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97062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온도가 100℃일 때 전건목재의 비열은?(2018년 08월)
     1. 0.182kcal/kg℃
     2. 0.282kcal/kg℃
     3. 0.382kcal/kg℃
     4. 0.482kcal/kg℃

     정답 : []
     정답률 : 69%

2. 목재의 모든 공극이 제외된 목재실질의 용적과 중량으로 구한 값은?(2018년 08월)
     1. 가비중
     2. 비용적
     3. 공극률
     4. 진비중

     정답 : []
     정답률 : 89%

3. 다공질 재료를 흡음재료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재료 표면의 세공을 메우거나 두꺼운 도장을 하지 말 것
     2. 두꺼운 도장을 할 경우에는 관통하지 않는 구멍을 뚫어 실질부를 노출할 것
     3. 판상재료의 경우 판진동에 의한 저음역소음이 발생하므로 배후에 공기층이 없도록 할 것
     4. 관통 구멍이 있는 얇은 합판 등을 덮을 경우에는 구멍의 개구율을 30%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71%

4. 시험재의 전건무게가 1000g이고 건조 중에 시험재의 무게가 1300g일 때 건조 중 함수율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20%
     2. 25%
     3. 30%
     4. 35%

     정답 : []
     정답률 : 90%

5. 목재의 하중단면적이 A, 최대압축하중이 P이면 종압축강도는?(2018년 08월)
     1. P÷A
     2. P×A
     3. P×A2
     4. P÷A2

     정답 : []
     정답률 : 73%

6.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목리배향
     2. 옹이 유무
     3. 이상재 여부
     4. 섬유포화점 이상에서의 함수율 값

     정답 : []
     정답률 : 83%

7. 목재의 방향에 의한 열팽창 크기의 순서로 옳은 것은? (단, awℓ : 섬유방향, awr : 방사방향, awt : 접선방향)(2013년 09월)
     1. awt > awr > awℓ
     2. awt > awℓ > awr
     3. awr > awt > awℓ
     4. awℓ > awt >awr

     정답 : []
     정답률 : 80%

8. 함수율 15%인 목재의 비열(cal/g·℃)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0.312
     2. 0.412
     3. 0.512
     4. 0.612

     정답 : []
     정답률 : 29%

9. 목재의 평형함수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기건함수율은 일종의 평형함수율이다.
     2. 평형함수율은 목재 수종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다.
     3. 평형함수율은 공기 중의 온도와 풍속에 의해 결정된다.
     4. 대기 중에 방치된 목재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수분평형상태에 이르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10. 목재는 탄성한계 내의 작은 응력에서도 외력이 장시간 작용하면 변형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목재의 어떤 성질 때문인가?(2016년 10월)
     1. 탄성적 성질
     2. 취성적 성질
     3. 점탄성적 성질
     4. 탄소성적 성질

     정답 : []
     정답률 : 74%

11. 목재의 비중이 증가하면 나타나는 목재의 성질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수축률이 감소한다.
     2. 목재강도가 감소한다.
     3. 절삭 소용동력이 증가한다.
     4. 도료 부착성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2. 목재의 진비중은 실질 용적의 측정에 사용하는 치환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헬륨가스 사용시의 진비중의 값은?(2013년 09월)
     1. 1.30
     2. 1.46
     3. 1.60
     4. 1.70

     정답 : []
     정답률 : 75%

13. 섬유방향 탄성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비중이 클수록 탄성계수는 커진다.
     2. 함수율이 클수록 탄성계수는 커진다.
     3.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이 클수록 탄성계수는 커진다.
     4. 셀룰로오스 결정화도가 클수록 클수록 탄성계수는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마이크로피브릴경사각이 작을수록 탄성계수가 증가
[해설작성자 : 권순우]

14. 헬륨치환법에 의하여 구한 목재의 진비중은?(2018년 08월)
     1. 1.36
     2. 1.46
     3. 1.56
     4. 1.66

     정답 : []
     정답률 : 71%

15. 목재의 한단면에 힘 P가 작용했을 때 이 힘의 수평분력 S는 다음 중 어떤 응력인가?(2004년 08월)

    

     1. 압축응력
     2. 인장응력
     3. 충격응력
     4. 전단응력

     정답 : []
     정답률 : 70%

16. 목재의 섬유에 평행한 방향의 열전도율은 섬유에 직각 방향보다 어느 정도 큰가?(2012년 09월)
     1. 약 1~2 배
     2. 약 2~3 배
     3. 약 3~4 배
     4. 약 4~5 배

     정답 : []
     정답률 : 76%

17. 시편의 전건비중이 0.6이고, 진비중이 1.5일 때 공극률은?(2016년 10월)
     1. 0.4
     2. 0.5
     3. 0.6
     4. 0.7

     정답 : []
     정답률 : 66%

18. 다음 그림은 응력-변형선도(應力-變形線圖, stressstrain diagram, S-S diagram)이다. σ p 는 무엇인가?(2004년 08월)

    

     1. 파괴응력
     2. 탄성한도
     3. 비례한도
     4. 피로한도

     정답 : []
     정답률 : 48%

19. 목재의 전기 저항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12년 09월)
     1.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저항율은 증가한다.
     2. 온도가 상승하면 감소한다.
     3. 수종에 따라 전기 저항율의 변동이 심하다.
     4. 섬유주향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9%

20. 목재의 응력-변형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비례한계와 탄성한계는 기본적으로 같은 개념이다.
     2. 목재 파괴 시의 응력을 파괴응력 또는 항복 응력이라 한다.
     3. 모든 물체는 외력이 작용하면 변형이 수반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완전히 회복된다.
     4. 비례한계는 응력과 변형간의 직선관계가 성립되는 한계점을 말하고, 비례한계 내에서 응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순간적으로 회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2과목 : 목재해부학


21. 미성숙재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일반적으로 비중이 작다.
     2. 가도관의 길이가 비교적 짧다.
     3. 대부분 산옹이를 포함하고 있다.
     4. 연륜폭이 좁고 만재율의 변이가 적다.

     정답 : []
     정답률 : 61%

22. 활엽수제에서 타일로시스가 가장 잘 발달하는 곳은?(2018년 08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목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65%

23. 다음 설명 중 일반적인 열대재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취약심재를 갖고 있다.
     2. 교착목리가 많다.
     3. 대부분의 시장재는 환공재이다.
     4. 도관의 천공은 단일 천공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53%

24. 중문공(유연막공)의 구조를 그린 그림에서 A부분의 명칭은?(2003년 08월)

    

     1. 문공환(pit annulus)
     2. 문공강(pit cavity)
     3. 문공연(윤대:pit border)
     4. 문공구(pit canal)

     정답 : []
     정답률 : 77%

25. 활엽수재를 해부학적으로 식벽할 때 주요 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74%

26. 정상수지구를 지니지 않는 수종은?(2013년 09월)
     1. 잎갈나무
     2. 소나무
     3. 잣나무
     4. 삼나무

     정답 : []
     정답률 : 31%

27. 경사지에서 구부러져 자란 나무는 정상적으로 자란나무와는 달리 가도관의 벽층 중에 생기지 않은 층(層)이 있다.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4년 08월)
     1. 1차벽
     2. 2차벽 외층(S1)
     3. 2차벽 중층(S2)
     4. 2차벽 내층(S3)

