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19926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물의 산소전달률을 나타내는 다음 식에서 보정계수 β가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총괄산소전달계수
     2. 수중의 용존산소농도
     3. 어느 물과 증류수의 CS비율(표준상태에서 시험)
     4. 어느 물과 증류수의 KLa비율(표준상태에서 시험)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총괄산소전달계수 : Kla
수중의 용존산소농도 : Ct
어느 물과 증류수의 Cs 비율 : b(베타)
어느 물과 증류수의 Kla 비율 : a(알파)
[해설작성자 : 소소]

2. 0.2N/m2의 음압을 음압 레벨로 나타내면 몇 dB인가? (단, P0(기준음압의 실효치)=2×10-55N/m2)(2019년 06월)
     1. 40
     2. 80
     3. 100
     4. 6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음압레벨 = 20log(P/Po)
음의 세기 레벨 = 10log(I/Io)
[해설작성자 : 524]

3.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과 음이온으로 거의 완전히 해리 되는 산은 강산(强酸)에 속한다. 표준상태에서 강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6월)
     1. HF
     2. HI
     3. HNO3
     4. HBr

     정답 : []
     정답률 : 63%

4. 인구 5,000명인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5일마다 적재용량 10m3인 트럭 10대를 동원하여 수거한다면 1인당 1일 쓰레기 배출량(kg)은? (단, 쓰레기의 평균밀도는 100kg/m3 라고 가정한다.)(2018년 06월)
     1. 0.2
     2. 0.4
     3. 2
     4. 4

     정답 : []
     정답률 : 87%

5. 다음 표시된 압력 중 가장 낮은 것은?(2019년 06월)
     1. 1atm
     2. 8mH2O
     3. 700mmHg
     4. 100,000Pa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atm = 10332mmH2O = 10.332mH2O = 760 mmHg = 101325 Pa(N/m2)
[해설작성자 : 524]

6. 생물막을 이용한 처리법 중 접촉산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비교적 소규모 시설에 적합하다.
     2. 미생물량과 영향인자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이 쉽다.
     3. 슬러지 반송이 필요하지 않아 운전이 용이하다.
     4. 고부하에서 운전 시 생물막이 비대화되어 접촉재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접촉산화법의 장단점

장점
- 부착 생물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조작 조건 변경에 대응이 쉬움
- 조내 슬러지 보유량이 크고 생물상이 다양함
- 난분해성 물질, 유해물질에 내생이 높음
- 분해속도가 낮은 기질 제거에 효과적
- 수온 변동에 강함
- 슬러지 반송이 없고 발생량이 적음
- 소규모 시설에 적합하며 유지관리가 용이

단점
- 미생물량과 영향인자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이 어려움
- 반응조 내 매체를 균일하게 포기 교반하는 조건 설정이 어려움
- 사수부 발생 우려, 포기 비용이 약간 높음
- 매체에 생성되는 생물량이 부하조건에 의해 결정됨
- 고부하시 매체 폐쇄 위험이 커서 부하조건에 한계가 있음
- 초기 건설비가 높음
[해설작성자 : 소소]

7. 수질오염의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의 한계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다른 수질오염 지표에 비해 측정에 긴 시간이 필요하다.
     2. 수중에 함유된 유기물 중 생분해성 유기물만 측정이 가능하다.
     3. 미생물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독성물질의 방해가 예상된다.
     4. BOD5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질산화 미생물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8. 바닥 면이 4m×5m이고, 높이가 3m인 방이 있다. 바닥, 벽, 천장의 흡음률이 각각 0.2, 0.4, 0.5일 때 평균흡음률은? (단,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2017년 06월)
     1. 0.17
     2. 0.27
     3. 0.38
     4. 0.48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바닥면적*흡음률+천장면적*흡음률+벽면적*흡음률)/방 전체 면적
[해설작성자 : 집에 가고싶어]

