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17011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디젤기관의 시동보조장치에 사용되는 디콤프(de-comp)의 기능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7월)
     가. 기관의 출력을 증대하는 장치이다.
     나. 한랭시 시동할 때 원활한 회전으로 시동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다. 기관의 시동을 정지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라. 기동전동기에 무리가 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2. 밸브스템엔드와 로커암(태핏) 사이의 간극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4년 04월)
     가. 로커암 간극
     나. 캠 간극
     다. 스템 간극
     라. 밸브 간극

     정답 : []
     정답률 : 51%

3. 기관 과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2005년 07월)
     가. 라디에이터 막힘
     나. 냉각장치 내부에 물때가 끼었을 때
     다. 냉각수의 부족
     라. 오일의 압력 과다

     정답 : []
     정답률 : 66%

4. 라디에이터 캡의 스프링이 파손 되었을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상은?(2010년 10월)
     가. 냉각수 비등점이 낮아진다.
     나. 냉각수 순환이 불량해진다.
     다. 냉각수 순환이 빨라진다.
     라. 냉각수 비등점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라디에이터 캡은 냉각수에 압력을 주어 비등점(끓는점)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운전병]

5. 기관이 작동 중 라디에이터 캡 쪽으로 물이 상승하면서 연소가스가 누출될 때의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2009년 07월)
     가. 실린더 헤드에 균열이 생겼다.
     나. 분사노즐의 동 와셔가 불량하다.
     다. 물 펌프에 누설이 생겼다.
     라. 라디에이터 캡이 불량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6. 냉각장치에서 밀봉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가. 엔진온도를 높일 때
     나. 엔진온도를 낮게 할 때
     다. 압력밸브가 고장일 때
     라. 냉각수의 비점을 높일 때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비점이라는 말은 끓는 점이라는 것 아시죠? 물은 원래 100도에서 끊잖아요. 하지만 밀봉압력식으로 하면 냉각수의 비점(끊는점)을 120도까지 올릴수 있답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게토레이]

7. 운전 중 기관의 공기청정기가 막히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6년 04월)
     가. 배출 가스색은 검고, 출력은 저하한다.
     나. 배출 가스색은 희고, 출력은 정상이다.
     다. 배출 가스색은 청백색이고, 출력은 증가한다.
     라. 배출 가스색은 무색이고, 출력과는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90%

8.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전동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4월)
     가. 냉각수 온도에 따라 작동한다.
     나. 엔진이 시동되면 회전한다.
     다. 팬벨트는 필요 없다.
     라. 형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약 85∼100℃에서 간헐적으로 작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냉각 팬의 특징
1. 엔진과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2.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킨다.
3. 배기 다기관의 과열을 방지한다.
4. 냉각 팬은 물 펌프 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2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장피에르]

9. 연료탱크의 연료를 분사펌프 저압부까지 공급하는 것은?(2008년 02월)
     가. 연료공급 펌프
     나. 연료분사 펌프
     다. 인젝션 펌프
     라. 로터리 펌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료공급 펌프입니다
[해설작성자 : 커피마시고싶다]

10. 윤활유의 소비가 증대될 수 있는 두 가지 원인은?(2004년 04월)
     가. 연소와 누설
     나. 비산과 압력
     다. 비산과 희석
     라. 희석과 혼합

     정답 : []
     정답률 : 73%

11. 기관에 사용되는 오일 여과기에 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가. 여과기가 막히면 유압이 높아진다.
     나. 엘리먼트 청소는 압축공기를 사용한다.
     다. 여과 능력이 불량하면 부품의 마모가 빠르다.
     라. 작업 조건이 나쁘면 교환 시기를 빨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압축공기를 사용하는것은 건식일때
오일을 여과시키는 것은 오일이 묻어있는 습식이므로 솔벤트 등을 이용하여 청소
[해설작성자 : 잘봐둬이몸]

12. 4행정 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윤활방식은?(2009년 01월)
     가. 혼합식
     나. 분리식
     다. 중력식
     라. 압송식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행정: 흡입 압축 폭발 배기

13. 고장 진단 및 테스트용 출력 단자를 갖추고 있으며, 항상 시스템을 감시하고, 필요하면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보내주는 기능에 해당되는 것은?(2005년 10월)
     가. 제어 유닛
     나. 피드백
     다. 주파수 신호처리
     라. 자기진단

     정답 : []
     정답률 : 56%

14. 기관 시동장치에서 링기어를 회전 시키는 구동 피니언은 어느 곳에 부착되어 있는가?(2006년 04월)
     가. 클러치
     나. 변속기
     다. 기동전동기
     라. 뒷차축

     정답 : []
     정답률 : 49%

15. 퓨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7월)
     가. 퓨즈는 정격용량을 사용한다.
     나. 퓨즈 용량은 A로 표시한다.
     다. 퓨즈는 철사로 대용하여도 된다.
     라. 퓨즈는 표면이 산화되면 끊어지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2%

16. 건설기계장비의 축전지 케이블 탈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2008년 07월)
     가. 절연되어 있는 케이블을 먼저 탈거한다.
     나. 아무 케이블이나 먼저 탈거한다.
     다. 케이블을 먼저 탈거한다.
     라. 접지되어 있는 케이블을 먼저 탈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축전지 케이블 탈거 시 접지단자(-)를 먼저 탈거하고
설치 시에는 접지단자(-)를 먼저 연결한다.
[해설작성자 : 황뽕알]

17. 납산 축전지가 방전되어 급속 충전을 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가. 충전 중 전해액의 온도가 45℃가 넘지 않도록 한다.
     나. 충전 중 가스가 많이 발생되면 충전을 중단한다.
     다. 충전전류는 축전지 용량과 같게 한다.
     라. 충전시간은 가능한 짧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충전전류는 축전지 용량의 1/2정도가 좋다.
[해설작성자: 나주공고 게토레이]

18. AC 발전기에서 작동시 전자석이 되는 것은?(2008년 10월)
     가. 발전기 팬
     나. 스테이터
     다. 계자
     라. 로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로터가 자계(자력-전자석)를 발생시키고, 스테이터가 3상 전압을 유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클러치식 지게차 동력 전달 순서는?(2007년 09월)
     가. 엔진 → 클러치 → 변속기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앞구동축 → 차륜
     나. 엔진 → 변속기 → 클러치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앞구동축 → 차륜
     다. 엔진 → 클러치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변속기 → 앞구동축 → 차륜
     라. 엔진 → 변속기 → 클러치 → 앞구동축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차륜

