl-2,2,4-trimethyldecane)
     3. 3-프로필-6,8,8-트리메틸노네인
(3-propyl-6,8,8-trimethylnonane)
     4. 4-에틸-7,9,9-트리메틸데케인
(4-ethyl-7,9,9-trmethyldecane)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유기화학 이름 명명법

1.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찾는다 → 10개의 탄소사슬이 가장 긺(이 그림에서는 ㄴ자 모양이네요)
     → 10개의 탄소는 데케인(Decane)

2.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제외하고 치환기가 붙어있는 자리와 종류를 본다!
     (이그림을 기준으로는
        1) 우측에서부터 탄소에 번호를 세었을 때 : 7번 에틸 + 4,2,2 메틸
        2) 좌측에서부터 탄소에 번호를 세었을 때 : 4번 에틸 + 7,9,9 메틸
        치환기 번호가 작은 것이 우선적으로 와야하기에 !!!!7번 에틸,4,2,2 메틸!!)
                                    =======     ======
3. 메틸 3개는 트리메틸이므로

답: 7-에틸,2,2,4-트리메틸데케인 임.
[해설작성자 : Thing]

[참고]
유기화학 탄소의 이름 명명방법!
탄소1개: 메타, 탄소2개: 에타, 탄소3개: 프로파, 4개: 부타,
5개: 펜타, 6개: 헥사, 7개: 헵타, 8개: 옥타, 9개: 노나, 10개: 데카

치환기일경우??
탄소1개: 메틸
탄소2개: 에틸
탄소3개: 프로필
탄소4개: 부틸 정도만 알면될꺼에요...!
[해설작성자 : Thing]

5. 다음 중 광학분광법에서 이용하지 않는 현상은?(2020년 09월)
     1. 형광
     2. 흡수
     3. 발광
     4. 흡착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광학분광법은 형광, 인광, 산란, 발광, 흡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해설작성자 : Ibk]

6. 0.10M KNO3용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이 용액 0.10L에는 6.02×1022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2. 이 용액 0.10L에는 6.02×1023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3. 이 용액 0.10L에는 0.010몰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4. 이 용액 0.10L에는 1.0몰의 K+이온들이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0.1M KNO3에는 0.1M의 K+이온이 존재
0.1M=0.1mol/L이므로
0.1L에는 0.1mol/L×0.1L=0.01mol
1몰은 6.02×10^23/mol이므로
0.01mol×6.02×10^23/mol=6.02×10^21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7. 입체이성질체의 분류에 속하는 것은?(2021년 05월)
     1. 배위권이성질체
     2. 기하이성질체
     3. 결합이성질체
     4. 구조이성질체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기하 이성질체와 광학 이성질체가 입체 이성질체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8. C2H5OH 8.72g을 얼렸을 때의 △H는 약 몇 kJ인가? (단, C2H5OH열은 4.81kJ/mol이다.)(2020년 08월)
     1. +0.9
     2. -0.9
     3. +41.9
     4. -41.9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4.81kJ/46gX8.72=약 0.9kJ
엔탈피 값은(-)값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화분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식 위에처럼 하시면 틀려요.    
8.72g    X     Mol/46g
하시고 나온거를 4.81kJ/mol에 곱해주면 kJ만 남게 되고 그이후에 엔탈피인거 확인후 -(마이너스) 부호
[해설작성자 : 대전화학의신]

9. 레이저 발생과정에서 간섭성인 것은?(2021년 05월)
     1. 펌핑
     2. 흡수
     3. 자극방출
     4. 자발방출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위상과 방향이 일치해 들어오는 복사선과 간섭성이 된다
[해설작성자 : zzaro]

10. N2O4 NO2의 평형식과 실험 데이터가 아래와 같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론한 평형상수와 가장 가까운 값은?(2021년 05월)

    

     1. 0.125
     2. 0.210
     3. 0.323
     4. 0.422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K=[NO2]^2/[N2O4]
(K(실험1)+K(실험2))/2≒0.210
[해설작성자 : 끼마]

11. 바탕시료 분석을 통해 분석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2022년 04월)
     1. 영점
     2. 오차
     3. 처리시간
     4. 매트릭스 바탕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바탕시료는 blank값을 잡을때 사용하죠
[해설작성자 : 박상신]

12. 비활성 기체로 채워진 관 안의 두 전극 사이에 발생한 기체 이온과 전자를 이용하는 분광법은?(2020년 09월)
     1. 원자 형광 분광법
     2. 글로우 방전 분광법
     3. 플라즈마 방출 분광법
     4. 레이저 유도 파괴 분광법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글로방전
*시료도입과 시료원자화를 동시에 수행
*250~1000V로 유지되고 있는 두 전극 사이에 들어있는 낮은 압력의 아르곤 기체에서 발생
*전압을 걸어주면 아르곤 기체는 양이온과 전자로 분리됨
[해설작성자 : 화분기가즈아]

13. 탄화수소유도체를 잘못 나타낸 것은?(2020년 06월)
     1. R-OH:알코올
     2. R-CO-R:케톤
     3. R-CHO:에테르
     4. R-CONH2:아마이드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R-CHO:알데히드
R-O-R':에테르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14. 고분자의 생성 메카니즘(축합, 중합)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2020년 08월)
     1. 나일론(nylon)
     2. PVC(polyvinyl chloride)
     3. 폴리에스터(polyester)
     4. 단백질(protein)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PVC는 이중결합을 가진
단량체인 CH2=CHCl가
첨가 중합을 통해 생성
나일론, 폴리에스터, 단백질은
두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가 축합 중합을 통해 생성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15. 다음 설명에 가장 관련 깊은 것은?(2020년 06월)

    

     1. 주양자수
     2. 부양자수(각운동량 양자수)
     3. 자기양자수
     4. 스핀양자수

     정답 : []
     정답률 : 82%

16. 이온반지름의 크기를 잘못 비교한 것은?(2020년 09월)
     1. Mg2+ > Ca2+
     2. F- < O2-
     3. Al3+ < Mg2+
     4. O2-< S2-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같은 족 원소에서 원자번호가 클수록 이온반지름 큼. 따라서, Mg < Ca
2. 등전자이온에서 핵전하량이 클수록 이온반지름 작음. F < O
3. 등전자이온에서 핵전하량이 클수록 이온반지름 작음. Al < Mg
4. 같은 족 원소에서 원자번호가 클수록 이온반지름 큼. O < S
[해설작성자 : 단츄즈]

17. 적외선 분광법의 시료용기 재료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AgBr
     2. CaF2
     3. KBr
     4. SiO2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적외선 분광법에서 사용하는 시료용기는 이온성 물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KangCorn]

18. 원자가전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원자가전자는 최외각에 있는 전자이다.
     2. 원자가전자는 원자들 사이에서 물리결합을 형성한다.
     3. 원자가전자는 그 원소의 물리적 성질을 지배한다.
     4. 원자가전자는 핵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에너지가 가장 낮다.

