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중국 소주의 4대 명원에는 졸정원, 사자림, 유원, 창랑정이 있다. 북경에는 원명원 이궁, 만수산 이궁이 있다. [해설작성자 : 김치볶음밥]
2.
고려시대 궁원에 관한 기록에서 동지(東池)는 5대 경종에서 31대 공민왕에 이르기까지 자주 나타나고 있다. 기록상으로 추측할 때 동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전(政殿)인 회경전 동쪽에 위치
2.
연꽃을 감상하기 위한 정적인 소규모 연못
3.
연못 주변과 언덕에 누각 조성
4.
학, 거위, 산양 등을 길렀던 유원 조성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려시대 동지(東池),구령각지원
*위치:궁 동편 *[고려사] -백학,거위,오리, 산양 등의 진금기수 사육 -연못가의 누각 조성,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는 장소로 이용 -무사를 검열하고 활 쏘는 구경을 하는 장소
3.
안동 하회마을 부용대에서 체험할 수 있는 다차원적 놀이문화와 관계가 먼 것은?
1.
천천히 줄에 매달려 강을 건너는 불
2.
독특한 송진 타는 냄새 맡기
3.
짚단에 불 붙여 절벽 아래 던지기
4.
물 위에 술잔 띄워 돌리기
정답 : [
4
] 정답률 : 86%
4.
이슬람 정원에서 4개의 수로로 분할되는 4분 정원의 기원은?
1.
마스지드(al-Masjid)
2.
차하르 바그(Chahar Bagh)
3.
지구라트(Ziggurat)
4.
마이단(Maidan)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차하르바그 거리는 세계 최초의 가로수 길, 사파비 왕조가 수도 이전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 만든 곳, 차하르바그는 이란어로 4개의 정원이라는 의미, 이 길은 천도를 결심하고 만들기 시작하여 수도를 이전한 1598년에 완공, 현재 이 길은 에스파한 시 남쪽 끝에 위치한 쏘페(Soffeh) 산 밑에서부터 씨오세 다리를 지나 쇼하다(Shohada) 로터리까지 이어짐 [해설작성자 : 팔봉K]
5.
통일신라시대 경주의 도시구획 패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선형
2.
격자형
3.
십자형
4.
동심원형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통일신라시대는 상주의 물리적인 근간이 형성된 시기로 북천과 남천, 산으로 둘러 쌓인 평야지대 전체에 약 160m×160m의 격자형 토지구획이 적용되었다.
6.
서원의 외부공간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성생단
2.
관세대
3.
소전대
4.
정료대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소전대 : 제례를 지낸 후 지방을 태우는 시설로 조선 왕릉 중 소전대가 있는 곳은 태조의 건원릉과 태종의 헌릉 [해설작성자 : 팔봉K]
1.성생단: 제관들이 직접 제사에 쓰일 생(소,양,염소 같은 고기)이 적합한가의 여부를 폼평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2.관세대: 사당을 참배할 때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대야를 올려 놓았던 석조물 4.정료대: 궁궐이나 서원, 향교, 사찰 등 넓은 뜰이 있는 건물에서 밤에 불을 밝히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 [해설작성자 : ㄼ]
7.
16~17C의 네덜란드 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정원 시설물이 아닌 것은?
1.
캐스케이드
2.
창살울타리
3.
화상(花床)
4.
정자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네덜란드: 국토가 평평하기 때문에 지면이 해면보다 낮아 노단시설 부적합
캐스케이드[cascade] : 서양식 정원의 조원법(造園法)의 하나로, 폭포와 같이 물을 낙하시키는 방식 [해설작성자 : 팔봉K]
8.
중세 스페인 알함브라 궁원의 주정으로 일명 “천인화의 파티오”라 불리는 것은?
1.
사자의 파티오
2.
연못의 파티오
3.
다라하의 파티오
4.
레하의 파티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알베르카(alberca)중정 혹은 도금양, 천인화의 중정이라 불린다. 공적인 기능. 연못 양쪽에 천인화가 열식되어 있다.
9.
다음 중 동일한 서원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은?
1.
송죽매국
2.
절우사
3.
시사단
4.
관어대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도산서원(절우사,시사단) [해설작성자 : 늘bluesky]
경주 옥산서원 : 관어대 도산서원 : 송죽매국, 절우사, 시사단
10.
19세기에 공공공원(public park)을 마련한 기본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2.
공중위생에 대한 관심
3.
국민의 도덕에 대한 관심 증가
4.