     정답 : []
     정답률 : 64%

28. 조재와 만재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수종은?(2019년 04월)
     1. 주목
     2. 소나무
     3. 은행나무
     4. 일본잎갈나무

     정답 : []
     정답률 : 48%

29. 천공의 모양, 나선비후의 유무, 방사조직의 동성 혹은 이성을 관찰할 때 가장 적당한 단면은?(2019년 04월)
     1. 횡단면
     2. 판목면
     3. 접선단면
     4. 방사단면

     정답 : []
     정답률 : 65%

30. 활엽수재에서 집합방사조직의 구성 형태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비중이 큰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2. 비중이 작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3. 나비가 넓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4. 나비가 좁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정답 : []
     정답률 : 59%

31. 분비세포(Secretory cell)는 박막의 대형세포로서 목재에 있는 상태는?(2003년 08월)
     1. 도관사이에 분재하고 있다.
     2. 분비세포만으로 집단을 이루워 단독으로 춘재부에만 산재하고 있다.
     3. 도관이나 가도관과 혼재하고 있다.
     4. 목부 모세포 사이에 분재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32. 다음 그림에서 접선단면은?(2017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33. 주로 열대재의 유세포 중에 존재하며 목재의 절삭가공 시 절삭기구의 칼날 마모를 촉진시키고 해충 저항성을 나타내게 하는 것은?(2016년 10월)
     1. 결정
     2. 수지
     3. 실리카
     4. 격벽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62%

34. 침엽수재는 단열방사조직이 특징이나 다음 세포가 방사조직내 포함되면 접선단면에서 보았을 때 방추형 방사조직이 된다.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4년 08월)
     1. 수직수지구
     2. 수평수지구
     3. 후벽수지구
     4. 박벽수지구

     정답 : []
     정답률 : 72%

35. 활엽수재의 벽공실 안쪽에 전부 또는 일부가 2차벽에서 생성된 돌기물로 덮여 있는 벽공은?(2019년 04월)
     1. 맹벽공
     2. 분지벽공
     3. 유연벽공
     4. 베스쳐드 벽공

     정답 : []
     정답률 : 66%

36. 가문비나무와 비교하여 소나무 정상수지구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소나무의 수직수지구 에피데리얼세포는 박벽이다.
     2. 소나무의 수평수지구 에피데리얼세포는 수분 이동 세포이다.
     3. 소나무 수지구가 가문비나무의 것보다 오랜 기간 동안 송진을 분비한다.
     4. 소나무 수직수지구의 크기가 더 크다.

     정답 : []
     정답률 : 52%

37. 세포벽에서 가장 두꺼운 층은?(2019년 04월)
     1. 1차벽
     2. 2차벽의 증층
     3. 2차벽의 외층
     4. 2차벽의 내층

     정답 : []
     정답률 : 77%

38. 가장 두꺼운 벽의 에피델리얼 세포를 가지고 있는 수종은?(2019년 04월)
     1. 곰솔
     2. 소나무
     3. 잣나무
     4. 일본잎갈나무

     정답 : []
     정답률 : 37%

39. 침엽수에서 편심생장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상재는?(2018년 08월)
     1. 압축 이상재
     2. 편심 이상재
     3. 인장 이상재
     4. 전단 이상재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침엽수 압축이상재, 활엽수 인장이상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다음 중 침엽수재 가도관과 방사조직 각각의 구성비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9월)
     1. 95%, 5%
     2. 85%, 15%
     3. 75%, 25%
     4. 50%, 50%

     정답 : []
     정답률 : 85%

3과목 : 목재화학


41. 셀룰로오스 분자의 단위포(單位胞, unit ce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단사정계(單斜晶系)모형이며 β = 84° 이다.
     2. 포도당 단위가 2개 결합한 셀로비오스의 주기로 나타난다.
     3. 단위포의 4구석과 중앙주쇄의 분자방향은 동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4. 분자상호간에는 glucoside 결합, 수소결합, vander waals 인력이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2. 펙틴(Pecti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Polygalacturonic acid가 주 성분을 이룬다.
     2. 목재의 주 성분 중 하나이다.
     3. arabinose와 galactose를 소량 포함한다.
     4. 세포 중간층에 주로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43. 리그닌 분석용 시료로 사용되는 탈지시료는 어떤 유기용매로 처리한 것인가?(2004년 08월)
     1. 에틸알콜
     2. 에틸알콜-벤젠 혼합액
     3. 벤젠
     4. 아세톤

     정답 : []
     정답률 : 80%

44. 다음 목재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함량이 가장 낮은 것은?(2019년 04월)
     1. C(탄소)
     2. N(질소)
     3. H(수소)
     4. O(산소)

     정답 : []
     정답률 : 71%

45. 셀룰로오스 화학구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방향족 화합물
     2. 글루코시드 결합
     3. 환원성 말단기
     4. 비환원성 말단기

     정답 : []
     정답률 : 63%

46. 목재 세포벽의 주성분인 다당류를 알칼리와 반응시켰다. 이때 환원성 말단기부터 단계적으로 분해하는 반응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8월)
     1. peeling off 반응
     2. stopping 반응
     3. hydrolysis 반응
     4. hydrogenolysis 반응

     정답 : []
     정답률 : 67%

47. 다음 중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프라본(flavone)
     2. 스틸벤(stilbene)
     3. 칼콘(chalcone)
     4. 아우론(aurone)

     정답 : []
     정답률 : 78%

48. 중합도(Degree of Polymenization)가 8000인 천연 섬유소의 분자량은?(2018년 08월)
     1. 1,296,000
     2. 1,396,000
     3. 1,496,000
     4. 1,596,000

     정답 : []
     정답률 : 56%

49. Cell-ONa + ClCH2COONa → Cell-OCH2COONa + NaCl 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셀룰로오스의 유도체는?(2003년 08월)
     1. Carboxymethyl cellulose
     2. Hydroxyethyl cellulose
     3. Acethylpropionyl cellulose
     4. Cyano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64%

50. 재생셀롤로오스인 레이온과 셀로판의 결정구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9년 04월)
     1. 셀룰로오스Ⅰ
     2. 셀룰로오스Ⅱ
     3. 셀룰로오스Ⅲ
     4. 셀룰로오스Ⅳ

     정답 : []
     정답률 : 72%

51. 목재를 구성하는 주요 원소는?(2019년 04월)
     1. Na, Ca, Li
     2. F, Cl, Pb
     3. H, O, C
     4. Ne, S, P

     정답 : []
     정답률 : 84%

52. 셀룰로오스의 구조 및 성질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양말단기를 제하고는 글루코오스 단위당 3개의 수산기가 있다.
     2. 글루코오스의 1과 4번 탄소의 수산기가 탈수 축합된 구조이다.
     3. 용해용 용매로는 다이옥산(Dioxane)이 이용된다.
     4. 목재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는 면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보다 낮다.