     정답 : []
     정답률 : 77%

19. 전자가 보어모델(Bohr Model)의 n=5 궤도에서 n=3 궤도로 전이할 때 수소원자의 방출되는 빛의 파장(nm)은? (단, 뤼드베리 상수는 1.9678 ×10-2 nm-1 이다.)(2020년 09월)
     1. 434.5
     2. 486.1
     3. 714.6
     4. 954.6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파장=뤼드베리상수*(1/m^2-1/n^2) (※n>m)
=1.9678 ×10-2 nm-1*(1/9-1/25)
그러므로 파장=7.14x10^2 nm
[해설작성자 : 심찡]

20. 다음 화합물 중 octet rule을 만족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H2O의 O
     2. CO2의 C
     3. PCl5의 P
     4. NO3-의 N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PCl5의 P는 5쌍의 공유전자쌍을 가지므로 옥텟룰을 만족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화학물질 특성분석


21. 분자 흡수 분광법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복사선의 광원은?(2020년 08월)
     1. 중수소등
     2. 니크롬선등
     3. 속빈 음극등
     4. 텅스텐 필라멘트등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중수소등 - UV/VIS 광원 (자외선 영역) A
니크롬선등 - Near IR 광원, IR 광원, Far IR 광원
속빈음극등 - AAS 광원
텅스텐 필라멘트등 - UV/VIS 광원 (가시광선), Near IR 광원
[해설작성자 : 히야]

22. 원자 분광법에서 시료 형태에 따른 시료 도입방법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고체 : 직접 주입
     2. 용액 : 기체 분무화
     3. 고체 : 초음파 분무화
     4. 전도성 고체 : 글로우 방전 튕김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3. '분무' 고체를 분무하진 않죠.
4. 금속과 다른 전도성 고체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해설작성자 : Rivolo]

23.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약산의 농도가 클수록 당량점 근처에서 pH 변화폭이 크다.
     2. 당량점에서 pH는 7보다 크다.
     3. 약산의 해리상수가 클수록 당량점 근처에서 pH 변화 폭이 크다.
     4. 약산의 해리상수가 작을수록 적정 반응의 완결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약산의 해리상수가 작을수록 적정 반응의 완결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요정]

문제가 좋은 문제라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1.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실제 그래프 예시를 찾아서 확인해봤는데,
사용하는 염기의 종류가 같으면    거의/아예 차이가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농도를 약산에 맞춰서 올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러면 적정 이후 pH가 더 높은 수치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이 경우로 추정됩니다.
2. 당량점에서는. 약산의 짝염기 가수분해 결과 및 약산이 완전히 해리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pH가 7보다 높다.
3. 2번과 유사한 맥락인데, 강산에 가까울수록 짝염기의 가수분해가 줄고, 약산이 더 잘 해리되므로, 변화 폭은 커집니다.
( 해리가 잘 되니깐 pH 7 부근에서 버티고 있는 약산의 양이 적음, 결국 당량점 부근에서 pH가 잘 변한다. )
4. 우리가 알고 싶은 건 정확한 약산의 양. 그런데 해리상수가 작으면 약산이 완전히 해리되기 어렵습니다.
해리가 안되면 적정으로 확인이 안 됩니다. 즉, 반응이 완전히 종결되지 않습니다.(완결되지 못 한다.)
[해설작성자 : Rivolo]

24. Cu(s) + 2Fe3+ ⇆ 2Fe2++Cu2+ 반응의 평형상수는?(2021년 05월)

    

     1. 2.0 x 108
     2. 4.0 x 1014
     3. 4.0 x 1016
     4. 2.0 x 104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u(s) + 2Fe3+ ⇆ 2Fe2++Cu2+ 이므로
첫번째 반응식 - 두번째 반응식
즉, E'= 0.771-0.339= 0.432V
E'(표준환원전위)= (0.0592/2 )*logK
K= 10^(0.432*2/0.0592)
= 3.932 * 10^14 = 4.0 x10^14
[해설작성자 : 구동매]

25. 원자흡수분광법에서 분석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관계없는 것은?(2022년 03월)
     1. 고주파 출력값
     2. 분광기의 슬릿폭
     3. 불꽃을 투과하는 광속의 위치
     4.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 종류 및 이들 가스의 유량과 압력

     정답 : []
     정답률 : 43%

26. 원자 흡수 분광법과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 기기의 부분 장치 배열에서의 가장 큰 차이는?(2020년 06월)
     1. 원자 흡수 분광법은 광원 다음에 시료가 나오고 원자 형광 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2. 원자 흡수 분광법은 파장 선택기가 광원보다 먼저 나오고 원자 형광 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3. 원자 흡광 분광법과는 다르게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는 입사 광원과 직각 방향에서 형광선을 검출한다.
     4. 원자 흡수 분광법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할 수 없으나 원자 형광 분광법에서는 사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원자 흡수 분광법: 광원>파장선택기>시료>검출기>기록계
원자 형광 분광법: 광원>파장선택기>시료>직각 방향으로 꺽어서 파장선택기 배치>검출기>기록계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27. 0℃에서 액체 물의 밀도는 0.9998 g/mL 이고 이온화상수는 1.14×10-15 이다. 0℃에서 액체 물의 해리 백분율(mol%)은?(2021년 09월)
     1. 3.4×10-8
     2. 3.4×10-6
     3. 6.1×10-8
     4. 7.5×10-6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H2O ↔    H+    + OH-
                 (-x)     (+x)    (+x)
             -----------------------
                 a-x         x         x

x^2 = 1.14x10^-15
x = 3.376 x 10^-8 M = [H+] = [OH-]

*H2O 가 1 ml 있다고 가정하면
                0.9998g

H+의 몰수 = 3.376x10^-8 M * 1ml = 3.376x10^-8 mmol

H2O의 초기 몰수 = 0.9998g/18g/mol = 0.0555mol = 55.5mmol
         평형 상태의 몰수= 55.5mmol - 3.376x10^-8mmol (훨씬 작은 수이므로 무시할 수 있음)
                                         = 55.5mmol

해리 백분율 = (3.376x10^-8 / 55.5) x 100 = 6.1x10^-8
[해설작성자 : KangCorn]

