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유동점 : 응고점보다 2.5도 높다. 예열온도 : 인화점보다 5도 낮다. [해설작성자 : 시규육]
11.
다음 중 역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통풍이 불량할 때
2.
기름이 과열되었을 때
3.
기름에 수분, 공기 등이 혼입되었을 때
4.
버너타일이 과열되었을 때
정답 : [
4
] 정답률 : 68%
12.
연돌높이 200m, 배기가스의 평균온도 127℃, 외기온도 27℃라고 할 때의 통풍력은 몇 ㎜H2O인가? (단, 표준상태하에서 대기의 비중량은 3㎏/m2, 가스의 비중량은 2㎏/m2이다.)(2003년 03월)
1.
0
2.
128.4
3.
136.5
4.
273
정답 : [
4
] 정답률 : 37%
13.
체적이 0.3m3인 용기 안에 메탄(CH4)과 공기 혼합물이 들어있다. 공기는 메탄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보다 20% 더 들어 있고, 연소 전 용기의 압력은 300 kPa, 온도는 90℃이다. 연소 전 용기 안에 있는 메탄의 질량은 약 몇 g인가?(2018년 09월)
1.
27.6
2.
33.7
3.
38.4
4.
42.1
정답 : [
3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CH4 + 2O2 > CO2 + 2H2O
-----
메탄 1몰당 산소 2몰, 이론공기량 9.52몰, 실제공기량 9.52*1.2=11.424몰, 1/(1+11.424)=0.08 즉 아보가드로 법칙(기체부피는 몰수비례)에 의해 전체 체적 중 메탄의 몰분율과 체적비율은 0.08 ----- A
표준상태(0도씨 1기압)에서 기체 1몰당 부피는 22.4L/mol, 이 부피를 문제에 주어진 상태에 따라 보일샤를에 의해 보정 22.4L/mol * [(273+90)/273]K * [(1/300kPa) * (101.325kPa/1atm)]=10.05L/mol, 0.3m^3은 300L, 300L/(10.05L/mol)=29.85mol, A에서 메탄의 몰분율은 0.08이었으므로 29.85mol*0.08=2.388mol 메탄의 분자량은 16이므로 2.388mol의 질량은 16*2.388=38.208g
(난 이상기체상수 안외우고 다녀서 이렇게 품)
-----
A에서 체적비율 0.08이니까 300L * 0.08 = 24L, PV=GRT 써
---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 10일컷]
14.
예혼합 연소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내부 혼합형이다.
2.
불꽅의 길이가 확산 연소방식보다 짧다.
3.
가스와 공기의 사전 혼합형이다.
4.
역화 위험이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예혼합 : 역화위험성 이크다 [해설작성자 : 장롱]
15.
조건이 아래일 때 연소효율(Ec)을 옳게 표시한 식은? (단, Hℓ : 진발열량, Lw : 노에 흡수된 손실, Lc : 미연탄소분에 의한 손실, Lr : 복사전도에 따른 손실, Li : 불완전 연소에 따른 손실, Ls : 배기가스의 현열손실)(2003년 05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3%
16.
연료의 연소 시 CO2max(%) 는 어느 때의 값인가?(2012년 09월)
1.
이론공기량으로 연소 시
2.
실제공기량으로 연소 시
3.
과잉공기량으로 연소 시
4.
이론양보다 적은 공기량으로 연소 시
정답 : [
1
] 정답률 : 77%
17.
연소 시 배기 가스량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G : 배기가스량, Go : 이론 배기가스량, Ao : 이론공기량, m : 공기비이다.)(2015년 03월)
오토사이클에서 동작 가스의 가열전, 후 온도가 600K, 1200K 이고 방열 전, 후의 온도가 800K, 400K일 경우의 이론 열효율은 몇 % 인가?(2014년 03월)
1.
28.6
2.
33.3
3.
39.4
4.
42.6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T4-T1)/(T3-T2))} X 100 [해설작성자 : 학즉선]
W n= ㅡㅡㅡ*100=[1-(T4-T1/T3-T2)]*100 Q1 =[1-(800-400/1200-600)]*100=33.333 =33% [해설작성자 : 탄일팔칠]
22.
증기터빈에서 증기 유량이 1.1kg/s이고, 터빈입구와 출구의 엔탈피는 각각 3100kJ/kg, 2300kJ/kg이다. 증기 속도는 입구에서 15m/s, 출구에서는 60m/s이고, 이 터빈의 축 출력이 800kW일 때 터빈과 주위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전달량은?(2018년 09월)
비가역 사이클에 대한 클라시우스(Clausius)의 적분에 대하여 옳은 것은? (단, Q는 열량, T는 온도이다.)(2017년 09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5%
29.
건포화증기의 건도는 얼마인가?(2007년 05월)
1.
0
2.
0.5
3.
0.7
4.
1.0
정답 : [
4
] 정답률 : 70%
30.
일반적으로 중간에 냉각기를 부착한 다단압축기와 일단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동력 소요량은 서로 길다.