9. 다음은 토양과 지하수의 정화 및 복원기술과 관련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지하수 복원기술로서 양수처리기법은 정화된 물을 지하로 투입하여 지중 내의 오염지하수를 희석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농도를 규제치 이하로 떨어뜨리는 기법을 의미하며 가장 간단하고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기법이다.
     2. 오염토양의 처리기법은 위치에 따라 in-situ와 ex-situ처리법으로 나뉘며 in-situ 처리법으로는 토양증기추출법, 고형화 ㆍ 안정화법, 생물학적 분해법 등이 있고 ex-situ처리법으로는 열탈착법, 토양세척법, 산화 ㆍ 환원법, 토양경작법 등이 있다.
     3. 물리ㆍ 화학적 방법을 통해 독성물질 및 오염물질의 유동성을 떨어뜨리거나 고체구조 내에 가두는 방식의 처리기법을 고형화 ㆍ 안정화법이라고 하며, 중금속이나 방사능물질을 포함하는 무기물질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토양경작법은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지표상에 위치시킨 후 정기적인 뒤집기에 의한 공기공급을 통해 호기성 생분해를 촉진하여 유기오염물질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양수처리기법: 오염된 지하수를 끌어올려 처리하는 방법 / 가장 간단, 보편화 / 지상에서 처리장치 필요
[해설작성자 : 나옹레옹]

10. 청계천의 상류와 하류에서 하천수의 BOD를 측정한 결과 상류 하천수의 BOD는 25mg/L, 하류 하천수의 BOD는 19mg/L이었다. 상류 하천수의 DO가 9mg/L이었고, 하천수가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동안 4mg/L의 재포기가 있었다고 할 때, 하류 하천수의 DO는 얼마인가? (단, 지류에서 유입 ㆍ 유출되는 오염수 또는 하천수는 없다.)(2016년 06월)
     1. 4mg/L
     2. 5mg/L
     3. 6mg/L
     4. 7mg/L

     정답 : []
     정답률 : 82%

11. 다음 중 소음평가를 나타내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AI(Articulation Index, 명료도지수)는 음성레벨과 배경소음레벨의 비율인 신호 대 잡음비에 기본을 두며 AI가 0%이면 완벽한 대화가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2. NC(Noise Criteria)는 도로교통소음과 같이 변동이 심한 소음을 평가하는 척도이다.
     3. PNL(Perceived Noise Level, 감각소음레벨)은 공항주변의 항공기소음을 평가한 방법이다.
     4. SIL(Speech Interference Level, 회화방해레벨)은 도로교통소음을 인간의 반응과 관련시켜 정량적으로 구한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AI(명료도지수) : 0~1사이 값으로 표현되며 1에 가까울수록 음성이 명확하게 전달됨을 의미
2) NC : 소음을 1/1옥타브밴드로 분석한 결과에 의해 실내소음을 평가하는 방법
* 도로교통소음과 같이 변동이 심한 소음을 평가하는 척도는 등가소음도
4) SIL(회화방해레벨) : 명료도지수를 간편화할 목적으로 제한한 회화방해에 관한 척도로 소음을 600~1200, 1200~2400, 2400~4800HHz의 세 밴드로 분석한 음압레벨의 산술평균
[해설작성자 : 524]

12. 혐기성 소화과정은 가수분해, 산 생성, 메탄 생성의 단계로 구분된다. 가수분해 단계에서 주로 생성되는 물질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아미노산
     2. 글루코스
     3. 글리세린
     4. 알데하이드

     정답 : []
     정답률 : 65%

13.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따른 오염물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라돈(Rn;Radon) : 주로 건축자재를 통하여 인체에 영향을 미치며, 화학적으로는 거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흙 속에서 방사선 붕괴를 일으킨다.
     2.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 자극성 냄새를 갖는 무색의 기체이며, 36.0%~38.0% 수용액은 포르말린이라고 한다.
     3. 석면(Asbestos) : 가늘고 긴 강한 섬유상으로 내열성, 불활성, 절연성이 좋고, 발암성은 청석면 > 아모싸이트 > 온석면 순이다.
     4. 휘발성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 가장 독성이 강한 것은 에틸벤젠이며, 다음은 톨루엔, 자일렌순으로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4. 톨루엔: 독성정도 = 톨루엔 > 자일렌 > 에틸벤젠
- 톨.자.에
[해설작성자 : 나옹레옹]