     정답 : []
     정답률 : 57%

20. 운전 중 클러치가 미끄러질 때의 영향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가. 속도 감소
     나. 견인력 감소
     다. 연료소비량 증가
     라. 엔진의 과냉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클러치의 기능은 차량의 속도 조절 및 전후진의 역할을 하는데...
시내 버스를 타고 가다 보면 차가 출발할때 차에서 끄르륵 소리나죠?
이소리가 클러치가 미끄러지는 소리입니다.
이로 인해 속도가 감속하고, 견인력(출력)이 감소하며, 연료소비는 증가, 엔진이 과열 될수 있겠지요?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게토레이]

21. 장비의 운행 중 변속 레버가 빠질 수 있는 원인에 해당 되는 것은?(2010년 01월)
     가. 기어가 충분히 물리지 않을 때
     나. 클러치 조정이 불량할 때
     다. 릴리스 베어링이 파손되었을 때
     라. 클러치 연결이 분리되었을 때

     정답 : []
     정답률 : 57%

22. 휠 로더의 붐과 버킷 레버를 동시에 당기면 작동은?(2011년 10월)
     가. 붐만 상승한다.
     나. 버킷만 오무려 진다.
     다. 붐은 상승하고 버킷은 오무려 진다.
     라. 작동이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둘 다 동시에 작동하면 당연히 둘 다 동시에 작동
[해설작성자 : ㅇㅈ충]

23. 지게차로 적재작업을 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5년 10월)
     가. 운반하려고 하는 화물가까이가면 속도를 줄인다.
     나. 화물 앞에서 일단 정지한다.
     다. 화물이 무너지거나 파손 등의 위험성 여부를 확인한다.
     라. 화물을 높이 들어 올려 아랫부분을 확인하며 천천히 출발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24. 지게차 작업시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2011년 07월)
     가. 주차 시에는 포크를 완전히 지면에 내려야 한다.
     나. 화물을 적재하고 경사지를 내려갈 때는 운전 시야 확보를 위해 전진으로 운행해야 한다.
     다. 포크를 이용하여 사람을 싣거나 들어 올리지 않아야 한다.
     라. 경사지를 오르거나 내려올 때는 급회전을 금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전진으로 내려가면 적재물이 쏟아지겠죠?
[해설작성자 : 미남]

화물을 적재하고 경사지를 내려갈 때는 운전시야 확보를 위해 후진으로 운행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해병 수송병]

25. 브레이크 파이프 내에 베이퍼록이 발생하는 원인과 가장거리가 먼 것은?(2006년 04월)
     가. 드럼의 과열
     나. 지나친 브레이크 조작
     다. 잔압의 저하
     라. 라이닝과 드럼의 간극과대

     정답 : []
     정답률 : 39%

26. 불도우저가 진흙에 트랙 일부가 묻힐 정도로 빠진 경우, 진흙에서 벗어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2월)
     가. 다른 도저의 윈치를 사용하여 벗어난다.
     나. 유압잭으로 고이고 이탈 주행한다.
     다. 블레이드를 높이 들고 긴 침목을 트랙의 앞쪽에 와이어로프로 묶고 전진 주행한다.
     라. 삽으로 차체의 밑 부분과 트랙 밑 부분의 진흙을 파내고 벼짚단을 깔고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27. 다음 중 통행의 우선순위가 맞는 것은?(2009년 01월)
     가. 긴급자동차→일반자동차→원동기장치 자전거
     나. 긴급자동차→원동기장치 자전거→승용자동차
     다. 건설기계→원동기장치 자전거→승합자동차
     라. 승합자동차→원동기장치 자전거→긴급자동차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긴급자동차 = 소방차, 구급차
일반자동차 = 우리가 타고다니는 자가용
원동기장치 자전거 = 전동킥보드
[해설작성자 : 정신병원수석환자]

28. 자동차에서 팔을 차체의 밖으로 내어45° 밑으로 펴서 상하로 흔들고 있을 때의 신호는?(2011년 07월)
     가. 서행신호
     나. 정지신호
     다. 주의신호
     라. 앞지르기신호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워워 진정하라는 뜻이죠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고 상하로 흔들면 서행입니다.
[해설작성자 : 늅이]

29. 건설기계의 등록원부는 등록을 말소한 후 얼마의 기한 동안 보존하여야 하는가?(2010년 10월)
     가. 5년
     나. 10년
     다. 15년
     라. 20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
[시행 2025. 8. 5.] [국토교통부령 제1515호, 2025. 8. 5., 일부개정]

제12조(등록원부의 보존등) 시ㆍ도지사는 건설기계등록원부를 건설기계의 등록을 말소한 날부터 10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개정 2009. 4. 7.>
[해설작성자 : 잘봐둬이몸]

30. 도로교통법상에서 교통안전표지의 구분이 맞는 것은?(2011년 02월)
     가. 주의표지, 통행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차선표지
     나.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노면표지
     다. 도로표지,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노면표지
     라.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차선표지, 도로표지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주의표지:도로상태가 위험하거나 도로 또는 그부근에 위험물있는 경우 필요한 안전조치를 할수 있도록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규제표지: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제한, 금지등 규제를 하는 경우 이를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지시표지:통행방법, 통행구분 등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시를 하는 경우 도로 사용자기 이를 따르도록 알리는 표지
보조표지 :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의 주 기능을 보충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노면표지 :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주의, 규제등의 내용을 노면에 기호, 문자 선으로 알리는 표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건설기계조종사면허가 취소된 상태로 건설기계를 계속하여 조종한 자에 대한 벌칙은?(2021년 개정된 기준 적용됨)(2007년 09월)
     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나.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다. 2백만원 이하의 벌금
     라. 1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무면허 운전은 1년이하 징역 1천만원 이하 벌금 으로 바뀌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신호기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과 경찰관의 수신호가 다른 경우 통행방법으로 옳은 것은?(2007년 07월)
     가. 경찰관 수신호를 우선적으로 따른다.
     나. 신호기 신호를 우선적으로 따른다.
     다. 자기가 판단하여 위험이 없다고 생각되면 아무 신호에 따라도 좋다.
     라. 수신호는 보조신호이므로 따르지 않아도 좋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경찰이 군대로 따지면 헌병이나 마찬가지입니다 .
규율로 제재 하며 다스리니 믿고 따르세요.
아니면 , 경찰이 책임 질 겁니다 .
[해설작성자 : 구닌]

33. 도로 주행에서 앞지르기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1월)
     가. 앞지르기를 하는 때에는 안전한 속도와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나. 앞차가 다른 차를 앞지르고 있을 때 그 차를 앞지를 수 있다.
     다. 앞지르기를 하는 때에는 교통상황에 따라 경음기를 울릴 수 있다.
     라. 경찰공무원의 지시를 따르거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 또는 서행하고 있는 다른 차를 앞지를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34. 폐기요청을 받은 건설기계를 폐기하지 아니하거나 등록번호표를 폐기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은?(2015년 08월 1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1년 07월)
     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나.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다. 2백만원 이하의 벌금
     라. 1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걸설기계관리법 제25조의2 2항. 건설기계해체재활용업자는 제1항에 따라 건설기계와 등록번호표를 인수하면 해당 건설기계를 폐기한 후 등록번호표를 절단하여 폐기하여야 한다. 다만, 제1항에 따라 인수한 건설기계를 건설기계해체재활용업자가 「관세법」에 따라 수출신고를 하고 수출하거나 수출업자에게 판매하는 경우에는 폐기하지 아니할 수 있다.