2.
동력 소요량은 다단압축기가 일단압축기의 2배이다.
3.
동력 소요량은 압축 단수에 비례한다.
4.
동력 소요량은 일단압축기가 더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31.
CH4의 기체상수는 약 몇 kJ/kgㆍK 인가?(2009년 08월)
1.
0.016
2.
0.132
3.
0.189
4.
0.52
정답 : [
4
] 정답률 : 44%
32.
밀폐계가 3[bar]의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체적이 0.2[m3]에서 0.5 [m3]로 증가하였고 과정간 내부 에너지는 10 [KJ]만큼 증가하였다. 이 때 과정간 계의 이동열량은 몇[KJ]인가?(2006년 03월)
1.
90
2.
100
3.
9
4.
10
정답 : [
2
] 정답률 : 57%
33.
다음 중 냉동제로 쓰이지 않는 것은?(2003년 03월)
1.
암모니아
2.
CO
3.
CO2
4.
Freon 화합물
정답 : [
2
] 정답률 : 58%
34.
포화증기를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압축시키면 상태는 어떻게 되는가?(2016년 03월)
1.
습증기가 된다.
2.
과열증기가 된다.
3.
포화액이 된다.
4.
임계성을 띤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포화증기(습증기)를 단열과정(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압축시키면 압력과 온도가 상승하여 과열증기가 된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35.
최고 온도 500℃와 최저 온도 30℃사이에서 작동되는 열기관의 이론적 효율은?(2003년 03월)
1.
6%
2.
39%
3.
61%
4.
94%
정답 : [
3
] 정답률 : 55%
36.
카르노사이클의 과정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5월)
1.
등온과정과 등압과정
2.
등온과정과 단열과정
3.
등압과정과 단열과정
4.
등적과정과 단열과정
정답 : [
2
] 정답률 : 72%
37.
2.4 MPa, 450℃인 과열증기를 160 kPa가 될 때까지 단열적으로 분출시킬 때, 출구속도는 1,060m/s 이었다. 속도 계수는 얼마인가? (단, 초속은 무시하고 입구와 출구 엔탈피는 각각 h1=3,350kJ/kg, h2=2,692 kJ/kg이다.)(2012년 05월)
1.
0.225
2.
0.543
3.
0.769
4.
0.924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060/루트 2*(3350-2692)*1000 [해설작성자 : 대협천재]
38.
직경 40cm의 피스톤이 800kPa의 압력에 대항하여 20cm 움직였을 때 한 일은 약 몇 KJ인가?(2016년 05월)
압력 10kgf/cm2에서 공급되는 보일러로부터의 수증기가 건도 0.95로 알려져 있다. 이 수증기 1kg당의 엔탈피는 약 몇 kcal인가? (단, 10kgf/cm2에서 포화수의 엔탈피는 181.2kcal/kg, 포화증기의 엔탈피는 662.9kcal/kg이다.)(2007년 03월)
1.
457.6
2.
638.8
3.
810.9
4.
1120.5
정답 : [
2
] 정답률 : 51%
40.
압력 10kgf/cm2에서 공급되는 보일러로 부터의 수증기가 건도 0.95로 알려져 있다. 이 수증기 1㎏당의 엔탈피에 제일 가까운 값은? (단, 10kgf/cm2에서 포화수의 엔탈피는 181.2㎉/㎏, 포화증기의 엔탈피는 662.9㎉/㎏이다.)(2004년 03월)
1.
457.6㎉/㎏
2.
638.8㎉/㎏
3.
810.9㎉/㎏
4.
1120.5㎉/㎏
정답 : [
2
] 정답률 : 60%
3과목 : 계측방법
41.
피드백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고액의 설비비가 요구된다.
2.
운영하는데 비교적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3.
일부 고장이 있어도 전체 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수리가 비교적 어렵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피드백 제어는 일부의 고장만 생겨도 전체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단점)
42.
다음 중 액면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액압측정식
2.
정전용량식
3.
박막식
4.
부자식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액면계의 분류 및 종류 1. 직접법 = 직관식, 플로트식, 검척식 2. 간접법 = 압력식, 초음파식, 정전용량식, 방사선식, 차압식, 다이어프램식, 편위식, 기포식, 슬립튜브식 등 [해설작성자 : 박진호]
프로트 타입 면적식 유량계(flot type area flowmeter)의 검사 및 교정시기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2003년 05월)
1.
유량계를 분해, 소제한 경우
2.
담당자가 바뀌었을 경우
3.
장시간 사용하지 않았던 것을 재사용할 경우
4.
그밖의 성능에 의문이 생긴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70%
47.
다이어프램 압력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공업용의 측정범위는 10~300mmH2O 이다.
2.
연소 로의 드레프트(draft)계로서 사용된다.
3.
다이어프램으로는 고무, 양온, 인청동 등의 박판이 사용된다.
4.
