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2128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유통물류일반


1.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당장 사용하지 않거나 팔리지 않는 원자재 및 완제품의 재고를 보유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1월)
     1.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2. 운송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3. 안전재고(safety stocks)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4. 헷징(hedging)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5. 계절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헷징=가격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실시하는 금융 거래행위
[해설작성자 : AJ29]

2. 소매업을 분류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8월)
     1. 대규모와 중소규모는 점포 면적에 따른 구분이다.
     2. 제공하는 서비스수준에 따라 완전서비스, 한정서비스, 셀프서비스 등으로 구분한다.
     3.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업태별 구분을 한다.
     4. 경영방식에 따라 단독점과 체인점으로 구분한다.
     5. 점포의 유무에 따라 점포소매업, 무점포소매업으로 구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업태별 구분 x
업종별 구분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 기업이 물류부문의 아웃소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비용 절감
     2. 물류서비스 수준 향상
     3. 외주 물류기능에 대한 통제력 강화
     4. 핵심부분에 대한 집중력 강화
     5. 물류 전문 인력 활용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웃소싱의 장점에 관한 문제이므로
3번 지문은 아웃소싱의 단점입니다.
[해설작성자 : 10002Hertz]

아웃소싱을 하면 통제력이 약화됨
[해설작성자 : 1234]

4. “매출채권을 대출담보로 이용하는 대신에 매출채권을 직접 매각하여 채권에 투자된 자금을 회수하는 것”에 적합한 용어는 무엇인가?(2014년 11월)
     1. 어음할인
     2. 팩토링
     3. 전환사채
     4. 채권담보
     5. 채권상쇄

     정답 : []
     정답률 : 40%

5. O2O서비스의 성공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5년 11월)
     1. 공급업체 간 경쟁이 낮거나 공급이 부족한 분야일수록 성공가능성이 높다.
     2. 소비자가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자주 구매하는 서비스분야이어야 한다.
     3. 고객이 얻는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이용해 경쟁업체와 차별화를 이루어야 한다.
     4.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에게도 이익을 제공해야 한다.
     5. 서비스에 대한 이용후기 및 평가를 통해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전략적 제휴에 대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상호협력을 바탕으로 기술.생산.자본 등의 기업 기능에 2개 또는 다수의 기업이 기능별로 협력하는 것을 말한다.
     2. 기술혁신 속도가 빠른 전기.전자 등 첨단제조 분 야에서 신기술 습득과 새로운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은행∙보험∙항공∙운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3. 기업간 합병형태나 독립기업간의 외부거래보다 필요로 하는 기술이나 능력을 얻는데 효과적이고 저렴하며 목적달성 후에도 철수가 비교적 용이하다.
     4. 규모의 경제성 추구, 위험 및 투자비용의 분산, 경쟁우위 자산의 보완적 공유, 기술획득, 시장의 신규진입과 확대, 과다한 경쟁방지 등이 전략적 제휴의 동기이다.
     5. 비핵심적이고 반복적인 프로세스는 외주로 하고 단순 비용절감이 아닌 핵심역량에 집중하기 위한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7. 재고, 운송, 고객서비스 등의 상충관계(trade-off)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5월)
     1. 재고수준을 낮추게 되면 보관비용이 감소되고 고객서비스 수준도 낮아진다.
     2. 재고 감소는 주문에 적시 대응하는 조직의 능력을 저하시킨다.
     3. 배달을 신속하게 해서 고객서비스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은 수송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4. 높은 고객서비스 수준을 지향하는 경우 재고비용과 재고운반비가 증가한다.
     5. 낮은 배송비용을 지향하는 것은 시간측면에서 고객서비스 수준의 증가를 가져온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5. 비용이 절감된 만큼 고객서비스 수준이 감소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8. 제조업체의 회계적 성과를 측정하는 활동성 비율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7월)
     1. 총자산수익률
     2. 매출채권 회전율
     3. 자기자본이익률
     4. 매출 총이익률
     5. 주가수익률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매출채권 회전율=한 회계기간 동안 평균 매출채권 금액이 현금으로 회수되는 횟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소비자에게 인도된 제품의 전체 또는 일부가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생산자에게 돌아오거나 폐기되는 과정을 관리하는 것은?(2015년 11월)
     1. 생산물류
     2. 역물류
     3. 조달물류
     4. 판매물류
     5. 사내물류

     정답 : []
     정답률 : 86%

10. 마진과 회전율에 따른 소매상 포지셔닝으로 적절한 것은?(2016년 04월)

    

     1.
     2.
     3.
     4.
     5. ㉠, ㉣

     정답 : []
     정답률 : 72%

11.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시스템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11월)

    

     1. 전사적품질관리시스템
     2. 전사적품질경영시스템
     3. 적시생산시스템
     4. 유연제조시스템
     5. 공급체인관리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유연제조시스템=시장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제품의 생산량을 유연성 있게 조절하여 생산하는 시스템.
[해설작성자 : AJ29]

12. 물류의 기본적 기능과 관련한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서로 다른 두 지점 간의 물자를 이동시키는 활동은 수송활동이다.
     2. 보관활동은 시간적 수급조절기능, 가격조정기능을 수행한다.
     3. 상품의 가치 및 상태를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와 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유통가공활동이다.
     4. 수송과 보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물품의 취급활동은 하역활동이다.
     5. 유통을 촉진시키기 위한 무형의 물자인 정보를 유통시키는 활동은 정보유통활동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유통가공활동 : 물자의 유통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제품의 단순한 가공, 재포장, 조립, 절단 등의 물류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진짜]

물류의 기본적 기능 : 수송, 보관, 하역, 포장, 유통가공활동
3번은 포장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대형마트가 성장정체기를 겪고 있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7월)
     1.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위축
     2. 포화상태에 이른 매장 수
     3. 근거리, 소량 구매 소비 트렌드
     4. 온라인 쇼핑몰의 지속적 성장
     5. 낮은 직매입 비중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대형마트의 경우 직매입의 비중이 높습니다.
[해설작성자 : 홈쁘라스]

14. 아래 글상자 내용은 유통경로의 필요성에 관한 것이다. ㉠~㉤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20년 11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총거래수 최소의 원칙 : 유통경로에서는 중간상이 개입함으로써 단순화,통합화됨.
-분업의 원리 : 유통경로 상 수행되는 수급조절, 수배송, 보관, 위험부담 등을 생산자와 유통기관이 분업하여 참여함. ( 각자의 업무만을 수행함으로써 전문화 발생, 효율성이 높아짐)
-변동비 우위의 원리 : 유통분야는 변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고정비보다 크므로 제조와 유통의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유리. (제조와 유통을 분리하여 기능을 분담하는 것이 효율적)
[해설작성자 : 화이팅]

15. 유통기업의 외부적 환경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기술 등 급격한 기술발전을 포함하는 환경
     2. 자사의 핵심역량, 비전, 목표, 정책 등의 전략적 환경
     3. 시장의 인구증가율, 연령, 직업, 소득수준 등의 인구 통계적 환경
     4. 건강, 웰빙, 힐링같은 소비자들의 가치관, 의식, 생활양식 등의 사회적 환경
     5. 법률, 제도, 각종 규제 등의 정치적·법률적 환경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유통기업의 거시적 환경: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률, 인구통계, 기술적 환경
유통기업의 미시적 환경: 시장의 경쟁환경, 기업의 전략 환경

거시적: 기업 외부적
미시적: 기업 내부적
[해설작성자 : Freshbread]

16. 기업의 이해관계자별 주요 관심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노동조합 : 조합원의 경제적 문제(임금, 해고 등)
[해설작성자 : 배움tv]

17. 소매업 변천과정에 관련된 가설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수레바퀴가설 : 소매상은 유통시장진입 초기에 고가격, 고마진, 고서비스의 점포운영방식으로 진입하여,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저가격, 저마진, 저서비스 운영방식으로 전환된다.
     2. 수레바퀴가설 : 소매기관들이 처음에는 혁신적인 형태에서 출발하여 성장하다가 새로운 개념을 가진 신업태에게 그 자리를 양보하고 사라진다고 주장한다.
     3. 수레바퀴가설 : 비가격적인 요인만을 소매업 변천의 주원인으로 보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4. 소매수명주기 가설 :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로 구분하는데 모바일유통(M-commerce)은 현재 쇠퇴기에 있다고 평가된다.
     5. 소매아코디언 가설 : 소매상은 제품가격변화에 초점을 맞춘 이론으로,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업태에서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업태로 변화된다는 이론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반대입니다. 초기에 저가격, 저서비스, 저마진 그리고 경쟁우위를 위해 고가격, 고서비스, 고마진
3. 비가격적인X, 가격적인O
4. 모바일유통은 계속 성장
5. 제품가격변화X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소매아코디언 이론은 상품 믹스의 축소 -> 확대 -> 축소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18. 제3자 물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11월)
     1. 거래기반의 수발주관계
     2. 운송, 보관 등 물류기능별 서비스 지향
     3. 일회성 거래관계
     4. 종합물류서비스 지향
     5. 정보공유 불필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거래기반의 수발주 관계 -> 물류아웃소싱
2. 운송, 보관 등 물류기능 별 서비스 지향 -> 물류아웃소싱
3. 일회성 거래관계 -> 물류아웃소싱
4. 종합 물류 서비스 지향 -> 제 3자 물류
5. 정보공유 불필요 -> 물류아웃소싱

제 3자 물류(3PL)는 전략적 제휴와 계약 기반으로 협력적 관계 바탕 하의 종합 물류서비스를 지향합니다.
정보 공유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1년 이상의 중장기 계약으로 진행됩니다.
[해설작성자 : 희수]

19. ( )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7년 07월)

    

     1. ㉠ 분업, ㉡ 집중준비
     2. ㉠ 변동비 최소, ㉡ 분업
     3. ㉠ 총거래수 최대, ㉡ 분업
     4. ㉠ 분업, ㉡ 변동비 우위
     5. ㉠ 총거래수 최소, ㉡ 집중준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거래 수 감소 = 총거래수 최소
보관 제품 총량 감소 = 집중준비
[해설작성자 : 5/13 수험예정]

20. ( ㉠ ), ( ㉡ ), ( ㉢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7년 11월)

    

     1. ㉠ 반품, ㉡ 폐기, ㉢ 조달
     2. ㉠ 반품, ㉡ 폐기, ㉢ 생산
     3. ㉠ 반품, ㉡ 조달, ㉢ 판매
     4. ㉠ 회수, ㉡ 폐기, ㉢ 생산
     5. ㉠ 회수, ㉡ 폐기, ㉢ 조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생산 : 생산업자/제조업자 생산 과정 속에서 움직이는 물류 과정. 자재창고의 출고작업부터 생산공정으로의 운반하역.
판매 : 소비자에게 물건이 전달되는 수배송 활동.

21. 불공정 거래행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3년 11월)
     1. 기존재고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면서 기존의 재고상품을 특정매입상품으로 취급하여 반품하는 행위
     2. 직매입을 특정매입계약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재고상품을 특정매입상품으로 취급하여 반품하는 행위
     3. 대규모 유통업자가 부당하게 납품업자 등에게 배타적 거래를 하도록 강요하는 경우
     4. 정상가격으로 매입한 주문제조상품을 할인행사를 이유로 서류상의 매입가를 낮춰 재매입하고 낮춘 매입원가로 납품대금을 주는 경우
     5. 직매입 납품업체의 납품과정에서 상품에 훼손이나 하자가 발생한 경우 상품대금을 감액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80%

22. 식품매장을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그로서란트(grocera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5월)
     1. 매장에서 판매하는 식재료를 이용해 고객에게 메뉴를 제안하고 즉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2. 식재료 쇼핑에 외식 기능을 더해 소매와 외식의 경계를 없앤 서비스이다.
     3. 제철 식재료와 추천상품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4. 그로서리(grocery)와 레스토랑(restaurant)의 합성어이다.
     5. 오프라인과 경쟁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몰의 차별화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오프라인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23.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수배송 공급모형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세이빙(saving)법 모형
     2. 수배송선형계획법 모형
     3. 시뮬레이션(simulation) 모형
     4. 최적화(optimization) 모형
     5. 휴리스틱(heuristic) 모형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세이빙:주행거리를 단축하여 배송
2. 수배송선형계획:수배송을 다수의 출발지에서 다수의 도착지까지 최소비용과 최대이익을 실현하면서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문제를 해결
4. 최적화:최적경로의 해를 찾는 기법
5. 휴리틱스: 탐색적 모형으로 한정된 시간 내에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해 대신 현실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해를 구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쮸]

24. 경제적 주문량과 관련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1월)
     1. 재고의 보유비용과 주문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량이다.
     2. 주문비용은 주문을 처리하는 비용으로 주문량에 비례한다.
     3. 품절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4. 수요는 변동이 없고 예측가능하다고 가정한다.
     5. 수량할인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주문비용은 수량과 상관없이 일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다음 글 상자의 사례에서 B사와 D사가 가진 유통경로에서의 힘은?(2017년 07월)

    

     1. 보상력(reward power)
     2. 합법력(legitimate power)
     3. 강제력(coercive power)
     4. 전문력(expert power)
     5. 준거력(referent power)

     정답 : []
     정답률 : 71%

2과목 : 상권분석


26. 상권분석에 사용되는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1. 회귀모형을 통해 점포특성, 상권내 경쟁수준 등 다양한 변수들이 점포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측정할 수 있다.
     2.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은 변수가 너무 많아 해석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회귀모형의 설명변수들은 서로 상호연관성 즉, 상관관계가 높을 때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4. 과거의 연구결과 혹은 분석가의 판단 등을 토대로 소수의 변수를 선택하여 회귀모형을 도출할 수 있다.
     5. 신규점포의 입지타당성을 분석하는 경우, 유사한 거래특성과 상권을 가진 표본을 충분히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27. 상권을 1차 상권, 2차 상권, 한계상권 등으로 분류하는 것은 어떤 관점에 근거한 것인가?(2013년 07월)
     1. 고객 관점
     2. 판매자 관점
     3. 행정구역 관점
     4. 지형적 관점
     5. 특정 관점과 관계없음.