건설기계관리법 제41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9. 16., 2012. 2. 22., 2015. 1. 6., 2015. 8. 11.>

건설기계관리법 제41조1의 3항 1의3. 제25조의2제2항을 위반하여 폐기요청을 받은 건설기계를 폐기하지 아니하거나 등록번호표를 폐기하지 아니한 자


첫 개정이 2011년 9월 16일 개정 되었고. 최종 개정은(현재 유지되고 있는 법안) 2015년 8월 11일 개정된 내용입니다.

그래서 현재 정확한 답안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영준]

35. 건설기계의 조종 중 과실로 100만원의 재산피해를 입힌 때 면허 처분 기준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8년 07월)
     가. 면허 효력정지 7일
     나. 면허 효력정지 10일
     다. 면허 효력정지 15일
     라. 면허 효력정지 20일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과실금액 10만원당 10일
[해설작성자 : 미래]

<건설기계 조종 면허의 효력정지>
재산피해 금액 50만원 마다 면허 효력정지 1일씩 추가되며 최대 90일을 넘지 못함.
정답은 2일
[해설작성자 : 장피에르]

2020년 최신 규정 기준으로 50만원당 1일이라 정답은 2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창원기공정밀화이팅]

36. 도로교통법상 폭우·폭설·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 내일 때 최고속도의 감속으로 맞는 것은?(2011년 04월)
     가. 20%
     나. 50%
     다. 60%
     라. 80%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있거나 눈이 20mm 미만 쌓인 경우 최고 속도 제한의 20%
폭우, 폭설, 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인 경우나 노면이 얼어붙은 경우, 눈이 20mm 이상 쌓인 경우는 최고 속도 제한의 50% 감속

20% or 50% 문제
[해설작성자 : 하이텍박동준]

37.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높을 때 발생되는 현상으로 적합한 것은?(2007년 07월)
     가. 동력손실의 증가
     나. 내부누설의 증가
     다. 펌프효율의 증가
     라. 마찰 .마모 감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작동유의 점도가 높으면 작동유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도 더 많이 들 테니 동력손실이 증가합니다.
2. 작동유의 점도가 높으면 더 끈끈해지니, 내부누설이 증가하진 않습니다.
3. 작동유의 점도가 높으면 작동유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도 더 많이 들 테니 펌프의 효율이 감소합니다.
4. 작동유의 점도가 높다고 마찰, 마모가 감소하진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어떻게 하면 쉽게 외울까]

38. 유압펌프에서 토출량은?(2004년 04월)
     가. 펌프가 어느 체적당 용기에 가하는 체적
     나. 펌프가 단위 시간당 토출하는 액체의 체적
     다. 펌프가 어느 체적당 토출하는 액체의 체적
     라. 펌프가 최대시간 내에 토출하는 액체의 최대 체적

     정답 : []
     정답률 : 60%

39. 유압의 압력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1년 04월)
     가. 압력 = 단면적x가해진 힘
     나. 압력 = 가해진 힘/단면적
     다. 압력 = 단면적/가해진 힘
     라. 압력 = 가해진힘-단면적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파스칼의 원리에 의해
압력 P = 가해진힘 F    / 단면적 A
[해설작성자 : 주워니]

40. 유압 작동유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2005년 01월)
     가. 온도에 의한 점도 변화가 적을 것
     나. 거품이 적을 것
     다. 방청, 방식성이 있을 것
     라. 물, 먼지 등의 불순물과 혼합이 잘될 것

     정답 : []
     정답률 : 79%

41. 기어식 유압펌프에서 소음이 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7월)
     가. 흡입 라인의 막힘
     나. 오일량의 과다
     다. 펌프의 베어링 마모
     라. 오일의 과부족

     정답 : []
     정답률 : 75%

42. 릴리프밸브(relief valve)에서 볼(ball)이 밸브의 시트(seat)를 때려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은?(2009년 01월)
     가. 차터링(chatterlng) 현상
     나. 베이퍼록(vapor lock) 현상
     다. 페이드(fade) 현상
     라. 노킹(knocking) 현상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챠터링 = 찰칼찰칼 ! 밸브가 떨면서 소리낸다
볼이 시트를 때리며 챠챠챠 소리처럼 진동과 소음 발생
[해설작성자 : 한큐]

43. 압력제어 밸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가. 릴리프 밸브
     나. 감압 밸브
     다. 시퀸스 밸브
     라. 스로틀 밸브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압력 제어밸브의 종류
1.릴리프 밸브    2.감압(리듀싱)밸브    3.시퀸스 밸브
4.언로더 밸브    5.카운터 밸런스 밸브
[해설작성자 : 이리공고 기계과 손민우]

1번이나 2번을 고르신 분은 거의 없을 테고, 대부분 3번을 고르셨을 겁니다.

시퀀스 밸브는 작동 순서를 회로의 압력으로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회로 내의 압력 상승을 검출하여 밸브를 열고, 추가로 압력을 전달하여 실린더나 방향제어밸브를 움직여 작동 순서를 제어합니다.
즉 '압력을 제어하여' 작동 순서를 변경하므로 압력제어 밸브에 해당합니다.