감도가 좋도 정도(精度)는 1~2% 정도로 정확성이 높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48.
제어장치 중 기본 압력과 검출부 출력의 차를 조작부에 신호로 전하는 부분은?(2009년 03월)
1.
조절부
2.
검출부
3.
비교부
4.
제어부
정답 : [
1
] 정답률 : 69%
49.
가스의 상자성(常磁性)을 이용하여 만든 세라믹식 가스 분석계는?(2006년 05월)
1.
가스크로마토그래피
2.
O2 가스계
3.
CO2 가스계
4.
SO2 가스계
정답 : [
2
] 정답률 : 76%
50.
가스분석계인 자동 화학식 CO2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조작은 모두 자동화되어 있다.
2.
구조상 튼튼하고 점검과 보수가 용이하다.
3.
홀수액 선정에 따라 O2 및 CO의 분석계로도 사용할 수 있다.
4.
선택성이 비교적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51.
스프링저울 등 측정량이 원인이 되어 그 직접적인 결과로 생기는 지시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정밀도느 낮으나 조작이 간단한 방법은?(2021년 09월)
1.
영위법
2.
치환법
3.
편위법
4.
보상법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측정방법 1. 편위법 = 부르동관 압력계와 같이 측정량과 관게있는 다른양으로 변환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도는 낮지만 측정간단 2. 영위법 = 기준량과 측정하고자 하는 상태량을 비교평형 시켜 측정하는 것으로 천칭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는것이 해당 3. 치환법 = 지시량과 미리 알고있는 다른양으로부터 측정량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다이얼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것이 해당 4. 보상법 = 측정량과 거의 같은 미리알고있는 양을 준비하여 측정량과 그 미리알고있는 양의 차이로서 측정량을 알아내는방법 [해설작성자 : 박진호]
52.
비접촉식 온도계 중 색온도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방사율의 영향이 작다.
2.
휴대와 취급이 간편하다.
3.
고온측정이 가능하며 기록조절용으로 사용된다.
4.
주변 빛의 반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색온도계는 600℃ 이상의 온도만 측정이 가능하고 주위로부터 빛의 반사 영향을 받지요. 또한 구조가 복잡합니다. [해설작성자 : 전위차]
방사율 : 물질에서 에너지가 방사되는 비율. 100이라는 에너지를 품고 있는 물질이 얼마 만큼의 에너지를 외부로 방사하는가에 대한 비율. (현실에서는 100이라는 에너지를 가지는 물체가 100% 전체를 외부로 방사하는 물체는 없다. 흑체 제외. 주변 빛의 반사에 영향을 받는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지식경제부장관이 에너지관리 대상자에게 개선명령을 할 수 있는 경우는 에너지관리지도 결과 몇 % 이상의 에너지 효율개선이 기대될 때로 규정하고 있는가?(2012년 09월)
1.
50%
2.
30%
3.
20%
4.
10%
정답 : [
4
] 정답률 : 75%
71.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효율관리기자재의 제조업자는 효율관리시험기관으로부터 측정결과를 통보받은 날부터 며칠 이내에 그 측정결과를 한국에너지공단에 신고하여야 하는가?(2019년 04월)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효율관리 기자재 측정 결과의 신고(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제9조) 90일 이내에 그 측정결과를 한국에너지공단에 신고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효결신90]
72.
작업이 간편하고 조업주기가 단축되며 요체의 보유열을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반연속식 요는?(2013년 06월)
1.
셔틀요
2.
윤요
3.
터널요
4.
도염식요
정답 : [
1
] 정답률 : 69%
73.
평균에너지 소비효율의 산정방법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산정방법, 개선시간, 공표방법 등 필요한 사항은 산업자원부령으로 정한다.
2.
3.
평균에너지 소비효율의 개선기간은 개선명령으로 부터 다음해 1월 31일까지로 한다.
4.
개선명령을 받은 자는 개선명령일부터 60일이내에 개선명령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산업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74.
케스터블(castable)내화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사용현장에서 필요한 형상이나 치수로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다.
2.
시공 후 약 24시간 후에 건조, 승온이 가능하고 경화제로 알루미나시멘트를 사용한다.
3.
잔존수축과 열팽창이 크고 노내 온도가 변화하면 스폴링을 잘 일으킨다.
4.
점토질이 많이 사용되고 용도에 따라 고알루미나질이나 크롬질도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75.
에너지이용합리화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3월)
1.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을 증진
2.
에너지 소비로 인한 환경피해 감소
3.
에너지원의 개발
4.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복지의 증진
정답 : [
3
] 정답률 : 67%
76.
에너지법에서 정한 열사용기자재의 정의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연료를 사용하는 기기
2.
열을 사용하는 기기
3.
단열성 자재 및 축열식 전기기기
4.
폐열 회수장치 및 전열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에너지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3.3.23, 2013.7.30, 2014.12.30, 2019.8.20>
9. "열사용기자재"란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기기, 축열식 전기기기와 단열성(斷熱性) 자재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문제의 예시에서 1,2,3 까지는 포함되나 4번의 폐열회수 장치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정답은 4번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에너지법에서 정한 에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열
2.