     정답 : []
     정답률 : 35%

28. 개점계획은 점포개설을 위한 투자계획을 포함한다. 다음 중 일정 기간 이후의 수익을 고려하지 않는 수익성분석기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5월)
     1. 회수기간법
     2. 내부수익률법
     3. 수익성지수법
     4. 순현재가치법
     5. 투자수익률법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번은 비할인모형 / 나머지보기는 할인모형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ㅠㅠ]

29. 상권에 대한 일반적 사실들을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11월)
     1. 상권은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분포하는 공간적 범위를 말하는데 점포의 매출이 발생하는 지역범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2. 현실에서 상권의 형태는 대부분 점포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동심원이다.
     3. 상권은 단독점포의 상권과 복수점포의 상권, 현재상권과 잠재상권, 거주상권과 생활상권 등의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상권은 판매행위가 이루어지는 판매권,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자를 포함하는 지역인 시장권, 거래상대방이 소재하는 거래권으로 보기도 한다.
     5. 한계상권(3차상권)은 일반적으로 점포를 이용하는 전체소비자를 빠짐없이 포괄하는 범위까지를 경계로 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현실에서의 상권의 형태는 동심원이 아니라
블록의 형태가 된다.

30. A시의 인구는 20만명이고 B시의 인구는 5만명이다. 두 도시가 서로 15km의 거리에 떨어져 있는 경우, 두 도시간의 상권경계는 A시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형성되겠는가? Converse의 상권분기점 분석법을 이용해 계산하라.(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08월)
     1. 3km
     2. 5km
     3. 9km
     4. 10km
     5. 12km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15/1+루트(20/5)=10k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15/1+루트(20/5)= 10km 이 아니라 15/3=5 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추가 오류 신고]
컨버스의 상권분기점 분석법 공식에 따라 정답은 5km로 2번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DA = 15/{1+루트(5/20)}
     = 15/1.5
     = 10Km 입니다
[해설작성자 : 단무지스테이크]

[오류신고 반론]
단무지스테이크님의 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유튜브에서 봄 ㅇㅇ]

[오류신고 반론]
a의 분기점을 물으면 분모에 a시의 인구가 들어가야합니다. 위엣분들 반대로하셔서 5km가 나오신 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다람러브]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2번 5km가 맞습니다.
거리 15/(1+2)
[해설작성자 : 복숭아]

31. 주거, 업무, 여가생활 등의 활동을 동시에 수용하는 건물을 의미하는 복합용도개발이 필요한 이유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1월)
     1. 도심지의 쇠락을 막고 주거와 상업, 업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2. 신시가지와의 균형발전과 신시가지의 행정수요를 경감하기 위해서
     3. 도시내 상업기능만의 급격한 증가현상을 피하고 도시의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4. 도심지의 활력을 키우고 다양한 삶의 장소로 바꾸기 위해서
     5. 도심의 공동화를 막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복합용도 개발의 필요성 : 도시 내외에서 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심공동화 현상을 방지, 도심지 내에 반드시 필요한 근린생활시설 및 각종 편의시설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도심지가 생동감이 넘치고 다양한 삶의 장소로 변화가 가능

32. 소매점의 입지 유형 중 부도심 소매중심지(SBD: Secondary Business Distric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도시규모의 확장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인구가 분산, 산재되어 생긴 지역이다.
     2. 근린형 소매중심지이다.
     3. 주된 소매업태는 슈퍼마켓, 일용잡화점, 소규모 소매점 등이 있다.
     4. 주간에는 교통 및 인구 이동이 활발하지만 야간에는 인구 격감으로 조용한 지역으로 변한다.
     5. 주거지역 도로변이나 아파트단지 상점가 등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CBD에 대한 설명 - 도심공동화현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부도심은 도심의 중심기능을 일부 분담하여 수용하는 지역으로서 강남역 일대, 부산 센텀시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부도심 소매중심지는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교통 및 인구 이동이 활발하다.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33. 신규점포의 상권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체크리스트방법은 단일점포의 입지를 결정하는데 활용하는 방법으로 상권 내 제반 입지의 특성, 상권 고객 특성, 상권 경쟁구조 등 상권 범위에 미치는 요인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2. 마일리지고객주소활용법은 마일리지 적립 정보로 고객의 주소를 확인하고 상권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고객의 특성 및 니즈도 파악할 수 있어 마케팅전략수립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3. 유추법은 전체 상권을 단위거리에 따라 소규모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에서의 1인당 매출액을 구하며, 예상 상권내의 인구에 유사점포의 1인당 매출액을 곱하여 신규점포의 예상매출액을 구한다.
     4. 중심지 이론에 의하면 중심지는 배후 거주 지역에 대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상업 또는 행정 기능이 밀집된 장소를 말한다.
     5. 레일리(Reilly)의 소매중력의 법칙은 다양한 점포들 간의 밀집이 소매입지의 매력도를 증가시키는경향이 있음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웃 도시들 간의 상권 경계를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마일리지고객주소활용법은 기존점포에 대한 상권분석내용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업종유형과 상권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선매품을 취급하는 소매점포는 보다 상위의 소매중심지나 상점가에 입지하여 넓은 범위의 상권을 가지는 것이 좋다.
     2. 동일 업종이라 하더라도 점포의 규모나 품목의 구성에 따라 상권의 범위가 달라진다.
     3. 전문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경우 잠재고객이 지역적으로 밀집되어 있으므로 상권의 밀도는 높으나, 범위는 좁은 특성을 갖고 있다.
     4. 상품구성의 폭과 깊이를 크게 하여 다목적구매와 비교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상권의 범위를 넓히는 요인이 된다.
     5. 생필품의 경우, 소비자는 구매거리가 짧고 편리한 장소에서 구매하려 하기 때문에 이런 상품을 취급하는 업태는 주택지에 근접한 입지를 취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66%

35. 소매포화지수(IRS)와 시장성장잠재력지수(ME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1월)
     1. 소매포화지수는 한 시장지역내에서 특정 소매업태의 소비자 1인의 잠재수요크기이다.
     2. 시장성장잠재력지수는 지역시장이 현재 창출하고 있는 시장수요측정 지표이다.
     3. 소매포화지수가 크면 시장의 포화정도가 높아 아직 경쟁이 치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4. 소매포화지수가 작을수록 신규점포에 대한 시장잠재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5. 상권내 거주자들의 타지역으로의 쇼핑(outshopping) 정도가 높을수록 시장성장잠재력지수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37%

36. 상점을 신축할 때는 용적률(容積率, Floor Area Ratio)기준을 고려해야 한다. 용적률 산정에서 제외되는 면적이 아닌 것은?(2024년 08월)
     1. 지하층 면적
     2. 그 건물의 부속용도인 지상층 주차 면적
     3.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면적
     4. 초고층 및 준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 면적
     5. 하나의 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 별도 건물의 면적

     정답 : []
     정답률 : 63%

37.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서 그 이론을 전개하기 위해 제시한 전제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소비자는 자신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근린(最近隣)의 중심지를 찾는다.
     2. 모든 방향에서 교통의 편리한 정도가 동일하다.
     3. 중심지는 그 배후에 행정,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고지대에 입지한다.
     4. 평야지대에 인구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5.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하고 운송수단은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38. 지리학자인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의 기본적 가정과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5월)
     1. 중심지 활동이란 중심지에서 재화와 서비스가 제공되는 활동을 의미한다.
     2. 중심지에서 먼 곳은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고 가정한다.
     3. 조사대상 지역은 구매력이 균등하게 분포하고 끝이 없는 등방성의 평지라고 가정한다.
     4. 최소요구범위는 생산자가 정상이윤을 얻을 만큼 충분한 소비자들을 포함하는 경계까지의 거리이다.
     5. 중심지이론은 인간의 각종 활동공간이 어떤 핵을 중심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에서, 한 지역 내 거주자들은 모든 상업 중심지로부터 중심지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다고 보고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모두파이팅]

39. 소매점이 집적하게 되면 경쟁과 양립의 서로 다른 성격을 갖게 되므로 가능하면 양립(兩立)을 통해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좋다. 다음 중 양립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4월)
     1. 보충효과
     2. 집적효과
     3. 상승효과
     4. 차단효과
     5. 차별화효과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차단효과- 중간에서 끊어먹는것임..

40. 소규모 소매점포의 일반적인 상권단절요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1월)
     1. 강이나 하천과 같은 자연지형물
     2. 왕복2차선 도로
     3. 쓰레기 처리장
     4. 공장과 같은 C급지 업종시설
     5. 철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상권단절요인
①자연지형물: 하천, 공원 등
②인공 지형물: 도로(6차선 이상), 철도 ---->2번 왕복6차선도로
③장애물 시설: 쓰레기처리장, 학교, 병원
④C급지 분포업종: 카센터, 공작기계, 우유대리점, 가구점 기타 기술위주 업종
⑤기타: 주유소, 은행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1. 상세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7월)
     1. 집적된 점포들이 영업지역으로 설정한 공간적 범위이다.
     2. 집적된 점포들이 고객을 흡인할 수 있는 공간적 범위이다.
     3. 단일 점포가 표적으로 선정한 고객들이 거주하는 공간적 범위이다.
     4. 단일 점포가 입지한 지역 내에 고객들이 존재하는 시간적 범위이다.
     5. 단일 점포 또는 집적된 점포들이 포함된 행정단위의 공간적 범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39%

42.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거주지 등 특정장소에서 점포로 향하는 동선을 파악할 때 활용하는 원리 중에서 아래 글상자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4월)

    

     1. 안전 증시의 법칙
     2. 최단거리 실현의 법칙
     3. 보증실현의 법칙
     4. 집합의 법칙
     5. 직진선호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안전중시 : 본능적으로 위험하거나 모르는 길, 다른 사람이 잘 가지 않는 곳은 안가려 함
2. 최단거리 실현 : 최단거리로 목적지에 가려는 심리, 안쪽 동선이라고 하는 뒷길이 발생함
3. 보증실현 : 먼저 득을 얻는 쪽을 택함, 최초로 만나는 횡단보도를 이용하려는 경향
4. 집합 : 군중 심리에 의해 사람이 모여있는 곳에 모임
[해설작성자 : 야호]

43. 일반적인 권리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시설권리금은 실내 인테리어 및 장비 및 기물에 대한 권리금액을 말한다.
     2. 단골고객을 확보하여 상권의 형성 과정에 지대한 공헌을 한 대가는 영업권리금에 해당된다.
     3. 시설권리금의 경우 시설에 대한 감가상각은 통상적으로 3년을 기준으로 한다.
     4. 영업권리금의 경우 평균적인 순수익을 고려하여 계산하기도 한다.
     5. 영업권리금의 경우 지역 또는 자리권리금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바닥권리금 = 지역권리금, 자리권리금
[해설작성자 : 아하]

44. 다음 중 집재성 점포로서 가장 어울리지 않은 것은?(2025년 05월)
     1. 음식점
     2. 편의점
     3. 전자제품점
     4. 가구점
     5. 금융기관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편의점은 산재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상권내에서 분석대상이 되는 점포의 상대적 매력도를 파악할 수는 있으나 예상매출액을 추정할 수는 없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유사점포법
     2. MNL모델
     3. 허프모델
     4. 회귀분석법
     5. 체크리스트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체크리스트법은 매출액을 수치화하기 어렵기때문에 추정할수도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3과목 : 유통마케팅