28. 0.1M H2SO4 수용액 10mL에 0.05M NaOH 수용액 10mL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 용액의 pH는? (단, 황산은 100% 이온화된다.)(2020년 06월)
     1. 0.875
     2. 1.125
     3. 1.25
     4. 1.375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0.1×10×2=2mmol H+
0.05×10=0.5mmol OH-
중화반응으로 1.5mmol H+
최종부피 10+10=20이므로
1.5/20=0.075
pH=-log(0.075)=1.125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9. ppm과 ppb의 관계가 옳게 표현된 것은?(2020년 09월)
     1. 1 ppm = 1000 ppb
     2. 1 ppm = 10 ppb
     3. 1 ppm = 1 ppb
     4. 1 ppm = 0.001 ppb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ppm 은 백만 분율로 10^-6 이며, ppb는 십억 분율로 10^-9이다.
따라서 1 ppm은 1ppb에 10^3=1000 을 곱해야 나오는 수가 된다.
[해설작성자 : 화학어려워]

30. 이온 세기와 이와 관련된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이온세기는 용액 중에 있는 이온의 전체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2. 염을 첨가하면, 이온 분위기가 형성되어 더 많은 고체가 녹는다.
     3. 염을 증가시키면 이온 간 인력이 순수한 물에서 보다 감소한다.
     4. 이온 세기가 클수록 이온 분위기의 전하는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이온 세기가 클수록 이온 분위기의 전하도 커집니다 쑥쑥
[해설작성자 : KangCorn]

31. 0.10M NaCl 용액에 PbI2가 용해되어 생성된 Pb2+농도(mg/L)는? (단, Pb2+의 질량은 207.0 g/mol, PbI2의 용해도곱상수는 7.9x10-9, 이온세기가 0.10M일 때 Pb2+과 I-의 활동도계수는 각각 0.36과 0.75이다.)(2021년 05월)
     1. 0.221
     2. 0.442
     3. 221
     4. 442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0.36 * pb2+][0.75 * i1-]^2 = 7.9 * 10^-9 = (0.36*x)(2*0.75*x)^2 = 7.9 *10^-9, x = 2.136 * 10^-3M = [pb2+]
2.136 * 10^-3 mol/l * 207g/mol = 442mg/l (mg/l 임을 주의)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

a = r * c    활동도 = 활동도 계수 * 농도
활동도란 열역학적으로 보정된 농도를 말하며
문제에서 활동도 계수를 주었으므로 활동도 계수*농도 (활동도) 으로 나온 값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계산하는 농도값으로 이용하면 됨
[해설작성자 : KangCorn]

32. 용액의 농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몰농도는 용액 1L에 포함된 용질의 몰수로 정의한다.
     2. 몰랄농도는 용액 1L에 포함된 용매의 몰수로 정의한다.
     3. 노르말농도는 용액 1L에 포함된 용질의 그램 당량수로 정의한다.
     4. 몰분율은 그 성분의 몰수를 모든 성분의 전체 몰수로 나눈 것으로 정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몰랄농도는 용매 1kg에 포함된 용질의 몰수로 정의한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33. pH=6인 완충용액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4월)

    

     1.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52%

34. 0.10M HOCH2CO2H를 0.050M KOH로 적정할 때 당량점에서의 pH는? (단, HOCH2CO2H의 Ka는 1.48×10-4 이고, Kw는 1.0×10-14 이다.)(2022년 04월)
     1. 3.83
     2. 5.82
     3. 8.18
     4. 10.2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반응 후에 A-만 존재하기 때문에 화학식은 A- + H20 -> HA + OH-이다. HA 초기 부피를 1V라고 두면 KOH부피는 2V가 된다.(몰농도가 2배이므로 부피도 2배. MV = M'V'생각하자.) 따라서 총 용액부피는 3V이다. [OH-] = x로 두고 식을 세우면, Kb = 1.0 x 10^-14 / 1.48 x 10^-4 = x^2 / (0.10 / 3) - X이다. [OH-] = x = 1.5007 x 10^-6이다. pH = 8.1763이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MV = M'V'는 0.1 x 1 = 0.05 x 2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35. 원자 분광법에서 이온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2021년 09월)
     1. 불꽃 온도를 내리고 압력을 올린다.
     2. 불꽃 온도를 올리고 압력도 올린다.
     3. 불꽃 온도를 내리고 압력도 내린다.
     4. 불꽃 온도를 올리고 압력을 내린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온도를 올리면 원자끼리 붙어있기 더워서 이온화가 잘 일어나며
압력을 올리면 공간이 좁아져서 이온화가 일어나지 않고 붙어있다 생각하면 편해용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36. Ag 및 Cd와 관련된 반쪽 반응식과 표준 환원 전위가 아래와 같을 때, 25℃에서 다음 전지의 전위(V)는?(2021년 09월)

    

     1. -0.461
     2. 0.320
     3. 0.781
     4. 1.213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Nernst Equation
E = E0 - 0.0592/n * logQ

Ag^+의 E0 더 크므로 환원 전위
Cd^2+의 E0 더 작으므로 산화 전위

산화 전위 식을 반대로 돌리자!

2Ag^+ + Cd → 2Ag + Cd^2+

            [Cd^+2]
Q =     -------            
            [Ag^+]^2

E = (0.799+0.402) - 0.0592/2 * log (0.1)/(0.5)^2
    = 1.2127…
    = 1.213
[해설작성자 : KangCorn]

37. 원자흡수분광기의 불꽃 원자화기에 공급하는 공기-아세틸렌 가스를 아산화질소-아세틸렌 가스로 대체하는 주된 목적은?(2021년 05월)
     1. 불꽃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2. 불꽃의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
     3. 가스 연료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4. 시료의 분무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기 - 아세틸렌 가스의 최대 온도는 2300'c
아산화질소 - 아세틸렌 가스의 최대 온도는 2900'c 이다.
[해설작성자 : KangCorn]

38. 온도가 증가할 때, 아래 두 반응의 평형상수 변화는?(2021년 09월)

    

     1. (a), (b) 모두 증가
     2. (a), (b) 모두 감소
     3. (a) 증가, (b) 감소
     4. (a) 감소, (b) 증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외부 T 가 증가하면 평형 T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a)는 발열 반응이므로 온도를 감소시키려면 역반응이 진행되어야 하며 평형 상수가 감소함
(b)는 흡열 반응이므로 온도를 감소시키려면 정반응이 진행되어야 하며 평형 상수가 증가함
[해설작성자 : KangCorn]

