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찾는다 → 10개의 탄소사슬이 가장 긺(이 그림에서는 ㄴ자 모양이네요) → 10개의 탄소는 데케인(Decane)
2.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제외하고 치환기가 붙어있는 자리와 종류를 본다! (이그림을 기준으로는 1) 우측에서부터 탄소에 번호를 세었을 때 : 7번 에틸 + 4,2,2 메틸 2) 좌측에서부터 탄소에 번호를 세었을 때 : 4번 에틸 + 7,9,9 메틸 치환기 번호가 작은 것이 우선적으로 와야하기에 !!!!7번 에틸,4,2,2 메틸!!) ======= ====== 3. 메틸 3개는 트리메틸이므로
문제가 좋은 문제라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1.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실제 그래프 예시를 찾아서 확인해봤는데, 사용하는 염기의 종류가 같으면 거의/아예 차이가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농도를 약산에 맞춰서 올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러면 적정 이후 pH가 더 높은 수치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이 경우로 추정됩니다. 2. 당량점에서는. 약산의 짝염기 가수분해 결과 및 약산이 완전히 해리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pH가 7보다 높다. 3. 2번과 유사한 맥락인데, 강산에 가까울수록 짝염기의 가수분해가 줄고, 약산이 더 잘 해리되므로, 변화 폭은 커집니다. ( 해리가 잘 되니깐 pH 7 부근에서 버티고 있는 약산의 양이 적음, 결국 당량점 부근에서 pH가 잘 변한다. ) 4. 우리가 알고 싶은 건 정확한 약산의 양. 그런데 해리상수가 작으면 약산이 완전히 해리되기 어렵습니다. 해리가 안되면 적정으로 확인이 안 됩니다. 즉, 반응이 완전히 종결되지 않습니다.(완결되지 못 한다.) [해설작성자 : Rivolo]
<문제 해설> 반응 후에 A-만 존재하기 때문에 화학식은 A- + H20 -> HA + OH-이다. HA 초기 부피를 1V라고 두면 KOH부피는 2V가 된다.(몰농도가 2배이므로 부피도 2배. MV = M'V'생각하자.) 따라서 총 용액부피는 3V이다. [OH-] = x로 두고 식을 세우면, Kb = 1.0 x 10^-14 / 1.48 x 10^-4 = x^2 / (0.10 / 3) - X이다. [OH-] = x = 1.5007 x 10^-6이다. pH = 8.1763이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MV = M'V'는 0.1 x 1 = 0.05 x 2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35.
원자 분광법에서 이온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2021년 09월)
1.
불꽃 온도를 내리고 압력을 올린다.
2.
불꽃 온도를 올리고 압력도 올린다.
3.
불꽃 온도를 내리고 압력도 내린다.
4.
불꽃 온도를 올리고 압력을 내린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온도를 올리면 원자끼리 붙어있기 더워서 이온화가 잘 일어나며 압력을 올리면 공간이 좁아져서 이온화가 일어나지 않고 붙어있다 생각하면 편해용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36.
Ag 및 Cd와 관련된 반쪽 반응식과 표준 환원 전위가 아래와 같을 때, 25℃에서 다음 전지의 전위(V)는?(2021년 09월)
원자흡수분광기의 불꽃 원자화기에 공급하는 공기-아세틸렌 가스를 아산화질소-아세틸렌 가스로 대체하는 주된 목적은?(2021년 05월)
1.
불꽃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2.
불꽃의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
3.
가스 연료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4.
시료의 분무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기 - 아세틸렌 가스의 최대 온도는 2300'c 아산화질소 - 아세틸렌 가스의 최대 온도는 2900'c 이다. [해설작성자 : KangCorn]
38.
온도가 증가할 때, 아래 두 반응의 평형상수 변화는?(2021년 09월)
1.
(a), (b) 모두 증가
2.
(a), (b) 모두 감소
3.
(a) 증가, (b) 감소
4.
(a) 감소, (b)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외부 T 가 증가하면 평형 T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a)는 발열 반응이므로 온도를 감소시키려면 역반응이 진행되어야 하며 평형 상수가 감소함 (b)는 흡열 반응이므로 온도를 감소시키려면 정반응이 진행되어야 하며 평형 상수가 증가함 [해설작성자 : KangCorn]
39.
갈바니(혹은 불타) 전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극에서 환원이 일어난다.
2.
(-)극에서 산화가 일어난다.
3.
일회용 건전지는 갈바니 전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4.
산화-환원 반응을 통한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꾼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갈바니 전지 자발적안 화학 반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환원 : (+)극 산화 : (-)극 전자의 이동 : (-)극 -> (+)극 전류의 아동 : (+)극 -> (-)극 염다리 : 이온의 이동으로 전하의 축적을 상쇄하여 전기적 중성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IU 5th album LILAC 3.25]
40.
CaCO3(s) ⇆ CaO(s) + CO2(g)반응에서 평형에 영향을 주는 인자만을 고른 것은?(2021년 05월)
1.
CaO의 농도, 반응온도
2.
CO2의 농도, 반응온도
3.
CO2의 압력, CaO의 농도
4.
CaCO3의 농도, CaO의 농도
정답 : [
2
] 정답률 : 65%
3과목 : 화학물질 구조분석
41.
온도 변화에 따른 시료의 무게 감량을 측정하는 분석법은?(2021년 09월)
1.
FT-IR
2.
TGA
3.
GPC
4.
GC/MS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FT-IR 적외선 분광법 TGA : 질량 변화 측정 GPC : 용매의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크로마토 그래피 GC/MS :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질량 분석
+ DTA 온도 변화 측정 DSC 에너지 변화 측정 [해설작성자 : KangCorn]
42.
전압-전류법의 전압-전류 곡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용액의 밀도
2.
정량 및 정성 분석
3.
전극 반응의 가역성
4.
금속 착물의 안정도 상수 및 배위수
정답 : [
1
] 정답률 : 56%
43.
조절환원전극 전기분해장치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위는?(2020년 06월)
1.
전지 전위
2.
산화전극 전위
3.
환원전극 전위
4.
염다리 접촉전위
정답 : [
3
] 정답률 : 43%
44.
폭이 매우 좁은 KBr셀 만을 적외선 분광기에 걸고 적외선 스펙트럼을 얻었다. 시료가 없기 때문에 적외선 흡수 밴드는 보이지 않고, 그림과 같이 파도 모양의 간섭파를 스펙트럼에 얻었다. 이 셀의 폭(mm)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질량분석기에서 분석을 위해서는 분석물이 이온화되어야 한다. 이온화 방법은 분석물의 화학결합이 끊어지는 Hard Ionization 방법과 화학결합이 그대로 있는 Soft Ionization 방법이 있다. 다음 중 가장 Hard Ionization에 가까운 것은?(2020년 09월)
1.
전자 충돌 이온화(Electron Impact Ionization)
2.
전기 분무 이온화(ESI, Electrospray Ionization)
3.
메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MALDI,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4.
화학 이온화(CI, Chemical Ionization)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Hard ion- 전자충격이온화방법 SOFT ION- 화학적 이온화 방법, 탈착이온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백금(Pt) 전극을 써서 수소 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량 적정법으로 염기 수용액을 정량할 때 전해 용역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22년 04월)
분석 시료와 시료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연결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2년 04월)
1.