46. 어떤 제품의 개당 판매가격이 100원, 고정비가 200만원, 변동비가 60원일 때의 손익분기판매량을 구하고, 이 제품의 변동비가 80원으로 올랐을 때의 손익분기판매량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11월)
     1. 60,000개, 100,000개
     2. 50,000개, 100,000개
     3. 60,000개, 90,000개
     4. 50,000개, 120,000개
     5. 40,000개, 60,000개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고정비 / (판매가격 - 변동비)

     2000000 / (100 - 60)    ,     2000000 / (100-80)
=                 50,000                 ,                100,000
[해설작성자 : 8/30 시험치는 직장인]

47. 도·소매업체들의 유통경로 수익성 평가에 활용되는 전략적 이익모형(strategic profit model)의 주요 재무 지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순매출이익률
     2. 총자산회전율
     3. 레버리지비율
     4. 투자수익률
     5. 총자본비용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전략적 이익모형은 순이익률(수익성)과 자산회전율(활동성), 레버리지비율(안전성)으로 구성되어있다.이 중 앞의 순이익률과 자산회전율은 투자수익률과 관련있다.
[해설작성자 : 지은]

48. 매스미디어 광고와는 다른 POP(Point-Of-Purchase)광고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1월)
     1. 매스미디어 광고의 소구대상은 불특정 다수이나 POP광고는 매장을 방문한 특정인을 대상으로 소구한다.
     2. 매스미디어 광고는 소비자의 정보처리 시점에 메시지가 전달되지만 POP광고는 소비자의 구매시점에서 메시지를 전달한다.
     3. 매스미디어 광고는 상품의 정보제공과 이미지 형성에 초점을 두지만 POP광고는 소비자의 선택에 초점을 둔다.
     4. 매스미디어 광고는 고객의 쇼핑에 도움과 활기를 주고, POP광고는 소비자를 매장으로 유도한다.
     5. 매스미디어 광고는 소비자에게 흥미를 부여하고, POP광고는 인적판매 보조수단으로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매스미디어 광고로 고객들에게 점포 방문 욕구를 유발
그렇게 점포로 유인된 고객에게 점내 pop광고로 구매 욕구 유발
[해설작성자 : 5/13 수험예정]

49.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진열방식으로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샌드위치 진열방식
     2. 브레이크업 진열방식
     3. 라이트업 진열방식
     4. 전진입체 진열방식
     5. 트레이 팩 진열방식

     정답 : []
     정답률 : 30%

50. 고객의 구매행동 및 욕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고객의 욕구는 소득, 취미, 학력, 가족구성 및 고객 자신의 성격에 따라 다르다.
     2. 합리적인 구매뿐만 아니라 막연한 기분이나 무드에 끌려 구매하기도 한다.
     3. 일반적으로 고객은 습관적 소비 성향을 보이며 새롭거나 신비한 것에 끌리지 않는다.
     4. 가처분 소득이 상승할수록 시간, 장소, 상황에 의한 소비 성향이 현저해진다.
     5. 고객은 상품의 소유뿐만 아니라 상품을 사용해서 얻는 이익 또는 상품의 소유에서 생기는 효용을 위해 구매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51. 온라인 마케팅에서 특정 광고나 콘텐츠가 전체 목표 대상자 중 실제로 노출된 사람의 숫자나 비율을 의미하는 성과측정 단위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11월)
     1. GI (gross impression)
     2. 페이지 뷰(page view)
     3. 순방문자
     4. 도달률
     5. GRPs (gross rating point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마케팅 믹스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1월)
     1. 소매상의 상품 전략은 표적 시장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상품 믹스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2. 대형 유통업체의 PB(Private Brand)출시는 상품 전략 중에서 상표 전략에 속한다.
     3. 가격 전략에서 특정 소매상이 시장 점유율을 증대시키고자 한다면 고가격전략을, 이익 증대가 목표라면 저가격 전략을 수립한다.
     4. 촉진이란 소비자가 특정 소매상이나 상품을 인지하고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활동을 말한다.
     5. 광고와 인적판매, 판촉, 홍보는 대표적인 촉진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53. 아래 글상자가 설명하는 서비스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신뢰성(reliability)
     2. 확신성(assurance)
     3. 유형성(tangibility)
     4. 공감성(empathy)
     5. 응답성(responsiveness)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감성 : 고객에 대한 배려와 개별적 관심, 서비스 제공
유형성 : 물리적인 시설에 대한 부분( 대기실, 장비, 간판)
확신성 : 전문지식을 갖추었는지, 직원이 알기 쉽게 설명하는지 등
대응성 : 즉각적인 응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답은 공감성 : 개별적 욕구를 충족 , 사이즈가 각각 다른 두 켤레를 판매 = 개별적 관심 및 서비스 제공
[해설작성자 : 호식이]

54. 단위당 변동비가 500원인 상품을 단가 1,000원에 판매할 계획을 세웠으나 예상보다 판매가 부진하여 10% 할인한 가격에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다른 조건들이 모두 동일한 경우, 10% 가격할인에 따라 손익분기점은 어떻게 달라지는가?(2016년 11월)
     1. 20% 감소한다.
     2. 25% 감소한다.
     3. 20% 증가한다.
     4. 25% 증가한다.
     5. 목표이익을 모르므로 계산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가격이 10%할인되면 마진차이는 -100원이 나게된다.
할인되어 계속 400원의 마진이 남게됨으로, 기존 마진보다 100원씩 덜 받게되는 것.
즉, 100/400만큼 덜 받는거고, 이는 25퍼만큼 분기적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55. '더 비싼 가격에 더 많은 가치'라는 포지셔닝 제안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매업태는?(2016년 11월)
     1. 아울렛
     2. 온라인 쇼핑몰
     3. 대형마트
     4. 편의점
     5. 보석전문점

     정답 : []
     정답률 : 74%

56. 상품구성 방법 중 전문점 지향의 상품구성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좁고 깊은 상품구성
     2. 좁고 얕은 상품구성
     3. 넓고 깊은 상품구성
     4. 넓고 얕은 상품구성
     5. 참신성 위주 상품구성

     정답 : []
     정답률 : 73%

57.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키워드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검색엔진 최적화는 소비자가 어떤 키워드로 검색하는 지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2. 판매하려는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하여 검색하는 유관 키워드 또한 파악해야 한다.
     3. 검색한 소비자가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게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4. 키워드는 온라인마케팅 전반에 활용되므로 불특정 다수를 중심으로 조사해야 한다.
     5. 경쟁기업이 어떤 메시지와 키워드를 사용하는지 경쟁사 키워드 조사도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58. 서비스품질 구성차원(SERVQUAL)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2015년 11월)
     1. 유형성(tangible)
     2. 신뢰성(reliability)
     3. 공감성(empathy)
     4. 확신성(assurance)
     5. 정보성(information)

     정답 : []
     정답률 : 61%

59. 고객관계관리(CRM)와 관련한 채널관리 이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채널은 고객접점으로서 관리되어야 한다.
     2. 채널의 정보교환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3. 채널 파트너와의 협업을 관리해야 한다.
     4. 채널을 차별화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채널 간 갈등을 최소화해야한다.
     5. CRM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채널을 독립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CRM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채널은 통합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고객 서비스품질(SERVQUAL)과 관련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7월)
     1. 고객의 요구에 대하여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지는 반응성과 관련이 있다.
     2. 직원의 지식과 예의 그리고 신뢰와 자신감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은 신뢰성과 관련이 있다.
     3. 고객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의 배려와 관심의 정도는 공감성으로 나타낸다.
     4. 직원의 외모, 각종 장비 및 도구는 유형성으로 나타낸다.
     5. 고객서비스의 품질은 소비자에 따라 상대적 중요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17%

61.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머천다이징(merchandising)유형으로 옳은 것은?(2020년 11월)

    

     1. 크로스 머천다이징(cross merchandising)
     2. 코디네이트 머천다이징(coordinate merchandising)
     3. 날씨 머천다이징(weather merchandising)
     4. 리스크 머천다이징(risk merchandising)
     5. 스크램블드 머천다이징(scrambled merchandising)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반품이 안된다는 전제로 상품을 사들여 리스크를 감수했기 때문에 리스크 머천다이징
[해설작성자 : 이번엔 혼내준다]

62. 아래 글상자의 표본 추출방식 중 확률표본추출 방법만을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11월)

    

     1. ㉠, ㉡, ㉤
     2. ㉠, ㉢, ㉤
     3. ㉡, ㉣, ㉤
     4. ㉡, ㉣, ㉥
     5. ㉢, ㉣, ㉥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다음 글 상자 안의 내용들을 특징으로 갖는 백화점의 매입방식은?(2017년 04월)

    

     1. 직매입
     2. 특정(특약)매입
     3. 임대(갑)
     4. 임대(을)(수수료)
     5. 기획매입

     정답 : []
     정답률 : 46%

64. 머천다이징(merchandis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머천다이징은 우리말로 상품기획, 상품화계획 등으로 불린다.
     2. 머천다이저(merchandiser)는 소매점의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을 담당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머천다이저를 카테고리 매니저라 부르기도 한다.
     3. 머천다이징은 유통업체만의 고유 업무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상품을 기획하여 판매하며 제조업체, 서비스 업체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4. 머천다이징은 구매, 진열, 재고, 가격, 프로모션 등 광범위한 활동을 포함한다.
     5. 머천다이징의 성과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는 재고총이익률(GMROI)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65. 점포 레이아웃관리의 영역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상품의 배치
     2. 집기의 공간 결정
     3. 표지(Sign)와 그래픽을 소품으로 사용
     4. 계산대 배치
     5. 통로의 공간 결정

     정답 : []
     정답률 : 54%

66. 제조업체의 촉진 전략 중 푸시(push)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최종소비자 대신 중간상들을 대상으로 하여 판매촉진활동을 하는 것이다.
     2. 소비자를 대상으로 촉진할 만큼 충분한 자원이 없는 소규모 제조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촉진 전략이다.
     3. 제조업체가 중간상들의 자발적인 주문을 받기 위해 수행하는 촉진 전략을 말한다.
     4. 가격할인, 수량할인, 협동광고, 점포판매원 훈련프로그램 등을 활용한다.
     5. 판매원의 영향이 큰 전문품의 경우에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선지3번: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푸시전략의 반대인 풀전략은 쉽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주문하는 겁니다.
애플 같은 매력적인 브랜드는 유통업자들이 너나 나나 내가 팔고시퍼용하고 붙겠죠?
그러므로 중간상들이 자발적으로 촉진활동을 펼치는 건 '풀전략'입니다
[해설작성자 : 끼요오]

67.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상품들을 매대나 바구니 등에 쌓아놓는 방법으로 고객에게 저렴하다는 인식을 줄 수 있고 충동구매를 유발하며 저가격과 저마진 상품에 어울리는 진열방법은?(2017년 04월)
     1. 전진입체진열
     2. 박스커트진열
     3. 벌크진열
     4. 돌출진열
     5. 후크진열

     정답 : []
     정답률 : 63%

68.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매장 혼잡성 관리 전략으로 옳은 것은?(2024년 05월)

    

     1. 시설의 재배치
     2. 최대용량 조절
     3. 고객 수 통제
     4. 직원 수 조절
     5. 고객의 인식관리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 앞에서 고객이 느끼는 혼잡함, 답답함을 즐거운 체험으로 바꾸는 심리적 관리.

69. 점포의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11월)
     1. 점두, 출입구, 건물 외벽 등의 점포 외장
     2. 매장 및 후방, 고객 동선, 상품배치 등의 레이아웃
     3. 매장 인테리어, 조명, 현수막 등의 점포 내부
     4. 진열 집기, 트레이, 카운터 등 각종 집기
     5. 종업원의 복장, 머리카락, 청결 상태 등의 위생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2번 아니고 4번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은 상점의 시각적 요소를 조합하여 상품을 더 돋보이게 하고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매장의 이미지를 결정하고 고객들을 유치하며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요소가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포함됩니다. 여기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매장 내부의 상품 진열 집기, 트레이, 카운터 등 각종 집기입니다.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주로 상품, 소비자, 매장의 시각적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매장 이미지를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1. 따라서 집기와 같은 물리적 요소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핵심이 아닙니다.