낭만주의적·미적인 관심 증가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포스트모더니즘은 20C 중후분에 등장하는 사조이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9세기 조경의 일반적인 경향은 과학의 발달로 현실에 눈을 돌린 절충식 경향이다 (사실주의) 인식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가 늘어나 공중위생 , 도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공원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낭만주의적이고 미적인 관심 또한 증가했다 이후 사실주의에 반발하는 모더니즘 (20세기 전반) 이 나타났고 다시 이에 반발하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 이다 [해설작성자 : 쏭]
11.
조선시대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의 적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조선 궁궐을 만드는 원칙 가운데 하나이다.
2.
삼조삼문의 치조는 정전과 편전이 있는 곳을 의미한다.
3.
우리나라에서는 전조후시 원칙을 적용하여 궁궐을 조성했다.
4.
삼조삼문의 외조는 신하들이 활동하는 관청이 있는 곳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 : 『주례』는 중국, 주대의 관제(官制)를 기술한 경서. 전설에 의하면 서주 초기(B.C. 12세기)의 주공(周公)이 정한 예제(禮制)를 기록한 것. 전한·무제(재위 B.C. 141~B.C. 87)때, 하간(河問)의 헌왕(獻王)에게 이씨(李氏)가 바쳤다고 함 천·지·춘·하·추·동의 6부서로 나누기 때문에 『육관(六官)』이라고도 한다. 그중 동관(冬官)의 기사가 없어졌기 때문에 성제(成帝, 재위 B.C. 33~B.C. 7) 때 보완한 것이 『고공기』임. 그 도성의 건설에 관해서는 기록에 「匠人管國, 方九里, 旁三門, 國中九經九緯, 經徐九軌, 左祖右社, 面朝後市」라 기재되어 있어 후대 중국 역대왕조의 도성건설에 기본이 됨 조선의 도시계획은 중국 주례의 고공기 룰을 그대로 따른게 아니라 굴곡이 많은 인왕산, 북악산에 적용. 고공기를 벤치마크했지만 우리의 자연 속에서 우리 식으로 만듦 [해설작성자 : 팔봉K]
12.
경복궁의 아미산(峨嵋山)원에서 볼 수 있는 경관요소가 아닌 것은?
1.
굴뚝
2.
정자
3.
석지(石池)
4.
수조(水槽)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미산은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의 후원으로 인공적으로 조성한 화계에 각종 수목이 식재되어 있으며 굴뚝 석지 수조 괴석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ㅇ]
13.
중국의 북경에 있는 원명원(圓明園)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강희(康熙)황제가 꾸며 공주에게 넘겨준 것이다.
2.
1860년에 침략한 일본군에 의하여 파괴 되었다.
3.
원명원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만춘원이 있고, 남동쪽에는 장춘원이 있다.
4.
뜰(園)안에는 대 분천(噴泉)을 중심으로 하는 프랑스식 정원이 꾸며져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원명원은 원명원, 장춘원, 기춘원(후에 만춘원으로 변경) 3원을 통틀어 일컫으며, 1860년 침공한 영불 연합군에의해 대부분 소실되었으며 아직도 복원이 끝나지 않았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추가 해설] 성림[聖林] : 고대 그리스시대에 신전 주위에 꾸민 성스러운 정원 아카데미 : 기원전 385년,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에서 북서쪽에 있는 영웅신 아카데모스의 신역에 청년들의 심신을 수양시켜 국정에 공헌할 인물을 배출하려는 목적으로 플라톤이 세운 아카테미아에서 유래 된 것, 철학을 중심으로 수학·음악·천문학 등이 주요시되었고, 동시에 사회에 유익한 인재를 배출하는 데도 힘써 웅변술인 수사학을 가르치는 수사학교 김나지움[gymnasium] : 고대 그리스의 체육장 통상 직사각형의 안뜰을 가진 열주랑(列柱廊⇒콜로네이드)으로 둘러싸이고 그 주변에 많은 방을 가진 파라이스트라(파라에스트라)를 포함, 그밖에 지붕이 있는 실내 경기장과 노천경기장, 탈의실, 도유실(塗油室), 권투, 구기연습장, 모래사장, 욕실 등을 갖춘 방대한 종합시설 [해설작성자 : 팔봉K]
16.
정원시설과 관련된 인물의 연결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오곡문 - 양산보
2.
암서재 - 송시열
3.
초간정 - 권문해
4.