추가로, 스로틀 밸브를 쓰는 장비를 다루는 곳에서 일했던 분들 중에선 4번을 고르신 분도 계실 겁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시면 스로틀 밸브는 '유량'을 조절하지 '압력'을 조절하진 않습니다. 혼동하지 마세요~
[해설작성자 : 어떻게 하면 쉽게 외울까]

44. 유압회로에서 소음이 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9월)
     가. 회로 내 공기 혼입
     나. 유압저하
     다. 채터링 현상
     라. 캐비테이션 현상

     정답 : []
     정답률 : 38%

45. 유압펌프가 오일을 토출하지 않을 경우 점검항목 중 틀린 것은?(2007년 07월)
     가. 오일탱크에 오일이 규정량으로 들어 있는지 점검 한다.
     나. 흡입 스트레이너가 막혀 있지 않은지 점검한다.
     다. 흡입 관로에서 공기를 빨아들이지 않는지 점검한 다.
     라. 토출측 회로에 압력이 너무 낮은지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46. 유압계통에서 오일의 누설 점검시 유의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7월)
     가. 오일의 윤활성
     나. 실(seal)의 마모
     다. 실(seal)의 파손
     라. 볼트의 이완

     정답 : []
     정답률 : 58%

47. 회전중인 물체를 정지시킬 때 안전한 방법은?(2005년 07월)
     가. 발로 정지시킨다.
     나. 손으로 정지시킨다.
     다. 스스로 정지하도록 한다.
     라. 공구로 정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9%

48. 간단한 장비점검 및 수리를 위해 스패너를 사용하려고 한다. 맞는 것은?(2009년 01월)
     가. 스패너는 볼트, 너트에 관계없이 아무거나 사용한다.
     나. 크기가 맞지 않으면 쐐기를 박아서 사용한다.
     다. 파이프를 스패너 자루에 끼워서 사용한다.
     라. 스패너는 볼트, 너트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49. 작업장의 안전수칙 중 틀린 것은?(2011년 04월)
     가. 공구는 오래 사용하기 위하여 기름을 묻혀서 사용한다.
     나. 작업복과 안전장구는 반드시 착용한다.
     다. 각종기계를 불필요하게 공회전 시키지 않는다.
     라. 기계의 청소나 손질은 운전을 정지 시킨 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공구에는 되도록 기름 및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합니다.
[해설작성자 : 이리공고 기계과 손민우]

50. 작업장에 대한 안전 관리상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1월)
     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한다.
     나. 작업대 사이, 또는 기계 사이의 통로는 안전을 위한 일정한 너비가 필요하다.
     다. 공장바닥은 폐유를 뿌려 먼지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라. 전원 콘센트 및 스위치 등에 물을 뿌리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바닥에 폐유뿌리면 큰일나쥬?

51. 산업안전에서 안전의 3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4월)
     가. 관리적 요소
     나. 자본적 요소
     다. 기술적 요소
     라. 교육적 요소

     정답 : []
     정답률 : 84%

52. 작업시 보안경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4월)
     가. 장비 밑에서 정비 작업할 때
     나. 인체에 해로운 가스가 발생하는 작업장
     다. 철분, 모래 등이 날리는 작업장
     라. 전기용접 및 가스용접 작업장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번은 방독면을 써야해요~

53. 작업장에서 방진마스크를 착용해야 할 경우는?(2007년 09월)
     가. 소음이 심한 작업장
     나. 분진이 많은 작업장
     다. 온도가 낮은 작업장
     라. 산소가 결핍되기 쉬운 작업장

     정답 : []
     정답률 : 85%

54. 산, 알칼리 소화기는 어떤 화재에 가장 적합한 가?(2006년 01월)
     가. A급 화재
     나. B급 화재
     다. C급 화재
     라. D급 화재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A급화재 - 일반화재
B급화재 - 기름화재
C급화재 - 전기화재
D급화재 - 금속화재
[해설작성자 : 엠씨아이]

A급화재 - 일반화재 (물,분말,포,이산화탄소,강화액,산,알칼리)
B급화재 - 기름화재 (분말,포,이산화탄소)
C급화재 - 전기화재 (분말,유기성,이산화탄소,무상강화액,할로겐화합물)
D급화재 - 금속화재 (건조된 모래)
[해설작성자 : 토깽이]

55. 운전자가 작업개시 전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10월)
     가. 점검표기에 따라 점검한다.
     나. 이상 부위 발견 시 운전자는 즉시 정비한다.
     다. 장비의 구조와 개요, 기능을 숙지한다.
     라. 장비의 이상 유무를 항상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운전사는 정비사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수원공고 자동차과]

56. 안전작업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2005년 07월)
     가. 전기장치는 접지를 하고, 이동식 전기기구는 방호장치를 한다.
     나. 엔진에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에 대비한 통풍 장치를 설치한다.
     다. 담뱃불은 발화력이 약하므로 어느 곳에서나 흡연해도 무방하다.
     라. 주요 장비 등은 조작자를 지정하여 누구나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57. 가공 전선로에서 건설기계 운전작업시 안전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1월)
     가. 안전한 작업계획을 수립한다.
     나. 장비사용을 위한 신호수를 정한다.
     다. 가공선로에 대한 감전방지 수단을 강구한다.
     라. 가급적 짐은 가공선로 하단에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가공 전선로에서 건설기계 운전작업을 할 때는 항상 조심해야 되며, 가공선로 하단에 짐을 보관하게 되면 나중에 그 짐을 건설기계로 꺼낼 때 땅 파던 도중 멋모르고 전선줄을 건드려서 전기가 통해서 건설기계랑 운전자랑 모두 전기통구이가 되어버립니다. 그러므로 가공선로 상단에 보관하도록 해야 굳이 건설기계로 땅을 파시고 자시고 할 것 없이 곧바로 상온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짐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마로]

58. 도시가스 매설배관의 최고 사용압력에 따른 보호포의 바탕 색상이 바른 것은?(2008년 03월)
     가. 저압-황색, 중압 이상-적색
     나. 저압-흰색, 중압 이상-적색
     다. 저압-적색, 중압 이상-황색
     라. 저압-적색, 중압 이상-흰색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저압=>황 중압이상=>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가스배관과 수평거리 몇 cm 이내에서는 파일박기를 할 수 없도록 도시가스 사업법에 규정되어 있는가?(2011년 07월)
     가. 30
     나. 60
     다. 90
     라. 12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가스배관과 수평거리는 30cm 이내에서는 파일박기를 할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진주기공 강강건건]

60. 파일항타기를 이용한 파일작업 중 지하에 매설된 전력케이블 외피가 손상되었다. 다음 중 맞는 것은?(2005년 04월)
     가. 케이블 내에 있는 동선에 손상이 없으면 전력공급에 지장이 없다.
     나. 케이블 외피를 마른헝겊으로 감아 놓았다.
     다. 인근 한국전력사업소에 통보하고 손상부위를 절연테이프로 감은 후 흙으로 덮었다.
     라. 인근 한국전력사업소에 연락하여 한전직원이 조치토록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0%