14. 함수율 99%인 하수처리 슬러지를 탈수하여 함수율 70%로 낮추면, 탈수된 슬러지의 최종 부피는 탈수 전의 부피(V0) 대비 얼마로 줄어드는가? (단, 슬러지의 비중은 탈수 전이나 후에도 변함없이 1이라고 가정한다.)(2017년 06월)
     1. 1/5⋅V0
     2. 1/10⋅V0
     3. 1/20⋅V0
     4. 1/30⋅V0

     정답 : []
     정답률 : 92%

15. 수계의 유기물질 총량을 간접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과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6월)
     1. BOD는 혐기성 미생물의 수계 유기물질 분해 활동과 연관된 산소 요구량을 의미하며 BOD5는 5일간 상온에서 시료를 배양했을 때 미생물에 의해 소모된 산소량을 의미한다.
     2. BOD값이 높을수록 수중 유기물질 함량이 높으며, 측정 방법의 특성상 BOD는 언제나 COD보다 높게 측정된다.
     3. BOD는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의 총량 예측에 적합하며, 미생물의 활성을 저해하는 독성물질 존재 시 분해의 방해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4. COD는 시료 중 유기물질을 화학적 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 분해시킨 후 소모된 산화제의 양을 대응산소의 양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값으로, 일반적인 활용 산화제는 염소나 과산화수소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BOD는 호기성 미생물 관련
2) 일반적으로 COD값이 BOD값보다 높음
4) COD 산화제는 보통 과망간산칼륨, 중크롬산칼륨 사용
[해설작성자 : 524]

16.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빛은 대기 중의 입자성 물질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가 많을수록 지구에 도달하는 빛 에너지는 적어지게 된다.
     2. 대기 중 이산화탄소에 의해 지구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의 통과가 방해를 받게 되어 온실효과가 나타난다.
     3. 염소원자들이 성층권에 유입되면 오존층을 분쇄시키는 반응의 촉매작용을 한다.
     4. 성층권에 있는 오존은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을 막아주는 차단막 역할을 하며, 낮은 대기층에서의 오존은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17. 「대기환경보전법」상의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오존
     2. 불소화물
     3. 시안화수소
     4. 디클로로메탄

     정답 : []
     정답률 : 68%

18. 지표수 분석 결과 물 속의 양이 온과 음이온의 농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물 속의 경도를 CaCO3mg/L로 올바르게 나타낸 값은 무엇인가? (단, CaCO3를 구성하는 Ca, C, O의 원자량은 각각 40, 12, 16이다.)(2016년 06월)

    

     1. 75
     2. 150
     3. 300
     4. 450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경도 물질이 Ca2+ 밖에 없으므로 (60mg/L * 2me/(40mg/L)) * (100/2) = 150
[해설작성자 : 소소]

19.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상의 건강상 유해영향무기물질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아연(Zn)
     2. 셀레늄(Se)
     3. 암모니아성 질소(NH3)
     4. 비소(As)

     정답 : []
     정답률 : 75%

20. 토양 내에서 오염물질의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투수계수가 낮은 점토 토양에서 침출이 잘 일어난다.
     2. 토양 공극 내에서 농도구배에 의해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현상을 확산(diffusion)이라고 한다.
     3. 토양 공극의 불균질성으로 인해 물질 이동 경로의 불규칙성과 토양 공극 사이 이동 속도의 차이로 인해 분산(dispersion)이 일어나게 된다.
     4. 양전하를 가진 분자는 음전하를 띤 토양에 흡착되어 이동이 지체된다.