잉크나 엽록소 – 얇은 층 크로마토그래피(TLC)
2.
무기 전해질 염 - 종이 크로마토그래피(PC)
3.
유기약산의 염 –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4.
단백질이나 녹말 –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EC)
정답 : [
1
] 정답률 : 61%
49.
전기량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전기량의 단위로 F(Faraday)가 사용되는데 1F는 96485 C/mole e-로 되는데 1C는 1V×1A 이다.
2.
전기량법 적정은 전해전지를 구성한 분석용액에 뷰렛으로부터 표준용액을 가하면서 전류의 변화를 읽어서 종말점을 구한다.
3.
조절-전위 전기량법을 위한 전지는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 및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구성되는데 기준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의 전위를 조정한다.
4.
구리의 전기분해 전지에서 전위를 일정하게 놓고 전기분해를 하면 시간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는데 이는 구리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고 환원전극 농도 편극의 증가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1C = 1A * 1s 2. 전기량법은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후 종말점까지 소요된 전기량을 측정하는 거쥬 3. 상대 전극과 작업 전극 사이의 전위입니다
4. 소거법으로 정답.
e- -> ┌─│l│l ─┐ 불순물+Cu │ │ Cu ~~~~~~~~~~~~~~~~~~~ Cu2+ Cu에서 2e- 가 나오면서 이온화, 2e-를 받고 Cu2+가 석출 반복하면 Cu 이온의 농도는 변하지 않음. 다만 불순물이 이온화하여 불순물 이온이 생기고, 여기서 나온 전자를 받아 Cu 이온이 석출되면 구리 이온의 농도는 줄어들게 되는데 이 내용을 가정으로 해야 4번이 맞음 [해설작성자 : KangCorn]
50.
시료물질과 기준물질을 조절된 온도프로그램으로 가열하면서 이 두 물질에 흘러 들어간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열량분석법은?(2021년 03월)
1.
시차주사열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rtyl DSC)
2.
열무게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3.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4.
직접주사엔탈피법(Direct-Injection Enthalpimetry; DIE)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시차주사열량법은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시차열분석법은 온도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51.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초임계유체 크로마토그래피(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2.
결합 역상 크로마토그래피(bonded reversed-phase chromatography)
3.
분자 배제 크로마토그래피(molecular exclusion chromatography)
4.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는 GC 와 HPLC의 장점을 결합시킨 방법으로, GC와 HPLC로 분리되지 않는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법]
52.
분자질량분석법에서 분자량이 83인 C6H11+의 분자량 M에 대한 M+1 봉우리 높이 비는? (단, 가장 많은 동위 원소에 대한 상대 존재 백분율은 2H : 0.015, 13C : 1.08 이다.)(2021년 03월)
1.
(M+1)/M = 6.65%
2.
(M+1)/M = 5.55%
3.
(M+1)/M = 4.09%
4.
(M+1)/M = 3.36%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분자량 M+1인 경우: C 1개가 13C 또는 H 1개가 2H
C 1개가 13C: 6C1 * 0.0108 = 0.0648 H 1개가 2H: 11C1 * 0.00015 = 0.00165
M+1: 0.0648 + 0.00165 = 0.06645
따라서, (M+1)/M = 0.06645 = 6.645%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53.
원자 및 분자 질량(atomic & molecular ma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원소들의 원자 질량은 탄소-12의 질량을 12 amu 또는 Dalton으로 놓고 그것에 대한 상대 질량을 의미한다.
2.
원자량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존재비와 질량으로 해서 평균한 질량을 말한다.
3.
화학식량은 자연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대표적인 동위원소의 질량을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합으로 나타낸 것이다.
4.
동위원소는 원자번호는 같으나 질량이 다른 원소를 의미하며 화학적 성질은 같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원자량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평균원자량이다. 화학식량은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원자량의 합을 나타내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Ibk]
54.
질량분석법에서 시료의 이온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전기장으로 가속시킨 전자 또는 음으로 하전된 이온을 시료 분자에 충격하면 시료 분자의 양이온을 얻을 수 있다. 2가로 하전된 이온(질량 3.32×10-23kg)을 104V의 전기장으로 가속시켜 시료분자에 충격하려 할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전자의 전하는 1.6×10-19C이다.)(2020년 08월)
1.
이 이온의 운동에너지는 3.2×10-15J이다.
2.
이 이온의 속도는 1.39×104m/sec이다.
3.
질량이 6.64×10-23kg인 이온을 이용하면 운동에너지는 2배가 된다.
4.
같은 양의 운동에너지를 갖는다면 가장 큰 질량을 가진 이온이 가장 느린 속도를 갖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KE=zeV이로서 운동에너지는 질량에 영향을 받지않는다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오류인것 같아요 (KE=zeV=1/2x질량x속도의 제곱) 이여서 질량에 영향을 받는 것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지니]
Ag2SO3 + 2e- ⇄ 2Ag + SO32- 반쪽반응의 표준환원전위에 가장 가까운 값(V)은? (단, Ag2SO3의 용해도곱 상수는 1.5×10-14이고, 은 이온이 은 금속으로 환원되는 표준 환원전위는 +0.799V 이다.)(2021년 03월)
1.
-0.019
2.
+0.39
3.
+0.80
4.
+1.21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E=E0 + 0.05916/n log Ksp E = 0.799 + 0.05916 / 2 log(1.5 x 10^-14) E = 0.39 [해설작성자 : 경뚱]
보통 네른스트식 하면 E=E0-0.05916/n log Q로 많이 외우시는데 이때 Q는 환원/산화 Ksp는 Ag2+가 전자를 얻는 환원 반응이므로 산화/환원 역수를 취해주거나 위에 선생님처럼 +0.05916/n log Q로 해주거나 이거까지 적어주셨으면 완벽하셨을 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Rivolo]
56.
열분석은 물질의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기술이다. 열분석 종류와 측정방법을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2020년 08월)
1.
시차주사열량법(DSC) - 열과 전이 및 반응온도
2.
시차열분석(DTA) - 전이와 반응온도
3.
열중량분석(TGA) - 크기와 점도의 변화
4.
방출기체분석(EGA) - 열적으로 유도된 기체생성물의 양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GA는 온도 변화에 따른 질량 변화를 확인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57.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TLC)의 일반적인 용도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혼합물 중에 포함된 성분의 수를 결정
2.
화학반응 중에 생성되는 중간체 확인
3.
혼합물의 화학결합 존재여부 확인
4.
화합물의 순도 확인
정답 : [
3
] 정답률 : 46%
58.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C2H4+(m=28.0313)과 CH2N+(m=27.9949)이온을 분리 하려면 분리능이 얼마나 되어야 하는가?(2020년 06월)
밸리데이션 통계적 처리를 위해 평균, 표준편차, 상대표준편차, 퍼센트 상대표준편차, 변동계수 등의 계산이 요구된다. 이때 통계처리를 위한 반복 측정횟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3가지 종류의 농도에 대해서 각각 2회 측정
2.
시험방법 전체 조작을 10회 반복 측정
3.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각각 6회 반복 측정
4.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각각 10회 반복 측정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가지 종류의 농도에 대해 각각 3회 측정 (총 적어도 9회 측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하여 투과율을 8회 반복 측정한 결과와 T-table을 활용하여, 이 실험의 측정 신뢰도가 95%일 때 우연불확도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64.