정 답 지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17011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디젤기관의 시동보조장치에 사용되는 디콤프(de-comp)의 기능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7월)
     가. 기관의 출력을 증대하는 장치이다.
     나. 한랭시 시동할 때 원활한 회전으로 시동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다. 기관의 시동을 정지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라. 기동전동기에 무리가 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2. 밸브스템엔드와 로커암(태핏) 사이의 간극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4년 04월)
     가. 로커암 간극
     나. 캠 간극
     다. 스템 간극
     라. 밸브 간극

     정답 : []
     정답률 : 51%

3. 기관 과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2005년 07월)
     가. 라디에이터 막힘
     나. 냉각장치 내부에 물때가 끼었을 때
     다. 냉각수의 부족
     라. 오일의 압력 과다

     정답 : []
     정답률 : 66%

4. 라디에이터 캡의 스프링이 파손 되었을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상은?(2010년 10월)
     가. 냉각수 비등점이 낮아진다.
     나. 냉각수 순환이 불량해진다.
     다. 냉각수 순환이 빨라진다.
     라. 냉각수 비등점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라디에이터 캡은 냉각수에 압력을 주어 비등점(끓는점)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운전병]

5. 기관이 작동 중 라디에이터 캡 쪽으로 물이 상승하면서 연소가스가 누출될 때의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2009년 07월)
     가. 실린더 헤드에 균열이 생겼다.
     나. 분사노즐의 동 와셔가 불량하다.
     다. 물 펌프에 누설이 생겼다.
     라. 라디에이터 캡이 불량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6. 냉각장치에서 밀봉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가. 엔진온도를 높일 때
     나. 엔진온도를 낮게 할 때
     다. 압력밸브가 고장일 때
     라. 냉각수의 비점을 높일 때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비점이라는 말은 끓는 점이라는 것 아시죠? 물은 원래 100도에서 끊잖아요. 하지만 밀봉압력식으로 하면 냉각수의 비점(끊는점)을 120도까지 올릴수 있답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게토레이]

7. 운전 중 기관의 공기청정기가 막히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6년 04월)
     가. 배출 가스색은 검고, 출력은 저하한다.
     나. 배출 가스색은 희고, 출력은 정상이다.
     다. 배출 가스색은 청백색이고, 출력은 증가한다.
     라. 배출 가스색은 무색이고, 출력과는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90%

8.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전동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4월)
     가. 냉각수 온도에 따라 작동한다.
     나. 엔진이 시동되면 회전한다.
     다. 팬벨트는 필요 없다.
     라. 형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약 85∼100℃에서 간헐적으로 작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냉각 팬의 특징
1. 엔진과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2.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킨다.
3. 배기 다기관의 과열을 방지한다.
4. 냉각 팬은 물 펌프 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2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장피에르]

9. 연료탱크의 연료를 분사펌프 저압부까지 공급하는 것은?(2008년 02월)
     가. 연료공급 펌프
     나. 연료분사 펌프
     다. 인젝션 펌프
     라. 로터리 펌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료공급 펌프입니다
[해설작성자 : 커피마시고싶다]

10. 윤활유의 소비가 증대될 수 있는 두 가지 원인은?(2004년 04월)
     가. 연소와 누설
     나. 비산과 압력
     다. 비산과 희석
     라. 희석과 혼합

     정답 : []
     정답률 : 73%

11. 기관에 사용되는 오일 여과기에 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가. 여과기가 막히면 유압이 높아진다.
     나. 엘리먼트 청소는 압축공기를 사용한다.
     다. 여과 능력이 불량하면 부품의 마모가 빠르다.
     라. 작업 조건이 나쁘면 교환 시기를 빨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압축공기를 사용하는것은 건식일때
오일을 여과시키는 것은 오일이 묻어있는 습식이므로 솔벤트 등을 이용하여 청소
[해설작성자 : 잘봐둬이몸]

12. 4행정 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윤활방식은?(2009년 01월)
     가. 혼합식
     나. 분리식
     다. 중력식
     라. 압송식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행정: 흡입 압축 폭발 배기

13. 고장 진단 및 테스트용 출력 단자를 갖추고 있으며, 항상 시스템을 감시하고, 필요하면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보내주는 기능에 해당되는 것은?(2005년 10월)
     가. 제어 유닛
     나. 피드백
     다. 주파수 신호처리
     라. 자기진단

     정답 : []
     정답률 : 56%

14. 기관 시동장치에서 링기어를 회전 시키는 구동 피니언은 어느 곳에 부착되어 있는가?(2006년 04월)
     가. 클러치
     나. 변속기
     다. 기동전동기
     라. 뒷차축

     정답 : []
     정답률 : 49%

15. 퓨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7월)
     가. 퓨즈는 정격용량을 사용한다.
     나. 퓨즈 용량은 A로 표시한다.
     다. 퓨즈는 철사로 대용하여도 된다.
     라. 퓨즈는 표면이 산화되면 끊어지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2%

16. 건설기계장비의 축전지 케이블 탈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2008년 07월)
     가. 절연되어 있는 케이블을 먼저 탈거한다.
     나. 아무 케이블이나 먼저 탈거한다.
     다. 케이블을 먼저 탈거한다.
     라. 접지되어 있는 케이블을 먼저 탈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축전지 케이블 탈거 시 접지단자(-)를 먼저 탈거하고
설치 시에는 접지단자(-)를 먼저 연결한다.
[해설작성자 : 황뽕알]

17. 납산 축전지가 방전되어 급속 충전을 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가. 충전 중 전해액의 온도가 45℃가 넘지 않도록 한다.
     나. 충전 중 가스가 많이 발생되면 충전을 중단한다.
     다. 충전전류는 축전지 용량과 같게 한다.
     라. 충전시간은 가능한 짧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충전전류는 축전지 용량의 1/2정도가 좋다.
[해설작성자: 나주공고 게토레이]

18. AC 발전기에서 작동시 전자석이 되는 것은?(2008년 10월)
     가. 발전기 팬
     나. 스테이터
     다. 계자
     라. 로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로터가 자계(자력-전자석)를 발생시키고, 스테이터가 3상 전압을 유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클러치식 지게차 동력 전달 순서는?(2007년 09월)
     가. 엔진 → 클러치 → 변속기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앞구동축 → 차륜
     나. 엔진 → 변속기 → 클러치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앞구동축 → 차륜
     다. 엔진 → 클러치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변속기 → 앞구동축 → 차륜
     라. 엔진 → 변속기 → 클러치 → 앞구동축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차륜