     정답 : []
     정답률 : 90%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19926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물의 산소전달률을 나타내는 다음 식에서 보정계수 β가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총괄산소전달계수
     2. 수중의 용존산소농도
     3. 어느 물과 증류수의 CS비율(표준상태에서 시험)
     4. 어느 물과 증류수의 KLa비율(표준상태에서 시험)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총괄산소전달계수 : Kla
수중의 용존산소농도 : Ct
어느 물과 증류수의 Cs 비율 : b(베타)
어느 물과 증류수의 Kla 비율 : a(알파)
[해설작성자 : 소소]

2. 0.2N/m2의 음압을 음압 레벨로 나타내면 몇 dB인가? (단, P0(기준음압의 실효치)=2×10-55N/m2)(2019년 06월)
     1. 40
     2. 80
     3. 100
     4. 6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음압레벨 = 20log(P/Po)
음의 세기 레벨 = 10log(I/Io)
[해설작성자 : 524]

3.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과 음이온으로 거의 완전히 해리 되는 산은 강산(强酸)에 속한다. 표준상태에서 강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6월)
     1. HF
     2. HI
     3. HNO3
     4. HBr

     정답 : []
     정답률 : 63%

4. 인구 5,000명인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5일마다 적재용량 10m3인 트럭 10대를 동원하여 수거한다면 1인당 1일 쓰레기 배출량(kg)은? (단, 쓰레기의 평균밀도는 100kg/m3 라고 가정한다.)(2018년 06월)
     1. 0.2
     2. 0.4
     3. 2
     4. 4

     정답 : []
     정답률 : 87%

5. 다음 표시된 압력 중 가장 낮은 것은?(2019년 06월)
     1. 1atm
     2. 8mH2O
     3. 700mmHg
     4. 100,000Pa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atm = 10332mmH2O = 10.332mH2O = 760 mmHg = 101325 Pa(N/m2)
[해설작성자 : 524]

6. 생물막을 이용한 처리법 중 접촉산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비교적 소규모 시설에 적합하다.
     2. 미생물량과 영향인자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이 쉽다.
     3. 슬러지 반송이 필요하지 않아 운전이 용이하다.
     4. 고부하에서 운전 시 생물막이 비대화되어 접촉재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접촉산화법의 장단점

장점
- 부착 생물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조작 조건 변경에 대응이 쉬움
- 조내 슬러지 보유량이 크고 생물상이 다양함
- 난분해성 물질, 유해물질에 내생이 높음
- 분해속도가 낮은 기질 제거에 효과적
- 수온 변동에 강함
- 슬러지 반송이 없고 발생량이 적음
- 소규모 시설에 적합하며 유지관리가 용이

단점
- 미생물량과 영향인자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이 어려움
- 반응조 내 매체를 균일하게 포기 교반하는 조건 설정이 어려움
- 사수부 발생 우려, 포기 비용이 약간 높음
- 매체에 생성되는 생물량이 부하조건에 의해 결정됨
- 고부하시 매체 폐쇄 위험이 커서 부하조건에 한계가 있음
- 초기 건설비가 높음
[해설작성자 : 소소]

7. 수질오염의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의 한계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다른 수질오염 지표에 비해 측정에 긴 시간이 필요하다.
     2. 수중에 함유된 유기물 중 생분해성 유기물만 측정이 가능하다.
     3. 미생물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독성물질의 방해가 예상된다.
     4. BOD5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질산화 미생물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8. 바닥 면이 4m×5m이고, 높이가 3m인 방이 있다. 바닥, 벽, 천장의 흡음률이 각각 0.2, 0.4, 0.5일 때 평균흡음률은? (단,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2017년 06월)
     1. 0.17
     2. 0.27
     3. 0.38
     4. 0.48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바닥면적*흡음률+천장면적*흡음률+벽면적*흡음률)/방 전체 면적
[해설작성자 : 집에 가고싶어]