시료를 반복 측정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 대한 90% 신뢰구간을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One side Student의 t값은 90% 신뢰구간 : 1.533, 95% 신뢰구간 : 2.132 이다.)(2020년 08월)
1.
12.5 ± 0.04
2.
12.5 ± 0.4
3.
12.5 ± 0.02
4.
12.5 ± 0.2
정답 : [
2
] 정답률 : 49%
65.
시료분석 시의 정도관리 요소 중 바탕값(black)의 종류와 내용이 옳게 연결된 것은?(2020년 09월)
1.
현장바탕시료(field black sample)는 시료채취 과정에서 시료와 동일한 채취과정의 조작을 수행하는 시료를 말한다.
2.
운송바탕시료(trip balck sample)는 시험 수행과정에서 사용하는 시약과 정제수의 오염과 실험절차의 오염,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 사용한다.
3.
정제수 바탕시료(reagent black sample)는 시료채취과정의 오염과 채취용기의 오염 등 현장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4.
시험바탕시료(method blanks)는 시약 조제, 시료 희석, 세척 등에 사용하는 시료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운송바탕시료: 운송 중 용기로부터 오염되는 것 확인 3. 정제수 바탕시료: 실험절차, 시약 및 측정 장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 확인 4. 시험바탕시료: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시료 [해설작성자 : 화분기홧팅]
66.
분석방법의 유효성평가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3월)
1.
A, B, C, D, E
2.
A, B, C, D
3.
A, B, D, E
4.
A, B, E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C : 측정횟수를 늘려 분석 -> 정밀성 [해설작성자 : 최수빈살려 ]
67.
정량 분석법 중 간접 측정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무게법 : 분석물과 혹은 분석물과 관련 있는 화합물의 질량을 측정한다.
2.
부피법 : 분석물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반응물 용액의 부피를 측정한다.
3.
전기분석법 : 전위, 전류, 저항, 전하량, 질량 대 전하의 비(m/z)를 측정한다.
4.
분광법 : 분석물과 빛 사이의 상호 작용 또는 분석물이 방출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질량 대 전하의 비 m/z 는 질량분석 MS [해설작성자 : KangCorm]
68.
분석장비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3월)
1.
A, B, D
2.
A, C, D
3.
B, C, D
4.
A, B, C
정답 : [
3
] 정답률 : 44%
69.
정밀도와 정확도를 표현하는 방법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21년 05월)
1.
정밀도 : 중앙값, 정확도 : 회수율
2.
정밀도 : 중앙값, 정확도 : 변동계수
3.
정밀도 : 상대표준편차, 정확도 : 변동계수
4.
정밀도 : 상대표준편차, 정확도 : 회수율
정답 : [
4
] 정답률 : 65%
70.
다음은 검출 한계를 특정하는 여러 방법 중 한 가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된 것은?(2021년 09월)
1.
잔차 - y절편
2.
기울기 - y절편
3.
상관계수 - 잔차
4.
기울기 – 상관계수
정답 : [
1
] 정답률 : 52%
71.
Na+을 포함하는 미지시료를 AES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 4.00mV이고, 미지시료 95.0mL에 2.00M NaCl 표준용액 5.00mL를 첨가한 후 측정하였더니, 8.00mV였을 때, 미지시료 중에 함유된 Na+의 농도(M)는?(2021년 09월)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상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생략할 수 있는 품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대한민국약전에 실려 있는 품목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3.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품목과 주성분의 함량은 동일하나 제형만 다른 품목
4.
원개발사의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자료, 시험방법 이전을 받았음을 증빙하는 자료 및 제조원의 실험실과의 비교시험 자료가 있는 품목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제 4조 3항
라. 다음 사항의 경우 별표 13의 적격성 평가 및 밸리데이션에 따른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생략할 수 있다.
1) 대한민국약전에 실려 있는 품목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공정서 및 의약품집에 실려 있는 품목 3)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4)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품목과 제형 및 시험방법은 동일하나 주성분의 함량만 다른 품목 5) 원개발사의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자료, 시험방법 이전을 받았음을 증빙하는 자료 및 제조원의 실험실과의 비교시험 자료가 있는 품목 [해설작성자 : log2]
73.
특정 화합물의 분석 시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6회 반복하여 측정한 값이 아래와 같을 때, 상대 표준편차(%)는?(2020년 08월)
1.
1.71
2.
1.83
3.
1.87
4.
1.90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상대표준편차 = (표준편차/평균)x100 [해설작성자 : 3일천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표준편차를 구할 때는 n이 아니라 n-1로 나눠줘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이화학 분석에 관현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험에 필요한 유리기구를 세척, 건조해야 하며, 이 때 이전에 사용한 시약 또는 분석대상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분석이 완료된 후 철저히 세척해야 한다.
2.
분석결과의 통계처리는 일반적으로 평균, 표준편차 및 상대표준편차가 많이 이용된다.
3.
정확성은 측정값이 참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4.
정밀성은 데이터의 입출력과 흐름을 추적하고 조작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75.
시험법 밸리데이션 과정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방법 검증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1년 09월)
1.
A, B, C, D, E
2.
A, C, D, E
3.
A, B, C, D
4.
A, B, C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제가 알기로는.. 시험법 밸리데이션에 안정성은 포함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검증항목: 검출한계, 정량한계, 선택성, 정밀성(반복성, 실험실내/실험실간), 정확성, 범위, 직선성, 완건성(?) 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답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오류신고 반론] 안전성은 포함되지 않고, 안정성은 포함 [해설작성자 : 호랑이]
76.
분석장비의 소모품으로 탐침(probe)이 필요한 장비는?(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1년 03월)
1.
NMR
2.
AA
3.
EM
4.
XPS
정답 : [
3
] 정답률 : 77%
77.
시험·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장비 : 시험검사를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하드웨어
2.
측정불확도 : 측정량에 귀속된 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정결과와 관련된 값으로써 측정결과를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
3.
인증표준물질 : 국가 또는 공인된 기관이 발행한 문서가 있으며 유효한 절차에 의하여 추정된 불확도와 소급성 정보 등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가지는 표준물질
4.
표준균주 : 특정 미생물 항목의 시험, 검사를 수행할 때 검출된 미생물에 대한 생화학적 특성의 비교대상이 되는 균주 또는 생화학적 시험, 검사에 필요한 균주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장비 : 시험,검사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분석(측정) 장비, 소프트웨어, 측정표준 등과 그 집합 즉, 소프트웨어 포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아스피린 알약의 순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일련의 바탕용약 흡광도를 측정한 값으로부터 표준편차 0.0048과 아스피린 표준용액의 흡광도로부터 얻은 검정곡선의 기울기가 0.12 흡광도단위/ppm 이였을 때, 검출한계(ppm)는?(2022년 04월)
1.
0.132
2.
0.0412
3.
0.151
4.
0.500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검출한계 = (3.3×표준편차)÷기울기 [해설작성자 : 스펙업]
79.
제작자의 규격, 교정성적서 혹은 다른 출처로부터 인용되고 인용된 불확도가 표준편차의 특정 배수라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면 표준불확도 U(x)는 인용된 값을 그 배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명목상 1kg 스테인리스강 표준분동의 성적서에 질량과 불확도가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을 때, 표준 분동의 표준불확도(μg)는?(2022년 03월)
1.
0.8
2.