동천석실 - 정영방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번의 정영방은 서석지원, 석문임천정원과 관련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조경화이팅]
보길도 동천석실(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198) : 윤선도의 이상세계인 부용동을 바라볼 수 있는 낙서재 앞산 중턱으로 자리하는 동천석실은 보길도 최고의 경관을 보여주는 하늘의 정원 넉넉한 산속 우거진 숲 사이를 걸어가면 하늘이 툭 열리듯 보길도와 부용동을 한눈으로 담는 자리에 한 칸으로 만들어진 정자 [해설작성자 : 팔봉K]
17.
다음 중 베티가(House of vettii)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고대 그리스 별장에 속한다.
2.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의 구분이 모호하다.
3.
2개의 중정과 지스터스로 이루어져 있다.
4.
아트리움(Atrium)과 페리스틸움(Peristylium)을 갖추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로마의 별장이 아니라 주택정원입니다 [해설작성자 : 괜춘함춘]
베티가는 로마의 주택전원입니다 [해설작성자 : 하하]
18.
영국 버컨헤드(Birkenhead) 공원의 설계자는?
1.
Humphry Repton
2.
Joseph Paxton
3.
Joseph Nash
4.
Robert Owen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영국 버컨헤드 공원을 설계한 사람은 조셉 펙스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산림조경 아자아자]
19.
일본정원에 학도(鶴島)와 구도(龜島)가 함께 조성된 정원은?
1.
용안사 석정
2.
은각사 향월대
3.
서방사 이끼정원
4.
남선사 금지원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강호(에도)시대의 남선사 금지원으로 학도(학)구도(거북이)가 함께 조성되어있다:장군의 장수 기원
20.
고대 서부아시아 수렵원(Hunting Park)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늘날 공원(park)의 시초가 된다.
2.
인공으로 호수와 언덕을 만들고, 물가에 신전을 세웠다.
3.
소나무, 사이프러스에 대한 관개를 위해 규칙적으로 식재하였다.
4.
니네베(Nineveh)의 인공 언덕 위에 세워진 궁전 사냥터가 유명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인공으로 언덕을 쌓아만들고 정상에 신전을 세웠다.
2과목 : 신호기기
21.
공장배치 및 조경의 체계에 가장 부합되지 않는 것은?
1.
일반적으로 입구 정면에 수위실을 두어 근무자와 화물의 출입을 통제한다.
2.
관련도가 높은 공장들은 모이게 배치하고, 관련성이 없는 것은 떨어지게 배치한다.
3.
외부공간에 도입되는 설계요소를 단순화시켜 작업 효율의 향상에 기여한다.
4.
직접 제조활동, 간접 제조활동, 자원설비공간, 부수보조공간 및 후생지원공간들이 공장조경에 고려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외부공간의 설계요소는 다양화시켜 여러 경험의 기회를 줄 수 있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2.
다음 중 도로조경 계획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변 토지이용과 노선의 구조적 특성 및 시각적 효과를 고려한 식재 및 시설물 배치를 한다.
2.
철도, 도로 등 다른 교통과 교차점이 많은 노선에 효율적으로 배치한다.
3.
절·성토의 균형 및 완만한 구배를 얻는 노선을 계획하도록 한다.
4.
가능한 곡선반경을 크게 주어 운전자가 되도록 직선에 가까운 노선으로 느끼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철도, 도로 등 다른 교통과 교차점이 적은 노선에 효율적으로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도시농업공원의 공원시설 부지면적 기준은?
1.
100분의 20이상
2.
100분의 40이하
3.
100분의 50이하
4.
100분의 60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65%
24.
통경(vista)의 배치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점, 종점의 물체, 연결공간이 시각적 단위를 형성하도록 한다.
2.
종점에서 시점을 보는 역 통경(reverse vista)은 피한다.
3.
종점의 물체를 몇 개의 시점에서 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4.
종점의 물체를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역통경도 고려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25.
외부 공간 설계에 관한 세부 설계 기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공원(mini-park) 주변의 자동차 소음을 완화하기 위하여 폭포를 설치하였다.
2.
인간적 척도(human scale)를 위하여 60층 건물의 입구에 돌출된 현관을 따로 만들었다.
3.
사적지의 엄숙함을 강조하기 위하여 고운 질감을 가진 수목 위주로 식재하였다.
4.
어린이 놀이 시설에 즐거움을 더해주기 위하여 중성색 위주로 색칠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어린이 놀이 시설에는 명도가 높고 활동적 느낌의 원색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6.
리모트 센싱에 의한 환경해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광역적인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2.
시각적 선호도에 의한 경관을 예측할 수 있다.
3.
시간적 추이에 따른 환경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4.