     정답 : []
     정답률 : 60%

53. 셀룰로오스의 결정형에는 Ⅰ, Ⅱ, Ⅲ, Ⅳ의 4종류가 있다. 다음 중 셀룰로오스 Ⅰ은 무엇인가?(2017년 08월)
     1. 재생 셀룰로오스
     2.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3. 헤미 셀룰로오스
     4. 천연 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78%

54. 건조법으로 목재의 함수율 측정 시 항온건조기의 가장 적합한 온도는?(2012년 09월)
     1. 95±3℃
     2. 100±3℃
     3. 105±3℃
     4. 110±3℃

     정답 : []
     정답률 : 76%

5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모노클로로초산에 침적시킨 후 가성소다 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2.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염화메틸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3. 셀룰로오스를 질산-황산의 혼산으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4.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디아조메탄(diazomethane)으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56. Xylan을 산소, 알칼리 등으로 반응시켰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Aldonic acid 말단기 생성
     2. 가용성 유기산 생성
     3. 중합도 상승
     4. Uronic acid 의 탈리

     정답 : []
     정답률 : 36%

57. 점도법에 의한 섬유소(Cellulose)의 분자량이 497,800 이었다. 섬유소의 반복단량기(monomeric repeating unit)의 분자량이 162 라 할 때 이 섬유소의 중합도는?(2003년 08월)
     1. 약 1,000
     2. 약 2,000
     3. 약 3,000
     4. 약 4,000

     정답 : []
     정답률 : 59%

58. α - 셀룰로오스의 필링오프(peeling-off)반응으로 생성되는 최종 안정산물은?(2003년 08월)
     1. 글루코오스(glucose)
     2.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3. 글루코사카린산(glucosaccharinic acid)
     4. 글루코이소사카린산(glucoisosaccharinic acid)

     정답 : []
     정답률 : 30%

59.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과의 비 ()가 2.0인 섬유소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0 일 때, 중량 평균 분자량은?(2003년 08월)
     1. = 500,000
     2. = 1,000,000
     3. = 1,500,000
     4. = 2,000,000

     정답 : []
     정답률 : 75%

60. 셀룰로오스의 알칼리 분해 반응 중 peeling off 반응은 어떤 기구로 반응하는가?(2017년 08월)
     1. 셀룰로오스 분자가 알칼리에 의하여 무질서하게 분해된다.
     2. 셀룰로오스의 환원성말단기부터 하나씩 분해된다.
     3. 셀룰로오스의 비환원성말단기부터 하나씩 분해된다.
     4. 글루코오스 분자로 무질서하게 분해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4과목 : 임산제조학


61. 산가수분해로 당이 생성되는 성분은?(2018년 08월)
     1. 셀롤로오스와 리그닌
     2. 헤미셀롤로오스와 리그닌
     3. 헤미셀롤로오스와 추출물
     4. 헤미셀롤로오스와 셀롤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74%

62. cellulose가 산(HCl, H2SO4등)에 의하여 가수분해될 때 생성되는 당은?(2003년 08월)
     1. glucose
     2. xylose
     3. galactose
     4. mannose

     정답 : []
     정답률 : 50%

63. 쇄목펄프 제조에 영향을 주는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목재의 함수율이 낮을수록 마쇄가 용이하다.
     2. 재색이 희고 강도가 우수하고 섬유장이 긴 것이 좋다.
     3. 가문비나무와 전나무는 펄프품질 및 생산성이 높고 동력소비가 적은 편이다.
     4. 비중이 높은 활엽수는 강도가 낮고 재색이 나쁘므로 사용에 제한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40%

64. 제지과정에서 사용되는 첨가제에서 전기이중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고정층과 확산층을 합하여 전기이중층이라고 한다.
     2. 입자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이온의 수는 감소하지만 코이온의 수는 증가한다.
     3. 표면전하를 띤 입자가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물속에 존재하면 입자 주변의 이온분포가 변화된다.
     4. 입자 표면에 매우 가깝게 위치한 대이온은 강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그 입자의 표면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65. 통기(通氣)카울(ventilated caul)은 어느 건조법에 사용하는 기구인가?(2013년 09월)
     1. 고온건조
     2. 열판건조
     3. 고주파건조
     4. 제습건조

     정답 : []
     정답률 : 49%

66. 종이의 코팅 가공에서 주로 사용하는 연료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카올린
     2. 인산염
     3. 탄산칼슘
     4. 수산화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50%

67. 눈메꿈(눈막이)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마무리 도료의 침투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공정이다.
     2. 전색제의 종류에 따라 수성, 유성, 합성수지 눈메꿈제로 구분한다.
     3. 보통 착색공정 다음에 적용하나 때로는 초벌칠 후에 적용하기도 한다.
     4. 목재 표면의 공극을 적당한 물질로 메워 평활한 표면을 만들기 위한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68. SR여수도 측정기의 측면 배수구에서 배출된 수량이 750cc 일 때 이 펄프의 여수도는?(2012년 09월)
     1. 20° SR
     2. 25° SR
     3. 30° SR
     4. 35° SR

     정답 : []
     정답률 : 62%

69. 촉진 천연건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생재에서 5% 정도까지 건조한다.
     2. 송풍 및 태양열 건조장치 등을 이용한다.
     3. 강우가 장시간 계속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4. 장치 설계나 조작을 잘못할 경우 변색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48%

70. 파티클보드 제조시 열압기내에서 열이 하는 역할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접착제가 가능한 한 빠르게 경화할 수 있도록 보드의 온도를 높여준다.
     2. 열압 후 내부응력완화와 스프링 백의 최소화에 기여한다.
     3. 매트내 파티클간에 우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소성을 부여한다.
     4.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중층의 함수율을 표층보다 높게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71. 무디어진 쇄목석의 날을 세우는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6년 10월)
     1. 목립
     2. 피트
     3. 핑거바
     4. 매거진

     정답 : []
     정답률 : 57%

72. 크라프트 증해액 중 Na2S의 역할을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2003년 08월)
     1. 리그닌의 β - alylether의 개열 촉진
     2. 리그닌의 β - alylether의 개열 억제
     3. 리그닌의 α - alylether의 개열 촉진
     4. 리그닌의 α - alylether의 개열 억제

     정답 : []
     정답률 : 46%

73. 화학펄프를 염소 처리하여 표백할 때 가장 활발한 염소화 반응을 위한 pH 조건은?(2019년 04월)
     1. pH 0.5~1.5
     2. pH 2~2.5
     3. pH 3~5
     4. pH 5~7

     정답 : []
     정답률 : 59%

74. 목재의 건조 시 할렬 예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엔드 코팅을 한다.
     2. 저온에서 건조한다.
     3. 건조 초기에 건습구 온도 차를 크게 한다.
     4. 재목의 횡단면이 잔적에서 돌출되지 않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75. 합판 프레스(press)의 압력 조절시 직경 500 mm 면적 0.196m2의 램(Ram) 1본으로 1m × 2m 크기의 합판에 14.5kg/cm2의 압력을 줄려고 할 때 유압 펌프의 게이지(gauge) 압력은?(2003년 08월)
     1. 135 kg/cm2
     2. 148 kg/cm2
     3. 156 kg/cm2
     4. 167 kg/cm2