1.37
3.
130
4.
260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표준불확도 U(x)는 인용된 값을 그 배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불확도가 260(2시그마수준) 260/2 = 130 [해설작성자 : 만거]
80.
유효숫자 표기 방법에 의한 계산 결과 값이 유효숫자 2자리인 것은?(2020년 06월)
1.
(7.6-0.34)÷1.95
2.
(1.05×104)×(9.92×106)
3.
850000-(9.0×105)
4.
83.25×102+1.35×102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유효숫자 2개 2. 유효숫자 3개 3. 유효숫자 1개 4. 유효숫자 4개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도 유효숫자 두개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진짜 모르겠음]
[오류신고 반론] 3번은 13 - 11일 때 2이면 유효숫자가 1개로 줄어드는 것처럼 (8.5-9.0)*10^5이라 0.5로 줄어서 유효숫자가 1이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ㅁㄴㅇ]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3개입니다. 8.46*10^3 덧셈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가장 적은 유효숫자로 제한합니다. [해설작성자 : 태미원]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4개가 맞습니다. 8.460*10^3으로, 불확도가 여전히 소숫점 셋째자리에 머무르므로 해당 자리수까지 유효슷자를 가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도파마이드]
81.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단시간노출기준(STEL)은 15분간의 시간가중평균노출값으로서 근로자가 STEL이하로 유해인자에 노출되기 위해선 1회 노출 지속시간이 15분 미만이어야 하고, 1일 4회 이하로 발생해야하며, 각 노출의 간격은 60분 이하이어야 한다.
2.
최고노출기준(C)은 근로자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하며, 노출기준 앞에 C를 붙여 표시 한다.
3.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 인자의 측정치에 발생 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4.
특정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이 규정되지 않았을 경우 ACGIH의 TLVs를 준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STEL(단시간 노출 기준)은 근로자가 1회에 15분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경우의 기준으로 이 기준 이하에서는 1회 노출 간격이 1시간 이상인 경우에 1일 작업 시간 동안 4회까지 노출이 허용될 수 있는 기준을 말한다. 2. TWA(시간 가중 평균 노출 기준)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 인자의 측정치에 발생 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3. C(최고 노출 기준)은 근로자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하며, 노출 기준 앞에 'C'를 붙여 표시한다. 4. 노출 기준이 규정되지 아니한 유해 인자의 노출 기준은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회(ACGIH,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에서 매년 채택하는 노출 기준(TLVs)를 준용한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
82.
다음의 유해화학물질의 건강유해성의 표시 그림문자가 나타내지 않는 사항은?(2020년 09월)
1.
호흡기 과민성
2.
발암성
3.
생식독성
4.
급성독성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급성독성은 해골 그림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이네..?]
83.
비누화 반응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에스테르 결합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끊을 수 있다.
2.
비누화 반응의 생성물은 글리세롤과 세 개의 지방산 나트륨의 염이다.
3.
비누화 반응의 생성물인 비누는 극성인 머리와 무극성의 긴 꼬리로 구성되어 있다.
4.
비누화 반응으로 얻은 비누 분자의 머리 부분에 기름이 들러붙어 제거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비누 분자 머리 : 친수성 비누 분자 꼬리 : 친유성 [해설작성자 : 한번에 통과ㄱ]
84.
고압가스 용기 색상 중 수소 가스를 나타내는 것은?(2021년 03월)
1.
녹색
2.
백색
3.
황색
4.
주황색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업용가스용기의 색상 녹색 - 산소 백삭 - 암모니아 황색 - 아세틸렌 주황색 - 수소 [해설작성자 : 까칠고기]
85.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상 제1류 위험물과 가장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위험물은?(2020년 06월)
급성독성 물질 - 입이나 피부를 통해 1회 또는 12시간 내에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6시간 동안 흡입 노출되었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2.
눈 자극성 물질 - 눈 앞쪽 표면에 접촉시켰을 때 21일 이내에 완전히 회복 가능한 어떤 변화를 눈에 일으키는 물질
3.
발암성 물질 - 암을 일으키거나 암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물질
4.
생식독성 물질 – 생식 기능, 생식 능력 또는 태아 발육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급성독성 물질"은 입이나 피부를 통하여 1회 또는 24시간 이내에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4시간 동안 흡입노출시켰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하며, 입이나 피부를 통한 투여 또는 흡입 노출에 대해 각각 4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한다. [해설작성자 : 천포기]
소음기준은 1일 동안 노출시간이 길어지거나 노출회수가 많아질수록 소음강도수준(dB(A))은 커진다.
2.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한다.
3.
단시간 노출 기준(STEL)의 단시간이란 1회에 15분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4.
최고 노출 기준(C)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소음 기준은 1일 동안 노출시간이 길어지거나 노출회수가 많아질수록 소음강도수준(dB(A))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정신체리!]
94.
소화기의 장·단점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4.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ㄴ.CO2 소화기는 약제 잔여물이 없지만 소화효율이 별로 좋지 않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가어케아누]
95.
화학물질의 분류ㆍ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시 혼합물의 유해성ㆍ위험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단, ATE는 급성독성추정값, C는 농도를 의미한다.)(2020년 06월)
1.
혼합물 전체로서 시험된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그 시험결과에 따라 단일물질의 분류기준을 적용한다.
2.
혼합물 전체로서 시험된 자료는 없지만, 유사 혼합물의 분류자료 등을 통하여 혼합물 전체로서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희석값을 대푯값으로 하여 적용ㆍ분류한다.
3.
혼합물 전체로서 유해성을 평가할 자료는 없지만, 구성성분의 유해성 평가자료가 있는 경우의 급성독성 추정값 공식은 개별 성분의 농도/급성독성추정값의 조화평균이다.
4.
혼합물 전체로서 유해성을 평가할 자료는 없지만, 구성성분의 90% 미만 성분의 유해성 평가자료가 있거나 추정 가능할 경우의 급성독성 추적 값 공식은 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9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안전보건표지의 형태 및 색체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금지표지: 바탕-흰색, 기본모형-빨간색, 부호 및 그림-검은색
2.
경고표지: 바탕-노란색, 기본모형-검정색, 부호 및 그림-검정색
3.
지시표시: 바탕-흰색, 부호 및 그림-녹색 또는 바탕-녹색, 부호 및 그림-흰색
4.
안내표시: 바탕-파란색, 기본모형-흰색, 부호 및 그림-흰색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도 된다고 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경고표지를 검색했을 때 두 종류의 경고표지를 볼 수 있습니다. 2번 선택지에 묘사된 경고표지도 경고표지가 맞습니다. 다만, 문제에는 연구실이라고 명시되어 있고 2번에 묘사된 경고표지는 연구실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쓰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2번은 틀린 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칸쵸]
[오류신고 반론] 2번은 바탕색 흰색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귤이]
[오류신고 반론] 경고표지는 2번 선지와 같지만 추가로 이놔성, 산화성, 폭발성 등등의 물질일 땐, 바탕 무색, 기본모형 빨간색(검정도) 가능하기에 틀림 [해설작성자 : 5일천하]
97.