그러나 점포 외장, 레이아웃, 매장 인테리어, 조명, 종업원의 복장과 위생 상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매장을 조성하면 고객들이 더욱 매력적으로 느끼고 방문하게 될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관도우미]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VMD는 마케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연출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점포의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에는 색채,재질,선,형태,공간 등과 점포 내외부 디자인도 포함되며 핵심 개념은 매장 내 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매장 및 후방, 고객 동선, 상품배치등의 레이아웃은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 2급 한권끝장 2024
[해설작성자 : 윹옹관리사]

[오류신고 반론]
2번에 후방이라 함은 창고, 물류동선, 사무실 등 고객에게 노출되지 않는 부분을 뜻하므로 VMD의 범주가 아닙니다.
(참고로 행거, 매대 등 각종 집기류도 디자인 요소에 따라 매장 이미지 연출에 중요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코코갈비살구]

70. 다음 중 격자형 레이아웃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시각적으로 고객의 주의를 끌어 개별 매장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다.
     2. 매장의 배치가 자유로워 고객의 충동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3. 주동선, 보조동선, 순환통로, 설비표준화로 비용이 절감된다.
     4. 고급상품 매장이나 전문점 같이 고객 서비스를 강조하는 매장에서 주로 활용한다.
     5. 의류상품에 적합한 레이아웃으로 쇼핑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격자형 ↔ 자유형

1.자유형
2.자유형
4.자유형
5.자유형

*격자형 레이아웃: 내가 찾고자, 구매하고자 하는것을 바로 찾을수 있게끔.( 편의점, 슈퍼마켓)
*자유형 레이아웃: 쇼핑시간을 늘려줌. (백화점)
[해설작성자 : 호맨]

71. 고객관계관리를 위해 활용하는 기술인 웹마이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1. 웹 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고객 신상정보, 구매기록, 장바구니 정보 등)를 대상으로 웹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고, 웹 사용자의 의미 있는 접속행위 패턴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2. 웹마이닝은 웹콘텐츠마이닝, 웹구조마이닝, 웹사용마이닝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3. 웹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내용이나 활동 사항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하는 웹로그파일을 수집, 분석하여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방법이다.
     4. 웹마이닝의 분석 대상인 로그파일은 Access log, Refferer log, Agent log, Error log 등이 있다.
     5. 웹로그 추출방식 중 네트워크에서 주고 받는 패킷데이터에 담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빼내는 방법을 응용하여 방문자의 트랜잭션을 수집하는 TAG방식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72. 유통정보시스템 설계과정의 순서가 가장 올바른 것은?(2013년 04월)

    

     1. 가 - 나 - 다 - 라 - 마
     2. 마 - 가 - 라 - 다 - 나
     3. 가 - 라 - 나 - 다 - 마
     4. 마 - 다 - 가 - 라 - 나
     5. 가 - 나 - 라 - 다 - 마

     정답 : []
     정답률 : 25%

73. (가),(나),(다) 안에 들어갈 단어들이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5년 05월)

    

     1. (가) - QR, (나) - VMI, (다) - CMI
     2. (가) - QR, (나) - CMI, (다) - VMI
     3. (가) - CR, (나) - VMI, (다) - CMI
     4. (가) - CR, (나) - CMI, (다) - VMI
     5. (가) - VMI, (나) - CAO, (다) - ECR

     정답 : []
     정답률 : 31%

74. 공급사슬의 성과지표들 중 고객서비스의 신뢰성 지표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11월)
     1. 평균 재고 회전율
     2. 약속 기일 충족률
     3. 신제품 및 신서비스 출시 숫자
     4. 특별 및 긴급 주문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5. 납기를 맞추기 위해 요구되는 긴급주문의 횟수

     정답 : []
     정답률 : 67%

75. 방화벽 구축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방화벽의 구축 형태별 장단점을 파악한다.
     2. 트래픽량을 고려한다.
     3. 동시 사용자 수를 고려한다.
     4. 각 방화벽 Gateway의 종류별 장단점을 파악한다.
     5. 항상 속도보다는 안전성을 고려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76. 산업혁명에 따른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5월)
     1. 1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 활용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달성하였다.
     2. 2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부분자동화가 이루어졌고, 네트워킹 기능이 프로세스 혁신을 위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3. 3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노동에서 분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고, 전문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4. 4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전화, TV, 인터넷 등과 같은 의사소통 방식이 기업에서 활성화되었다.
     5. 4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이용을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혁신이 이루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적인 요소들이 5번의 내용에 있다.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이용을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혁신이 이루어졌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배송시스템은 배송업체의 개별적인 여건과 배송되는 제품특성에 따라 생산자 집약형 배송시스템과 프랜차이즈 방식의 배송시스템, 그리고 택배 서비스로 구별해 볼 수 있다. 아래 글상자에서 생산자 집약형 배송시스템의 장단점을 모두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5년 05월)

    

     1. ㉠, ㉢, ㉤
     2. ㉠, ㉣, ㉤
     3. ㉡, ㉢, ㉣
     4. ㉡, ㉢, ㉤
     5. ㉠, ㉡, ㉣, ㉤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모두 정답처리

78.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7월)
     1.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모든 사물에 칩을 넣어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컴퓨팅 환경을 지칭한다.
     2.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센싱기술은 주변의 기계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자율적으로 정보의 수집 및 관리가 가능하게 지원하는 기술이다.
     3.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아니다'라고 할 만큼 항상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해야 하는 컴퓨팅 환경이다.
     4. 가상공간이 아닌 현실 세계의 어디서나 컴퓨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컴퓨팅 환경이다.
     5.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한 상태에서 의도적인 조작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79.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는 중소업체들의 거래를 중개하는 G마켓 같은 전자시장(e-marketplace)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7월)
     1. 판매자 중심 전자시장
     2. 구매자 중심 전자시장
     3. 수직적 전자시장
     4. 수평적 전자시장
     5. 협업지원 전자시장

     정답 : []
     정답률 : 38%

80. 거래 단품을 중복없이 식별하는 역할을 하는 GTIN(국제거래단품식별코드) 및 GTIN 관련 데이터는 대개 고정데이터이지만, 때로는 기본 식별 데이터 외에 더 세부적이고 상세한 상품 정보를 제공해야 할 때도 있다. 이 경우 사용되는 가변 데이터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5월)
     1. 유통기한
     2. 일련번호
     3. 로트(lot) 번호
     4. 배치(batch) 번호
     5. 성분 및 영양정보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로트 번호는 일정한 제조단위분에 대하여 제조연월일 및 관리·출하 등에 관한 모든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종합 관리하는 숫자, 문자 등을 말하고,
배치 번호는    생산과 관련된 특정 특성(생산 시간, 생산 날짜, 식별 코드 등)을 공유하는 동일한 제품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지정되는 번호 또는 문자를 의미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공장에서 물건을 일괄적으로 찍어낼때 똑같은 용기에 똑같은 물건이 담겨있으면 각 물품별로 어떤게 어떤건지 구별이 안되니까 관리하기 쉽도록 식별번호를 붙여준 겁니다.

유통기한, 일련번호, 로트번호, 배치번호는 100개의 제품을 찍어낸다고 가정하면 그룹별로 찍히는 번호가 다르게 나올 겁니다. 10월에 생산된 식품과 11월에 생산된 식품은 유통기한을 다르게 찍어야겠죠? 가변적입니다.

그런데 성분 및 영양정보는 100개를 찍어내든 1000개를 찍어내든 전부 같은 내용이 찍힐 겁니다. 새우깡을 만드는데 어떤 새우깡은 소금을 많이 넣고 또 어떤 새우깡은 소금을 적게 넣고 그렇게 만들 순 없잖아요? 항상 동일하기에 고정적입니다.

문제는 '가변 데이터로 옳지 않은 것'을 묻고 있으니 다섯 개 보기 중에서 고정적인 데이터를 찾으면 되겠네요.    
[해설작성자 : Freshbread]

81. 국가종합전자조달 사이트인 나라장터를 전자상거래 거래 주체별 모델로 구분하였을 때 가장 옳은 것은?(2021년 11월)
     1. B2B
     2. G2B
     3. G4C
     4. B2C
     5. C2C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G: Government
B: Business
C: Customer
-Government to Business
[해설작성자 : yuuji]

G2B : 정부전자조달, 즉 정부와 기업 간 거래. 공공기관이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계약할 때 참가업체(일반 기업) 등록과 입찰, 계약, 대금 지불 등 전 단계를 인터넷으로 처리하는 것.

개인과 정부 - C2G : 생활보호지원금, 자진신고세금환불 등을 전자적으로 수행하는 것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82. 지식경영시스템의 역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조직 내 구성원들의 지식을 집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 창출을 유도한다.
     2. 조직 내 구성원들을 지식화시켜 기업의 잠재적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3. 지식을 XML 데이터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비즈니스간 데이터 교환비용을 절감해준다.
     4. 구성원 간의 지식개인화를 강화하여 푸시(push)솔루션을 통해 가장 빠른 지식유통망을 확보해준다.
     5. 기존 시스템의 데이터, 이메일, 파일시스템, 웹 사이트 등 외부지식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기업지식의 기반을 확대해 준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지식경영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지식공유화
3.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이런 XML의 특징은 수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유연하고 자유롭게 기술하는 데 적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응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으로 연결된 시스템끼리 쉽게 식별 가능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4.개인화 x 지식공유화 강화

83.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특징을 인터넷 시대 및 모바일 시대와 비교하여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11월)
     1. IoT 시대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으로 연결범위가 확대되었다.
     2. 정보가 제공되는 서비스방식이 정보를 끌어당기는 풀(pull)방식에서 푸시(push)방식으로 전환되었다.
     3. 정보 제공 방식이 '24시간 서비스(Always-on)' 시대에서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4. IoT 시대에서는 단순히 원하는 정보를 얻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조합해 필요한 지혜를 제공해 준다.
     5. 정보를 얻는 방식이 내가 원하는 무언가를 내가 찾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무언가를 주변에 있는 것들이 알아서 찾아주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온디맨드에서 24시간으로 바뀜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84. POS시스템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판매시점 기준 정보관리 지원
     2. 상품 판매동향 분석을 통해 인기/비인기 제품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
     3. 시스템 기기의 사양이 다르면 점포간 판매동향 비교, 분석이 불가능
     4. '무엇이 몇 개나 팔렸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
     5. 인터넷 기반으로 구축된 경우 매장 이외의 장소에서도 매출 등 정보 확인 가능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POS의 경우 점포간 비교, 분석이 불가능하여 시스템의 기기와 사양은 전혀 무관한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안현기]

85.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지적자산은 형식지와 암묵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2014년 07월)
     1. 형식지란 문서화되어 있고, 보존이 가능하고, 성문화 할 수 있는 것들을 말한다.
     2. 특허권, 상표, 사업계획, 시장조사, 고객목록 등이 형식지에 해당된다.
     3. 도제 장인의 솜씨는 암묵지에 해당한다.
     4. 사람들 머릿속에 있는 지식을 인식하고, 생성하고, 공유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암묵지에서 암묵지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된 시스템을 지식경영시스템(KMS)이라 한다.
     5. 제품별 운송시 주의사항과 지침은 형식지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86. 라파(Rappa, 2000)가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 중 박스 안의 설명에 가장 적합한 모델은?(2014년 11월)

    

     1. 메타중개
     2. 경매중개
     3. 역경매
     4. 고객모집형
     5. 시장거래소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시장거래소
: B2B 시장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사업 모델
: 중개인은 판매자에게 성사된 거래금액의 일정 몫을 중개수수료로 받는다

역경매
: 구매자가 스스로 가격을 정해 입찰을 받는 방식

경매중개
: 판매자를 위해 경매를 주관, 성사된 거래에 대하여 일정 몫을 수수료로 받는 모델

고객모집형
: 인터넷을 통해 개별 구매자를 끌어모아 일반적으로
대량구매자에게만 적용되는 할인가격에 구입할 수 있도록 한 모델
[해설작성자 : 시험까지 7일]

87. 아래 글상자가 뜻하는 정보의 특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11월)

    

     1. 정보의 관련성
     2. 정보의 신뢰성
     3. 정보의 적시성
     4. 정보의 정확성
     5. 정보의 검증가능성

     정답 : []
     정답률 : 65%

88. 공급업체와 구매업체의 재고관리 영역에서 구매업체가 가진 재고 보충에 대한 책임을 공급업체에게 이전하는 전략을 일컫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CPP(cost per rating point)
     2.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3. CMI(co-managed inventory)
     4. ABC(activity based costing)
     5. VMI(vender managed inventory)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VMI : Vendor Managed Inventory
공급자 주도 재고관리라는 뜻.
재고 보충을 공급업체가 알아서 해주는 것임
[해설작성자 : 돌밑다슬기]

89.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개념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11월)

    

     1. 윈윈 게임(Win-win game)
     2. 제로섬 게임(Zero-sum game)
     3.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
     4. 코피티션(Co-opetition)
     5. 가치 네트워크(Value network)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지식인 또는 지식근로자에게 필요한 자질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8년 11월)
     1. 자신의 일하는 방법을 부단히 개선ㆍ개발ㆍ혁신시켜야 한다.
     2. 자신이 터득한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록해야 한다.
     3.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4. 희소 가치가 있는 지식이나 노하우는 암묵지 형태로 존재시켜야 한다.
     5. 일하는 방법을 개선ㆍ개발ㆍ혁신함으로써 얻은 아이디어는 구체적인 상품가치를 창출하는 데 연계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희소가치가 있는 노하우는 문서나 매뉴얼의 형태(형식지형태)로 존재 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쮸]


정 답 지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2128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유통물류일반