     정답 : []
     정답률 : 58%

76. 목재를 건조했을 때 내부와 외부의 응력이 다르므로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8월)
     1. 찌그러짐(collapse)
     2. 봉소열, 내부할열(honey combing)
     3. 표면 경화(casehardening)
     4. 뒤틀림(twisting)

     정답 : []
     정답률 : 53%

77. 크라프트 펄프화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활성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활성알칼리의 백분율이다.
     2. 황화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Na2S의 백분율이다.
     3. 총약품은 용액 중에 존재하는 총 Na 염을 가리킨다.
     4. 가성화도는 활성알칼리에 대한 Na2O의 백분율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78. 압축목재의 압축 직후 두께가 2cm이고, 최대 회복 후 압축목재의 두께는 2.4cm였다. 압축 전 원래 목재의 두께가 3.0cm였다면 이 목재의 최대 영구회복율은?(2018년 08월)
     1. 20%
     2. 25%
     3. 40%
     4. 50%

     정답 : []
     정답률 : 44%

79. 연료용 알콜 및 부동액 다이너마이트용 글리세린의 공급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2단 가수분해(전가수분해 및 주가수분해)를 행하는 것은?(2013년 09월)
     1. Peoria법(NRRL법)
     2. Inventa사법
     3. 개량 Madison법
     4. Giordani-Leone법

     정답 : []
     정답률 : 38%

80. 목재의 치수안정화 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수직적층
     2. 피복처리
     3. 가교결합
     4. 용적처리

     정답 : []
     정답률 : 45%

81. 히라다가나무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심재보다는 변재를 주로 침해한다.
     2. 활엽수보다는 침엽수에 주로 발생한다.
     3. 전분량이 많은 나무일수록 피해를 많이 준다.
     4. 함수율이 30% 이하인 건조재를 주로 가해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8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혼합약제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미날리스
     2. 불화나트륨
     3. 피레소오트
     4. 크롬화염화아연

     정답 : []
     정답률 : 29%

83. 건조한 참나무를 목재의 변재로 만든 장롱에서 주로 관찰될 수 있는 해층은?(2018년 08월)
     1. 흰개미
     2. 하늘소
     3. 개나무좀
     4. 가루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55%

84. 목재 방부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유상 방부제는 유용성 방부제와 달리 보존효력은 있으나 처리재를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2. 수용성 방부제는 효력이 높은 한 종류의 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대부분 유기화합물이다.
     3. 유용성 방부제는 용탈에 저항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표면장력이 낮으므로 목재내에 침투가 용이하다.
     4. 수용성 방부제는 값비싼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목재의 표면을 청결하게 하고 도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85. 부후된 목재 내의 균사 분포와 조직 변화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2012년 09월)
     1. 부후 초기에도 육안적 관찰만으로 목재 내 균사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균사는 일직선상으로 곱게 생장한다.
     2. 균사는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세포벽을 관통하며, 세포벽의 벽공이 균사보다 작을 때는 관통하지 못한다.
     3. 부후 말기의 목재 내부는 활력이 높은 균사만이 존재하며, 무수히 많은 목재의 작은 조각들을 발견할 구 있다.
     4. 균사가 세포벽을 관통할 때는 효소작용에 의해 직접 분해하거나 세포벽의 벽공을 통해 들어간다.

     정답 : []
     정답률 : 79%

86. 수용성 방부제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4월)
     1. 크레오소트유 방부제
     2. 지방산 금속염계 방부제
     3. 유기요로드 화합물계 방부제
     4. 산화크롬ㆍ구리 화합물계 방부제

     정답 : []
     정답률 : 69%

87. 갈색부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목재 세포벽을 구성하는 다당류와 리그닌 모두를 분해한다.
     2. 부후 초기에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므로 목재의 강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3. 목재 세포벽의 부후 정도에 따라 동시 분해형과 선택 분해형으로 구분한다.
     4. 고함수율 상태에서 목재가 오랫동안 있게 되는 경우 목재 표면에서 발생하는 피해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88. 방부제를 목재 내부로 균일하고 깊게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적 전처리방법은?(2013년 09월)
     1. 박피
     2. 인사이징
     3. 프리보오링
     4. 꺽쇠박기

     정답 : []
     정답률 : 54%

89. 목재의 연부후를 발생시키는 균의 분류학적 위치는?(2019년 04월)
     1. 방선균
     2. 접합균
     3. 자낭균
     4. 담자균

     정답 : []
     정답률 : 70%

90. 공세포법 중 대표적인 방법으로 방부제를 고르고 깊게 침투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약제를 회수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 할 수 있는 가압 방부처리법은?(2012년 09월)
     1. Ruping process
     2. Burnett process
     3. Lowry process
     4. Bethell process

     정답 : []
     정답률 : 67%

91. 수용성 목재 방부제 중 처리목재의 색을 변색시키지 않는 방부제는?(2013년 09월)
     1.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방부제(ACQ)
     2. 구리·아졸화합물계 방부제(CUAZ)
     3. 알킬암모늄화합물계 방부제(AAC)
     4.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계 방부제(CCFZ)

     정답 : []
     정답률 : 49%

92. 목질재료의 치수안정화 방법 중 직교적층에 의한 효과가 가장 높은 재료는?(2003년 08월)
     1. 섬유판
     2. 삭편판
     3. 합판
     4. 집성재

     정답 : []
     정답률 : 45%

93. 목재의 열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발생 원인은 단순하며 종합적이지 않다.
     2. 주로 화재에 의한 목재의 피해를 말한다.
     3. 미생물이나 충류에 의한 생물열화만을 말한다.
     4. 목재 사용 중 환경 조건에 따라 물리적 및 화학적 성능이 저하되어 저분자 물질로 분해ㆍ변질 소모되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94. 목재의 연소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온도가 상승하여 350~450℃가 되면 목재는 자연 착화된다.
     2. 목재에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100℃를 넘어가면 열분해가 이루어진다.
     3. 목재가 연소되는 위험온도는 260℃이며 목재 방화의 기준 온도가 된다.
     4. 목재가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학 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고 타는 산화 현상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95. 항상 젖어있는 고함수율의 냉각탑 부재를 가해하여 강도를 감소시키는 균류는?(2012년 09월)
     1. 표면오염균
     2. 갈색부후균
     3. 연부후균
     4. 백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75%

96. 다음 방부처리 방법 중 상압식 주입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도포법
     2. 분무법
     3. 온냉욕법
     4. 충세포법

     정답 : []
     정답률 : 43%

97. 목재 방화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황산암모늄
     2. 초산암모늄
     3. 염화암모늄
     4. 제2인산암모늄

     정답 : []
     정답률 : 42%

98. 다음 중 상압식 주입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도포법
     2. 로우리법
     3. 침지법
     4. 온냉욕법

     정답 : []
     정답률 : 38%

99. 단일 방화제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인산제일암모늄
     2. 인산제이암모늄
     3. 탄산나트륨
     4. 미날리스(Minalith)

     정답 : []
     정답률 : 64%

100. 목재에 서식하는 균의 생장 조건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이산화탄소
     2. 산소
     3. 수분
     4. 영양원

     정답 : []
     정답률 : 86%


정 답 지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97062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온도가 100℃일 때 전건목재의 비열은?(2018년 08월)
     1. 0.182kcal/kg℃
     2. 0.282kcal/kg℃
     3. 0.382kcal/kg℃
     4. 0.482kcal/kg℃