대기오염방지시설 중 오염물질이 통과하는 관로(덕트)에 1.225 kg/m3의 밀도를 갖는 공기가 20m/s 의 속도로 통과할 때 동압(mmH2O)은?(2020년 09월)
1.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찾는다 → 10개의 탄소사슬이 가장 긺(이 그림에서는 ㄴ자 모양이네요) → 10개의 탄소는 데케인(Decane)
2.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제외하고 치환기가 붙어있는 자리와 종류를 본다! (이그림을 기준으로는 1) 우측에서부터 탄소에 번호를 세었을 때 : 7번 에틸 + 4,2,2 메틸 2) 좌측에서부터 탄소에 번호를 세었을 때 : 4번 에틸 + 7,9,9 메틸 치환기 번호가 작은 것이 우선적으로 와야하기에 !!!!7번 에틸,4,2,2 메틸!!) ======= ====== 3. 메틸 3개는 트리메틸이므로
문제가 좋은 문제라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1.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실제 그래프 예시를 찾아서 확인해봤는데, 사용하는 염기의 종류가 같으면 거의/아예 차이가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농도를 약산에 맞춰서 올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러면 적정 이후 pH가 더 높은 수치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이 경우로 추정됩니다. 2. 당량점에서는. 약산의 짝염기 가수분해 결과 및 약산이 완전히 해리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pH가 7보다 높다. 3. 2번과 유사한 맥락인데, 강산에 가까울수록 짝염기의 가수분해가 줄고, 약산이 더 잘 해리되므로, 변화 폭은 커집니다. ( 해리가 잘 되니깐 pH 7 부근에서 버티고 있는 약산의 양이 적음, 결국 당량점 부근에서 pH가 잘 변한다. ) 4. 우리가 알고 싶은 건 정확한 약산의 양. 그런데 해리상수가 작으면 약산이 완전히 해리되기 어렵습니다. 해리가 안되면 적정으로 확인이 안 됩니다. 즉, 반응이 완전히 종결되지 않습니다.(완결되지 못 한다.) [해설작성자 : Rivolo]
<문제 해설> 반응 후에 A-만 존재하기 때문에 화학식은 A- + H20 -> HA + OH-이다. HA 초기 부피를 1V라고 두면 KOH부피는 2V가 된다.(몰농도가 2배이므로 부피도 2배. MV = M'V'생각하자.) 따라서 총 용액부피는 3V이다. [OH-] = x로 두고 식을 세우면, Kb = 1.0 x 10^-14 / 1.48 x 10^-4 = x^2 / (0.10 / 3) - X이다. [OH-] = x = 1.5007 x 10^-6이다. pH = 8.1763이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MV = M'V'는 0.1 x 1 = 0.05 x 2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35.
원자 분광법에서 이온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2021년 09월)
1.
불꽃 온도를 내리고 압력을 올린다.
2.
불꽃 온도를 올리고 압력도 올린다.
3.
불꽃 온도를 내리고 압력도 내린다.
4.
불꽃 온도를 올리고 압력을 내린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온도를 올리면 원자끼리 붙어있기 더워서 이온화가 잘 일어나며 압력을 올리면 공간이 좁아져서 이온화가 일어나지 않고 붙어있다 생각하면 편해용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36.
Ag 및 Cd와 관련된 반쪽 반응식과 표준 환원 전위가 아래와 같을 때, 25℃에서 다음 전지의 전위(V)는?(2021년 09월)
원자흡수분광기의 불꽃 원자화기에 공급하는 공기-아세틸렌 가스를 아산화질소-아세틸렌 가스로 대체하는 주된 목적은?(2021년 05월)
1.
불꽃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2.
불꽃의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
3.
가스 연료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4.
시료의 분무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기 - 아세틸렌 가스의 최대 온도는 2300'c 아산화질소 - 아세틸렌 가스의 최대 온도는 2900'c 이다. [해설작성자 : KangCorn]
38.
온도가 증가할 때, 아래 두 반응의 평형상수 변화는?(2021년 09월)
1.
(a), (b) 모두 증가
2.
(a), (b) 모두 감소
3.
(a) 증가, (b) 감소
4.
(a) 감소, (b)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외부 T 가 증가하면 평형 T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a)는 발열 반응이므로 온도를 감소시키려면 역반응이 진행되어야 하며 평형 상수가 감소함 (b)는 흡열 반응이므로 온도를 감소시키려면 정반응이 진행되어야 하며 평형 상수가 증가함 [해설작성자 : KangCorn]
39.
갈바니(혹은 불타) 전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극에서 환원이 일어난다.
2.
(-)극에서 산화가 일어난다.
3.
일회용 건전지는 갈바니 전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4.
산화-환원 반응을 통한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꾼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갈바니 전지 자발적안 화학 반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환원 : (+)극 산화 : (-)극 전자의 이동 : (-)극 -> (+)극 전류의 아동 : (+)극 -> (-)극 염다리 : 이온의 이동으로 전하의 축적을 상쇄하여 전기적 중성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IU 5th album LILAC 3.25]
40.
CaCO3(s) ⇆ CaO(s) + CO2(g)반응에서 평형에 영향을 주는 인자만을 고른 것은?(2021년 05월)
1.
CaO의 농도, 반응온도
2.
CO2의 농도, 반응온도
3.
CO2의 압력, CaO의 농도
4.
CaCO3의 농도, CaO의 농도
정답 : [
2
] 정답률 : 65%
3과목 : 화학물질 구조분석
41.
온도 변화에 따른 시료의 무게 감량을 측정하는 분석법은?(2021년 09월)
1.
FT-IR
2.
TGA
3.
GPC
4.
GC/MS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FT-IR 적외선 분광법 TGA : 질량 변화 측정 GPC : 용매의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크로마토 그래피 GC/MS :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질량 분석
+ DTA 온도 변화 측정 DSC 에너지 변화 측정 [해설작성자 : KangCorn]
42.
전압-전류법의 전압-전류 곡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용액의 밀도
2.
정량 및 정성 분석
3.
전극 반응의 가역성
4.
금속 착물의 안정도 상수 및 배위수
정답 : [
1
] 정답률 : 56%
43.
조절환원전극 전기분해장치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위는?(2020년 06월)
1.
전지 전위
2.
산화전극 전위
3.
환원전극 전위
4.
염다리 접촉전위
정답 : [
3
] 정답률 : 43%
44.
폭이 매우 좁은 KBr셀 만을 적외선 분광기에 걸고 적외선 스펙트럼을 얻었다. 시료가 없기 때문에 적외선 흡수 밴드는 보이지 않고, 그림과 같이 파도 모양의 간섭파를 스펙트럼에 얻었다. 이 셀의 폭(mm)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질량분석기에서 분석을 위해서는 분석물이 이온화되어야 한다. 이온화 방법은 분석물의 화학결합이 끊어지는 Hard Ionization 방법과 화학결합이 그대로 있는 Soft Ionization 방법이 있다. 다음 중 가장 Hard Ionization에 가까운 것은?(2020년 09월)
1.
전자 충돌 이온화(Electron Impact Ionization)
2.
전기 분무 이온화(ESI, Electrospray Ionization)
3.
메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MALDI,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4.
화학 이온화(CI, Chemical Ionization)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Hard ion- 전자충격이온화방법 SOFT ION- 화학적 이온화 방법, 탈착이온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백금(Pt) 전극을 써서 수소 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량 적정법으로 염기 수용액을 정량할 때 전해 용역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22년 04월)
분석 시료와 시료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연결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2년 04월)
1.
잉크나 엽록소 – 얇은 층 크로마토그래피(TLC)
2.