1.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당장 사용하지 않거나 팔리지 않는 원자재 및 완제품의 재고를 보유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1월)
     1.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2. 운송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3. 안전재고(safety stocks)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4. 헷징(hedging)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5. 계절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헷징=가격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실시하는 금융 거래행위
[해설작성자 : AJ29]

2. 소매업을 분류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8월)
     1. 대규모와 중소규모는 점포 면적에 따른 구분이다.
     2. 제공하는 서비스수준에 따라 완전서비스, 한정서비스, 셀프서비스 등으로 구분한다.
     3.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업태별 구분을 한다.
     4. 경영방식에 따라 단독점과 체인점으로 구분한다.
     5. 점포의 유무에 따라 점포소매업, 무점포소매업으로 구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업태별 구분 x
업종별 구분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 기업이 물류부문의 아웃소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비용 절감
     2. 물류서비스 수준 향상
     3. 외주 물류기능에 대한 통제력 강화
     4. 핵심부분에 대한 집중력 강화
     5. 물류 전문 인력 활용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웃소싱의 장점에 관한 문제이므로
3번 지문은 아웃소싱의 단점입니다.
[해설작성자 : 10002Hertz]

아웃소싱을 하면 통제력이 약화됨
[해설작성자 : 1234]

4. “매출채권을 대출담보로 이용하는 대신에 매출채권을 직접 매각하여 채권에 투자된 자금을 회수하는 것”에 적합한 용어는 무엇인가?(2014년 11월)
     1. 어음할인
     2. 팩토링
     3. 전환사채
     4. 채권담보
     5. 채권상쇄

     정답 : []
     정답률 : 40%

5. O2O서비스의 성공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5년 11월)
     1. 공급업체 간 경쟁이 낮거나 공급이 부족한 분야일수록 성공가능성이 높다.
     2. 소비자가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자주 구매하는 서비스분야이어야 한다.
     3. 고객이 얻는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이용해 경쟁업체와 차별화를 이루어야 한다.
     4.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에게도 이익을 제공해야 한다.
     5. 서비스에 대한 이용후기 및 평가를 통해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전략적 제휴에 대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상호협력을 바탕으로 기술.생산.자본 등의 기업 기능에 2개 또는 다수의 기업이 기능별로 협력하는 것을 말한다.
     2. 기술혁신 속도가 빠른 전기.전자 등 첨단제조 분 야에서 신기술 습득과 새로운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은행∙보험∙항공∙운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3. 기업간 합병형태나 독립기업간의 외부거래보다 필요로 하는 기술이나 능력을 얻는데 효과적이고 저렴하며 목적달성 후에도 철수가 비교적 용이하다.
     4. 규모의 경제성 추구, 위험 및 투자비용의 분산, 경쟁우위 자산의 보완적 공유, 기술획득, 시장의 신규진입과 확대, 과다한 경쟁방지 등이 전략적 제휴의 동기이다.
     5. 비핵심적이고 반복적인 프로세스는 외주로 하고 단순 비용절감이 아닌 핵심역량에 집중하기 위한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7. 재고, 운송, 고객서비스 등의 상충관계(trade-off)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5월)
     1. 재고수준을 낮추게 되면 보관비용이 감소되고 고객서비스 수준도 낮아진다.
     2. 재고 감소는 주문에 적시 대응하는 조직의 능력을 저하시킨다.
     3. 배달을 신속하게 해서 고객서비스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은 수송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4. 높은 고객서비스 수준을 지향하는 경우 재고비용과 재고운반비가 증가한다.
     5. 낮은 배송비용을 지향하는 것은 시간측면에서 고객서비스 수준의 증가를 가져온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5. 비용이 절감된 만큼 고객서비스 수준이 감소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8. 제조업체의 회계적 성과를 측정하는 활동성 비율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7월)
     1. 총자산수익률
     2. 매출채권 회전율
     3. 자기자본이익률
     4. 매출 총이익률
     5. 주가수익률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매출채권 회전율=한 회계기간 동안 평균 매출채권 금액이 현금으로 회수되는 횟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소비자에게 인도된 제품의 전체 또는 일부가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생산자에게 돌아오거나 폐기되는 과정을 관리하는 것은?(2015년 11월)
     1. 생산물류
     2. 역물류
     3. 조달물류
     4. 판매물류
     5. 사내물류

     정답 : []
     정답률 : 86%

10. 마진과 회전율에 따른 소매상 포지셔닝으로 적절한 것은?(2016년 04월)

    

     1.
     2.
     3.
     4.
     5. ㉠, ㉣

     정답 : []
     정답률 : 72%

11.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시스템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11월)

    

     1. 전사적품질관리시스템
     2. 전사적품질경영시스템
     3. 적시생산시스템
     4. 유연제조시스템
     5. 공급체인관리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유연제조시스템=시장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제품의 생산량을 유연성 있게 조절하여 생산하는 시스템.
[해설작성자 : AJ29]

12. 물류의 기본적 기능과 관련한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서로 다른 두 지점 간의 물자를 이동시키는 활동은 수송활동이다.
     2. 보관활동은 시간적 수급조절기능, 가격조정기능을 수행한다.
     3. 상품의 가치 및 상태를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와 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유통가공활동이다.
     4. 수송과 보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물품의 취급활동은 하역활동이다.
     5. 유통을 촉진시키기 위한 무형의 물자인 정보를 유통시키는 활동은 정보유통활동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유통가공활동 : 물자의 유통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제품의 단순한 가공, 재포장, 조립, 절단 등의 물류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진짜]

물류의 기본적 기능 : 수송, 보관, 하역, 포장, 유통가공활동
3번은 포장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대형마트가 성장정체기를 겪고 있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7월)
     1.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위축
     2. 포화상태에 이른 매장 수
     3. 근거리, 소량 구매 소비 트렌드
     4. 온라인 쇼핑몰의 지속적 성장
     5. 낮은 직매입 비중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대형마트의 경우 직매입의 비중이 높습니다.
[해설작성자 : 홈쁘라스]

14. 아래 글상자 내용은 유통경로의 필요성에 관한 것이다. ㉠~㉤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20년 11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총거래수 최소의 원칙 : 유통경로에서는 중간상이 개입함으로써 단순화,통합화됨.
-분업의 원리 : 유통경로 상 수행되는 수급조절, 수배송, 보관, 위험부담 등을 생산자와 유통기관이 분업하여 참여함. ( 각자의 업무만을 수행함으로써 전문화 발생, 효율성이 높아짐)
-변동비 우위의 원리 : 유통분야는 변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고정비보다 크므로 제조와 유통의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유리. (제조와 유통을 분리하여 기능을 분담하는 것이 효율적)
[해설작성자 : 화이팅]

15. 유통기업의 외부적 환경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기술 등 급격한 기술발전을 포함하는 환경
     2. 자사의 핵심역량, 비전, 목표, 정책 등의 전략적 환경
     3. 시장의 인구증가율, 연령, 직업, 소득수준 등의 인구 통계적 환경
     4. 건강, 웰빙, 힐링같은 소비자들의 가치관, 의식, 생활양식 등의 사회적 환경
     5. 법률, 제도, 각종 규제 등의 정치적·법률적 환경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유통기업의 거시적 환경: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률, 인구통계, 기술적 환경
유통기업의 미시적 환경: 시장의 경쟁환경, 기업의 전략 환경

거시적: 기업 외부적
미시적: 기업 내부적
[해설작성자 : Freshbread]

16. 기업의 이해관계자별 주요 관심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노동조합 : 조합원의 경제적 문제(임금, 해고 등)
[해설작성자 : 배움tv]

17. 소매업 변천과정에 관련된 가설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수레바퀴가설 : 소매상은 유통시장진입 초기에 고가격, 고마진, 고서비스의 점포운영방식으로 진입하여,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저가격, 저마진, 저서비스 운영방식으로 전환된다.
     2. 수레바퀴가설 : 소매기관들이 처음에는 혁신적인 형태에서 출발하여 성장하다가 새로운 개념을 가진 신업태에게 그 자리를 양보하고 사라진다고 주장한다.
     3. 수레바퀴가설 : 비가격적인 요인만을 소매업 변천의 주원인으로 보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4. 소매수명주기 가설 :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로 구분하는데 모바일유통(M-commerce)은 현재 쇠퇴기에 있다고 평가된다.
     5. 소매아코디언 가설 : 소매상은 제품가격변화에 초점을 맞춘 이론으로,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업태에서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업태로 변화된다는 이론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반대입니다. 초기에 저가격, 저서비스, 저마진 그리고 경쟁우위를 위해 고가격, 고서비스, 고마진
3. 비가격적인X, 가격적인O
4. 모바일유통은 계속 성장
5. 제품가격변화X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소매아코디언 이론은 상품 믹스의 축소 -> 확대 -> 축소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18. 제3자 물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11월)
     1. 거래기반의 수발주관계
     2. 운송, 보관 등 물류기능별 서비스 지향
     3. 일회성 거래관계
     4. 종합물류서비스 지향
     5. 정보공유 불필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거래기반의 수발주 관계 -> 물류아웃소싱
2. 운송, 보관 등 물류기능 별 서비스 지향 -> 물류아웃소싱
3. 일회성 거래관계 -> 물류아웃소싱
4. 종합 물류 서비스 지향 -> 제 3자 물류
5. 정보공유 불필요 -> 물류아웃소싱

제 3자 물류(3PL)는 전략적 제휴와 계약 기반으로 협력적 관계 바탕 하의 종합 물류서비스를 지향합니다.
정보 공유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1년 이상의 중장기 계약으로 진행됩니다.
[해설작성자 : 희수]

19. ( )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7년 07월)

    

     1. ㉠ 분업, ㉡ 집중준비
     2. ㉠ 변동비 최소, ㉡ 분업
     3. ㉠ 총거래수 최대, ㉡ 분업
     4. ㉠ 분업, ㉡ 변동비 우위
     5. ㉠ 총거래수 최소, ㉡ 집중준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거래 수 감소 = 총거래수 최소
보관 제품 총량 감소 = 집중준비
[해설작성자 : 5/13 수험예정]

20. ( ㉠ ), ( ㉡ ), ( ㉢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7년 11월)

    

     1. ㉠ 반품, ㉡ 폐기, ㉢ 조달
     2. ㉠ 반품, ㉡ 폐기, ㉢ 생산
     3. ㉠ 반품, ㉡ 조달, ㉢ 판매
     4. ㉠ 회수, ㉡ 폐기, ㉢ 생산
     5. ㉠ 회수, ㉡ 폐기, ㉢ 조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생산 : 생산업자/제조업자 생산 과정 속에서 움직이는 물류 과정. 자재창고의 출고작업부터 생산공정으로의 운반하역.
판매 : 소비자에게 물건이 전달되는 수배송 활동.

21. 불공정 거래행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3년 11월)
     1. 기존재고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면서 기존의 재고상품을 특정매입상품으로 취급하여 반품하는 행위
     2. 직매입을 특정매입계약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재고상품을 특정매입상품으로 취급하여 반품하는 행위
     3. 대규모 유통업자가 부당하게 납품업자 등에게 배타적 거래를 하도록 강요하는 경우
     4. 정상가격으로 매입한 주문제조상품을 할인행사를 이유로 서류상의 매입가를 낮춰 재매입하고 낮춘 매입원가로 납품대금을 주는 경우
     5. 직매입 납품업체의 납품과정에서 상품에 훼손이나 하자가 발생한 경우 상품대금을 감액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80%

22. 식품매장을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그로서란트(grocera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5월)
     1. 매장에서 판매하는 식재료를 이용해 고객에게 메뉴를 제안하고 즉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2. 식재료 쇼핑에 외식 기능을 더해 소매와 외식의 경계를 없앤 서비스이다.
     3. 제철 식재료와 추천상품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4. 그로서리(grocery)와 레스토랑(restaurant)의 합성어이다.
     5. 오프라인과 경쟁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몰의 차별화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오프라인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23.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수배송 공급모형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세이빙(saving)법 모형
     2. 수배송선형계획법 모형
     3. 시뮬레이션(simulation) 모형
     4. 최적화(optimization) 모형
     5. 휴리스틱(heuristic) 모형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세이빙:주행거리를 단축하여 배송
2. 수배송선형계획:수배송을 다수의 출발지에서 다수의 도착지까지 최소비용과 최대이익을 실현하면서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문제를 해결
4. 최적화:최적경로의 해를 찾는 기법
5. 휴리틱스: 탐색적 모형으로 한정된 시간 내에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해 대신 현실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해를 구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쮸]

24. 경제적 주문량과 관련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1월)
     1. 재고의 보유비용과 주문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량이다.
     2. 주문비용은 주문을 처리하는 비용으로 주문량에 비례한다.
     3. 품절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4. 수요는 변동이 없고 예측가능하다고 가정한다.
     5. 수량할인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주문비용은 수량과 상관없이 일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다음 글 상자의 사례에서 B사와 D사가 가진 유통경로에서의 힘은?(2017년 07월)

    

     1. 보상력(reward power)
     2. 합법력(legitimate power)
     3. 강제력(coercive power)
     4. 전문력(expert power)
     5. 준거력(referent power)

     정답 : []
     정답률 : 71%

2과목 : 상권분석


26. 상권분석에 사용되는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1. 회귀모형을 통해 점포특성, 상권내 경쟁수준 등 다양한 변수들이 점포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측정할 수 있다.
     2.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은 변수가 너무 많아 해석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회귀모형의 설명변수들은 서로 상호연관성 즉, 상관관계가 높을 때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4. 과거의 연구결과 혹은 분석가의 판단 등을 토대로 소수의 변수를 선택하여 회귀모형을 도출할 수 있다.
     5. 신규점포의 입지타당성을 분석하는 경우, 유사한 거래특성과 상권을 가진 표본을 충분히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27. 상권을 1차 상권, 2차 상권, 한계상권 등으로 분류하는 것은 어떤 관점에 근거한 것인가?(2013년 07월)
     1. 고객 관점
     2. 판매자 관점
     3. 행정구역 관점
     4. 지형적 관점
     5. 특정 관점과 관계없음.