     정답 : []
     정답률 : 69%

2. 목재의 모든 공극이 제외된 목재실질의 용적과 중량으로 구한 값은?(2018년 08월)
     1. 가비중
     2. 비용적
     3. 공극률
     4. 진비중

     정답 : []
     정답률 : 89%

3. 다공질 재료를 흡음재료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재료 표면의 세공을 메우거나 두꺼운 도장을 하지 말 것
     2. 두꺼운 도장을 할 경우에는 관통하지 않는 구멍을 뚫어 실질부를 노출할 것
     3. 판상재료의 경우 판진동에 의한 저음역소음이 발생하므로 배후에 공기층이 없도록 할 것
     4. 관통 구멍이 있는 얇은 합판 등을 덮을 경우에는 구멍의 개구율을 30%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71%

4. 시험재의 전건무게가 1000g이고 건조 중에 시험재의 무게가 1300g일 때 건조 중 함수율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20%
     2. 25%
     3. 30%
     4. 35%

     정답 : []
     정답률 : 90%

5. 목재의 하중단면적이 A, 최대압축하중이 P이면 종압축강도는?(2018년 08월)
     1. P÷A
     2. P×A
     3. P×A2
     4. P÷A2

     정답 : []
     정답률 : 73%

6.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목리배향
     2. 옹이 유무
     3. 이상재 여부
     4. 섬유포화점 이상에서의 함수율 값

     정답 : []
     정답률 : 83%

7. 목재의 방향에 의한 열팽창 크기의 순서로 옳은 것은? (단, awℓ : 섬유방향, awr : 방사방향, awt : 접선방향)(2013년 09월)
     1. awt > awr > awℓ
     2. awt > awℓ > awr
     3. awr > awt > awℓ
     4. awℓ > awt >awr

     정답 : []
     정답률 : 80%

8. 함수율 15%인 목재의 비열(cal/g·℃)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0.312
     2. 0.412
     3. 0.512
     4. 0.612

     정답 : []
     정답률 : 29%

9. 목재의 평형함수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기건함수율은 일종의 평형함수율이다.
     2. 평형함수율은 목재 수종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다.
     3. 평형함수율은 공기 중의 온도와 풍속에 의해 결정된다.
     4. 대기 중에 방치된 목재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수분평형상태에 이르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10. 목재는 탄성한계 내의 작은 응력에서도 외력이 장시간 작용하면 변형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목재의 어떤 성질 때문인가?(2016년 10월)
     1. 탄성적 성질
     2. 취성적 성질
     3. 점탄성적 성질
     4. 탄소성적 성질

     정답 : []
     정답률 : 74%

11. 목재의 비중이 증가하면 나타나는 목재의 성질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수축률이 감소한다.
     2. 목재강도가 감소한다.
     3. 절삭 소용동력이 증가한다.
     4. 도료 부착성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2. 목재의 진비중은 실질 용적의 측정에 사용하는 치환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헬륨가스 사용시의 진비중의 값은?(2013년 09월)
     1. 1.30
     2. 1.46
     3. 1.60
     4. 1.70

     정답 : []
     정답률 : 75%

13. 섬유방향 탄성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비중이 클수록 탄성계수는 커진다.
     2. 함수율이 클수록 탄성계수는 커진다.
     3.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이 클수록 탄성계수는 커진다.
     4. 셀룰로오스 결정화도가 클수록 클수록 탄성계수는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마이크로피브릴경사각이 작을수록 탄성계수가 증가
[해설작성자 : 권순우]

14. 헬륨치환법에 의하여 구한 목재의 진비중은?(2018년 08월)
     1. 1.36
     2. 1.46
     3. 1.56
     4. 1.66

     정답 : []
     정답률 : 71%

15. 목재의 한단면에 힘 P가 작용했을 때 이 힘의 수평분력 S는 다음 중 어떤 응력인가?(2004년 08월)

    

     1. 압축응력
     2. 인장응력
     3. 충격응력
     4. 전단응력

     정답 : []
     정답률 : 70%

16. 목재의 섬유에 평행한 방향의 열전도율은 섬유에 직각 방향보다 어느 정도 큰가?(2012년 09월)
     1. 약 1~2 배
     2. 약 2~3 배
     3. 약 3~4 배
     4. 약 4~5 배

     정답 : []
     정답률 : 76%

17. 시편의 전건비중이 0.6이고, 진비중이 1.5일 때 공극률은?(2016년 10월)
     1. 0.4
     2. 0.5
     3. 0.6
     4. 0.7

     정답 : []
     정답률 : 66%

18. 다음 그림은 응력-변형선도(應力-變形線圖, stressstrain diagram, S-S diagram)이다. σ p 는 무엇인가?(2004년 08월)

    

     1. 파괴응력
     2. 탄성한도
     3. 비례한도
     4. 피로한도

     정답 : []
     정답률 : 48%

19. 목재의 전기 저항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12년 09월)
     1.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저항율은 증가한다.
     2. 온도가 상승하면 감소한다.
     3. 수종에 따라 전기 저항율의 변동이 심하다.
     4. 섬유주향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9%

20. 목재의 응력-변형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비례한계와 탄성한계는 기본적으로 같은 개념이다.
     2. 목재 파괴 시의 응력을 파괴응력 또는 항복 응력이라 한다.
     3. 모든 물체는 외력이 작용하면 변형이 수반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완전히 회복된다.
     4. 비례한계는 응력과 변형간의 직선관계가 성립되는 한계점을 말하고, 비례한계 내에서 응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순간적으로 회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2과목 : 목재해부학


21. 미성숙재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일반적으로 비중이 작다.
     2. 가도관의 길이가 비교적 짧다.
     3. 대부분 산옹이를 포함하고 있다.
     4. 연륜폭이 좁고 만재율의 변이가 적다.

     정답 : []
     정답률 : 61%

22. 활엽수제에서 타일로시스가 가장 잘 발달하는 곳은?(2018년 08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목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65%

23. 다음 설명 중 일반적인 열대재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취약심재를 갖고 있다.
     2. 교착목리가 많다.
     3. 대부분의 시장재는 환공재이다.
     4. 도관의 천공은 단일 천공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53%

24. 중문공(유연막공)의 구조를 그린 그림에서 A부분의 명칭은?(2003년 08월)

    

     1. 문공환(pit annulus)
     2. 문공강(pit cavity)
     3. 문공연(윤대:pit border)
     4. 문공구(pit canal)

     정답 : []
     정답률 : 77%

25. 활엽수재를 해부학적으로 식벽할 때 주요 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74%

26. 정상수지구를 지니지 않는 수종은?(2013년 09월)
     1. 잎갈나무
     2. 소나무
     3. 잣나무
     4. 삼나무

     정답 : []
     정답률 : 31%

27. 경사지에서 구부러져 자란 나무는 정상적으로 자란나무와는 달리 가도관의 벽층 중에 생기지 않은 층(層)이 있다.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4년 08월)
     1. 1차벽
     2. 2차벽 외층(S1)
     3. 2차벽 중층(S2)
     4. 2차벽 내층(S3)