39. 갈바니(혹은 불타) 전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극에서 환원이 일어난다.
     2. (-)극에서 산화가 일어난다.
     3. 일회용 건전지는 갈바니 전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4. 산화-환원 반응을 통한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꾼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갈바니 전지
자발적안 화학 반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환원 : (+)극 산화 : (-)극
전자의 이동 : (-)극 -> (+)극
전류의 아동 : (+)극 -> (-)극
염다리 : 이온의 이동으로 전하의 축적을 상쇄하여 전기적 중성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IU 5th album LILAC 3.25]

40. CaCO3(s) ⇆ CaO(s) + CO2(g)반응에서 평형에 영향을 주는 인자만을 고른 것은?(2021년 05월)
     1. CaO의 농도, 반응온도
     2. CO2의 농도, 반응온도
     3. CO2의 압력, CaO의 농도
     4. CaCO3의 농도, CaO의 농도

     정답 : []
     정답률 : 65%

3과목 : 화학물질 구조분석


41. 온도 변화에 따른 시료의 무게 감량을 측정하는 분석법은?(2021년 09월)
     1. FT-IR
     2. TGA
     3. GPC
     4. GC/MS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FT-IR 적외선 분광법
TGA : 질량 변화 측정
GPC : 용매의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크로마토 그래피
GC/MS :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질량 분석

+
DTA 온도 변화 측정
DSC 에너지 변화 측정
[해설작성자 : KangCorn]

42. 전압-전류법의 전압-전류 곡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용액의 밀도
     2. 정량 및 정성 분석
     3. 전극 반응의 가역성
     4. 금속 착물의 안정도 상수 및 배위수

     정답 : []
     정답률 : 56%

43. 조절환원전극 전기분해장치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위는?(2020년 06월)
     1. 전지 전위
     2. 산화전극 전위
     3. 환원전극 전위
     4. 염다리 접촉전위

     정답 : []
     정답률 : 43%

44. 폭이 매우 좁은 KBr셀 만을 적외선 분광기에 걸고 적외선 스펙트럼을 얻었다. 시료가 없기 때문에 적외선 흡수 밴드는 보이지 않고, 그림과 같이 파도 모양의 간섭파를 스펙트럼에 얻었다. 이 셀의 폭(mm)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1. 0.1242
     2. 12.42
     3. 24.82
     4. 248.4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b=△N/2(V1-V2) = 30/2*(1906-698)=0.01242cm → 0.1242mm
[해설작성자 : 병아리쿠킹]

45. 질량분석기에서 분석을 위해서는 분석물이 이온화되어야 한다. 이온화 방법은 분석물의 화학결합이 끊어지는 Hard Ionization 방법과 화학결합이 그대로 있는 Soft Ionization 방법이 있다. 다음 중 가장 Hard Ionization에 가까운 것은?(2020년 09월)
     1. 전자 충돌 이온화(Electron Impact Ionization)
     2. 전기 분무 이온화(ESI, Electrospray Ionization)
     3. 메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MALDI,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4. 화학 이온화(CI, Chemical Ionization)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Hard ion- 전자충격이온화방법
SOFT ION- 화학적 이온화 방법, 탈착이온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백금(Pt) 전극을 써서 수소 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량 적정법으로 염기 수용액을 정량할 때 전해 용역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22년 04월)
     1. 0.08 M TiCl3 수용액
     2. 0.01 M FeSO4 수용액
     3. 0.10 M Na2SO4 수용액
     4. 0.10 M Ce2(SO4)3 수용액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활동도가 높아야함 <- 이온세기(전하)는 낮아야 하고, 농도는 높아야 함
[해설작성자 : 빠이팅]

47. 열무게분석 장치에서 필요하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분석저울
     2. 전기로
     3. 기체 주입장치
     4. 회절발

     정답 : []
     정답률 : 57%

48. 분석 시료와 시료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연결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2년 04월)
     1. 잉크나 엽록소 – 얇은 층 크로마토그래피(TLC)
     2. 무기 전해질 염 - 종이 크로마토그래피(PC)
     3. 유기약산의 염 –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4. 단백질이나 녹말 –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EC)

     정답 : []
     정답률 : 61%

49. 전기량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전기량의 단위로 F(Faraday)가 사용되는데 1F는 96485 C/mole e-로 되는데 1C는 1V×1A 이다.
     2. 전기량법 적정은 전해전지를 구성한 분석용액에 뷰렛으로부터 표준용액을 가하면서 전류의 변화를 읽어서 종말점을 구한다.
     3. 조절-전위 전기량법을 위한 전지는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 및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구성되는데 기준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의 전위를 조정한다.
     4. 구리의 전기분해 전지에서 전위를 일정하게 놓고 전기분해를 하면 시간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는데 이는 구리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고 환원전극 농도 편극의 증가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1C = 1A * 1s
2. 전기량법은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후 종말점까지 소요된 전기량을 측정하는 거쥬
3. 상대 전극과 작업 전극 사이의 전위입니다

4. 소거법으로 정답.

        e- -> ┌─│l│l ─┐    
불순물+Cu │                     │ Cu
                 ~~~~~~~~~~~~~~~~~~~
                             Cu2+
Cu에서 2e- 가 나오면서 이온화, 2e-를 받고 Cu2+가 석출 반복하면
Cu 이온의 농도는 변하지 않음.
다만 불순물이 이온화하여 불순물 이온이 생기고, 여기서 나온 전자를 받아 Cu 이온이 석출되면
구리 이온의 농도는 줄어들게 되는데 이 내용을 가정으로 해야 4번이 맞음
[해설작성자 : KangCorn]

50. 시료물질과 기준물질을 조절된 온도프로그램으로 가열하면서 이 두 물질에 흘러 들어간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열량분석법은?(2021년 03월)
     1. 시차주사열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rtyl DSC)
     2. 열무게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3.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4. 직접주사엔탈피법(Direct-Injection Enthalpimetry; DIE)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시차주사열량법은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시차열분석법은 온도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51.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초임계유체 크로마토그래피(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2. 결합 역상 크로마토그래피(bonded reversed-phase chromatography)
     3. 분자 배제 크로마토그래피(molecular exclusion chromatography)
     4.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는 GC 와 HPLC의 장점을 결합시킨 방법으로, GC와 HPLC로 분리되지 않는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법]

52. 분자질량분석법에서 분자량이 83인 C6H11+의 분자량 M에 대한 M+1 봉우리 높이 비는? (단, 가장 많은 동위 원소에 대한 상대 존재 백분율은 2H : 0.015, 13C : 1.08 이다.)(2021년 03월)
     1. (M+1)/M = 6.65%
     2. (M+1)/M = 5.55%
     3. (M+1)/M = 4.09%
     4. (M+1)/M = 3.36%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분자량 M+1인 경우: C 1개가 13C 또는 H 1개가 2H

