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J.D.Brown)의 주제분류법(SC)은 자연과학보다 사회과학을 상위에 배정하였으며 LCC 및 NDC의 주류체계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3.
브리스(H.E.Bliss)의 서지분류법(BC)은 분석합성식 원리를 수용하였으며 콜론분류법(CC)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
4.
조선십진분류법(KDCP)은 한국인이 만든 최초의 십진분류법이며, 주류의 분류기호를 네 자리 숫자로 표기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2.
Charles Ammi Cutter가 제시한 목록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이용자가 알고 있는 저자명, 표제, 주제명으로 자료를 검색하게 한다.
2.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특정 도서를 저자명, 주제명, 문헌의 유형으로 보여 준다.
3.
특정 판 또는 저작의 특성에 따라 자료의 선정을 지원한다.
4.
문헌 간의 관계를 제시하여 목록의 안팎을 항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3번은 cutter가 제시한 목록의 기능이나4번은 ILFRA의 국제목록원칙 규범 가운데 조항 4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록의 기능이다. 참고로 ILFLA에서 제시한 목록의 기능은 1.소장자료 중 서지자원을 탐색하는 일 2.서지자원이나 에이전트를 식별하는 일3.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지자원을 선정하는 일4.기술된 개별자료를 입수,혹은 접근을 확복하는 일5.모록의 안팎을 항해하는 일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한국목록규칙 제4판의 기술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271 p. : 지도, 삽화, 초상 ; 21 cm (기타형태사항으로 지도, 삽화, 초상이 수록됨)
<문제 해설> 1. 항상 외워야 할것으로 삽화가 먼저 기술되어야하고 그 뒤는 자모순으로 기술되어야한다. 답은 삽화, 지도, 초상 2. 쪽수 복잡은 4종 이상의 쪽수에 쓰인다. 답은 3개 다써야됨 4. 발행지가 동경, 부산 순으로 '열기'되었으면 둘다 쓰는게 맞다. 답: 동경, 부산 : 한림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발행지에 외국명, 우리나라 지역명이 순서대로 열기된 경우 먼저 열기된 외국명을 앞에 기재하고 그 다음에 구두법 ; 을 추가하고 우리나라 지역명을 기재한다. 답: 동경; 부산 [해설작성자 : optimus]
4.
다음은 리재철의 한글순도서기호법 제5표를 발췌한 것이다. 이 표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저자기호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김장길→김18
2.
한국도서관협회→한16
3.
박철수→박84
4.
최호연→최94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번은 김 뒤에 'ㅈ'과 'ㅏ'를 숫자로 옮겨야 하니 김72, 3번은 박 뒤에 'ㅊ'과 'ㅓ'를 숫자로 바꾸면 박83 4번은 최 뒤에 'ㅎ'과 'ㅗ'를 숫자로 바꾸면 최95가 됩니다. (ㅊ 다음은 제외랑 ㅊ에 붙는 모음기호를 잘 구분해야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KDC 제6판 사회과학(300) 분야 표목변경 항목의 내용이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6월)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ㄹ, ㅁ
4.
ㄷ, ㄹ, ㅁ
정답 : [
1
] 정답률 : 59%
6.
한국목록규칙 제4판에 제시된 전자자료의 기술을 위한 다음 정보원의 우선순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3년 06월)
1.
(가)→(나)→(다)→(라)
2.
(가)→(다)→(나)→(라)
3.
(다)→(나)→(가)→(라)
4.
(다)→(나)→(라)→(가)
정답 : [
4
] 정답률 : 40%
7.
한국목록규칙 제4판을 적용하여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으로 레코드를 작성할 때, 자료특성사항의 기술 사례가 옳은 것은?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는다)(2023년 06월)
<보기 1>을 대상으로 KCR 제4판과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을 적용하여 <보기 2>의 레코드를 작성하였다. <보기 2>의 필드 기술이 옳지 않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2018년 05월)
1.
ㄱ, ㄴ
2.
ㄴ, ㄷ, ㄹ
3.
ㄴ, ㄹ, ㅁ
4.
ㄴ, ㄷ,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43%
12.
KDC 제6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행정이론 및 철학의 분류기호는?(2021년 06월)
1.
350.1
2.
350.01
3.
351
4.
350.001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첫번째 주기인 특수행정은 무시하고 두번째 주기만 알고 있으면 쉽다. 문제가 행정/이론 및 철학인데 아론 및 철학이나 철학 및 이론이나 같다. 그래서 350 행정학을 기본베이스로 깔고 두번째 주기인 01-09는 표준구분에 따라 세분한다. 고 했으니 350에 철학 및 이론인 01을 붙이면 된다. [해설작성자 : 신인수 추종자]
13.
다음은 KORMARC 형식에서 채택표목으로 사용되지 않은 개인명을 채택표목으로 참조하는 전거레코드의 한 예이다. 이 때 ( ) 안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시기호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200
2.
400
3.
500
4.
700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채택표목으로 사용되지 않은 개인명= 비우선어 = KOMARC 4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KCR 제4판을 적용할 때, 자료에 나타난 각 기술요소의 서지기술이 옳은 것은? (단,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2019년 06월)
브라운(J.D.Brown)의 주제분류법(SC)은 자연과학보다 사회과학을 상위에 배정하였으며 LCC 및 NDC의 주류체계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3.