연료
3.
전기
4.
원자력
정답 : [
4
] 정답률 : 80%
78.
사용연료를 변경함으로써 검사대상이 아닌 보일러가 검사대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해당되는 검사는?(2015년 03월)
1.
구조검사
2.
설치검사
3.
개조검사
4.
재사용검사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사용연료 변경으로 미검사대상기기가 검사대상기기로 변경되면 설치검사를 받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하이얼]
79.
다음 중 석유 환산기준 발열량으로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원유 10,000kcal/kg
2.
천연가스 10,500kcal/Nm3
3.
등유 8,700kcal/kg
4.
전기 2,000kcal/kWh
정답 : [
4
] 정답률 : 43%
80.
다음 중 내화물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사용시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2.
내마모성 및 내침식성이 뛰어나야 한다.
3.
재가열시에 수축이 크게 일어나야 한다.
4.
상온에서 압축강도가 커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81.
냉각수와 기름을 대향류로 기름냉각기에서 열교환시킬 때 다음의 값들을 얻었다. 물의 출구온도는 얼마인가? (단, 냉각면 외의 방열은 없는 것으로 본다.)(2006년 03월)
1.
36 CENTIGRADE
2.
34 CENTIGRADE
3.
32 CENTIGRADE
4.
30 CENTIGRADE
정답 : [
4
] 정답률 : 29%
82.
보일러의 부대장치 중 공기예열기 사용 시 나타나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과잉공기가 많아진다.
2.
가스온도 저하에 따라 저온부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3.
보일러 효율이 높아진다.
4.
질소산화물에 의한 대기오염의 우려가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기예열기 ↑효율 저항 저온부식 ↓통풍력 예열공기의 공급으로 불완전연소가 감소 품질이 낮은 연료도 사용할 수 있다 연도의 청소 검사 점검 곤란 [해설작성자 : 박진호]
과잉 공기량이 적어진다. [해설작성자 : 화지소]
83.
외경 30mm의 철관에 두께 15mm의 보온재를 감은 증기관이 있다. 관 표면의 온도가 100℃, 보온재의 표면 온도가 20℃인 경우 관의 길이 15m인 관의 표면으로 부터의 열손실은 약 몇 kcal/h인가? (단, 보온재의 열전도율은 0.05kcal/m∙h℃이다.)(2007년 03월)
1.
244
2.
344
3.
444
4.
544
정답 : [
4
] 정답률 : 27%
84.
관판의 롤확관 부착부에 있어서 완전한 고리(링)형을 이룬 접촉면의 최소 두께는 몇 ㎜이상이어야 하는가?(2005년 03월)
연소실 연도의 단면적 크기를 정할 때 중요성이 가장 적게 강조되는 것은?(2014년 03월)
1.
연도내부를 통과하는 연소가스량
2.
연소가스의 통과속도
3.
연돌의 통풍력
4.
대기 온도
정답 : [
4
] 정답률 : 69%
88.
보일러 응축수 탱크의 가장 적절한 설치위치는?(2017년 09월)
1.
보일러 상단부와 응축수 탱크의 하단부를 일치시킨다.
2.
보일러 하단부와 응축수 탱크의 하단부를 일치시킨다.
3.
응축수 탱크는 응축수 회수배관보다 낮게 설치한다.
4.
응축수 탱크는 송출 증기관과 동일한 양정을 갖는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89.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보일러 보존방법은?(2016년 03월)
1.
건조보존법
2.
만수보존법
3.
질소보존법
4.
특수보존법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보일러 장기보존법(6개월 이상 보존) : 밀폐건조보존법 보일러 단기보존법(6개월 미만 보존) : 만수보존법 [해설작성자 : 인종 롯데몰]
- 석회 밀폐 질소보존법 : 건조 보존 방법. 보존기간이 6개월 또는 1년이상인 경우 질소가스를 순도 99.5%, 0.6kg/cm2 압력으로 동체내부에 가압시키고 내부 산소를 제거하며 습기방지를 위해 동체 하부에 생석회를 채워넣음. - 만수 보존법 : 내부 동결이 없는 곳에 사용. 단기간의 보존에만 효과. 알칼리에 의한 약품이 첨가(약품의 효능은 2~3개월 이상이면 효과가 감소). 물을 가득 채워 넣음. pH가 12를 유지. [해설작성자 : 에너지]
90.
80℃의 벤젠 2200㎏/h을 40℃까지 냉각시킬 때, 냉각수온도를 입구 30℃, 출구 45℃로 하여 대향류열교환기형식의 이중관식 냉각기를 설계할 때 적당한 관의 길이(m)는? (단, 벤젠의 평균비열 : 0.45㎉/㎏℃, 관내경 0.0427m, 총괄전열계수 : 515㎉/m2h℃ 이다.)(2005년 03월)
<문제 해설> 유동점 : 응고점보다 2.5도 높다. 예열온도 : 인화점보다 5도 낮다. [해설작성자 : 시규육]
11.