C 1개가 13C: 6C1 * 0.0108 = 0.0648
H 1개가 2H: 11C1 * 0.00015 = 0.00165

M+1: 0.0648 + 0.00165 = 0.06645

따라서, (M+1)/M = 0.06645 = 6.645%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53. 원자 및 분자 질량(atomic & molecular ma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원소들의 원자 질량은 탄소-12의 질량을 12 amu 또는 Dalton으로 놓고 그것에 대한 상대 질량을 의미한다.
     2. 원자량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존재비와 질량으로 해서 평균한 질량을 말한다.
     3. 화학식량은 자연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대표적인 동위원소의 질량을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합으로 나타낸 것이다.
     4. 동위원소는 원자번호는 같으나 질량이 다른 원소를 의미하며 화학적 성질은 같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원자량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평균원자량이다. 화학식량은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원자량의 합을 나타내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Ibk]

54. 질량분석법에서 시료의 이온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전기장으로 가속시킨 전자 또는 음으로 하전된 이온을 시료 분자에 충격하면 시료 분자의 양이온을 얻을 수 있다. 2가로 하전된 이온(질량 3.32×10-23kg)을 104V의 전기장으로 가속시켜 시료분자에 충격하려 할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전자의 전하는 1.6×10-19C이다.)(2020년 08월)
     1. 이 이온의 운동에너지는 3.2×10-15J이다.
     2. 이 이온의 속도는 1.39×104m/sec이다.
     3. 질량이 6.64×10-23kg인 이온을 이용하면 운동에너지는 2배가 된다.
     4. 같은 양의 운동에너지를 갖는다면 가장 큰 질량을 가진 이온이 가장 느린 속도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KE=zeV이로서 운동에너지는
질량에 영향을 받지않는다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오류인것 같아요
(KE=zeV=1/2x질량x속도의 제곱) 이여서 질량에 영향을 받는 것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지니]

[오류신고 반론]
제이마리러버님의 해설이 맞습니다. Ke=1/2mv^2=zeV 여기서 zeV는 일정하기 때문
[해설작성자 : 김]

55. Ag2SO3 + 2e- ⇄ 2Ag + SO32- 반쪽반응의 표준환원전위에 가장 가까운 값(V)은? (단, Ag2SO3의 용해도곱 상수는 1.5×10-14이고, 은 이온이 은 금속으로 환원되는 표준 환원전위는 +0.799V 이다.)(2021년 03월)
     1. -0.019
     2. +0.39
     3. +0.80
     4. +1.21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E=E0 + 0.05916/n log Ksp
E = 0.799 + 0.05916 / 2 log(1.5 x 10^-14)
E = 0.39
[해설작성자 : 경뚱]

보통 네른스트식 하면 E=E0-0.05916/n log Q로 많이 외우시는데
이때 Q는 환원/산화
Ksp는 Ag2+가 전자를 얻는 환원 반응이므로 산화/환원
역수를 취해주거나 위에 선생님처럼 +0.05916/n log Q로 해주거나
이거까지 적어주셨으면 완벽하셨을 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Rivolo]

56. 열분석은 물질의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기술이다. 열분석 종류와 측정방법을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2020년 08월)
     1. 시차주사열량법(DSC) - 열과 전이 및 반응온도
     2. 시차열분석(DTA) - 전이와 반응온도
     3. 열중량분석(TGA) - 크기와 점도의 변화
     4. 방출기체분석(EGA) - 열적으로 유도된 기체생성물의 양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GA는 온도 변화에 따른 질량 변화를 확인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57.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TLC)의 일반적인 용도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혼합물 중에 포함된 성분의 수를 결정
     2. 화학반응 중에 생성되는 중간체 확인
     3. 혼합물의 화학결합 존재여부 확인
     4. 화합물의 순도 확인

     정답 : []
     정답률 : 46%

58.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C2H4+(m=28.0313)과 CH2N+(m=27.9949)이온을 분리 하려면 분리능이 얼마나 되어야 하는가?(2020년 06월)
     1. 770
     2. 1170
     3. 1970
     4. 227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평균/차
=((28.0313+27.9949)/2)/(28.0313-27.9949)
=770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59. 니켈(Ni2+)과 카드뮴(Cd2+)이 각각 0.1M인 혼합용액에서 니켈만 전기화학적으로 석출하고자 한다. 카드뮴이온은 석출되지 않고, 니켈이온이 0.01%만 남도록 하는 전압(V)은?(2020년 09월)

    

     1. -0.2
     2. -0.3
     3. -0.4
     4. -0.5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Ni^2+] = 0.1M*0.01% = 1*10^-5
E = -0.250-0.05916/2*log(1/1*10^-5) = -0.3979 (약 -0.4)
[해설작성자 : 히야]

60. 고체표면의 원소 성분을 정량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원자 질량분석법은?(2020년 06월)
     1. 양이온 검출법과 음이온 검출법
     2. 이차이온 질량분석법과 글로우 방전질량분석법
     3. 레이저 마이크로탐침 질량분석법과 글로우 방전 질량분석법
     4. 이차이온 질량분석법과 레이저 마이크로탑침 질량분석법

     정답 : []
     정답률 : 51%

4과목 : 시험법 밸리데이션


61. 측정값-유효숫자 개수를 짝지은 것 중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12.9840g - 유효숫자 6개
     2. 1830.3m - 유효숫자 5개
     3. 0.0012g - 유효숫자 4개
     4. 1.005L - 유효숫자 4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번 유효숫자 2개
[해설작성자 : 콩콩]

62. 밸리데이션 통계적 처리를 위해 평균, 표준편차, 상대표준편차, 퍼센트 상대표준편차, 변동계수 등의 계산이 요구된다. 이때 통계처리를 위한 반복 측정횟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3가지 종류의 농도에 대해서 각각 2회 측정
     2. 시험방법 전체 조작을 10회 반복 측정
     3.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각각 6회 반복 측정
     4.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각각 10회 반복 측정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가지 종류의 농도에 대해 각각 3회 측정 (총 적어도 9회 측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하여 투과율을 8회 반복 측정한 결과와 T-table을 활용하여, 이 실험의 측정 신뢰도가 95%일 때 우연불확도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64. 시료를 반복 측정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 대한 90% 신뢰구간을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One side Student의 t값은 90% 신뢰구간 : 1.533, 95% 신뢰구간 : 2.132 이다.)(2020년 08월)

    