     정답 : []
     정답률 : 35%

28. 개점계획은 점포개설을 위한 투자계획을 포함한다. 다음 중 일정 기간 이후의 수익을 고려하지 않는 수익성분석기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5월)
     1. 회수기간법
     2. 내부수익률법
     3. 수익성지수법
     4. 순현재가치법
     5. 투자수익률법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번은 비할인모형 / 나머지보기는 할인모형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ㅠㅠ]

29. 상권에 대한 일반적 사실들을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11월)
     1. 상권은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분포하는 공간적 범위를 말하는데 점포의 매출이 발생하는 지역범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2. 현실에서 상권의 형태는 대부분 점포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동심원이다.
     3. 상권은 단독점포의 상권과 복수점포의 상권, 현재상권과 잠재상권, 거주상권과 생활상권 등의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상권은 판매행위가 이루어지는 판매권,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자를 포함하는 지역인 시장권, 거래상대방이 소재하는 거래권으로 보기도 한다.
     5. 한계상권(3차상권)은 일반적으로 점포를 이용하는 전체소비자를 빠짐없이 포괄하는 범위까지를 경계로 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현실에서의 상권의 형태는 동심원이 아니라
블록의 형태가 된다.

30. A시의 인구는 20만명이고 B시의 인구는 5만명이다. 두 도시가 서로 15km의 거리에 떨어져 있는 경우, 두 도시간의 상권경계는 A시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형성되겠는가? Converse의 상권분기점 분석법을 이용해 계산하라.(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08월)
     1. 3km
     2. 5km
     3. 9km
     4. 10km
     5. 12km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15/1+루트(20/5)=10k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15/1+루트(20/5)= 10km 이 아니라 15/3=5 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추가 오류 신고]
컨버스의 상권분기점 분석법 공식에 따라 정답은 5km로 2번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DA = 15/{1+루트(5/20)}
     = 15/1.5
     = 10Km 입니다
[해설작성자 : 단무지스테이크]

[오류신고 반론]
단무지스테이크님의 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유튜브에서 봄 ㅇㅇ]

[오류신고 반론]
a의 분기점을 물으면 분모에 a시의 인구가 들어가야합니다. 위엣분들 반대로하셔서 5km가 나오신 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다람러브]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2번 5km가 맞습니다.
거리 15/(1+2)
[해설작성자 : 복숭아]

31. 주거, 업무, 여가생활 등의 활동을 동시에 수용하는 건물을 의미하는 복합용도개발이 필요한 이유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1월)
     1. 도심지의 쇠락을 막고 주거와 상업, 업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2. 신시가지와의 균형발전과 신시가지의 행정수요를 경감하기 위해서
     3. 도시내 상업기능만의 급격한 증가현상을 피하고 도시의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4. 도심지의 활력을 키우고 다양한 삶의 장소로 바꾸기 위해서
     5. 도심의 공동화를 막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복합용도 개발의 필요성 : 도시 내외에서 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심공동화 현상을 방지, 도심지 내에 반드시 필요한 근린생활시설 및 각종 편의시설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도심지가 생동감이 넘치고 다양한 삶의 장소로 변화가 가능

32. 소매점의 입지 유형 중 부도심 소매중심지(SBD: Secondary Business Distric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도시규모의 확장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인구가 분산, 산재되어 생긴 지역이다.
     2. 근린형 소매중심지이다.
     3. 주된 소매업태는 슈퍼마켓, 일용잡화점, 소규모 소매점 등이 있다.
     4. 주간에는 교통 및 인구 이동이 활발하지만 야간에는 인구 격감으로 조용한 지역으로 변한다.
     5. 주거지역 도로변이나 아파트단지 상점가 등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CBD에 대한 설명 - 도심공동화현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부도심은 도심의 중심기능을 일부 분담하여 수용하는 지역으로서 강남역 일대, 부산 센텀시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부도심 소매중심지는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교통 및 인구 이동이 활발하다.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33. 신규점포의 상권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체크리스트방법은 단일점포의 입지를 결정하는데 활용하는 방법으로 상권 내 제반 입지의 특성, 상권 고객 특성, 상권 경쟁구조 등 상권 범위에 미치는 요인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2. 마일리지고객주소활용법은 마일리지 적립 정보로 고객의 주소를 확인하고 상권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고객의 특성 및 니즈도 파악할 수 있어 마케팅전략수립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3. 유추법은 전체 상권을 단위거리에 따라 소규모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에서의 1인당 매출액을 구하며, 예상 상권내의 인구에 유사점포의 1인당 매출액을 곱하여 신규점포의 예상매출액을 구한다.
     4. 중심지 이론에 의하면 중심지는 배후 거주 지역에 대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상업 또는 행정 기능이 밀집된 장소를 말한다.
     5. 레일리(Reilly)의 소매중력의 법칙은 다양한 점포들 간의 밀집이 소매입지의 매력도를 증가시키는경향이 있음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웃 도시들 간의 상권 경계를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마일리지고객주소활용법은 기존점포에 대한 상권분석내용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업종유형과 상권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선매품을 취급하는 소매점포는 보다 상위의 소매중심지나 상점가에 입지하여 넓은 범위의 상권을 가지는 것이 좋다.
     2. 동일 업종이라 하더라도 점포의 규모나 품목의 구성에 따라 상권의 범위가 달라진다.
     3. 전문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경우 잠재고객이 지역적으로 밀집되어 있으므로 상권의 밀도는 높으나, 범위는 좁은 특성을 갖고 있다.
     4. 상품구성의 폭과 깊이를 크게 하여 다목적구매와 비교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상권의 범위를 넓히는 요인이 된다.
     5. 생필품의 경우, 소비자는 구매거리가 짧고 편리한 장소에서 구매하려 하기 때문에 이런 상품을 취급하는 업태는 주택지에 근접한 입지를 취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66%

35. 소매포화지수(IRS)와 시장성장잠재력지수(ME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1월)
     1. 소매포화지수는 한 시장지역내에서 특정 소매업태의 소비자 1인의 잠재수요크기이다.
     2. 시장성장잠재력지수는 지역시장이 현재 창출하고 있는 시장수요측정 지표이다.
     3. 소매포화지수가 크면 시장의 포화정도가 높아 아직 경쟁이 치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4. 소매포화지수가 작을수록 신규점포에 대한 시장잠재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5. 상권내 거주자들의 타지역으로의 쇼핑(outshopping) 정도가 높을수록 시장성장잠재력지수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37%

36. 상점을 신축할 때는 용적률(容積率, Floor Area Ratio)기준을 고려해야 한다. 용적률 산정에서 제외되는 면적이 아닌 것은?(2024년 08월)
     1. 지하층 면적
     2. 그 건물의 부속용도인 지상층 주차 면적
     3.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면적
     4. 초고층 및 준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 면적
     5. 하나의 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 별도 건물의 면적

     정답 : []
     정답률 : 63%

37.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서 그 이론을 전개하기 위해 제시한 전제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소비자는 자신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근린(最近隣)의 중심지를 찾는다.
     2. 모든 방향에서 교통의 편리한 정도가 동일하다.
     3. 중심지는 그 배후에 행정,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고지대에 입지한다.
     4. 평야지대에 인구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5.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하고 운송수단은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38. 지리학자인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의 기본적 가정과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5월)
     1. 중심지 활동이란 중심지에서 재화와 서비스가 제공되는 활동을 의미한다.
     2. 중심지에서 먼 곳은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고 가정한다.
     3. 조사대상 지역은 구매력이 균등하게 분포하고 끝이 없는 등방성의 평지라고 가정한다.
     4. 최소요구범위는 생산자가 정상이윤을 얻을 만큼 충분한 소비자들을 포함하는 경계까지의 거리이다.
     5. 중심지이론은 인간의 각종 활동공간이 어떤 핵을 중심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에서, 한 지역 내 거주자들은 모든 상업 중심지로부터 중심지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다고 보고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모두파이팅]

39. 소매점이 집적하게 되면 경쟁과 양립의 서로 다른 성격을 갖게 되므로 가능하면 양립(兩立)을 통해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좋다. 다음 중 양립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4월)
     1. 보충효과
     2. 집적효과
     3. 상승효과
     4. 차단효과
     5. 차별화효과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차단효과- 중간에서 끊어먹는것임..

40. 소규모 소매점포의 일반적인 상권단절요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1월)
     1. 강이나 하천과 같은 자연지형물
     2. 왕복2차선 도로
     3. 쓰레기 처리장
     4. 공장과 같은 C급지 업종시설
     5. 철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상권단절요인
①자연지형물: 하천, 공원 등
②인공 지형물: 도로(6차선 이상), 철도 ---->2번 왕복6차선도로
③장애물 시설: 쓰레기처리장, 학교, 병원
④C급지 분포업종: 카센터, 공작기계, 우유대리점, 가구점 기타 기술위주 업종
⑤기타: 주유소, 은행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1. 상세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7월)
     1. 집적된 점포들이 영업지역으로 설정한 공간적 범위이다.
     2. 집적된 점포들이 고객을 흡인할 수 있는 공간적 범위이다.
     3. 단일 점포가 표적으로 선정한 고객들이 거주하는 공간적 범위이다.
     4. 단일 점포가 입지한 지역 내에 고객들이 존재하는 시간적 범위이다.
     5. 단일 점포 또는 집적된 점포들이 포함된 행정단위의 공간적 범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39%

42.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거주지 등 특정장소에서 점포로 향하는 동선을 파악할 때 활용하는 원리 중에서 아래 글상자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4월)

    

     1. 안전 증시의 법칙
     2. 최단거리 실현의 법칙
     3. 보증실현의 법칙
     4. 집합의 법칙
     5. 직진선호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안전중시 : 본능적으로 위험하거나 모르는 길, 다른 사람이 잘 가지 않는 곳은 안가려 함
2. 최단거리 실현 : 최단거리로 목적지에 가려는 심리, 안쪽 동선이라고 하는 뒷길이 발생함
3. 보증실현 : 먼저 득을 얻는 쪽을 택함, 최초로 만나는 횡단보도를 이용하려는 경향
4. 집합 : 군중 심리에 의해 사람이 모여있는 곳에 모임
[해설작성자 : 야호]

43. 일반적인 권리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시설권리금은 실내 인테리어 및 장비 및 기물에 대한 권리금액을 말한다.
     2. 단골고객을 확보하여 상권의 형성 과정에 지대한 공헌을 한 대가는 영업권리금에 해당된다.
     3. 시설권리금의 경우 시설에 대한 감가상각은 통상적으로 3년을 기준으로 한다.
     4. 영업권리금의 경우 평균적인 순수익을 고려하여 계산하기도 한다.
     5. 영업권리금의 경우 지역 또는 자리권리금이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바닥권리금 = 지역권리금, 자리권리금
[해설작성자 : 아하]

44. 다음 중 집재성 점포로서 가장 어울리지 않은 것은?(2025년 05월)
     1. 음식점
     2. 편의점
     3. 전자제품점
     4. 가구점
     5. 금융기관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편의점은 산재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상권내에서 분석대상이 되는 점포의 상대적 매력도를 파악할 수는 있으나 예상매출액을 추정할 수는 없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유사점포법
     2. MNL모델
     3. 허프모델
     4. 회귀분석법
     5. 체크리스트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체크리스트법은 매출액을 수치화하기 어렵기때문에 추정할수도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3과목 : 유통마케팅


46. 어떤 제품의 개당 판매가격이 100원, 고정비가 200만원, 변동비가 60원일 때의 손익분기판매량을 구하고, 이 제품의 변동비가 80원으로 올랐을 때의 손익분기판매량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11월)
     1. 60,000개, 100,000개
     2. 50,000개, 100,000개
     3. 60,000개, 90,000개
     4. 50,000개, 120,000개
     5. 40,000개, 60,000개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고정비 / (판매가격 - 변동비)