9. 다음은 토양과 지하수의 정화 및 복원기술과 관련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지하수 복원기술로서 양수처리기법은 정화된 물을 지하로 투입하여 지중 내의 오염지하수를 희석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농도를 규제치 이하로 떨어뜨리는 기법을 의미하며 가장 간단하고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기법이다.
     2. 오염토양의 처리기법은 위치에 따라 in-situ와 ex-situ처리법으로 나뉘며 in-situ 처리법으로는 토양증기추출법, 고형화 ㆍ 안정화법, 생물학적 분해법 등이 있고 ex-situ처리법으로는 열탈착법, 토양세척법, 산화 ㆍ 환원법, 토양경작법 등이 있다.
     3. 물리ㆍ 화학적 방법을 통해 독성물질 및 오염물질의 유동성을 떨어뜨리거나 고체구조 내에 가두는 방식의 처리기법을 고형화 ㆍ 안정화법이라고 하며, 중금속이나 방사능물질을 포함하는 무기물질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토양경작법은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지표상에 위치시킨 후 정기적인 뒤집기에 의한 공기공급을 통해 호기성 생분해를 촉진하여 유기오염물질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양수처리기법: 오염된 지하수를 끌어올려 처리하는 방법 / 가장 간단, 보편화 / 지상에서 처리장치 필요
[해설작성자 : 나옹레옹]

10. 청계천의 상류와 하류에서 하천수의 BOD를 측정한 결과 상류 하천수의 BOD는 25mg/L, 하류 하천수의 BOD는 19mg/L이었다. 상류 하천수의 DO가 9mg/L이었고, 하천수가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동안 4mg/L의 재포기가 있었다고 할 때, 하류 하천수의 DO는 얼마인가? (단, 지류에서 유입 ㆍ 유출되는 오염수 또는 하천수는 없다.)(2016년 06월)
     1. 4mg/L
     2. 5mg/L
     3. 6mg/L
     4. 7mg/L

     정답 : []
     정답률 : 82%

11. 다음 중 소음평가를 나타내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AI(Articulation Index, 명료도지수)는 음성레벨과 배경소음레벨의 비율인 신호 대 잡음비에 기본을 두며 AI가 0%이면 완벽한 대화가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2. NC(Noise Criteria)는 도로교통소음과 같이 변동이 심한 소음을 평가하는 척도이다.
     3. PNL(Perceived Noise Level, 감각소음레벨)은 공항주변의 항공기소음을 평가한 방법이다.
     4. SIL(Speech Interference Level, 회화방해레벨)은 도로교통소음을 인간의 반응과 관련시켜 정량적으로 구한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AI(명료도지수) : 0~1사이 값으로 표현되며 1에 가까울수록 음성이 명확하게 전달됨을 의미
2) NC : 소음을 1/1옥타브밴드로 분석한 결과에 의해 실내소음을 평가하는 방법
* 도로교통소음과 같이 변동이 심한 소음을 평가하는 척도는 등가소음도
4) SIL(회화방해레벨) : 명료도지수를 간편화할 목적으로 제한한 회화방해에 관한 척도로 소음을 600~1200, 1200~2400, 2400~4800HHz의 세 밴드로 분석한 음압레벨의 산술평균
[해설작성자 : 524]

12. 혐기성 소화과정은 가수분해, 산 생성, 메탄 생성의 단계로 구분된다. 가수분해 단계에서 주로 생성되는 물질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아미노산
     2. 글루코스
     3. 글리세린
     4. 알데하이드

     정답 : []
     정답률 : 65%

13.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따른 오염물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라돈(Rn;Radon) : 주로 건축자재를 통하여 인체에 영향을 미치며, 화학적으로는 거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흙 속에서 방사선 붕괴를 일으킨다.
     2.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 자극성 냄새를 갖는 무색의 기체이며, 36.0%~38.0% 수용액은 포르말린이라고 한다.
     3. 석면(Asbestos) : 가늘고 긴 강한 섬유상으로 내열성, 불활성, 절연성이 좋고, 발암성은 청석면 > 아모싸이트 > 온석면 순이다.
     4. 휘발성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 가장 독성이 강한 것은 에틸벤젠이며, 다음은 톨루엔, 자일렌순으로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4. 톨루엔: 독성정도 = 톨루엔 > 자일렌 > 에틸벤젠
- 톨.자.에
[해설작성자 : 나옹레옹]