     1. 12.5 ± 0.04
     2. 12.5 ± 0.4
     3. 12.5 ± 0.02
     4. 12.5 ± 0.2

     정답 : []
     정답률 : 49%

65. 시료분석 시의 정도관리 요소 중 바탕값(black)의 종류와 내용이 옳게 연결된 것은?(2020년 09월)
     1. 현장바탕시료(field black sample)는 시료채취 과정에서 시료와 동일한 채취과정의 조작을 수행하는 시료를 말한다.
     2. 운송바탕시료(trip balck sample)는 시험 수행과정에서 사용하는 시약과 정제수의 오염과 실험절차의 오염,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 사용한다.
     3. 정제수 바탕시료(reagent black sample)는 시료채취과정의 오염과 채취용기의 오염 등 현장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4. 시험바탕시료(method blanks)는 시약 조제, 시료 희석, 세척 등에 사용하는 시료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운송바탕시료: 운송 중 용기로부터 오염되는 것 확인
3. 정제수 바탕시료: 실험절차, 시약 및 측정 장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 확인
4. 시험바탕시료: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시료
[해설작성자 : 화분기홧팅]

66. 분석방법의 유효성평가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3월)

    

     1. A, B, C, D, E
     2. A, B, C, D
     3. A, B, D, E
     4. A, B, E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C : 측정횟수를 늘려 분석 -> 정밀성
[해설작성자 : 최수빈살려 ]

67. 정량 분석법 중 간접 측정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무게법 : 분석물과 혹은 분석물과 관련 있는 화합물의 질량을 측정한다.
     2. 부피법 : 분석물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반응물 용액의 부피를 측정한다.
     3. 전기분석법 : 전위, 전류, 저항, 전하량, 질량 대 전하의 비(m/z)를 측정한다.
     4. 분광법 : 분석물과 빛 사이의 상호 작용 또는 분석물이 방출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질량 대 전하의 비 m/z 는 질량분석 MS
[해설작성자 : KangCorm]

68. 분석장비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3월)

    

     1. A, B, D
     2. A, C, D
     3. B, C, D
     4. A, B, C

     정답 : []
     정답률 : 44%

69. 정밀도와 정확도를 표현하는 방법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21년 05월)
     1. 정밀도 : 중앙값, 정확도 : 회수율
     2. 정밀도 : 중앙값, 정확도 : 변동계수
     3. 정밀도 : 상대표준편차, 정확도 : 변동계수
     4. 정밀도 : 상대표준편차, 정확도 : 회수율

     정답 : []
     정답률 : 65%

70. 다음은 검출 한계를 특정하는 여러 방법 중 한 가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된 것은?(2021년 09월)

    

     1. 잔차 - y절편
     2. 기울기 - y절편
     3. 상관계수 - 잔차
     4. 기울기 – 상관계수

     정답 : []
     정답률 : 52%

71. Na+을 포함하는 미지시료를 AES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 4.00mV이고, 미지시료 95.0mL에 2.00M NaCl 표준용액 5.00mL를 첨가한 후 측정하였더니, 8.00mV였을 때, 미지시료 중에 함유된 Na+의 농도(M)는?(2021년 09월)
     1. 0.95
     2. 0.095
     3. 0.0095
     4. 0.00095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미지시료 95ml → 4.00mV
미지시료 95ml + 2.00M NaCl 5ml → 8.00mV

농도가 바뀜에 따라 전압이 바뀌는 것을 인지.
비례식으로 풀 수 있다.

미지시료에도 Na+가 존재할 것임.
2.00M * 5.00ml = 10mmol

                    x mmol                                x+10 mmol                        
4.00mV : --------    =    8.00mV : ----------
                     95ml                                     100ml

식을 풀면 x = 9.05mmol

문제는 미지시료에 존재하는 Na+의 농도를 물었으므로

            9.05 mmol
M = ------------        = 0.095 M
             95 ml


[해설작성자 : KangCorn]

72.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상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생략할 수 있는 품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대한민국약전에 실려 있는 품목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3.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품목과 주성분의 함량은 동일하나 제형만 다른 품목
     4. 원개발사의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자료, 시험방법 이전을 받았음을 증빙하는 자료 및 제조원의 실험실과의 비교시험 자료가 있는 품목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제 4조 3항

라. 다음 사항의 경우 별표 13의 적격성 평가 및 밸리데이션에 따른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생략할 수 있다.

1) 대한민국약전에 실려 있는 품목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공정서 및 의약품집에 실려 있는 품목
3)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4)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품목과 제형 및 시험방법은 동일하나 주성분의 함량만 다른 품목
5) 원개발사의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자료, 시험방법 이전을 받았음을 증빙하는 자료 및 제조원의 실험실과의 비교시험 자료가 있는 품목
[해설작성자 : log2]

73. 특정 화합물의 분석 시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6회 반복하여 측정한 값이 아래와 같을 때, 상대 표준편차(%)는?(2020년 08월)

    

     1. 1.71
     2. 1.83
     3. 1.87
     4. 1.9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상대표준편차 = (표준편차/평균)x100
[해설작성자 : 3일천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평균 = 100, 표준편차 = (2.5^2*2+1.5^2*2+0.5^2*2)/6 = 1.71 -> 1.71/100 x 100 = 1.71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아돈노]

[오류신고 반론]
표준편차를 구할 때는 n이 아니라 n-1로 나눠줘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이화학 분석에 관현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험에 필요한 유리기구를 세척, 건조해야 하며, 이 때 이전에 사용한 시약 또는 분석대상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분석이 완료된 후 철저히 세척해야 한다.
     2. 분석결과의 통계처리는 일반적으로 평균, 표준편차 및 상대표준편차가 많이 이용된다.
     3. 정확성은 측정값이 참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4. 정밀성은 데이터의 입출력과 흐름을 추적하고 조작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75. 시험법 밸리데이션 과정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방법 검증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1년 09월)

    

     1. A, B, C, D, E
     2. A, C, D, E
     3. A, B, C, D
     4. A, B, C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제가 알기로는..
시험법 밸리데이션에 안정성은 포함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검증항목: 검출한계, 정량한계, 선택성, 정밀성(반복성, 실험실내/실험실간), 정확성, 범위, 직선성, 완건성(?) 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답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오류신고 반론]
안전성은 포함되지 않고, 안정성은 포함
[해설작성자 : 호랑이]

76. 분석장비의 소모품으로 탐침(probe)이 필요한 장비는?(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1년 03월)
     1. NMR
     2. AA
     3. EM
     4. XPS