     정답 : []
     정답률 : 57%

20. 운전 중 클러치가 미끄러질 때의 영향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가. 속도 감소
     나. 견인력 감소
     다. 연료소비량 증가
     라. 엔진의 과냉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클러치의 기능은 차량의 속도 조절 및 전후진의 역할을 하는데...
시내 버스를 타고 가다 보면 차가 출발할때 차에서 끄르륵 소리나죠?
이소리가 클러치가 미끄러지는 소리입니다.
이로 인해 속도가 감속하고, 견인력(출력)이 감소하며, 연료소비는 증가, 엔진이 과열 될수 있겠지요?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게토레이]

21. 장비의 운행 중 변속 레버가 빠질 수 있는 원인에 해당 되는 것은?(2010년 01월)
     가. 기어가 충분히 물리지 않을 때
     나. 클러치 조정이 불량할 때
     다. 릴리스 베어링이 파손되었을 때
     라. 클러치 연결이 분리되었을 때

     정답 : []
     정답률 : 57%

22. 휠 로더의 붐과 버킷 레버를 동시에 당기면 작동은?(2011년 10월)
     가. 붐만 상승한다.
     나. 버킷만 오무려 진다.
     다. 붐은 상승하고 버킷은 오무려 진다.
     라. 작동이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둘 다 동시에 작동하면 당연히 둘 다 동시에 작동
[해설작성자 : ㅇㅈ충]

23. 지게차로 적재작업을 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5년 10월)
     가. 운반하려고 하는 화물가까이가면 속도를 줄인다.
     나. 화물 앞에서 일단 정지한다.
     다. 화물이 무너지거나 파손 등의 위험성 여부를 확인한다.
     라. 화물을 높이 들어 올려 아랫부분을 확인하며 천천히 출발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24. 지게차 작업시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2011년 07월)
     가. 주차 시에는 포크를 완전히 지면에 내려야 한다.
     나. 화물을 적재하고 경사지를 내려갈 때는 운전 시야 확보를 위해 전진으로 운행해야 한다.
     다. 포크를 이용하여 사람을 싣거나 들어 올리지 않아야 한다.
     라. 경사지를 오르거나 내려올 때는 급회전을 금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전진으로 내려가면 적재물이 쏟아지겠죠?
[해설작성자 : 미남]

화물을 적재하고 경사지를 내려갈 때는 운전시야 확보를 위해 후진으로 운행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해병 수송병]

25. 브레이크 파이프 내에 베이퍼록이 발생하는 원인과 가장거리가 먼 것은?(2006년 04월)
     가. 드럼의 과열
     나. 지나친 브레이크 조작
     다. 잔압의 저하
     라. 라이닝과 드럼의 간극과대

     정답 : []
     정답률 : 39%

26. 불도우저가 진흙에 트랙 일부가 묻힐 정도로 빠진 경우, 진흙에서 벗어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2월)
     가. 다른 도저의 윈치를 사용하여 벗어난다.
     나. 유압잭으로 고이고 이탈 주행한다.
     다. 블레이드를 높이 들고 긴 침목을 트랙의 앞쪽에 와이어로프로 묶고 전진 주행한다.
     라. 삽으로 차체의 밑 부분과 트랙 밑 부분의 진흙을 파내고 벼짚단을 깔고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27. 다음 중 통행의 우선순위가 맞는 것은?(2009년 01월)
     가. 긴급자동차→일반자동차→원동기장치 자전거
     나. 긴급자동차→원동기장치 자전거→승용자동차
     다. 건설기계→원동기장치 자전거→승합자동차
     라. 승합자동차→원동기장치 자전거→긴급자동차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긴급자동차 = 소방차, 구급차
일반자동차 = 우리가 타고다니는 자가용
원동기장치 자전거 = 전동킥보드
[해설작성자 : 정신병원수석환자]

28. 자동차에서 팔을 차체의 밖으로 내어45° 밑으로 펴서 상하로 흔들고 있을 때의 신호는?(2011년 07월)
     가. 서행신호
     나. 정지신호
     다. 주의신호
     라. 앞지르기신호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워워 진정하라는 뜻이죠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고 상하로 흔들면 서행입니다.
[해설작성자 : 늅이]

29. 건설기계의 등록원부는 등록을 말소한 후 얼마의 기한 동안 보존하여야 하는가?(2010년 10월)
     가. 5년
     나. 10년
     다. 15년
     라. 20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
[시행 2025. 8. 5.] [국토교통부령 제1515호, 2025. 8. 5., 일부개정]

제12조(등록원부의 보존등) 시ㆍ도지사는 건설기계등록원부를 건설기계의 등록을 말소한 날부터 10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개정 2009. 4. 7.>
[해설작성자 : 잘봐둬이몸]

30. 도로교통법상에서 교통안전표지의 구분이 맞는 것은?(2011년 02월)
     가. 주의표지, 통행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차선표지
     나.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노면표지
     다. 도로표지,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노면표지
     라.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차선표지, 도로표지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주의표지:도로상태가 위험하거나 도로 또는 그부근에 위험물있는 경우 필요한 안전조치를 할수 있도록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규제표지: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제한, 금지등 규제를 하는 경우 이를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지시표지:통행방법, 통행구분 등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시를 하는 경우 도로 사용자기 이를 따르도록 알리는 표지
보조표지 :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의 주 기능을 보충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노면표지 :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주의, 규제등의 내용을 노면에 기호, 문자 선으로 알리는 표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건설기계조종사면허가 취소된 상태로 건설기계를 계속하여 조종한 자에 대한 벌칙은?(2021년 개정된 기준 적용됨)(2007년 09월)
     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나.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다. 2백만원 이하의 벌금
     라. 1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무면허 운전은 1년이하 징역 1천만원 이하 벌금 으로 바뀌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신호기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과 경찰관의 수신호가 다른 경우 통행방법으로 옳은 것은?(2007년 07월)
     가. 경찰관 수신호를 우선적으로 따른다.
     나. 신호기 신호를 우선적으로 따른다.
     다. 자기가 판단하여 위험이 없다고 생각되면 아무 신호에 따라도 좋다.
     라. 수신호는 보조신호이므로 따르지 않아도 좋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경찰이 군대로 따지면 헌병이나 마찬가지입니다 .
규율로 제재 하며 다스리니 믿고 따르세요.
아니면 , 경찰이 책임 질 겁니다 .
[해설작성자 : 구닌]

33. 도로 주행에서 앞지르기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1월)
     가. 앞지르기를 하는 때에는 안전한 속도와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나. 앞차가 다른 차를 앞지르고 있을 때 그 차를 앞지를 수 있다.
     다. 앞지르기를 하는 때에는 교통상황에 따라 경음기를 울릴 수 있다.
     라. 경찰공무원의 지시를 따르거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 또는 서행하고 있는 다른 차를 앞지를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34. 폐기요청을 받은 건설기계를 폐기하지 아니하거나 등록번호표를 폐기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은?(2015년 08월 1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1년 07월)
     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나.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다. 2백만원 이하의 벌금
     라. 1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걸설기계관리법 제25조의2 2항. 건설기계해체재활용업자는 제1항에 따라 건설기계와 등록번호표를 인수하면 해당 건설기계를 폐기한 후 등록번호표를 절단하여 폐기하여야 한다. 다만, 제1항에 따라 인수한 건설기계를 건설기계해체재활용업자가 「관세법」에 따라 수출신고를 하고 수출하거나 수출업자에게 판매하는 경우에는 폐기하지 아니할 수 있다.