     정답 : []
     정답률 : 64%

28. 조재와 만재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수종은?(2019년 04월)
     1. 주목
     2. 소나무
     3. 은행나무
     4. 일본잎갈나무

     정답 : []
     정답률 : 48%

29. 천공의 모양, 나선비후의 유무, 방사조직의 동성 혹은 이성을 관찰할 때 가장 적당한 단면은?(2019년 04월)
     1. 횡단면
     2. 판목면
     3. 접선단면
     4. 방사단면

     정답 : []
     정답률 : 65%

30. 활엽수재에서 집합방사조직의 구성 형태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비중이 큰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2. 비중이 작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3. 나비가 넓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4. 나비가 좁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정답 : []
     정답률 : 59%

31. 분비세포(Secretory cell)는 박막의 대형세포로서 목재에 있는 상태는?(2003년 08월)
     1. 도관사이에 분재하고 있다.
     2. 분비세포만으로 집단을 이루워 단독으로 춘재부에만 산재하고 있다.
     3. 도관이나 가도관과 혼재하고 있다.
     4. 목부 모세포 사이에 분재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32. 다음 그림에서 접선단면은?(2017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33. 주로 열대재의 유세포 중에 존재하며 목재의 절삭가공 시 절삭기구의 칼날 마모를 촉진시키고 해충 저항성을 나타내게 하는 것은?(2016년 10월)
     1. 결정
     2. 수지
     3. 실리카
     4. 격벽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62%

34. 침엽수재는 단열방사조직이 특징이나 다음 세포가 방사조직내 포함되면 접선단면에서 보았을 때 방추형 방사조직이 된다.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4년 08월)
     1. 수직수지구
     2. 수평수지구
     3. 후벽수지구
     4. 박벽수지구

     정답 : []
     정답률 : 72%

35. 활엽수재의 벽공실 안쪽에 전부 또는 일부가 2차벽에서 생성된 돌기물로 덮여 있는 벽공은?(2019년 04월)
     1. 맹벽공
     2. 분지벽공
     3. 유연벽공
     4. 베스쳐드 벽공

     정답 : []
     정답률 : 66%

36. 가문비나무와 비교하여 소나무 정상수지구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소나무의 수직수지구 에피데리얼세포는 박벽이다.
     2. 소나무의 수평수지구 에피데리얼세포는 수분 이동 세포이다.
     3. 소나무 수지구가 가문비나무의 것보다 오랜 기간 동안 송진을 분비한다.
     4. 소나무 수직수지구의 크기가 더 크다.

     정답 : []
     정답률 : 52%

37. 세포벽에서 가장 두꺼운 층은?(2019년 04월)
     1. 1차벽
     2. 2차벽의 증층
     3. 2차벽의 외층
     4. 2차벽의 내층

     정답 : []
     정답률 : 77%

38. 가장 두꺼운 벽의 에피델리얼 세포를 가지고 있는 수종은?(2019년 04월)
     1. 곰솔
     2. 소나무
     3. 잣나무
     4. 일본잎갈나무

     정답 : []
     정답률 : 37%

39. 침엽수에서 편심생장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상재는?(2018년 08월)
     1. 압축 이상재
     2. 편심 이상재
     3. 인장 이상재
     4. 전단 이상재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침엽수 압축이상재, 활엽수 인장이상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다음 중 침엽수재 가도관과 방사조직 각각의 구성비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9월)
     1. 95%, 5%
     2. 85%, 15%
     3. 75%, 25%
     4. 50%, 50%

     정답 : []
     정답률 : 85%

3과목 : 목재화학


41. 셀룰로오스 분자의 단위포(單位胞, unit ce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단사정계(單斜晶系)모형이며 β = 84° 이다.
     2. 포도당 단위가 2개 결합한 셀로비오스의 주기로 나타난다.
     3. 단위포의 4구석과 중앙주쇄의 분자방향은 동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4. 분자상호간에는 glucoside 결합, 수소결합, vander waals 인력이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2. 펙틴(Pecti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Polygalacturonic acid가 주 성분을 이룬다.
     2. 목재의 주 성분 중 하나이다.
     3. arabinose와 galactose를 소량 포함한다.
     4. 세포 중간층에 주로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43. 리그닌 분석용 시료로 사용되는 탈지시료는 어떤 유기용매로 처리한 것인가?(2004년 08월)
     1. 에틸알콜
     2. 에틸알콜-벤젠 혼합액
     3. 벤젠
     4. 아세톤

     정답 : []
     정답률 : 80%

44. 다음 목재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함량이 가장 낮은 것은?(2019년 04월)
     1. C(탄소)
     2. N(질소)
     3. H(수소)
     4. O(산소)

     정답 : []
     정답률 : 71%

45. 셀룰로오스 화학구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방향족 화합물
     2. 글루코시드 결합
     3. 환원성 말단기
     4. 비환원성 말단기

     정답 : []
     정답률 : 63%

46. 목재 세포벽의 주성분인 다당류를 알칼리와 반응시켰다. 이때 환원성 말단기부터 단계적으로 분해하는 반응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8월)
     1. peeling off 반응
     2. stopping 반응
     3. hydrolysis 반응
     4. hydrogenolysis 반응

     정답 : []
     정답률 : 67%

47. 다음 중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프라본(flavone)
     2. 스틸벤(stilbene)
     3. 칼콘(chalcone)
     4. 아우론(aurone)

     정답 : []
     정답률 : 78%

48. 중합도(Degree of Polymenization)가 8000인 천연 섬유소의 분자량은?(2018년 08월)
     1. 1,296,000
     2. 1,396,000
     3. 1,496,000
     4. 1,596,000

     정답 : []
     정답률 : 56%

49. Cell-ONa + ClCH2COONa → Cell-OCH2COONa + NaCl 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셀룰로오스의 유도체는?(2003년 08월)
     1. Carboxymethyl cellulose
     2. Hydroxyethyl cellulose
     3. Acethylpropionyl cellulose
     4. Cyano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64%

50. 재생셀롤로오스인 레이온과 셀로판의 결정구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9년 04월)
     1. 셀룰로오스Ⅰ
     2. 셀룰로오스Ⅱ
     3. 셀룰로오스Ⅲ
     4. 셀룰로오스Ⅳ

     정답 : []
     정답률 : 72%

51. 목재를 구성하는 주요 원소는?(2019년 04월)
     1. Na, Ca, Li
     2. F, Cl, Pb
     3. H, O, C
     4. Ne, S, P

     정답 : []
     정답률 : 84%

52. 셀룰로오스의 구조 및 성질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양말단기를 제하고는 글루코오스 단위당 3개의 수산기가 있다.
     2. 글루코오스의 1과 4번 탄소의 수산기가 탈수 축합된 구조이다.
     3. 용해용 용매로는 다이옥산(Dioxane)이 이용된다.
     4. 목재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는 면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보다 낮다.