무기 전해질 염 - 종이 크로마토그래피(PC)
3.
유기약산의 염 –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4.
단백질이나 녹말 –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EC)
정답 : [
1
] 정답률 : 61%
49.
전기량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전기량의 단위로 F(Faraday)가 사용되는데 1F는 96485 C/mole e-로 되는데 1C는 1V×1A 이다.
2.
전기량법 적정은 전해전지를 구성한 분석용액에 뷰렛으로부터 표준용액을 가하면서 전류의 변화를 읽어서 종말점을 구한다.
3.
조절-전위 전기량법을 위한 전지는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 및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구성되는데 기준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의 전위를 조정한다.
4.
구리의 전기분해 전지에서 전위를 일정하게 놓고 전기분해를 하면 시간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는데 이는 구리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고 환원전극 농도 편극의 증가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1C = 1A * 1s 2. 전기량법은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후 종말점까지 소요된 전기량을 측정하는 거쥬 3. 상대 전극과 작업 전극 사이의 전위입니다
4. 소거법으로 정답.
e- -> ┌─│l│l ─┐ 불순물+Cu │ │ Cu ~~~~~~~~~~~~~~~~~~~ Cu2+ Cu에서 2e- 가 나오면서 이온화, 2e-를 받고 Cu2+가 석출 반복하면 Cu 이온의 농도는 변하지 않음. 다만 불순물이 이온화하여 불순물 이온이 생기고, 여기서 나온 전자를 받아 Cu 이온이 석출되면 구리 이온의 농도는 줄어들게 되는데 이 내용을 가정으로 해야 4번이 맞음 [해설작성자 : KangCorn]
50.
시료물질과 기준물질을 조절된 온도프로그램으로 가열하면서 이 두 물질에 흘러 들어간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열량분석법은?(2021년 03월)
1.
시차주사열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rtyl DSC)
2.
열무게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3.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4.
직접주사엔탈피법(Direct-Injection Enthalpimetry; DIE)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시차주사열량법은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시차열분석법은 온도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51.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초임계유체 크로마토그래피(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2.
결합 역상 크로마토그래피(bonded reversed-phase chromatography)
3.
분자 배제 크로마토그래피(molecular exclusion chromatography)
4.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는 GC 와 HPLC의 장점을 결합시킨 방법으로, GC와 HPLC로 분리되지 않는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법]
52.
분자질량분석법에서 분자량이 83인 C6H11+의 분자량 M에 대한 M+1 봉우리 높이 비는? (단, 가장 많은 동위 원소에 대한 상대 존재 백분율은 2H : 0.015, 13C : 1.08 이다.)(2021년 03월)
1.
(M+1)/M = 6.65%
2.
(M+1)/M = 5.55%
3.
(M+1)/M = 4.09%
4.
(M+1)/M = 3.36%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분자량 M+1인 경우: C 1개가 13C 또는 H 1개가 2H
C 1개가 13C: 6C1 * 0.0108 = 0.0648 H 1개가 2H: 11C1 * 0.00015 = 0.00165
M+1: 0.0648 + 0.00165 = 0.06645
따라서, (M+1)/M = 0.06645 = 6.645%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53.
원자 및 분자 질량(atomic & molecular ma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원소들의 원자 질량은 탄소-12의 질량을 12 amu 또는 Dalton으로 놓고 그것에 대한 상대 질량을 의미한다.
2.
원자량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존재비와 질량으로 해서 평균한 질량을 말한다.
3.
화학식량은 자연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대표적인 동위원소의 질량을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합으로 나타낸 것이다.
4.
동위원소는 원자번호는 같으나 질량이 다른 원소를 의미하며 화학적 성질은 같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원자량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평균원자량이다. 화학식량은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원자량의 합을 나타내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Ibk]
54.
질량분석법에서 시료의 이온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전기장으로 가속시킨 전자 또는 음으로 하전된 이온을 시료 분자에 충격하면 시료 분자의 양이온을 얻을 수 있다. 2가로 하전된 이온(질량 3.32×10-23kg)을 104V의 전기장으로 가속시켜 시료분자에 충격하려 할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전자의 전하는 1.6×10-19C이다.)(2020년 08월)
1.
이 이온의 운동에너지는 3.2×10-15J이다.
2.
이 이온의 속도는 1.39×104m/sec이다.
3.
질량이 6.64×10-23kg인 이온을 이용하면 운동에너지는 2배가 된다.
4.
같은 양의 운동에너지를 갖는다면 가장 큰 질량을 가진 이온이 가장 느린 속도를 갖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KE=zeV이로서 운동에너지는 질량에 영향을 받지않는다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오류인것 같아요 (KE=zeV=1/2x질량x속도의 제곱) 이여서 질량에 영향을 받는 것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지니]
Ag2SO3 + 2e- ⇄ 2Ag + SO32- 반쪽반응의 표준환원전위에 가장 가까운 값(V)은? (단, Ag2SO3의 용해도곱 상수는 1.5×10-14이고, 은 이온이 은 금속으로 환원되는 표준 환원전위는 +0.799V 이다.)(2021년 03월)
1.
-0.019
2.
+0.39
3.
+0.80
4.
+1.21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E=E0 + 0.05916/n log Ksp E = 0.799 + 0.05916 / 2 log(1.5 x 10^-14) E = 0.39 [해설작성자 : 경뚱]
보통 네른스트식 하면 E=E0-0.05916/n log Q로 많이 외우시는데 이때 Q는 환원/산화 Ksp는 Ag2+가 전자를 얻는 환원 반응이므로 산화/환원 역수를 취해주거나 위에 선생님처럼 +0.05916/n log Q로 해주거나 이거까지 적어주셨으면 완벽하셨을 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Rivolo]
56.
열분석은 물질의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기술이다. 열분석 종류와 측정방법을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2020년 08월)
1.
시차주사열량법(DSC) - 열과 전이 및 반응온도
2.
시차열분석(DTA) - 전이와 반응온도
3.
열중량분석(TGA) - 크기와 점도의 변화
4.
방출기체분석(EGA) - 열적으로 유도된 기체생성물의 양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GA는 온도 변화에 따른 질량 변화를 확인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57.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TLC)의 일반적인 용도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혼합물 중에 포함된 성분의 수를 결정
2.
화학반응 중에 생성되는 중간체 확인
3.
혼합물의 화학결합 존재여부 확인
4.
화합물의 순도 확인
정답 : [
3
] 정답률 : 46%
58.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C2H4+(m=28.0313)과 CH2N+(m=27.9949)이온을 분리 하려면 분리능이 얼마나 되어야 하는가?(2020년 06월)
밸리데이션 통계적 처리를 위해 평균, 표준편차, 상대표준편차, 퍼센트 상대표준편차, 변동계수 등의 계산이 요구된다. 이때 통계처리를 위한 반복 측정횟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3가지 종류의 농도에 대해서 각각 2회 측정
2.
시험방법 전체 조작을 10회 반복 측정
3.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각각 6회 반복 측정
4.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각각 10회 반복 측정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가지 종류의 농도에 대해 각각 3회 측정 (총 적어도 9회 측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하여 투과율을 8회 반복 측정한 결과와 T-table을 활용하여, 이 실험의 측정 신뢰도가 95%일 때 우연불확도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64.