건설기계관리법 제41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9. 16., 2012. 2. 22., 2015. 1. 6., 2015. 8. 11.>

건설기계관리법 제41조1의 3항 1의3. 제25조의2제2항을 위반하여 폐기요청을 받은 건설기계를 폐기하지 아니하거나 등록번호표를 폐기하지 아니한 자


첫 개정이 2011년 9월 16일 개정 되었고. 최종 개정은(현재 유지되고 있는 법안) 2015년 8월 11일 개정된 내용입니다.

그래서 현재 정확한 답안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영준]

35. 건설기계의 조종 중 과실로 100만원의 재산피해를 입힌 때 면허 처분 기준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8년 07월)
     가. 면허 효력정지 7일
     나. 면허 효력정지 10일
     다. 면허 효력정지 15일
     라. 면허 효력정지 20일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과실금액 10만원당 10일
[해설작성자 : 미래]

<건설기계 조종 면허의 효력정지>
재산피해 금액 50만원 마다 면허 효력정지 1일씩 추가되며 최대 90일을 넘지 못함.
정답은 2일
[해설작성자 : 장피에르]

2020년 최신 규정 기준으로 50만원당 1일이라 정답은 2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창원기공정밀화이팅]

36. 도로교통법상 폭우·폭설·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 내일 때 최고속도의 감속으로 맞는 것은?(2011년 04월)
     가. 20%
     나. 50%
     다. 60%
     라. 80%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있거나 눈이 20mm 미만 쌓인 경우 최고 속도 제한의 20%
폭우, 폭설, 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인 경우나 노면이 얼어붙은 경우, 눈이 20mm 이상 쌓인 경우는 최고 속도 제한의 50% 감속

20% or 50% 문제
[해설작성자 : 하이텍박동준]

37.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높을 때 발생되는 현상으로 적합한 것은?(2007년 07월)
     가. 동력손실의 증가
     나. 내부누설의 증가
     다. 펌프효율의 증가
     라. 마찰 .마모 감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작동유의 점도가 높으면 작동유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도 더 많이 들 테니 동력손실이 증가합니다.
2. 작동유의 점도가 높으면 더 끈끈해지니, 내부누설이 증가하진 않습니다.
3. 작동유의 점도가 높으면 작동유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도 더 많이 들 테니 펌프의 효율이 감소합니다.
4. 작동유의 점도가 높다고 마찰, 마모가 감소하진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어떻게 하면 쉽게 외울까]

38. 유압펌프에서 토출량은?(2004년 04월)
     가. 펌프가 어느 체적당 용기에 가하는 체적
     나. 펌프가 단위 시간당 토출하는 액체의 체적
     다. 펌프가 어느 체적당 토출하는 액체의 체적
     라. 펌프가 최대시간 내에 토출하는 액체의 최대 체적

     정답 : []
     정답률 : 60%

39. 유압의 압력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1년 04월)
     가. 압력 = 단면적x가해진 힘
     나. 압력 = 가해진 힘/단면적
     다. 압력 = 단면적/가해진 힘
     라. 압력 = 가해진힘-단면적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파스칼의 원리에 의해
압력 P = 가해진힘 F    / 단면적 A
[해설작성자 : 주워니]

40. 유압 작동유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2005년 01월)
     가. 온도에 의한 점도 변화가 적을 것
     나. 거품이 적을 것
     다. 방청, 방식성이 있을 것
     라. 물, 먼지 등의 불순물과 혼합이 잘될 것

     정답 : []
     정답률 : 79%

41. 기어식 유압펌프에서 소음이 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7월)
     가. 흡입 라인의 막힘
     나. 오일량의 과다
     다. 펌프의 베어링 마모
     라. 오일의 과부족

     정답 : []
     정답률 : 75%

42. 릴리프밸브(relief valve)에서 볼(ball)이 밸브의 시트(seat)를 때려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은?(2009년 01월)
     가. 차터링(chatterlng) 현상
     나. 베이퍼록(vapor lock) 현상
     다. 페이드(fade) 현상
     라. 노킹(knocking) 현상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챠터링 = 찰칼찰칼 ! 밸브가 떨면서 소리낸다
볼이 시트를 때리며 챠챠챠 소리처럼 진동과 소음 발생
[해설작성자 : 한큐]

43. 압력제어 밸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가. 릴리프 밸브
     나. 감압 밸브
     다. 시퀸스 밸브
     라. 스로틀 밸브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압력 제어밸브의 종류
1.릴리프 밸브    2.감압(리듀싱)밸브    3.시퀸스 밸브
4.언로더 밸브    5.카운터 밸런스 밸브
[해설작성자 : 이리공고 기계과 손민우]

1번이나 2번을 고르신 분은 거의 없을 테고, 대부분 3번을 고르셨을 겁니다.

시퀀스 밸브는 작동 순서를 회로의 압력으로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회로 내의 압력 상승을 검출하여 밸브를 열고, 추가로 압력을 전달하여 실린더나 방향제어밸브를 움직여 작동 순서를 제어합니다.
즉 '압력을 제어하여' 작동 순서를 변경하므로 압력제어 밸브에 해당합니다.