     정답 : []
     정답률 : 60%

53. 셀룰로오스의 결정형에는 Ⅰ, Ⅱ, Ⅲ, Ⅳ의 4종류가 있다. 다음 중 셀룰로오스 Ⅰ은 무엇인가?(2017년 08월)
     1. 재생 셀룰로오스
     2.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3. 헤미 셀룰로오스
     4. 천연 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78%

54. 건조법으로 목재의 함수율 측정 시 항온건조기의 가장 적합한 온도는?(2012년 09월)
     1. 95±3℃
     2. 100±3℃
     3. 105±3℃
     4. 110±3℃

     정답 : []
     정답률 : 76%

5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모노클로로초산에 침적시킨 후 가성소다 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2.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염화메틸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3. 셀룰로오스를 질산-황산의 혼산으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4.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디아조메탄(diazomethane)으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56. Xylan을 산소, 알칼리 등으로 반응시켰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Aldonic acid 말단기 생성
     2. 가용성 유기산 생성
     3. 중합도 상승
     4. Uronic acid 의 탈리

     정답 : []
     정답률 : 36%

57. 점도법에 의한 섬유소(Cellulose)의 분자량이 497,800 이었다. 섬유소의 반복단량기(monomeric repeating unit)의 분자량이 162 라 할 때 이 섬유소의 중합도는?(2003년 08월)
     1. 약 1,000
     2. 약 2,000
     3. 약 3,000
     4. 약 4,000

     정답 : []
     정답률 : 59%

58. α - 셀룰로오스의 필링오프(peeling-off)반응으로 생성되는 최종 안정산물은?(2003년 08월)
     1. 글루코오스(glucose)
     2.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3. 글루코사카린산(glucosaccharinic acid)
     4. 글루코이소사카린산(glucoisosaccharinic acid)

     정답 : []
     정답률 : 30%

59.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과의 비 ()가 2.0인 섬유소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0 일 때, 중량 평균 분자량은?(2003년 08월)
     1. = 500,000
     2. = 1,000,000
     3. = 1,500,000
     4. = 2,000,000

     정답 : []
     정답률 : 75%

60. 셀룰로오스의 알칼리 분해 반응 중 peeling off 반응은 어떤 기구로 반응하는가?(2017년 08월)
     1. 셀룰로오스 분자가 알칼리에 의하여 무질서하게 분해된다.
     2. 셀룰로오스의 환원성말단기부터 하나씩 분해된다.
     3. 셀룰로오스의 비환원성말단기부터 하나씩 분해된다.
     4. 글루코오스 분자로 무질서하게 분해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4과목 : 임산제조학


61. 산가수분해로 당이 생성되는 성분은?(2018년 08월)
     1. 셀롤로오스와 리그닌
     2. 헤미셀롤로오스와 리그닌
     3. 헤미셀롤로오스와 추출물
     4. 헤미셀롤로오스와 셀롤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74%

62. cellulose가 산(HCl, H2SO4등)에 의하여 가수분해될 때 생성되는 당은?(2003년 08월)
     1. glucose
     2. xylose
     3. galactose
     4. mannose

     정답 : []
     정답률 : 50%

63. 쇄목펄프 제조에 영향을 주는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목재의 함수율이 낮을수록 마쇄가 용이하다.
     2. 재색이 희고 강도가 우수하고 섬유장이 긴 것이 좋다.
     3. 가문비나무와 전나무는 펄프품질 및 생산성이 높고 동력소비가 적은 편이다.
     4. 비중이 높은 활엽수는 강도가 낮고 재색이 나쁘므로 사용에 제한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40%

64. 제지과정에서 사용되는 첨가제에서 전기이중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고정층과 확산층을 합하여 전기이중층이라고 한다.
     2. 입자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이온의 수는 감소하지만 코이온의 수는 증가한다.
     3. 표면전하를 띤 입자가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물속에 존재하면 입자 주변의 이온분포가 변화된다.
     4. 입자 표면에 매우 가깝게 위치한 대이온은 강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그 입자의 표면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65. 통기(通氣)카울(ventilated caul)은 어느 건조법에 사용하는 기구인가?(2013년 09월)
     1. 고온건조
     2. 열판건조
     3. 고주파건조
     4. 제습건조

     정답 : []
     정답률 : 49%

66. 종이의 코팅 가공에서 주로 사용하는 연료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카올린
     2. 인산염
     3. 탄산칼슘
     4. 수산화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50%

67. 눈메꿈(눈막이)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마무리 도료의 침투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공정이다.
     2. 전색제의 종류에 따라 수성, 유성, 합성수지 눈메꿈제로 구분한다.
     3. 보통 착색공정 다음에 적용하나 때로는 초벌칠 후에 적용하기도 한다.
     4. 목재 표면의 공극을 적당한 물질로 메워 평활한 표면을 만들기 위한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68. SR여수도 측정기의 측면 배수구에서 배출된 수량이 750cc 일 때 이 펄프의 여수도는?(2012년 09월)
     1. 20° SR
     2. 25° SR
     3. 30° SR
     4. 35° SR

     정답 : []
     정답률 : 62%

69. 촉진 천연건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생재에서 5% 정도까지 건조한다.
     2. 송풍 및 태양열 건조장치 등을 이용한다.
     3. 강우가 장시간 계속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4. 장치 설계나 조작을 잘못할 경우 변색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48%

70. 파티클보드 제조시 열압기내에서 열이 하는 역할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접착제가 가능한 한 빠르게 경화할 수 있도록 보드의 온도를 높여준다.
     2. 열압 후 내부응력완화와 스프링 백의 최소화에 기여한다.
     3. 매트내 파티클간에 우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소성을 부여한다.
     4.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중층의 함수율을 표층보다 높게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71. 무디어진 쇄목석의 날을 세우는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6년 10월)
     1. 목립
     2. 피트
     3. 핑거바
     4. 매거진

     정답 : []
     정답률 : 57%

72. 크라프트 증해액 중 Na2S의 역할을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2003년 08월)
     1. 리그닌의 β - alylether의 개열 촉진
     2. 리그닌의 β - alylether의 개열 억제
     3. 리그닌의 α - alylether의 개열 촉진
     4. 리그닌의 α - alylether의 개열 억제

     정답 : []
     정답률 : 46%

73. 화학펄프를 염소 처리하여 표백할 때 가장 활발한 염소화 반응을 위한 pH 조건은?(2019년 04월)
     1. pH 0.5~1.5
     2. pH 2~2.5
     3. pH 3~5
     4. pH 5~7

     정답 : []
     정답률 : 59%

74. 목재의 건조 시 할렬 예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엔드 코팅을 한다.
     2. 저온에서 건조한다.
     3. 건조 초기에 건습구 온도 차를 크게 한다.
     4. 재목의 횡단면이 잔적에서 돌출되지 않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75. 합판 프레스(press)의 압력 조절시 직경 500 mm 면적 0.196m2의 램(Ram) 1본으로 1m × 2m 크기의 합판에 14.5kg/cm2의 압력을 줄려고 할 때 유압 펌프의 게이지(gauge) 압력은?(2003년 08월)
     1. 135 kg/cm2
     2. 148 kg/cm2
     3. 156 kg/cm2
     4. 167 kg/cm2

     정답 : []
     정답률 : 58%

76. 목재를 건조했을 때 내부와 외부의 응력이 다르므로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8월)
     1. 찌그러짐(collapse)
     2. 봉소열, 내부할열(honey combing)
     3. 표면 경화(casehardening)
     4. 뒤틀림(twisting)