특정지역의 환경 특성을 광역 환경과 비교하면서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리모트 센싱에 의한 환경 조사 : 항공기, 인공위성에 의해서 땅 위에서 탐사하는 것으로 단시간 내에 광범위한 지역을 조사할 수 있고, 시간적 추이에 따른 환경의 변화가 파악되고 특정지역의 환경특성을 광역환경과 비교가 가능하다. 그러나 토양 심층부는 간접적으로 파악되고 조사에 경비가 많이 들며 수종의 명칭, 식생군락의 형태 파악이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항공기, 인공위성등에 의한 자료를 해석하는 것으로. 선호도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표지판의 종류는?
1.
안내표지
2.
해설표지
3.
유도표시
4.
주의표시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순간적인 혼란이 야기될 수 있거나 정확한 방향으로의 안내시 유도표지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8.
다음 중 안내시설의 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의 CIP개념과 독자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야간 이용을 고려하여 조명시설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재료는 내구성·유지관리성·경제성·시공성·미관성·환경친화성 등 다양한 평가항목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4.
이용자에게 시각적 방해가 되는 장소는 피하여야 하며, 보행 동선이나 차량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CIP 개념을 도입하여 통일성을 주고 해당 명칭에 고유형태(logotype)가 있는 경우 그대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9.
도시구성에 있어서 도로의 위계 체제를 명확히 함과 동시에 거주환경지역(Environmental Area)을 설정하여 일상생활에서 보행자를 우선하도록 주장한 보고서는?
1.
Barlow Report
2.
Buchanan Report
3.
Utwatt Report
4.
Regional survey of New York and its Environs Vol.III
정답 : [
2
] 정답률 : 68%
30.
일반적인 스카이라인 형성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1.
단일 고층건물의 배경에 산이 있을 경우, 건물의 높이는 산 높이의 60~70%가 되게 한다.
2.
고층건물 주변에 일정 높이의 건물이 있을 경우, 고층건물의 높이는 주변 건물 높이의 160 - 170%가 되게 한다.
3.
주변건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건물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피라미드 또는 첨탑 형태로 한다.
4.
신도시와 같이 고층건물을 집합적으로 계획할 경우, 주요 조망점에서 볼 때 하나의 형태로 겹쳐서 보이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나열하기 보다는 그룹이로 보이게 한다. 그 외, 경사진 지붕을 사용하고 배치 시 조망점에서는 멀리, 배경산에 가까이 배치하여 조망선 아래에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31.
특정 대상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고자 할 때 여러 단어로 구성된 목록을 통해 자신들이 느끼는 감정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문제 해설> 자연공원의 적정 수용력 - 물리적 수용력 : 토지, 수면이 지니는 수용력으로서 지형, 지질, 식생, 물, 안정성 등에 따라 결정 - 심리적 수용력 : 이용자가 만족스럽게 공원경험을 만끽하는데는 일정지역에 어느 정도의 인원을 수용하는 것이 적절할지 실험적 수치로서 여러 타입의 자연공원에서 실험하여 결정 - 생태적 수용력 : 생물적 균형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어느 정도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을지를 결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일상생활에서 하나하나의 부분적 경관을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풍부한 연속적 경험을 줄 수 있도록 “연속적 경관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주로 연구한 학자가 아닌 것은?
1.
틸(Thiel)
2.
린치(Lynch)
3.
할프린(Halprin)
4.
아버니티와 노우(Abernathy & Noe)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린치는 도시의 이미지성이 도시의 질을 좌우한다는 전제하에 5개의 물리적 요소를 기호화하여 분석도면을 작성하였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51.
제도의 치수기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치수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한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mm)를 원칙으로 하며, 반드시 단위 기호를 명시하여야 한다.
4.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 치수기입은 치수선 중앙 윗부분에 기입한다.(치수선 중앙에 기입 가능) 3.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를 원칙으로 하고, 이때 단위 기호는 쓰지 않는다. 4. 치수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부터 위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52.
건축물설계와 관련된 도면의 작성에서 실시설계 단계의 조경관련 도면의 축척이 옳은 것은? (단, 주택의 설계도서 작성기준을 적용한다.)
<문제 해설> 시각적 선호도의 측정방법 구두측정 : 관찰자의 직접적인 표현을 토대로 하여 측정하는 것 형태측정 : 외부로 나타난 인간행위를 중심으로 측정하는 것 정신생리측정 : 심리적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을 측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2016]
58.
린치(Lynch)의 도시의 이미지 형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통로(path)
2.
결절점(node)
3.
모서리(edge)
4.
비스타(vista)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린치의 도시의 이미지 형성요소에는 통로, 경계, 결절점, 지역, 랜드마크가 있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59.