     정답 : []
     정답률 : 77%

77. 시험·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장비 : 시험검사를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하드웨어
     2. 측정불확도 : 측정량에 귀속된 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정결과와 관련된 값으로써 측정결과를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
     3. 인증표준물질 : 국가 또는 공인된 기관이 발행한 문서가 있으며 유효한 절차에 의하여 추정된 불확도와 소급성 정보 등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가지는 표준물질
     4. 표준균주 : 특정 미생물 항목의 시험, 검사를 수행할 때 검출된 미생물에 대한 생화학적 특성의 비교대상이 되는 균주 또는 생화학적 시험, 검사에 필요한 균주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장비 : 시험,검사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분석(측정) 장비, 소프트웨어, 측정표준 등과 그 집합
즉, 소프트웨어 포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아스피린 알약의 순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일련의 바탕용약 흡광도를 측정한 값으로부터 표준편차 0.0048과 아스피린 표준용액의 흡광도로부터 얻은 검정곡선의 기울기가 0.12 흡광도단위/ppm 이였을 때, 검출한계(ppm)는?(2022년 04월)
     1. 0.132
     2. 0.0412
     3. 0.151
     4. 0.500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검출한계 = (3.3×표준편차)÷기울기
[해설작성자 : 스펙업]

79. 제작자의 규격, 교정성적서 혹은 다른 출처로부터 인용되고 인용된 불확도가 표준편차의 특정 배수라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면 표준불확도 U(x)는 인용된 값을 그 배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명목상 1kg 스테인리스강 표준분동의 성적서에 질량과 불확도가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을 때, 표준 분동의 표준불확도(μg)는?(2022년 03월)

    

     1. 0.8
     2. 1.37
     3. 130
     4. 26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표준불확도 U(x)는 인용된 값을 그 배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불확도가 260(2시그마수준) 260/2 = 130
[해설작성자 : 만거]

80. 유효숫자 표기 방법에 의한 계산 결과 값이 유효숫자 2자리인 것은?(2020년 06월)
     1. (7.6-0.34)÷1.95
     2. (1.05×104)×(9.92×106)
     3. 850000-(9.0×105)
     4. 83.25×102+1.35×10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유효숫자 2개
2. 유효숫자 3개
3. 유효숫자 1개
4. 유효숫자 4개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도 유효숫자 두개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진짜 모르겠음]

[오류신고 반론]
3번은 13 - 11일 때 2이면 유효숫자가 1개로 줄어드는 것처럼 (8.5-9.0)*10^5이라 0.5로 줄어서 유효숫자가 1이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ㅁㄴㅇ]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3개입니다. 8.46*10^3
덧셈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가장 적은 유효숫자로 제한합니다.
[해설작성자 : 태미원]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4개가 맞습니다.
8.460*10^3으로, 불확도가 여전히 소숫점 셋째자리에 머무르므로 해당 자리수까지 유효슷자를 가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도파마이드]

81.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단시간노출기준(STEL)은 15분간의 시간가중평균노출값으로서 근로자가 STEL이하로 유해인자에 노출되기 위해선 1회 노출 지속시간이 15분 미만이어야 하고, 1일 4회 이하로 발생해야하며, 각 노출의 간격은 60분 이하이어야 한다.
     2. 최고노출기준(C)은 근로자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하며, 노출기준 앞에 C를 붙여 표시 한다.
     3.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 인자의 측정치에 발생 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4. 특정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이 규정되지 않았을 경우 ACGIH의 TLVs를 준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STEL(단시간 노출 기준)은 근로자가 1회에 15분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경우의 기준으로 이 기준 이하에서는 1회 노출 간격이 1시간 이상인 경우에 1일 작업 시간 동안 4회까지 노출이 허용될 수 있는 기준을 말한다.
2. TWA(시간 가중 평균 노출 기준)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 인자의 측정치에 발생 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3. C(최고 노출 기준)은 근로자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하며, 노출 기준 앞에 'C'를 붙여 표시한다.
4. 노출 기준이 규정되지 아니한 유해 인자의 노출 기준은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회(ACGIH,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에서 매년 채택하는 노출 기준(TLVs)를 준용한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

82. 다음의 유해화학물질의 건강유해성의 표시 그림문자가 나타내지 않는 사항은?(2020년 09월)

    

     1. 호흡기 과민성
     2. 발암성
     3. 생식독성
     4. 급성독성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급성독성은 해골 그림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이네..?]

83. 비누화 반응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에스테르 결합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끊을 수 있다.
     2. 비누화 반응의 생성물은 글리세롤과 세 개의 지방산 나트륨의 염이다.
     3. 비누화 반응의 생성물인 비누는 극성인 머리와 무극성의 긴 꼬리로 구성되어 있다.
     4. 비누화 반응으로 얻은 비누 분자의 머리 부분에 기름이 들러붙어 제거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비누 분자 머리 : 친수성
비누 분자 꼬리 : 친유성
[해설작성자 : 한번에 통과ㄱ]

84. 고압가스 용기 색상 중 수소 가스를 나타내는 것은?(2021년 03월)
     1. 녹색
     2. 백색
     3. 황색
     4. 주황색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업용가스용기의 색상
녹색 - 산소
백삭 - 암모니아
황색 - 아세틸렌
주황색 - 수소
[해설작성자 : 까칠고기]

85.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상 제1류 위험물과 가장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위험물은?(2020년 06월)
     1. 제2류 위험물
     2. 제4류 위험물
     3. 제5류 위험물
     4. 제6류 위험물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제1류 위험물(산화성고체)
제2류 위험물(가연성고체)
제3류 위험물(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 물질)
제6류 위험물(산화성액체)

따라서 제1류와 제6류가 모두 산화성으로 답은 4번이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

86. 위험물의 운반용기 외부에 수납하는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표시해야하는 주의사항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단,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표시해야하는 주의사항이 다수일 경우, 주의사항을 모두 표기해야한다.)(2022년 04월)
     1. 철분 - 물기엄금
     2. 질산 - 화기엄금
     3. 염소산칼륨 - 물기엄금
     4. 아세톤 – 화기엄금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세톤= 4류 인화성액체 화기엄금
철분= 2류 가연성고체(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화기엄금, 물기엄금 / 인화성고체: 화기엄금 / 그 외: 화기주의)
[해설작성자 : ㄱㄱㅇㅇㅅㅅ]

질산= 6류위험물 가연물접촉주의
염소산칼륨= 1류위험물 충격,화기주의 물기엄금 가연물접촉주의
[해설작성자 : 송히]

8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저장소의 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일반저장소
     2. 암반탱크저장소
     3. 옥내탱크저장소
     4. 지하탱크저장소