시료를 반복 측정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 대한 90% 신뢰구간을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One side Student의 t값은 90% 신뢰구간 : 1.533, 95% 신뢰구간 : 2.132 이다.)(2020년 08월)
1.
12.5 ± 0.04
2.
12.5 ± 0.4
3.
12.5 ± 0.02
4.
12.5 ± 0.2
정답 : [
2
] 정답률 : 49%
65.
시료분석 시의 정도관리 요소 중 바탕값(black)의 종류와 내용이 옳게 연결된 것은?(2020년 09월)
1.
현장바탕시료(field black sample)는 시료채취 과정에서 시료와 동일한 채취과정의 조작을 수행하는 시료를 말한다.
2.
운송바탕시료(trip balck sample)는 시험 수행과정에서 사용하는 시약과 정제수의 오염과 실험절차의 오염,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 사용한다.
3.
정제수 바탕시료(reagent black sample)는 시료채취과정의 오염과 채취용기의 오염 등 현장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4.
시험바탕시료(method blanks)는 시약 조제, 시료 희석, 세척 등에 사용하는 시료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운송바탕시료: 운송 중 용기로부터 오염되는 것 확인 3. 정제수 바탕시료: 실험절차, 시약 및 측정 장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 확인 4. 시험바탕시료: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시료 [해설작성자 : 화분기홧팅]
66.
분석방법의 유효성평가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3월)
1.
A, B, C, D, E
2.
A, B, C, D
3.
A, B, D, E
4.
A, B, E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C : 측정횟수를 늘려 분석 -> 정밀성 [해설작성자 : 최수빈살려 ]
67.
정량 분석법 중 간접 측정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무게법 : 분석물과 혹은 분석물과 관련 있는 화합물의 질량을 측정한다.
2.
부피법 : 분석물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반응물 용액의 부피를 측정한다.
3.
전기분석법 : 전위, 전류, 저항, 전하량, 질량 대 전하의 비(m/z)를 측정한다.
4.
분광법 : 분석물과 빛 사이의 상호 작용 또는 분석물이 방출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질량 대 전하의 비 m/z 는 질량분석 MS [해설작성자 : KangCorm]
68.
분석장비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3월)
1.
A, B, D
2.
A, C, D
3.
B, C, D
4.
A, B, C
정답 : [
3
] 정답률 : 44%
69.
정밀도와 정확도를 표현하는 방법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21년 05월)
1.
정밀도 : 중앙값, 정확도 : 회수율
2.
정밀도 : 중앙값, 정확도 : 변동계수
3.
정밀도 : 상대표준편차, 정확도 : 변동계수
4.
정밀도 : 상대표준편차, 정확도 : 회수율
정답 : [
4
] 정답률 : 65%
70.
다음은 검출 한계를 특정하는 여러 방법 중 한 가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된 것은?(2021년 09월)
1.
잔차 - y절편
2.
기울기 - y절편
3.
상관계수 - 잔차
4.
기울기 – 상관계수
정답 : [
1
] 정답률 : 52%
71.
Na+을 포함하는 미지시료를 AES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 4.00mV이고, 미지시료 95.0mL에 2.00M NaCl 표준용액 5.00mL를 첨가한 후 측정하였더니, 8.00mV였을 때, 미지시료 중에 함유된 Na+의 농도(M)는?(2021년 09월)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상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생략할 수 있는 품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대한민국약전에 실려 있는 품목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3.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품목과 주성분의 함량은 동일하나 제형만 다른 품목
4.
원개발사의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자료, 시험방법 이전을 받았음을 증빙하는 자료 및 제조원의 실험실과의 비교시험 자료가 있는 품목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제 4조 3항
라. 다음 사항의 경우 별표 13의 적격성 평가 및 밸리데이션에 따른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생략할 수 있다.
1) 대한민국약전에 실려 있는 품목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공정서 및 의약품집에 실려 있는 품목 3)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4)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품목과 제형 및 시험방법은 동일하나 주성분의 함량만 다른 품목 5) 원개발사의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자료, 시험방법 이전을 받았음을 증빙하는 자료 및 제조원의 실험실과의 비교시험 자료가 있는 품목 [해설작성자 : log2]
73.
특정 화합물의 분석 시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6회 반복하여 측정한 값이 아래와 같을 때, 상대 표준편차(%)는?(2020년 08월)
1.
1.71
2.
1.83
3.
1.87
4.
1.90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상대표준편차 = (표준편차/평균)x100 [해설작성자 : 3일천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표준편차를 구할 때는 n이 아니라 n-1로 나눠줘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이화학 분석에 관현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험에 필요한 유리기구를 세척, 건조해야 하며, 이 때 이전에 사용한 시약 또는 분석대상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분석이 완료된 후 철저히 세척해야 한다.
2.
분석결과의 통계처리는 일반적으로 평균, 표준편차 및 상대표준편차가 많이 이용된다.
3.
정확성은 측정값이 참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4.
정밀성은 데이터의 입출력과 흐름을 추적하고 조작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75.
시험법 밸리데이션 과정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방법 검증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1년 09월)
1.
A, B, C, D, E
2.
A, C, D, E
3.
A, B, C, D
4.
A, B, C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제가 알기로는.. 시험법 밸리데이션에 안정성은 포함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검증항목: 검출한계, 정량한계, 선택성, 정밀성(반복성, 실험실내/실험실간), 정확성, 범위, 직선성, 완건성(?) 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답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오류신고 반론] 안전성은 포함되지 않고, 안정성은 포함 [해설작성자 : 호랑이]
76.
분석장비의 소모품으로 탐침(probe)이 필요한 장비는?(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1년 03월)
1.
NMR
2.
AA
3.
EM
4.
XPS
정답 : [
3
] 정답률 : 77%
77.
시험·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장비 : 시험검사를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하드웨어
2.
측정불확도 : 측정량에 귀속된 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정결과와 관련된 값으로써 측정결과를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
3.
인증표준물질 : 국가 또는 공인된 기관이 발행한 문서가 있으며 유효한 절차에 의하여 추정된 불확도와 소급성 정보 등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가지는 표준물질
4.
표준균주 : 특정 미생물 항목의 시험, 검사를 수행할 때 검출된 미생물에 대한 생화학적 특성의 비교대상이 되는 균주 또는 생화학적 시험, 검사에 필요한 균주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장비 : 시험,검사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분석(측정) 장비, 소프트웨어, 측정표준 등과 그 집합 즉, 소프트웨어 포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아스피린 알약의 순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일련의 바탕용약 흡광도를 측정한 값으로부터 표준편차 0.0048과 아스피린 표준용액의 흡광도로부터 얻은 검정곡선의 기울기가 0.12 흡광도단위/ppm 이였을 때, 검출한계(ppm)는?(2022년 04월)
1.
0.132
2.
0.0412
3.
0.151
4.
0.500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검출한계 = (3.3×표준편차)÷기울기 [해설작성자 : 스펙업]
79.
제작자의 규격, 교정성적서 혹은 다른 출처로부터 인용되고 인용된 불확도가 표준편차의 특정 배수라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면 표준불확도 U(x)는 인용된 값을 그 배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명목상 1kg 스테인리스강 표준분동의 성적서에 질량과 불확도가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을 때, 표준 분동의 표준불확도(μg)는?(2022년 03월)
1.
0.8
2.
1.37
3.
130
4.