14. 함수율 99%인 하수처리 슬러지를 탈수하여 함수율 70%로 낮추면, 탈수된 슬러지의 최종 부피는 탈수 전의 부피(V0) 대비 얼마로 줄어드는가? (단, 슬러지의 비중은 탈수 전이나 후에도 변함없이 1이라고 가정한다.)(2017년 06월)
     1. 1/5⋅V0
     2. 1/10⋅V0
     3. 1/20⋅V0
     4. 1/30⋅V0

     정답 : []
     정답률 : 92%

15. 수계의 유기물질 총량을 간접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과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6월)
     1. BOD는 혐기성 미생물의 수계 유기물질 분해 활동과 연관된 산소 요구량을 의미하며 BOD5는 5일간 상온에서 시료를 배양했을 때 미생물에 의해 소모된 산소량을 의미한다.
     2. BOD값이 높을수록 수중 유기물질 함량이 높으며, 측정 방법의 특성상 BOD는 언제나 COD보다 높게 측정된다.
     3. BOD는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의 총량 예측에 적합하며, 미생물의 활성을 저해하는 독성물질 존재 시 분해의 방해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4. COD는 시료 중 유기물질을 화학적 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 분해시킨 후 소모된 산화제의 양을 대응산소의 양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값으로, 일반적인 활용 산화제는 염소나 과산화수소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BOD는 호기성 미생물 관련
2) 일반적으로 COD값이 BOD값보다 높음
4) COD 산화제는 보통 과망간산칼륨, 중크롬산칼륨 사용
[해설작성자 : 524]

16.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빛은 대기 중의 입자성 물질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가 많을수록 지구에 도달하는 빛 에너지는 적어지게 된다.
     2. 대기 중 이산화탄소에 의해 지구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의 통과가 방해를 받게 되어 온실효과가 나타난다.
     3. 염소원자들이 성층권에 유입되면 오존층을 분쇄시키는 반응의 촉매작용을 한다.
     4. 성층권에 있는 오존은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을 막아주는 차단막 역할을 하며, 낮은 대기층에서의 오존은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17. 「대기환경보전법」상의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오존
     2. 불소화물
     3. 시안화수소
     4. 디클로로메탄

     정답 : []
     정답률 : 68%

18. 지표수 분석 결과 물 속의 양이 온과 음이온의 농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물 속의 경도를 CaCO3mg/L로 올바르게 나타낸 값은 무엇인가? (단, CaCO3를 구성하는 Ca, C, O의 원자량은 각각 40, 12, 16이다.)(2016년 06월)

    

     1. 75
     2. 150
     3. 300
     4. 450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경도 물질이 Ca2+ 밖에 없으므로 (60mg/L * 2me/(40mg/L)) * (100/2) = 150
[해설작성자 : 소소]

19.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상의 건강상 유해영향무기물질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아연(Zn)
     2. 셀레늄(Se)
     3. 암모니아성 질소(NH3)
     4. 비소(As)

     정답 : []
     정답률 : 75%

20. 토양 내에서 오염물질의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투수계수가 낮은 점토 토양에서 침출이 잘 일어난다.
     2. 토양 공극 내에서 농도구배에 의해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현상을 확산(diffusion)이라고 한다.
     3. 토양 공극의 불균질성으로 인해 물질 이동 경로의 불규칙성과 토양 공극 사이 이동 속도의 차이로 인해 분산(dispersion)이 일어나게 된다.
     4. 양전하를 가진 분자는 음전하를 띤 토양에 흡착되어 이동이 지체된다.

     정답 : []
     정답률 : 9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19926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19926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05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04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971809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03 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391520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02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01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0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9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8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7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6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5 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931954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4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0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3 워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463656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91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1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190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189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8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729489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7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22602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167 Next
/ 1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