     2000000 / (100 - 60)    ,     2000000 / (100-80)
=                 50,000                 ,                100,000
[해설작성자 : 8/30 시험치는 직장인]

47. 도·소매업체들의 유통경로 수익성 평가에 활용되는 전략적 이익모형(strategic profit model)의 주요 재무 지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순매출이익률
     2. 총자산회전율
     3. 레버리지비율
     4. 투자수익률
     5. 총자본비용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전략적 이익모형은 순이익률(수익성)과 자산회전율(활동성), 레버리지비율(안전성)으로 구성되어있다.이 중 앞의 순이익률과 자산회전율은 투자수익률과 관련있다.
[해설작성자 : 지은]

48. 매스미디어 광고와는 다른 POP(Point-Of-Purchase)광고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1월)
     1. 매스미디어 광고의 소구대상은 불특정 다수이나 POP광고는 매장을 방문한 특정인을 대상으로 소구한다.
     2. 매스미디어 광고는 소비자의 정보처리 시점에 메시지가 전달되지만 POP광고는 소비자의 구매시점에서 메시지를 전달한다.
     3. 매스미디어 광고는 상품의 정보제공과 이미지 형성에 초점을 두지만 POP광고는 소비자의 선택에 초점을 둔다.
     4. 매스미디어 광고는 고객의 쇼핑에 도움과 활기를 주고, POP광고는 소비자를 매장으로 유도한다.
     5. 매스미디어 광고는 소비자에게 흥미를 부여하고, POP광고는 인적판매 보조수단으로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매스미디어 광고로 고객들에게 점포 방문 욕구를 유발
그렇게 점포로 유인된 고객에게 점내 pop광고로 구매 욕구 유발
[해설작성자 : 5/13 수험예정]

49.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진열방식으로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샌드위치 진열방식
     2. 브레이크업 진열방식
     3. 라이트업 진열방식
     4. 전진입체 진열방식
     5. 트레이 팩 진열방식

     정답 : []
     정답률 : 30%

50. 고객의 구매행동 및 욕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고객의 욕구는 소득, 취미, 학력, 가족구성 및 고객 자신의 성격에 따라 다르다.
     2. 합리적인 구매뿐만 아니라 막연한 기분이나 무드에 끌려 구매하기도 한다.
     3. 일반적으로 고객은 습관적 소비 성향을 보이며 새롭거나 신비한 것에 끌리지 않는다.
     4. 가처분 소득이 상승할수록 시간, 장소, 상황에 의한 소비 성향이 현저해진다.
     5. 고객은 상품의 소유뿐만 아니라 상품을 사용해서 얻는 이익 또는 상품의 소유에서 생기는 효용을 위해 구매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51. 온라인 마케팅에서 특정 광고나 콘텐츠가 전체 목표 대상자 중 실제로 노출된 사람의 숫자나 비율을 의미하는 성과측정 단위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11월)
     1. GI (gross impression)
     2. 페이지 뷰(page view)
     3. 순방문자
     4. 도달률
     5. GRPs (gross rating point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마케팅 믹스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1월)
     1. 소매상의 상품 전략은 표적 시장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상품 믹스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2. 대형 유통업체의 PB(Private Brand)출시는 상품 전략 중에서 상표 전략에 속한다.
     3. 가격 전략에서 특정 소매상이 시장 점유율을 증대시키고자 한다면 고가격전략을, 이익 증대가 목표라면 저가격 전략을 수립한다.
     4. 촉진이란 소비자가 특정 소매상이나 상품을 인지하고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활동을 말한다.
     5. 광고와 인적판매, 판촉, 홍보는 대표적인 촉진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53. 아래 글상자가 설명하는 서비스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신뢰성(reliability)
     2. 확신성(assurance)
     3. 유형성(tangibility)
     4. 공감성(empathy)
     5. 응답성(responsiveness)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감성 : 고객에 대한 배려와 개별적 관심, 서비스 제공
유형성 : 물리적인 시설에 대한 부분( 대기실, 장비, 간판)
확신성 : 전문지식을 갖추었는지, 직원이 알기 쉽게 설명하는지 등
대응성 : 즉각적인 응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답은 공감성 : 개별적 욕구를 충족 , 사이즈가 각각 다른 두 켤레를 판매 = 개별적 관심 및 서비스 제공
[해설작성자 : 호식이]

54. 단위당 변동비가 500원인 상품을 단가 1,000원에 판매할 계획을 세웠으나 예상보다 판매가 부진하여 10% 할인한 가격에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다른 조건들이 모두 동일한 경우, 10% 가격할인에 따라 손익분기점은 어떻게 달라지는가?(2016년 11월)
     1. 20% 감소한다.
     2. 25% 감소한다.
     3. 20% 증가한다.
     4. 25% 증가한다.
     5. 목표이익을 모르므로 계산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가격이 10%할인되면 마진차이는 -100원이 나게된다.
할인되어 계속 400원의 마진이 남게됨으로, 기존 마진보다 100원씩 덜 받게되는 것.
즉, 100/400만큼 덜 받는거고, 이는 25퍼만큼 분기적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55. '더 비싼 가격에 더 많은 가치'라는 포지셔닝 제안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매업태는?(2016년 11월)
     1. 아울렛
     2. 온라인 쇼핑몰
     3. 대형마트
     4. 편의점
     5. 보석전문점

     정답 : []
     정답률 : 74%

56. 상품구성 방법 중 전문점 지향의 상품구성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좁고 깊은 상품구성
     2. 좁고 얕은 상품구성
     3. 넓고 깊은 상품구성
     4. 넓고 얕은 상품구성
     5. 참신성 위주 상품구성

     정답 : []
     정답률 : 73%

57.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키워드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검색엔진 최적화는 소비자가 어떤 키워드로 검색하는 지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2. 판매하려는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하여 검색하는 유관 키워드 또한 파악해야 한다.
     3. 검색한 소비자가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게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4. 키워드는 온라인마케팅 전반에 활용되므로 불특정 다수를 중심으로 조사해야 한다.
     5. 경쟁기업이 어떤 메시지와 키워드를 사용하는지 경쟁사 키워드 조사도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58. 서비스품질 구성차원(SERVQUAL)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2015년 11월)
     1. 유형성(tangible)
     2. 신뢰성(reliability)
     3. 공감성(empathy)
     4. 확신성(assurance)
     5. 정보성(information)

     정답 : []
     정답률 : 61%

59. 고객관계관리(CRM)와 관련한 채널관리 이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채널은 고객접점으로서 관리되어야 한다.
     2. 채널의 정보교환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3. 채널 파트너와의 협업을 관리해야 한다.
     4. 채널을 차별화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채널 간 갈등을 최소화해야한다.
     5. CRM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채널을 독립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CRM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채널은 통합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고객 서비스품질(SERVQUAL)과 관련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7월)
     1. 고객의 요구에 대하여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지는 반응성과 관련이 있다.
     2. 직원의 지식과 예의 그리고 신뢰와 자신감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은 신뢰성과 관련이 있다.
     3. 고객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의 배려와 관심의 정도는 공감성으로 나타낸다.
     4. 직원의 외모, 각종 장비 및 도구는 유형성으로 나타낸다.
     5. 고객서비스의 품질은 소비자에 따라 상대적 중요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17%

61.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머천다이징(merchandising)유형으로 옳은 것은?(2020년 11월)

    

     1. 크로스 머천다이징(cross merchandising)
     2. 코디네이트 머천다이징(coordinate merchandising)
     3. 날씨 머천다이징(weather merchandising)
     4. 리스크 머천다이징(risk merchandising)
     5. 스크램블드 머천다이징(scrambled merchandising)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반품이 안된다는 전제로 상품을 사들여 리스크를 감수했기 때문에 리스크 머천다이징
[해설작성자 : 이번엔 혼내준다]

62. 아래 글상자의 표본 추출방식 중 확률표본추출 방법만을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11월)

    

     1. ㉠, ㉡, ㉤
     2. ㉠, ㉢, ㉤
     3. ㉡, ㉣, ㉤
     4. ㉡, ㉣, ㉥
     5. ㉢, ㉣, ㉥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다음 글 상자 안의 내용들을 특징으로 갖는 백화점의 매입방식은?(2017년 04월)

    

     1. 직매입
     2. 특정(특약)매입
     3. 임대(갑)
     4. 임대(을)(수수료)
     5. 기획매입

     정답 : []
     정답률 : 46%

64. 머천다이징(merchandis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머천다이징은 우리말로 상품기획, 상품화계획 등으로 불린다.
     2. 머천다이저(merchandiser)는 소매점의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을 담당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머천다이저를 카테고리 매니저라 부르기도 한다.
     3. 머천다이징은 유통업체만의 고유 업무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상품을 기획하여 판매하며 제조업체, 서비스 업체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4. 머천다이징은 구매, 진열, 재고, 가격, 프로모션 등 광범위한 활동을 포함한다.
     5. 머천다이징의 성과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는 재고총이익률(GMROI)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65. 점포 레이아웃관리의 영역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상품의 배치
     2. 집기의 공간 결정
     3. 표지(Sign)와 그래픽을 소품으로 사용
     4. 계산대 배치
     5. 통로의 공간 결정

     정답 : []
     정답률 : 54%

66. 제조업체의 촉진 전략 중 푸시(push)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최종소비자 대신 중간상들을 대상으로 하여 판매촉진활동을 하는 것이다.
     2. 소비자를 대상으로 촉진할 만큼 충분한 자원이 없는 소규모 제조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촉진 전략이다.
     3. 제조업체가 중간상들의 자발적인 주문을 받기 위해 수행하는 촉진 전략을 말한다.
     4. 가격할인, 수량할인, 협동광고, 점포판매원 훈련프로그램 등을 활용한다.
     5. 판매원의 영향이 큰 전문품의 경우에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선지3번: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푸시전략의 반대인 풀전략은 쉽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주문하는 겁니다.
애플 같은 매력적인 브랜드는 유통업자들이 너나 나나 내가 팔고시퍼용하고 붙겠죠?
그러므로 중간상들이 자발적으로 촉진활동을 펼치는 건 '풀전략'입니다
[해설작성자 : 끼요오]

67.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상품들을 매대나 바구니 등에 쌓아놓는 방법으로 고객에게 저렴하다는 인식을 줄 수 있고 충동구매를 유발하며 저가격과 저마진 상품에 어울리는 진열방법은?(2017년 04월)
     1. 전진입체진열
     2. 박스커트진열
     3. 벌크진열
     4. 돌출진열
     5. 후크진열

     정답 : []
     정답률 : 63%

68.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매장 혼잡성 관리 전략으로 옳은 것은?(2024년 05월)

    

     1. 시설의 재배치
     2. 최대용량 조절
     3. 고객 수 통제
     4. 직원 수 조절
     5. 고객의 인식관리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 앞에서 고객이 느끼는 혼잡함, 답답함을 즐거운 체험으로 바꾸는 심리적 관리.

69. 점포의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11월)
     1. 점두, 출입구, 건물 외벽 등의 점포 외장
     2. 매장 및 후방, 고객 동선, 상품배치 등의 레이아웃
     3. 매장 인테리어, 조명, 현수막 등의 점포 내부
     4. 진열 집기, 트레이, 카운터 등 각종 집기
     5. 종업원의 복장, 머리카락, 청결 상태 등의 위생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2번 아니고 4번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은 상점의 시각적 요소를 조합하여 상품을 더 돋보이게 하고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매장의 이미지를 결정하고 고객들을 유치하며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요소가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포함됩니다. 여기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매장 내부의 상품 진열 집기, 트레이, 카운터 등 각종 집기입니다.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주로 상품, 소비자, 매장의 시각적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매장 이미지를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1. 따라서 집기와 같은 물리적 요소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핵심이 아닙니다.