     정답 : []
     정답률 : 54%

88. 농약의 유독성·유해성 분류와 분류기준이 잘못 연결된 것은?(2022년 03월)
     1. 급성독성 물질 - 입이나 피부를 통해 1회 또는 12시간 내에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6시간 동안 흡입 노출되었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2. 눈 자극성 물질 - 눈 앞쪽 표면에 접촉시켰을 때 21일 이내에 완전히 회복 가능한 어떤 변화를 눈에 일으키는 물질
     3. 발암성 물질 - 암을 일으키거나 암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물질
     4. 생식독성 물질 – 생식 기능, 생식 능력 또는 태아 발육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급성독성 물질"은 입이나 피부를 통하여 1회 또는 24시간 이내에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4시간 동안 흡입노출시켰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하며, 입이나 피부를 통한 투여 또는 흡입 노출에 대해 각각 4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한다.
[해설작성자 : 천포기]

89. 폐기물관리법령상 위해의료폐기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조직물류폐기물
     2. 병리계폐기물
     3. 손상성폐기물
     4. 격리의료폐기물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의료폐기물 분류
(1) 격리의료폐기물
(2) 위해의료폐기물
- 조직물류, 병리계, 손상성, 생물화학, 혈액오염폐기물
(3) 일반의료폐기물
[해설작성자 : 콩콩]

90. GHS에 의한 화학물질의 분류에 있어 성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가스는 50℃에서 증기압이 300kPaAbs를 초과하는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2. 고체는 액체 또는 가스의 정의에 부합되지 않는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3. 증기는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부터 방출되는 가스 형태의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4. 액체는 101.3 kPa에서 녹는점이나 초기 녹는점이 25℃ 이하인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4. 초기 녹는점이 "20'c" 이하인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해설작성자 : KangCorn]

91. 유해화학물질의 유출·누출 사고 시 즉시 신고해야하는 화학물질명 - 유출·누출량을 짝지은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염산 - 50kg
     2. 황산 - 100kg
     3. 염소 가스 - 5L
     4. 페놀 – 500kg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황산 500kg
[해설작성자 : ㄱㄱㅇㅇㅅㅅ]

92.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상 유해화학물질의 표시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5개 이상의 그림문자에 해당하는 물질의 경우 4개만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2. “위험”, “경고” 모두에 해당되는 경우 “위험”만 표시한다.
     3. 대상 화학물질이름으로 IUPAC 표준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4. 급성독성의 그림문자는 “해골과 X자형 뼈”와 “감탄부호”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해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급성독성의 그림문자는 "해골과 X자형 뼈"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정신체리!]

93. 환경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소음기준은 1일 동안 노출시간이 길어지거나 노출회수가 많아질수록 소음강도수준(dB(A))은 커진다.
     2.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한다.
     3. 단시간 노출 기준(STEL)의 단시간이란 1회에 15분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4. 최고 노출 기준(C)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소음 기준은 1일 동안 노출시간이 길어지거나 노출회수가 많아질수록 소음강도수준(dB(A))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정신체리!]

94. 소화기의 장·단점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ㄴ.CO2 소화기는 약제 잔여물이 없지만 소화효율이 별로 좋지 않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가어케아누]

95. 화학물질의 분류ㆍ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시 혼합물의 유해성ㆍ위험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단, ATE는 급성독성추정값, C는 농도를 의미한다.)(2020년 06월)
     1. 혼합물 전체로서 시험된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그 시험결과에 따라 단일물질의 분류기준을 적용한다.
     2. 혼합물 전체로서 시험된 자료는 없지만, 유사 혼합물의 분류자료 등을 통하여 혼합물 전체로서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희석값을 대푯값으로 하여 적용ㆍ분류한다.
     3. 혼합물 전체로서 유해성을 평가할 자료는 없지만, 구성성분의 유해성 평가자료가 있는 경우의 급성독성 추정값 공식은 개별 성분의 농도/급성독성추정값의 조화평균이다.
     4. 혼합물 전체로서 유해성을 평가할 자료는 없지만, 구성성분의 90% 미만 성분의 유해성 평가자료가 있거나 추정 가능할 경우의 급성독성 추적 값 공식은 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9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안전보건표지의 형태 및 색체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금지표지: 바탕-흰색, 기본모형-빨간색, 부호 및 그림-검은색
     2. 경고표지: 바탕-노란색, 기본모형-검정색, 부호 및 그림-검정색
     3. 지시표시: 바탕-흰색, 부호 및 그림-녹색 또는 바탕-녹색, 부호 및 그림-흰색
     4. 안내표시: 바탕-파란색, 기본모형-흰색, 부호 및 그림-흰색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도 된다고 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경고표지를 검색했을 때 두 종류의 경고표지를 볼 수 있습니다. 2번 선택지에 묘사된 경고표지도 경고표지가 맞습니다. 다만, 문제에는 연구실이라고 명시되어 있고 2번에 묘사된 경고표지는 연구실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쓰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2번은 틀린 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칸쵸]

[오류신고 반론]
2번은 바탕색 흰색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귤이]

[오류신고 반론]
경고표지는 2번 선지와 같지만 추가로 이놔성, 산화성, 폭발성 등등의 물질일 땐, 바탕 무색, 기본모형 빨간색(검정도) 가능하기에 틀림
[해설작성자 : 5일천하]

97. 대기오염방지시설 중 오염물질이 통과하는 관로(덕트)에 1.225 kg/m3의 밀도를 갖는 공기가 20m/s 의 속도로 통과할 때 동압(mmH2O)은?(2020년 09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동압=기체밀도x풍속^2/(2x중력가속도)=(1.225x20^2)/(2x9.8)=25
[해설작성자 : 부평베토벤]

9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아닌 것은? (단, 기타 시설은 제외한다)(2022년 03월)
     1. 중력집진시설
     2. 흡수에 의한 시설
     3.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시설
     4. 가스교환을 이용한 처리시설

     정답 : []
     정답률 : 33%

99. 실험복 및 개인보호구 착의 순서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긴 소매 실험복 → 마스크 → 보안면 → 실험장갑
     2. 긴 소매 실험복 → 보안면 → 실험장갑 → 마스크
     3. 마스크 → 긴 소매 실험복 → 보안면 → 실험장갑
     4. 실험장갑 → 긴 소매 실험복 → 마스크 → 보안면

     정답 : []
     정답률 : 71%

100. 폐기물관리법령상 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기간 등에 관한 아래의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기간은?(2021년 05월)

    

     1. a: 6개월, b: 1년
     2. a: 1년, b: 6개월
     3. a: 3개월, b: 6개월
     4. a: 6개월, b: 3개월

     정답 : []
     정답률 : 4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85221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181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0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9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8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7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6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0년03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5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4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2 경찰공무원(순경) 경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78239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1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0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9 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8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83399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85221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6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5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4 스포츠경영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3 T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2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61 Next
/ 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