브리스(H.E.Bliss)의 서지분류법(BC)은 분석합성식 원리를 수용하였으며 콜론분류법(CC)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
4.
조선십진분류법(KDCP)은 한국인이 만든 최초의 십진분류법이며, 주류의 분류기호를 네 자리 숫자로 표기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2.
Charles Ammi Cutter가 제시한 목록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이용자가 알고 있는 저자명, 표제, 주제명으로 자료를 검색하게 한다.
2.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특정 도서를 저자명, 주제명, 문헌의 유형으로 보여 준다.
3.
특정 판 또는 저작의 특성에 따라 자료의 선정을 지원한다.
4.
문헌 간의 관계를 제시하여 목록의 안팎을 항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3번은 cutter가 제시한 목록의 기능이나4번은 ILFRA의 국제목록원칙 규범 가운데 조항 4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록의 기능이다. 참고로 ILFLA에서 제시한 목록의 기능은 1.소장자료 중 서지자원을 탐색하는 일 2.서지자원이나 에이전트를 식별하는 일3.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지자원을 선정하는 일4.기술된 개별자료를 입수,혹은 접근을 확복하는 일5.모록의 안팎을 항해하는 일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한국목록규칙 제4판의 기술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271 p. : 지도, 삽화, 초상 ; 21 cm (기타형태사항으로 지도, 삽화, 초상이 수록됨)
<문제 해설> 1. 항상 외워야 할것으로 삽화가 먼저 기술되어야하고 그 뒤는 자모순으로 기술되어야한다. 답은 삽화, 지도, 초상 2. 쪽수 복잡은 4종 이상의 쪽수에 쓰인다. 답은 3개 다써야됨 4. 발행지가 동경, 부산 순으로 '열기'되었으면 둘다 쓰는게 맞다. 답: 동경, 부산 : 한림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발행지에 외국명, 우리나라 지역명이 순서대로 열기된 경우 먼저 열기된 외국명을 앞에 기재하고 그 다음에 구두법 ; 을 추가하고 우리나라 지역명을 기재한다. 답: 동경; 부산 [해설작성자 : optimus]
4.
다음은 리재철의 한글순도서기호법 제5표를 발췌한 것이다. 이 표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저자기호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김장길→김18
2.
한국도서관협회→한16
3.
박철수→박84
4.
최호연→최94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번은 김 뒤에 'ㅈ'과 'ㅏ'를 숫자로 옮겨야 하니 김72, 3번은 박 뒤에 'ㅊ'과 'ㅓ'를 숫자로 바꾸면 박83 4번은 최 뒤에 'ㅎ'과 'ㅗ'를 숫자로 바꾸면 최95가 됩니다. (ㅊ 다음은 제외랑 ㅊ에 붙는 모음기호를 잘 구분해야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KDC 제6판 사회과학(300) 분야 표목변경 항목의 내용이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6월)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ㄹ, ㅁ
4.
ㄷ, ㄹ, ㅁ
정답 : [
1
] 정답률 : 59%
6.
한국목록규칙 제4판에 제시된 전자자료의 기술을 위한 다음 정보원의 우선순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3년 06월)
1.
(가)→(나)→(다)→(라)
2.
(가)→(다)→(나)→(라)
3.
(다)→(나)→(가)→(라)
4.
(다)→(나)→(라)→(가)
정답 : [
4
] 정답률 : 40%
7.
한국목록규칙 제4판을 적용하여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으로 레코드를 작성할 때, 자료특성사항의 기술 사례가 옳은 것은?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는다)(2023년 06월)
<보기 1>을 대상으로 KCR 제4판과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을 적용하여 <보기 2>의 레코드를 작성하였다. <보기 2>의 필드 기술이 옳지 않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2018년 05월)
1.
ㄱ, ㄴ
2.
ㄴ, ㄷ, ㄹ
3.
ㄴ, ㄹ, ㅁ
4.
ㄴ, ㄷ,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43%
12.
KDC 제6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행정이론 및 철학의 분류기호는?(2021년 06월)
1.
350.1
2.
350.01
3.
351
4.
350.001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첫번째 주기인 특수행정은 무시하고 두번째 주기만 알고 있으면 쉽다. 문제가 행정/이론 및 철학인데 아론 및 철학이나 철학 및 이론이나 같다. 그래서 350 행정학을 기본베이스로 깔고 두번째 주기인 01-09는 표준구분에 따라 세분한다. 고 했으니 350에 철학 및 이론인 01을 붙이면 된다. [해설작성자 : 신인수 추종자]
13.
다음은 KORMARC 형식에서 채택표목으로 사용되지 않은 개인명을 채택표목으로 참조하는 전거레코드의 한 예이다. 이 때 ( ) 안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시기호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200
2.
400
3.
500
4.
700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채택표목으로 사용되지 않은 개인명= 비우선어 = KOMARC 4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KCR 제4판을 적용할 때, 자료에 나타난 각 기술요소의 서지기술이 옳은 것은? (단,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2019년 0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