     정답 : []
     정답률 : 53%

77. 크라프트 펄프화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활성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활성알칼리의 백분율이다.
     2. 황화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Na2S의 백분율이다.
     3. 총약품은 용액 중에 존재하는 총 Na 염을 가리킨다.
     4. 가성화도는 활성알칼리에 대한 Na2O의 백분율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78. 압축목재의 압축 직후 두께가 2cm이고, 최대 회복 후 압축목재의 두께는 2.4cm였다. 압축 전 원래 목재의 두께가 3.0cm였다면 이 목재의 최대 영구회복율은?(2018년 08월)
     1. 20%
     2. 25%
     3. 40%
     4. 50%

     정답 : []
     정답률 : 44%

79. 연료용 알콜 및 부동액 다이너마이트용 글리세린의 공급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2단 가수분해(전가수분해 및 주가수분해)를 행하는 것은?(2013년 09월)
     1. Peoria법(NRRL법)
     2. Inventa사법
     3. 개량 Madison법
     4. Giordani-Leone법

     정답 : []
     정답률 : 38%

80. 목재의 치수안정화 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수직적층
     2. 피복처리
     3. 가교결합
     4. 용적처리

     정답 : []
     정답률 : 45%

81. 히라다가나무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심재보다는 변재를 주로 침해한다.
     2. 활엽수보다는 침엽수에 주로 발생한다.
     3. 전분량이 많은 나무일수록 피해를 많이 준다.
     4. 함수율이 30% 이하인 건조재를 주로 가해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8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혼합약제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미날리스
     2. 불화나트륨
     3. 피레소오트
     4. 크롬화염화아연

     정답 : []
     정답률 : 29%

83. 건조한 참나무를 목재의 변재로 만든 장롱에서 주로 관찰될 수 있는 해층은?(2018년 08월)
     1. 흰개미
     2. 하늘소
     3. 개나무좀
     4. 가루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55%

84. 목재 방부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유상 방부제는 유용성 방부제와 달리 보존효력은 있으나 처리재를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2. 수용성 방부제는 효력이 높은 한 종류의 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대부분 유기화합물이다.
     3. 유용성 방부제는 용탈에 저항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표면장력이 낮으므로 목재내에 침투가 용이하다.
     4. 수용성 방부제는 값비싼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목재의 표면을 청결하게 하고 도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85. 부후된 목재 내의 균사 분포와 조직 변화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2012년 09월)
     1. 부후 초기에도 육안적 관찰만으로 목재 내 균사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균사는 일직선상으로 곱게 생장한다.
     2. 균사는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세포벽을 관통하며, 세포벽의 벽공이 균사보다 작을 때는 관통하지 못한다.
     3. 부후 말기의 목재 내부는 활력이 높은 균사만이 존재하며, 무수히 많은 목재의 작은 조각들을 발견할 구 있다.
     4. 균사가 세포벽을 관통할 때는 효소작용에 의해 직접 분해하거나 세포벽의 벽공을 통해 들어간다.

     정답 : []
     정답률 : 79%

86. 수용성 방부제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4월)
     1. 크레오소트유 방부제
     2. 지방산 금속염계 방부제
     3. 유기요로드 화합물계 방부제
     4. 산화크롬ㆍ구리 화합물계 방부제

     정답 : []
     정답률 : 69%

87. 갈색부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목재 세포벽을 구성하는 다당류와 리그닌 모두를 분해한다.
     2. 부후 초기에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므로 목재의 강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3. 목재 세포벽의 부후 정도에 따라 동시 분해형과 선택 분해형으로 구분한다.
     4. 고함수율 상태에서 목재가 오랫동안 있게 되는 경우 목재 표면에서 발생하는 피해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88. 방부제를 목재 내부로 균일하고 깊게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적 전처리방법은?(2013년 09월)
     1. 박피
     2. 인사이징
     3. 프리보오링
     4. 꺽쇠박기

     정답 : []
     정답률 : 54%

89. 목재의 연부후를 발생시키는 균의 분류학적 위치는?(2019년 04월)
     1. 방선균
     2. 접합균
     3. 자낭균
     4. 담자균

     정답 : []
     정답률 : 70%

90. 공세포법 중 대표적인 방법으로 방부제를 고르고 깊게 침투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약제를 회수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 할 수 있는 가압 방부처리법은?(2012년 09월)
     1. Ruping process
     2. Burnett process
     3. Lowry process
     4. Bethell process

     정답 : []
     정답률 : 67%

91. 수용성 목재 방부제 중 처리목재의 색을 변색시키지 않는 방부제는?(2013년 09월)
     1.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방부제(ACQ)
     2. 구리·아졸화합물계 방부제(CUAZ)
     3. 알킬암모늄화합물계 방부제(AAC)
     4.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계 방부제(CCFZ)

     정답 : []
     정답률 : 49%

92. 목질재료의 치수안정화 방법 중 직교적층에 의한 효과가 가장 높은 재료는?(2003년 08월)
     1. 섬유판
     2. 삭편판
     3. 합판
     4. 집성재

     정답 : []
     정답률 : 45%

93. 목재의 열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발생 원인은 단순하며 종합적이지 않다.
     2. 주로 화재에 의한 목재의 피해를 말한다.
     3. 미생물이나 충류에 의한 생물열화만을 말한다.
     4. 목재 사용 중 환경 조건에 따라 물리적 및 화학적 성능이 저하되어 저분자 물질로 분해ㆍ변질 소모되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94. 목재의 연소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온도가 상승하여 350~450℃가 되면 목재는 자연 착화된다.
     2. 목재에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100℃를 넘어가면 열분해가 이루어진다.
     3. 목재가 연소되는 위험온도는 260℃이며 목재 방화의 기준 온도가 된다.
     4. 목재가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학 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고 타는 산화 현상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95. 항상 젖어있는 고함수율의 냉각탑 부재를 가해하여 강도를 감소시키는 균류는?(2012년 09월)
     1. 표면오염균
     2. 갈색부후균
     3. 연부후균
     4. 백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75%

96. 다음 방부처리 방법 중 상압식 주입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도포법
     2. 분무법
     3. 온냉욕법
     4. 충세포법

     정답 : []
     정답률 : 43%

97. 목재 방화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황산암모늄
     2. 초산암모늄
     3. 염화암모늄
     4. 제2인산암모늄

     정답 : []
     정답률 : 42%

98. 다음 중 상압식 주입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도포법
     2. 로우리법
     3. 침지법
     4. 온냉욕법

     정답 : []
     정답률 : 38%

99. 단일 방화제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인산제일암모늄
     2. 인산제이암모늄
     3. 탄산나트륨
     4. 미날리스(Minalith)

     정답 : []
     정답률 : 64%

100. 목재에 서식하는 균의 생장 조건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이산화탄소
     2. 산소
     3. 수분
     4. 영양원

     정답 : []
     정답률 : 8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97062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680 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376842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9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8 사회복지사 1급(3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5982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7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6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3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2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97062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70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69 ERP 인사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16661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68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67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93380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66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14208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65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664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379164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663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66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의료관계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661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85 Next
/ 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