다음 중 역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통풍이 불량할 때
2.
기름이 과열되었을 때
3.
기름에 수분, 공기 등이 혼입되었을 때
4.
버너타일이 과열되었을 때
정답 : [
4
] 정답률 : 68%
12.
연돌높이 200m, 배기가스의 평균온도 127℃, 외기온도 27℃라고 할 때의 통풍력은 몇 ㎜H2O인가? (단, 표준상태하에서 대기의 비중량은 3㎏/m2, 가스의 비중량은 2㎏/m2이다.)(2003년 03월)
1.
0
2.
128.4
3.
136.5
4.
273
정답 : [
4
] 정답률 : 37%
13.
체적이 0.3m3인 용기 안에 메탄(CH4)과 공기 혼합물이 들어있다. 공기는 메탄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보다 20% 더 들어 있고, 연소 전 용기의 압력은 300 kPa, 온도는 90℃이다. 연소 전 용기 안에 있는 메탄의 질량은 약 몇 g인가?(2018년 09월)
1.
27.6
2.
33.7
3.
38.4
4.
42.1
정답 : [
3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CH4 + 2O2 > CO2 + 2H2O
-----
메탄 1몰당 산소 2몰, 이론공기량 9.52몰, 실제공기량 9.52*1.2=11.424몰, 1/(1+11.424)=0.08 즉 아보가드로 법칙(기체부피는 몰수비례)에 의해 전체 체적 중 메탄의 몰분율과 체적비율은 0.08 ----- A
표준상태(0도씨 1기압)에서 기체 1몰당 부피는 22.4L/mol, 이 부피를 문제에 주어진 상태에 따라 보일샤를에 의해 보정 22.4L/mol * [(273+90)/273]K * [(1/300kPa) * (101.325kPa/1atm)]=10.05L/mol, 0.3m^3은 300L, 300L/(10.05L/mol)=29.85mol, A에서 메탄의 몰분율은 0.08이었으므로 29.85mol*0.08=2.388mol 메탄의 분자량은 16이므로 2.388mol의 질량은 16*2.388=38.208g
(난 이상기체상수 안외우고 다녀서 이렇게 품)
-----
A에서 체적비율 0.08이니까 300L * 0.08 = 24L, PV=GRT 써
---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 10일컷]
14.
예혼합 연소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내부 혼합형이다.
2.
불꽅의 길이가 확산 연소방식보다 짧다.
3.
가스와 공기의 사전 혼합형이다.
4.
역화 위험이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예혼합 : 역화위험성 이크다 [해설작성자 : 장롱]
15.
조건이 아래일 때 연소효율(Ec)을 옳게 표시한 식은? (단, Hℓ : 진발열량, Lw : 노에 흡수된 손실, Lc : 미연탄소분에 의한 손실, Lr : 복사전도에 따른 손실, Li : 불완전 연소에 따른 손실, Ls : 배기가스의 현열손실)(2003년 05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3%
16.
연료의 연소 시 CO2max(%) 는 어느 때의 값인가?(2012년 09월)
1.
이론공기량으로 연소 시
2.
실제공기량으로 연소 시
3.
과잉공기량으로 연소 시
4.
이론양보다 적은 공기량으로 연소 시
정답 : [
1
] 정답률 : 77%
17.
연소 시 배기 가스량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G : 배기가스량, Go : 이론 배기가스량, Ao : 이론공기량, m : 공기비이다.)(2015년 03월)
오토사이클에서 동작 가스의 가열전, 후 온도가 600K, 1200K 이고 방열 전, 후의 온도가 800K, 400K일 경우의 이론 열효율은 몇 % 인가?(2014년 03월)
1.
28.6
2.
33.3
3.
39.4
4.
42.6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T4-T1)/(T3-T2))} X 100 [해설작성자 : 학즉선]
W n= ㅡㅡㅡ*100=[1-(T4-T1/T3-T2)]*100 Q1 =[1-(800-400/1200-600)]*100=33.333 =33% [해설작성자 : 탄일팔칠]
22.
증기터빈에서 증기 유량이 1.1kg/s이고, 터빈입구와 출구의 엔탈피는 각각 3100kJ/kg, 2300kJ/kg이다. 증기 속도는 입구에서 15m/s, 출구에서는 60m/s이고, 이 터빈의 축 출력이 800kW일 때 터빈과 주위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전달량은?(2018년 09월)
비가역 사이클에 대한 클라시우스(Clausius)의 적분에 대하여 옳은 것은? (단, Q는 열량, T는 온도이다.)(2017년 09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5%
29.
건포화증기의 건도는 얼마인가?(2007년 05월)
1.
0
2.
0.5
3.
0.7
4.
1.0
정답 : [
4
] 정답률 : 70%
30.