그러나 점포 외장, 레이아웃, 매장 인테리어, 조명, 종업원의 복장과 위생 상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매장을 조성하면 고객들이 더욱 매력적으로 느끼고 방문하게 될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관도우미]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VMD는 마케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연출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점포의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에는 색채,재질,선,형태,공간 등과 점포 내외부 디자인도 포함되며 핵심 개념은 매장 내 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매장 및 후방, 고객 동선, 상품배치등의 레이아웃은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 2급 한권끝장 2024
[해설작성자 : 윹옹관리사]

[오류신고 반론]
2번에 후방이라 함은 창고, 물류동선, 사무실 등 고객에게 노출되지 않는 부분을 뜻하므로 VMD의 범주가 아닙니다.
(참고로 행거, 매대 등 각종 집기류도 디자인 요소에 따라 매장 이미지 연출에 중요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코코갈비살구]

70. 다음 중 격자형 레이아웃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시각적으로 고객의 주의를 끌어 개별 매장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다.
     2. 매장의 배치가 자유로워 고객의 충동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3. 주동선, 보조동선, 순환통로, 설비표준화로 비용이 절감된다.
     4. 고급상품 매장이나 전문점 같이 고객 서비스를 강조하는 매장에서 주로 활용한다.
     5. 의류상품에 적합한 레이아웃으로 쇼핑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격자형 ↔ 자유형

1.자유형
2.자유형
4.자유형
5.자유형

*격자형 레이아웃: 내가 찾고자, 구매하고자 하는것을 바로 찾을수 있게끔.( 편의점, 슈퍼마켓)
*자유형 레이아웃: 쇼핑시간을 늘려줌. (백화점)
[해설작성자 : 호맨]

71. 고객관계관리를 위해 활용하는 기술인 웹마이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1. 웹 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고객 신상정보, 구매기록, 장바구니 정보 등)를 대상으로 웹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고, 웹 사용자의 의미 있는 접속행위 패턴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2. 웹마이닝은 웹콘텐츠마이닝, 웹구조마이닝, 웹사용마이닝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3. 웹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내용이나 활동 사항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하는 웹로그파일을 수집, 분석하여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방법이다.
     4. 웹마이닝의 분석 대상인 로그파일은 Access log, Refferer log, Agent log, Error log 등이 있다.
     5. 웹로그 추출방식 중 네트워크에서 주고 받는 패킷데이터에 담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빼내는 방법을 응용하여 방문자의 트랜잭션을 수집하는 TAG방식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72. 유통정보시스템 설계과정의 순서가 가장 올바른 것은?(2013년 04월)

    

     1. 가 - 나 - 다 - 라 - 마
     2. 마 - 가 - 라 - 다 - 나
     3. 가 - 라 - 나 - 다 - 마
     4. 마 - 다 - 가 - 라 - 나
     5. 가 - 나 - 라 - 다 - 마

     정답 : []
     정답률 : 25%

73. (가),(나),(다) 안에 들어갈 단어들이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5년 05월)

    

     1. (가) - QR, (나) - VMI, (다) - CMI
     2. (가) - QR, (나) - CMI, (다) - VMI
     3. (가) - CR, (나) - VMI, (다) - CMI
     4. (가) - CR, (나) - CMI, (다) - VMI
     5. (가) - VMI, (나) - CAO, (다) - ECR

     정답 : []
     정답률 : 31%

74. 공급사슬의 성과지표들 중 고객서비스의 신뢰성 지표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11월)
     1. 평균 재고 회전율
     2. 약속 기일 충족률
     3. 신제품 및 신서비스 출시 숫자
     4. 특별 및 긴급 주문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5. 납기를 맞추기 위해 요구되는 긴급주문의 횟수

     정답 : []
     정답률 : 67%

75. 방화벽 구축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방화벽의 구축 형태별 장단점을 파악한다.
     2. 트래픽량을 고려한다.
     3. 동시 사용자 수를 고려한다.
     4. 각 방화벽 Gateway의 종류별 장단점을 파악한다.
     5. 항상 속도보다는 안전성을 고려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76. 산업혁명에 따른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5월)
     1. 1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 활용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달성하였다.
     2. 2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부분자동화가 이루어졌고, 네트워킹 기능이 프로세스 혁신을 위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3. 3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노동에서 분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고, 전문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4. 4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전화, TV, 인터넷 등과 같은 의사소통 방식이 기업에서 활성화되었다.
     5. 4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이용을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혁신이 이루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적인 요소들이 5번의 내용에 있다.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이용을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혁신이 이루어졌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배송시스템은 배송업체의 개별적인 여건과 배송되는 제품특성에 따라 생산자 집약형 배송시스템과 프랜차이즈 방식의 배송시스템, 그리고 택배 서비스로 구별해 볼 수 있다. 아래 글상자에서 생산자 집약형 배송시스템의 장단점을 모두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5년 05월)

    

     1. ㉠, ㉢, ㉤
     2. ㉠, ㉣, ㉤
     3. ㉡, ㉢, ㉣
     4. ㉡, ㉢, ㉤
     5. ㉠, ㉡, ㉣, ㉤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모두 정답처리

78.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7월)
     1.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모든 사물에 칩을 넣어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컴퓨팅 환경을 지칭한다.
     2.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센싱기술은 주변의 기계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자율적으로 정보의 수집 및 관리가 가능하게 지원하는 기술이다.
     3.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아니다'라고 할 만큼 항상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해야 하는 컴퓨팅 환경이다.
     4. 가상공간이 아닌 현실 세계의 어디서나 컴퓨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컴퓨팅 환경이다.
     5.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한 상태에서 의도적인 조작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79.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는 중소업체들의 거래를 중개하는 G마켓 같은 전자시장(e-marketplace)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7월)
     1. 판매자 중심 전자시장
     2. 구매자 중심 전자시장
     3. 수직적 전자시장
     4. 수평적 전자시장
     5. 협업지원 전자시장

     정답 : []
     정답률 : 38%

80. 거래 단품을 중복없이 식별하는 역할을 하는 GTIN(국제거래단품식별코드) 및 GTIN 관련 데이터는 대개 고정데이터이지만, 때로는 기본 식별 데이터 외에 더 세부적이고 상세한 상품 정보를 제공해야 할 때도 있다. 이 경우 사용되는 가변 데이터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5월)
     1. 유통기한
     2. 일련번호
     3. 로트(lot) 번호
     4. 배치(batch) 번호
     5. 성분 및 영양정보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로트 번호는 일정한 제조단위분에 대하여 제조연월일 및 관리·출하 등에 관한 모든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종합 관리하는 숫자, 문자 등을 말하고,
배치 번호는    생산과 관련된 특정 특성(생산 시간, 생산 날짜, 식별 코드 등)을 공유하는 동일한 제품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지정되는 번호 또는 문자를 의미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공장에서 물건을 일괄적으로 찍어낼때 똑같은 용기에 똑같은 물건이 담겨있으면 각 물품별로 어떤게 어떤건지 구별이 안되니까 관리하기 쉽도록 식별번호를 붙여준 겁니다.

유통기한, 일련번호, 로트번호, 배치번호는 100개의 제품을 찍어낸다고 가정하면 그룹별로 찍히는 번호가 다르게 나올 겁니다. 10월에 생산된 식품과 11월에 생산된 식품은 유통기한을 다르게 찍어야겠죠? 가변적입니다.

그런데 성분 및 영양정보는 100개를 찍어내든 1000개를 찍어내든 전부 같은 내용이 찍힐 겁니다. 새우깡을 만드는데 어떤 새우깡은 소금을 많이 넣고 또 어떤 새우깡은 소금을 적게 넣고 그렇게 만들 순 없잖아요? 항상 동일하기에 고정적입니다.

문제는 '가변 데이터로 옳지 않은 것'을 묻고 있으니 다섯 개 보기 중에서 고정적인 데이터를 찾으면 되겠네요.    
[해설작성자 : Freshbread]

81. 국가종합전자조달 사이트인 나라장터를 전자상거래 거래 주체별 모델로 구분하였을 때 가장 옳은 것은?(2021년 11월)
     1. B2B
     2. G2B
     3. G4C
     4. B2C
     5. C2C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G: Government
B: Business
C: Customer
-Government to Business
[해설작성자 : yuuji]

G2B : 정부전자조달, 즉 정부와 기업 간 거래. 공공기관이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계약할 때 참가업체(일반 기업) 등록과 입찰, 계약, 대금 지불 등 전 단계를 인터넷으로 처리하는 것.

개인과 정부 - C2G : 생활보호지원금, 자진신고세금환불 등을 전자적으로 수행하는 것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82. 지식경영시스템의 역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조직 내 구성원들의 지식을 집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 창출을 유도한다.
     2. 조직 내 구성원들을 지식화시켜 기업의 잠재적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3. 지식을 XML 데이터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비즈니스간 데이터 교환비용을 절감해준다.
     4. 구성원 간의 지식개인화를 강화하여 푸시(push)솔루션을 통해 가장 빠른 지식유통망을 확보해준다.
     5. 기존 시스템의 데이터, 이메일, 파일시스템, 웹 사이트 등 외부지식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기업지식의 기반을 확대해 준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지식경영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지식공유화
3.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이런 XML의 특징은 수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유연하고 자유롭게 기술하는 데 적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응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으로 연결된 시스템끼리 쉽게 식별 가능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4.개인화 x 지식공유화 강화

83.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특징을 인터넷 시대 및 모바일 시대와 비교하여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11월)
     1. IoT 시대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으로 연결범위가 확대되었다.
     2. 정보가 제공되는 서비스방식이 정보를 끌어당기는 풀(pull)방식에서 푸시(push)방식으로 전환되었다.
     3. 정보 제공 방식이 '24시간 서비스(Always-on)' 시대에서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4. IoT 시대에서는 단순히 원하는 정보를 얻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조합해 필요한 지혜를 제공해 준다.
     5. 정보를 얻는 방식이 내가 원하는 무언가를 내가 찾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무언가를 주변에 있는 것들이 알아서 찾아주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온디맨드에서 24시간으로 바뀜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84. POS시스템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판매시점 기준 정보관리 지원
     2. 상품 판매동향 분석을 통해 인기/비인기 제품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
     3. 시스템 기기의 사양이 다르면 점포간 판매동향 비교, 분석이 불가능
     4. '무엇이 몇 개나 팔렸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
     5. 인터넷 기반으로 구축된 경우 매장 이외의 장소에서도 매출 등 정보 확인 가능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POS의 경우 점포간 비교, 분석이 불가능하여 시스템의 기기와 사양은 전혀 무관한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안현기]

85.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지적자산은 형식지와 암묵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2014년 07월)
     1. 형식지란 문서화되어 있고, 보존이 가능하고, 성문화 할 수 있는 것들을 말한다.
     2. 특허권, 상표, 사업계획, 시장조사, 고객목록 등이 형식지에 해당된다.
     3. 도제 장인의 솜씨는 암묵지에 해당한다.
     4. 사람들 머릿속에 있는 지식을 인식하고, 생성하고, 공유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암묵지에서 암묵지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된 시스템을 지식경영시스템(KMS)이라 한다.
     5. 제품별 운송시 주의사항과 지침은 형식지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86. 라파(Rappa, 2000)가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 중 박스 안의 설명에 가장 적합한 모델은?(2014년 11월)

    

     1. 메타중개
     2. 경매중개
     3. 역경매
     4. 고객모집형
     5. 시장거래소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시장거래소
: B2B 시장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사업 모델
: 중개인은 판매자에게 성사된 거래금액의 일정 몫을 중개수수료로 받는다

역경매
: 구매자가 스스로 가격을 정해 입찰을 받는 방식

경매중개
: 판매자를 위해 경매를 주관, 성사된 거래에 대하여 일정 몫을 수수료로 받는 모델

고객모집형
: 인터넷을 통해 개별 구매자를 끌어모아 일반적으로
대량구매자에게만 적용되는 할인가격에 구입할 수 있도록 한 모델
[해설작성자 : 시험까지 7일]

87. 아래 글상자가 뜻하는 정보의 특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11월)

    

     1. 정보의 관련성
     2. 정보의 신뢰성
     3. 정보의 적시성
     4. 정보의 정확성
     5. 정보의 검증가능성

     정답 : []
     정답률 : 65%

88. 공급업체와 구매업체의 재고관리 영역에서 구매업체가 가진 재고 보충에 대한 책임을 공급업체에게 이전하는 전략을 일컫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CPP(cost per rating point)
     2.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3. CMI(co-managed inventory)
     4. ABC(activity based costing)
     5. VMI(vender managed inventory)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VMI : Vendor Managed Inventory
공급자 주도 재고관리라는 뜻.
재고 보충을 공급업체가 알아서 해주는 것임
[해설작성자 : 돌밑다슬기]

89.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개념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11월)

    

     1. 윈윈 게임(Win-win game)
     2. 제로섬 게임(Zero-sum game)
     3.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
     4. 코피티션(Co-opetition)
     5. 가치 네트워크(Value network)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지식인 또는 지식근로자에게 필요한 자질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8년 11월)
     1. 자신의 일하는 방법을 부단히 개선ㆍ개발ㆍ혁신시켜야 한다.
     2. 자신이 터득한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록해야 한다.
     3.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4. 희소 가치가 있는 지식이나 노하우는 암묵지 형태로 존재시켜야 한다.
     5. 일하는 방법을 개선ㆍ개발ㆍ혁신함으로써 얻은 아이디어는 구체적인 상품가치를 창출하는 데 연계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희소가치가 있는 노하우는 문서나 매뉴얼의 형태(형식지형태)로 존재 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쮸]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21283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57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21283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3
23755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75950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3 수능(화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7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2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28428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1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9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28341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8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391810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7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6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5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4 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5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3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535104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2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74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40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39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3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89 Next
/ 1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