추가로, 스로틀 밸브를 쓰는 장비를 다루는 곳에서 일했던 분들 중에선 4번을 고르신 분도 계실 겁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시면 스로틀 밸브는 '유량'을 조절하지 '압력'을 조절하진 않습니다. 혼동하지 마세요~
[해설작성자 : 어떻게 하면 쉽게 외울까]

44. 유압회로에서 소음이 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9월)
     가. 회로 내 공기 혼입
     나. 유압저하
     다. 채터링 현상
     라. 캐비테이션 현상

     정답 : []
     정답률 : 38%

45. 유압펌프가 오일을 토출하지 않을 경우 점검항목 중 틀린 것은?(2007년 07월)
     가. 오일탱크에 오일이 규정량으로 들어 있는지 점검 한다.
     나. 흡입 스트레이너가 막혀 있지 않은지 점검한다.
     다. 흡입 관로에서 공기를 빨아들이지 않는지 점검한 다.
     라. 토출측 회로에 압력이 너무 낮은지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46. 유압계통에서 오일의 누설 점검시 유의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7월)
     가. 오일의 윤활성
     나. 실(seal)의 마모
     다. 실(seal)의 파손
     라. 볼트의 이완

     정답 : []
     정답률 : 58%

47. 회전중인 물체를 정지시킬 때 안전한 방법은?(2005년 07월)
     가. 발로 정지시킨다.
     나. 손으로 정지시킨다.
     다. 스스로 정지하도록 한다.
     라. 공구로 정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9%

48. 간단한 장비점검 및 수리를 위해 스패너를 사용하려고 한다. 맞는 것은?(2009년 01월)
     가. 스패너는 볼트, 너트에 관계없이 아무거나 사용한다.
     나. 크기가 맞지 않으면 쐐기를 박아서 사용한다.
     다. 파이프를 스패너 자루에 끼워서 사용한다.
     라. 스패너는 볼트, 너트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49. 작업장의 안전수칙 중 틀린 것은?(2011년 04월)
     가. 공구는 오래 사용하기 위하여 기름을 묻혀서 사용한다.
     나. 작업복과 안전장구는 반드시 착용한다.
     다. 각종기계를 불필요하게 공회전 시키지 않는다.
     라. 기계의 청소나 손질은 운전을 정지 시킨 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공구에는 되도록 기름 및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합니다.
[해설작성자 : 이리공고 기계과 손민우]

50. 작업장에 대한 안전 관리상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1월)
     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한다.
     나. 작업대 사이, 또는 기계 사이의 통로는 안전을 위한 일정한 너비가 필요하다.
     다. 공장바닥은 폐유를 뿌려 먼지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라. 전원 콘센트 및 스위치 등에 물을 뿌리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바닥에 폐유뿌리면 큰일나쥬?

51. 산업안전에서 안전의 3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4월)
     가. 관리적 요소
     나. 자본적 요소
     다. 기술적 요소
     라. 교육적 요소

     정답 : []
     정답률 : 84%

52. 작업시 보안경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4월)
     가. 장비 밑에서 정비 작업할 때
     나. 인체에 해로운 가스가 발생하는 작업장
     다. 철분, 모래 등이 날리는 작업장
     라. 전기용접 및 가스용접 작업장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번은 방독면을 써야해요~

53. 작업장에서 방진마스크를 착용해야 할 경우는?(2007년 09월)
     가. 소음이 심한 작업장
     나. 분진이 많은 작업장
     다. 온도가 낮은 작업장
     라. 산소가 결핍되기 쉬운 작업장

     정답 : []
     정답률 : 85%

54. 산, 알칼리 소화기는 어떤 화재에 가장 적합한 가?(2006년 01월)
     가. A급 화재
     나. B급 화재
     다. C급 화재
     라. D급 화재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A급화재 - 일반화재
B급화재 - 기름화재
C급화재 - 전기화재
D급화재 - 금속화재
[해설작성자 : 엠씨아이]

A급화재 - 일반화재 (물,분말,포,이산화탄소,강화액,산,알칼리)
B급화재 - 기름화재 (분말,포,이산화탄소)
C급화재 - 전기화재 (분말,유기성,이산화탄소,무상강화액,할로겐화합물)
D급화재 - 금속화재 (건조된 모래)
[해설작성자 : 토깽이]

55. 운전자가 작업개시 전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10월)
     가. 점검표기에 따라 점검한다.
     나. 이상 부위 발견 시 운전자는 즉시 정비한다.
     다. 장비의 구조와 개요, 기능을 숙지한다.
     라. 장비의 이상 유무를 항상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운전사는 정비사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수원공고 자동차과]

56. 안전작업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2005년 07월)
     가. 전기장치는 접지를 하고, 이동식 전기기구는 방호장치를 한다.
     나. 엔진에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에 대비한 통풍 장치를 설치한다.
     다. 담뱃불은 발화력이 약하므로 어느 곳에서나 흡연해도 무방하다.
     라. 주요 장비 등은 조작자를 지정하여 누구나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57. 가공 전선로에서 건설기계 운전작업시 안전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1월)
     가. 안전한 작업계획을 수립한다.
     나. 장비사용을 위한 신호수를 정한다.
     다. 가공선로에 대한 감전방지 수단을 강구한다.
     라. 가급적 짐은 가공선로 하단에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가공 전선로에서 건설기계 운전작업을 할 때는 항상 조심해야 되며, 가공선로 하단에 짐을 보관하게 되면 나중에 그 짐을 건설기계로 꺼낼 때 땅 파던 도중 멋모르고 전선줄을 건드려서 전기가 통해서 건설기계랑 운전자랑 모두 전기통구이가 되어버립니다. 그러므로 가공선로 상단에 보관하도록 해야 굳이 건설기계로 땅을 파시고 자시고 할 것 없이 곧바로 상온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짐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마로]

58. 도시가스 매설배관의 최고 사용압력에 따른 보호포의 바탕 색상이 바른 것은?(2008년 03월)
     가. 저압-황색, 중압 이상-적색
     나. 저압-흰색, 중압 이상-적색
     다. 저압-적색, 중압 이상-황색
     라. 저압-적색, 중압 이상-흰색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저압=>황 중압이상=>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가스배관과 수평거리 몇 cm 이내에서는 파일박기를 할 수 없도록 도시가스 사업법에 규정되어 있는가?(2011년 07월)
     가. 30
     나. 60
     다. 90
     라. 12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가스배관과 수평거리는 30cm 이내에서는 파일박기를 할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진주기공 강강건건]

60. 파일항타기를 이용한 파일작업 중 지하에 매설된 전력케이블 외피가 손상되었다. 다음 중 맞는 것은?(2005년 04월)
     가. 케이블 내에 있는 동선에 손상이 없으면 전력공급에 지장이 없다.
     나. 케이블 외피를 마른헝겊으로 감아 놓았다.
     다. 인근 한국전력사업소에 통보하고 손상부위를 절연테이프로 감은 후 흙으로 덮었다.
     라. 인근 한국전력사업소에 연락하여 한전직원이 조치토록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17011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613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6515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17011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11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10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9 금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2447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8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7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5 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4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3 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40213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2 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1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09801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00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99 9급 지방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628778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98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597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7월22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96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95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7월22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94 유기농업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82 Next
/ 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