일반적으로 중간에 냉각기를 부착한 다단압축기와 일단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동력 소요량은 서로 길다.
2.
동력 소요량은 다단압축기가 일단압축기의 2배이다.
3.
동력 소요량은 압축 단수에 비례한다.
4.
동력 소요량은 일단압축기가 더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31.
CH4의 기체상수는 약 몇 kJ/kgㆍK 인가?(2009년 08월)
1.
0.016
2.
0.132
3.
0.189
4.
0.52
정답 : [
4
] 정답률 : 44%
32.
밀폐계가 3[bar]의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체적이 0.2[m3]에서 0.5 [m3]로 증가하였고 과정간 내부 에너지는 10 [KJ]만큼 증가하였다. 이 때 과정간 계의 이동열량은 몇[KJ]인가?(2006년 03월)
1.
90
2.
100
3.
9
4.
10
정답 : [
2
] 정답률 : 57%
33.
다음 중 냉동제로 쓰이지 않는 것은?(2003년 03월)
1.
암모니아
2.
CO
3.
CO2
4.
Freon 화합물
정답 : [
2
] 정답률 : 58%
34.
포화증기를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압축시키면 상태는 어떻게 되는가?(2016년 03월)
1.
습증기가 된다.
2.
과열증기가 된다.
3.
포화액이 된다.
4.
임계성을 띤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포화증기(습증기)를 단열과정(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압축시키면 압력과 온도가 상승하여 과열증기가 된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35.
최고 온도 500℃와 최저 온도 30℃사이에서 작동되는 열기관의 이론적 효율은?(2003년 03월)
1.
6%
2.
39%
3.
61%
4.
94%
정답 : [
3
] 정답률 : 55%
36.
카르노사이클의 과정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5월)
1.
등온과정과 등압과정
2.
등온과정과 단열과정
3.
등압과정과 단열과정
4.
등적과정과 단열과정
정답 : [
2
] 정답률 : 72%
37.
2.4 MPa, 450℃인 과열증기를 160 kPa가 될 때까지 단열적으로 분출시킬 때, 출구속도는 1,060m/s 이었다. 속도 계수는 얼마인가? (단, 초속은 무시하고 입구와 출구 엔탈피는 각각 h1=3,350kJ/kg, h2=2,692 kJ/kg이다.)(2012년 05월)
1.
0.225
2.
0.543
3.
0.769
4.
0.924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060/루트 2*(3350-2692)*1000 [해설작성자 : 대협천재]
38.
직경 40cm의 피스톤이 800kPa의 압력에 대항하여 20cm 움직였을 때 한 일은 약 몇 KJ인가?(2016년 05월)
압력 10kgf/cm2에서 공급되는 보일러로부터의 수증기가 건도 0.95로 알려져 있다. 이 수증기 1kg당의 엔탈피는 약 몇 kcal인가? (단, 10kgf/cm2에서 포화수의 엔탈피는 181.2kcal/kg, 포화증기의 엔탈피는 662.9kcal/kg이다.)(2007년 03월)
1.
457.6
2.
638.8
3.
810.9
4.
1120.5
정답 : [
2
] 정답률 : 51%
40.
압력 10kgf/cm2에서 공급되는 보일러로 부터의 수증기가 건도 0.95로 알려져 있다. 이 수증기 1㎏당의 엔탈피에 제일 가까운 값은? (단, 10kgf/cm2에서 포화수의 엔탈피는 181.2㎉/㎏, 포화증기의 엔탈피는 662.9㎉/㎏이다.)(2004년 03월)
1.
457.6㎉/㎏
2.
638.8㎉/㎏
3.
810.9㎉/㎏
4.
1120.5㎉/㎏
정답 : [
2
] 정답률 : 60%
3과목 : 계측방법
41.
피드백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고액의 설비비가 요구된다.
2.
운영하는데 비교적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3.
일부 고장이 있어도 전체 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수리가 비교적 어렵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피드백 제어는 일부의 고장만 생겨도 전체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단점)
42.
다음 중 액면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액압측정식
2.
정전용량식
3.
박막식
4.
부자식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액면계의 분류 및 종류 1. 직접법 = 직관식, 플로트식, 검척식 2. 간접법 = 압력식, 초음파식, 정전용량식, 방사선식, 차압식, 다이어프램식, 편위식, 기포식, 슬립튜브식 등 [해설작성자 : 박진호]
프로트 타입 면적식 유량계(flot type area flowmeter)의 검사 및 교정시기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2003년 05월)
1.
유량계를 분해, 소제한 경우
2.
담당자가 바뀌었을 경우
3.
장시간 사용하지 않았던 것을 재사용할 경우
4.
그밖의 성능에 의문이 생긴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70%
47.
다이어프램 압력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공업용의 측정범위는 10~300mmH2O 이다.
2.
연소 로의 드레프트(draft)계로서 사용된다.
3.
다이어프램으로는 고무, 양온, 인청동 등의 박판이 사용된다.
4.