260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표준불확도 U(x)는 인용된 값을 그 배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불확도가 260(2시그마수준) 260/2 = 130 [해설작성자 : 만거]
80.
유효숫자 표기 방법에 의한 계산 결과 값이 유효숫자 2자리인 것은?(2020년 06월)
1.
(7.6-0.34)÷1.95
2.
(1.05×104)×(9.92×106)
3.
850000-(9.0×105)
4.
83.25×102+1.35×102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유효숫자 2개 2. 유효숫자 3개 3. 유효숫자 1개 4. 유효숫자 4개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도 유효숫자 두개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진짜 모르겠음]
[오류신고 반론] 3번은 13 - 11일 때 2이면 유효숫자가 1개로 줄어드는 것처럼 (8.5-9.0)*10^5이라 0.5로 줄어서 유효숫자가 1이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ㅁㄴㅇ]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3개입니다. 8.46*10^3 덧셈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가장 적은 유효숫자로 제한합니다. [해설작성자 : 태미원]
[오류신고 반론] 4번 유효숫자는 4개가 맞습니다. 8.460*10^3으로, 불확도가 여전히 소숫점 셋째자리에 머무르므로 해당 자리수까지 유효슷자를 가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도파마이드]
81.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단시간노출기준(STEL)은 15분간의 시간가중평균노출값으로서 근로자가 STEL이하로 유해인자에 노출되기 위해선 1회 노출 지속시간이 15분 미만이어야 하고, 1일 4회 이하로 발생해야하며, 각 노출의 간격은 60분 이하이어야 한다.
2.
최고노출기준(C)은 근로자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하며, 노출기준 앞에 C를 붙여 표시 한다.
3.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 인자의 측정치에 발생 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4.
특정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이 규정되지 않았을 경우 ACGIH의 TLVs를 준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STEL(단시간 노출 기준)은 근로자가 1회에 15분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경우의 기준으로 이 기준 이하에서는 1회 노출 간격이 1시간 이상인 경우에 1일 작업 시간 동안 4회까지 노출이 허용될 수 있는 기준을 말한다. 2. TWA(시간 가중 평균 노출 기준)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 인자의 측정치에 발생 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3. C(최고 노출 기준)은 근로자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하며, 노출 기준 앞에 'C'를 붙여 표시한다. 4. 노출 기준이 규정되지 아니한 유해 인자의 노출 기준은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회(ACGIH,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에서 매년 채택하는 노출 기준(TLVs)를 준용한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
82.
다음의 유해화학물질의 건강유해성의 표시 그림문자가 나타내지 않는 사항은?(2020년 09월)
1.
호흡기 과민성
2.
발암성
3.
생식독성
4.
급성독성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급성독성은 해골 그림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이네..?]
83.
비누화 반응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에스테르 결합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끊을 수 있다.
2.
비누화 반응의 생성물은 글리세롤과 세 개의 지방산 나트륨의 염이다.
3.
비누화 반응의 생성물인 비누는 극성인 머리와 무극성의 긴 꼬리로 구성되어 있다.
4.
비누화 반응으로 얻은 비누 분자의 머리 부분에 기름이 들러붙어 제거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비누 분자 머리 : 친수성 비누 분자 꼬리 : 친유성 [해설작성자 : 한번에 통과ㄱ]
84.
고압가스 용기 색상 중 수소 가스를 나타내는 것은?(2021년 03월)
1.
녹색
2.
백색
3.
황색
4.
주황색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업용가스용기의 색상 녹색 - 산소 백삭 - 암모니아 황색 - 아세틸렌 주황색 - 수소 [해설작성자 : 까칠고기]
85.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상 제1류 위험물과 가장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위험물은?(2020년 06월)
급성독성 물질 - 입이나 피부를 통해 1회 또는 12시간 내에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6시간 동안 흡입 노출되었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2.
눈 자극성 물질 - 눈 앞쪽 표면에 접촉시켰을 때 21일 이내에 완전히 회복 가능한 어떤 변화를 눈에 일으키는 물질
3.
발암성 물질 - 암을 일으키거나 암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물질
4.
생식독성 물질 – 생식 기능, 생식 능력 또는 태아 발육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급성독성 물질"은 입이나 피부를 통하여 1회 또는 24시간 이내에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4시간 동안 흡입노출시켰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하며, 입이나 피부를 통한 투여 또는 흡입 노출에 대해 각각 4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한다. [해설작성자 : 천포기]
소음기준은 1일 동안 노출시간이 길어지거나 노출회수가 많아질수록 소음강도수준(dB(A))은 커진다.
2.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한다.
3.
단시간 노출 기준(STEL)의 단시간이란 1회에 15분간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4.
최고 노출 기준(C)은 1일 작업 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소음 기준은 1일 동안 노출시간이 길어지거나 노출회수가 많아질수록 소음강도수준(dB(A))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정신체리!]
94.
소화기의 장·단점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4.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ㄴ.CO2 소화기는 약제 잔여물이 없지만 소화효율이 별로 좋지 않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가어케아누]
95.
화학물질의 분류ㆍ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시 혼합물의 유해성ㆍ위험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단, ATE는 급성독성추정값, C는 농도를 의미한다.)(2020년 06월)
1.
혼합물 전체로서 시험된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그 시험결과에 따라 단일물질의 분류기준을 적용한다.
2.
혼합물 전체로서 시험된 자료는 없지만, 유사 혼합물의 분류자료 등을 통하여 혼합물 전체로서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희석값을 대푯값으로 하여 적용ㆍ분류한다.
3.
혼합물 전체로서 유해성을 평가할 자료는 없지만, 구성성분의 유해성 평가자료가 있는 경우의 급성독성 추정값 공식은 개별 성분의 농도/급성독성추정값의 조화평균이다.
4.
혼합물 전체로서 유해성을 평가할 자료는 없지만, 구성성분의 90% 미만 성분의 유해성 평가자료가 있거나 추정 가능할 경우의 급성독성 추적 값 공식은 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9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안전보건표지의 형태 및 색체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금지표지: 바탕-흰색, 기본모형-빨간색, 부호 및 그림-검은색
2.
경고표지: 바탕-노란색, 기본모형-검정색, 부호 및 그림-검정색
3.
지시표시: 바탕-흰색, 부호 및 그림-녹색 또는 바탕-녹색, 부호 및 그림-흰색
4.
안내표시: 바탕-파란색, 기본모형-흰색, 부호 및 그림-흰색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도 된다고 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경고표지를 검색했을 때 두 종류의 경고표지를 볼 수 있습니다. 2번 선택지에 묘사된 경고표지도 경고표지가 맞습니다. 다만, 문제에는 연구실이라고 명시되어 있고 2번에 묘사된 경고표지는 연구실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쓰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2번은 틀린 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칸쵸]
[오류신고 반론] 2번은 바탕색 흰색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귤이]
[오류신고 반론] 경고표지는 2번 선지와 같지만 추가로 이놔성, 산화성, 폭발성 등등의 물질일 땐, 바탕 무색, 기본모형 빨간색(검정도) 가능하기에 틀림 [해설작성자 : 5일천하]
97.
대기오염방지시설 중 오염물질이 통과하는 관로(덕트)에 1.225 kg/m3의 밀도를 갖는 공기가 20m/s 의 속도로 통과할 때 동압(mmH2O)은?(2020년 0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