감도가 좋도 정도(精度)는 1~2% 정도로 정확성이 높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48.
제어장치 중 기본 압력과 검출부 출력의 차를 조작부에 신호로 전하는 부분은?(2009년 03월)
1.
조절부
2.
검출부
3.
비교부
4.
제어부
정답 : [
1
] 정답률 : 69%
49.
가스의 상자성(常磁性)을 이용하여 만든 세라믹식 가스 분석계는?(2006년 05월)
1.
가스크로마토그래피
2.
O2 가스계
3.
CO2 가스계
4.
SO2 가스계
정답 : [
2
] 정답률 : 76%
50.
가스분석계인 자동 화학식 CO2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조작은 모두 자동화되어 있다.
2.
구조상 튼튼하고 점검과 보수가 용이하다.
3.
홀수액 선정에 따라 O2 및 CO의 분석계로도 사용할 수 있다.
4.
선택성이 비교적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51.
스프링저울 등 측정량이 원인이 되어 그 직접적인 결과로 생기는 지시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정밀도느 낮으나 조작이 간단한 방법은?(2021년 09월)
1.
영위법
2.
치환법
3.
편위법
4.
보상법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측정방법 1. 편위법 = 부르동관 압력계와 같이 측정량과 관게있는 다른양으로 변환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도는 낮지만 측정간단 2. 영위법 = 기준량과 측정하고자 하는 상태량을 비교평형 시켜 측정하는 것으로 천칭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는것이 해당 3. 치환법 = 지시량과 미리 알고있는 다른양으로부터 측정량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다이얼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것이 해당 4. 보상법 = 측정량과 거의 같은 미리알고있는 양을 준비하여 측정량과 그 미리알고있는 양의 차이로서 측정량을 알아내는방법 [해설작성자 : 박진호]
52.
비접촉식 온도계 중 색온도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방사율의 영향이 작다.
2.
휴대와 취급이 간편하다.
3.
고온측정이 가능하며 기록조절용으로 사용된다.
4.
주변 빛의 반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색온도계는 600℃ 이상의 온도만 측정이 가능하고 주위로부터 빛의 반사 영향을 받지요. 또한 구조가 복잡합니다. [해설작성자 : 전위차]
방사율 : 물질에서 에너지가 방사되는 비율. 100이라는 에너지를 품고 있는 물질이 얼마 만큼의 에너지를 외부로 방사하는가에 대한 비율. (현실에서는 100이라는 에너지를 가지는 물체가 100% 전체를 외부로 방사하는 물체는 없다. 흑체 제외. 주변 빛의 반사에 영향을 받는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
지식경제부장관이 에너지관리 대상자에게 개선명령을 할 수 있는 경우는 에너지관리지도 결과 몇 % 이상의 에너지 효율개선이 기대될 때로 규정하고 있는가?(2012년 09월)
1.
50%
2.
30%
3.
20%
4.
10%
정답 : [
4
] 정답률 : 75%
71.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효율관리기자재의 제조업자는 효율관리시험기관으로부터 측정결과를 통보받은 날부터 며칠 이내에 그 측정결과를 한국에너지공단에 신고하여야 하는가?(2019년 04월)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효율관리 기자재 측정 결과의 신고(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제9조) 90일 이내에 그 측정결과를 한국에너지공단에 신고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효결신90]
72.
작업이 간편하고 조업주기가 단축되며 요체의 보유열을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반연속식 요는?(2013년 06월)
1.
셔틀요
2.
윤요
3.
터널요
4.
도염식요
정답 : [
1
] 정답률 : 69%
73.
평균에너지 소비효율의 산정방법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산정방법, 개선시간, 공표방법 등 필요한 사항은 산업자원부령으로 정한다.
2.
3.
평균에너지 소비효율의 개선기간은 개선명령으로 부터 다음해 1월 31일까지로 한다.
4.
개선명령을 받은 자는 개선명령일부터 60일이내에 개선명령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산업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74.
케스터블(castable)내화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사용현장에서 필요한 형상이나 치수로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다.
2.
시공 후 약 24시간 후에 건조, 승온이 가능하고 경화제로 알루미나시멘트를 사용한다.
3.
잔존수축과 열팽창이 크고 노내 온도가 변화하면 스폴링을 잘 일으킨다.
4.
점토질이 많이 사용되고 용도에 따라 고알루미나질이나 크롬질도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75.
에너지이용합리화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3월)
1.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을 증진
2.
에너지 소비로 인한 환경피해 감소
3.
에너지원의 개발
4.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복지의 증진
정답 : [
3
] 정답률 : 67%
76.
에너지법에서 정한 열사용기자재의 정의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연료를 사용하는 기기
2.
열을 사용하는 기기
3.
단열성 자재 및 축열식 전기기기
4.
폐열 회수장치 및 전열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에너지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3.3.23, 2013.7.30, 2014.12.30, 2019.8.20>
9. "열사용기자재"란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기기, 축열식 전기기기와 단열성(斷熱性) 자재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문제의 예시에서 1,2,3 까지는 포함되나 4번의 폐열회수 장치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정답은 4번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에너지법에서 정한 에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열
2.
연료
3.
전기
4.
원자력
정답 : [
4
] 정답률 : 80%
78.
사용연료를 변경함으로써 검사대상이 아닌 보일러가 검사대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해당되는 검사는?(2015년 03월)
1.
구조검사
2.
설치검사
3.
개조검사
4.
재사용검사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사용연료 변경으로 미검사대상기기가 검사대상기기로 변경되면 설치검사를 받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하이얼]
79.
다음 중 석유 환산기준 발열량으로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원유 10,000kcal/kg
2.
천연가스 10,500kcal/Nm3
3.
등유 8,700kcal/kg
4.
전기 2,000kcal/kWh
정답 : [
4
] 정답률 : 43%
80.
다음 중 내화물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사용시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2.
내마모성 및 내침식성이 뛰어나야 한다.
3.
재가열시에 수축이 크게 일어나야 한다.
4.
상온에서 압축강도가 커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81.
냉각수와 기름을 대향류로 기름냉각기에서 열교환시킬 때 다음의 값들을 얻었다. 물의 출구온도는 얼마인가? (단, 냉각면 외의 방열은 없는 것으로 본다.)(2006년 03월)
1.
36 CENTIGRADE
2.
34 CENTIGRADE
3.
32 CENTIGRADE
4.
30 CENTIGRADE
정답 : [
4
] 정답률 : 29%
82.
보일러의 부대장치 중 공기예열기 사용 시 나타나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과잉공기가 많아진다.
2.
가스온도 저하에 따라 저온부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3.
보일러 효율이 높아진다.
4.
질소산화물에 의한 대기오염의 우려가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기예열기 ↑효율 저항 저온부식 ↓통풍력 예열공기의 공급으로 불완전연소가 감소 품질이 낮은 연료도 사용할 수 있다 연도의 청소 검사 점검 곤란 [해설작성자 : 박진호]
과잉 공기량이 적어진다. [해설작성자 : 화지소]
83.
외경 30mm의 철관에 두께 15mm의 보온재를 감은 증기관이 있다. 관 표면의 온도가 100℃, 보온재의 표면 온도가 20℃인 경우 관의 길이 15m인 관의 표면으로 부터의 열손실은 약 몇 kcal/h인가? (단, 보온재의 열전도율은 0.05kcal/m∙h℃이다.)(2007년 03월)
1.
244
2.
344
3.
444
4.
544
정답 : [
4
] 정답률 : 27%
84.
관판의 롤확관 부착부에 있어서 완전한 고리(링)형을 이룬 접촉면의 최소 두께는 몇 ㎜이상이어야 하는가?(2005년 03월)
연소실 연도의 단면적 크기를 정할 때 중요성이 가장 적게 강조되는 것은?(2014년 03월)
1.
연도내부를 통과하는 연소가스량
2.
연소가스의 통과속도
3.
연돌의 통풍력
4.
대기 온도
정답 : [
4
] 정답률 : 69%
88.
보일러 응축수 탱크의 가장 적절한 설치위치는?(2017년 09월)
1.
보일러 상단부와 응축수 탱크의 하단부를 일치시킨다.
2.
보일러 하단부와 응축수 탱크의 하단부를 일치시킨다.
3.
응축수 탱크는 응축수 회수배관보다 낮게 설치한다.
4.
응축수 탱크는 송출 증기관과 동일한 양정을 갖는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89.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보일러 보존방법은?(2016년 03월)
1.
건조보존법
2.
만수보존법
3.
질소보존법
4.
특수보존법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보일러 장기보존법(6개월 이상 보존) : 밀폐건조보존법 보일러 단기보존법(6개월 미만 보존) : 만수보존법 [해설작성자 : 인종 롯데몰]
- 석회 밀폐 질소보존법 : 건조 보존 방법. 보존기간이 6개월 또는 1년이상인 경우 질소가스를 순도 99.5%, 0.6kg/cm2 압력으로 동체내부에 가압시키고 내부 산소를 제거하며 습기방지를 위해 동체 하부에 생석회를 채워넣음. - 만수 보존법 : 내부 동결이 없는 곳에 사용. 단기간의 보존에만 효과. 알칼리에 의한 약품이 첨가(약품의 효능은 2~3개월 이상이면 효과가 감소). 물을 가득 채워 넣음. pH가 12를 유지. [해설작성자 : 에너지]
90.
80℃의 벤젠 2200㎏/h을 40℃까지 냉각시킬 때, 냉각수온도를 입구 30℃, 출구 45℃로 하여 대향류열교환기형식의 이중관식 냉각기를 설계할 때 적당한 관의 길이(m)는? (단, 벤젠의 평균비열 : 0.45㎉/㎏℃, 관내경 0.0427m, 총괄전열계수 : 515㎉/m2h℃ 이다.)(2005년 0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