경관을 구성하는 방법 중 눈앞에 보이는 주위의 자연경관을 어떤 구도(構圖) 속에 포함시켜 그 구도가 한층 큰 효과를 갖도록 교묘히 구성하는 방법은?
1.
축경(縮景)
2.
차경(借耕)
3.
원경(遠景)
4.
첨경(添景)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축경:(명소 등의) 자연경관을 본떠 정원 안에 꾸민 풍경. 차경:눈앞에 보이는 주위의 자연경관을 어떤 구도(構圖) 속에 포함시켜 그 구도가 한층 큰 효과를 갖도록 교묘히 구성하는 방법. 원경: 멀리 보이는 경치. 또는 먼 데서 보는 경치. [해설작성자 : 조경화이팅]
첨경: 건물의 축척이나 용도를 나타내고 현실감을 주기 위하여 평면도ㆍ입면도ㆍ투시도 따위에 덧그리는, 사람ㆍ나무ㆍ차량 따위의 장식물. [해설작성자 : 이응]
60.
리듬(Rhythm)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대칭
2.
반복
3.
방사
4.
점진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리듬에는 점층,반복,대립,변이,방사가 있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61.
11월에 백색 꽃이 피는 수종은?
1.
Albizia julibrissin
2.
Lagerstroemia indica
3.
Fatsia japonica
4.
Prunus padus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Albizia julibrissin 자귀나무: 연분홍색 꽃 2. Lagerstroemia indica배롱나무: 자주색 꽃 3. Fatsia japonica팔손이: 백색 꽃 4. Prunus padus 귀룽나무: 백색 꽃, 5월 개화 [해설작성자 : 조경 화이팅]
62.
지주목 설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목재를 지주목으로 사용할 경우 각재로서 나왕, 미송이 가장 좋으며, 되도록 방부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수피가 직접 닿는 부분은 수피가 상하지 않게 보호대를 설치한 후 지주대를 설치한다.
3.
대나무 지주의 경우에는 선단부를 고정하고 결속부에는 대나무에 흠을 넣어 유동을 방지한다.
4.
지주목 해체는 목재의 경우 5 ~ 6년경과 후 해체하지만 수목이 완전히 활착될 때까지는 설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문제 해설> 투수성이 불량한 토지는 2M 간격으로 깊이 50cm 이상, 너비 1m 이상의 도랑을 파고 그 속에 모래를 채워 사구를 형성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74.
잎차례가 대생(對生) 인 수종은?
1.
수수꽃다리
2.
박태기나무
3.
느티나무
4.
때죽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수수꽃다리:대생 2.박태기나무:호생 3.느티나무:호생 4.때죽나무:호생
대생:마주나기 호생:어긋나기 윤생:돌려나기 [해설작성자 : 조경화이팅]
75.
다음 중 느티나무(Zelkova serrata Makino) 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내한성이 약하다.
2.
성상은 낙엽활엽교목이다.
3.
과명은 느릅나무과이다.
4.
수피는 오래되면 비늘조각으로 떨어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느티나무는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생장속도도 빠르다
76.
상관(相觀) 에 의한 식생 구분은?
1.
군계에 의한 것
2.
우점종에 의한 것
3.
표징종에 의한 것
4.
군락 구분종에 의한 것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식물 생태학에서는 주로 식물 군락의 양상을 뜻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체에 대해서도 쓰인다. 결정 인자(決定因子)는 군락의 우점종(優占種)이 가진 생활형, 개체가 가진 밀도, 군락의 높이, 계절에 의한 변화, 우점종의 잎 모양, 군락 구성종의 복잡성 등이다. 이들 결정 인자 중 제일 중요한 것은 군락의 우점종이 가진 생활형이다. 따라서 상관은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식물 군계의 구분에 유용하다.
군계2 (群系) [명사] [생명 ] 생물 생태학에서, 같은 자연환경 밑에 있는 지역의 생물군을 이르는 말. 수림(樹林), 초원, 황원(荒原) 따위를 나눌 때 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배경식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층빌딩군 주변에 적용되는 식재기법으로 자연성을 증진시킨다.
2.
설계 시 건물과 연계하여 식재기능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식재위치의 선정이 중요하다.
3.
주로 사용되는 수목은 대교목으로 그늘을 제공하거나 방풍, 차폐기능을 동반한다.
4.
자연경관이 우세한 지역에서 건물과 주변경관을 융화시키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식재기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배경식재는 배경으로 사용되는 수목이 건물보다 높아야하나 높은 빌딩에서는 적용이 불가하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배경식재 - 주경관의 배경을 구성하기 위한 식재, 식재방법은 임의식재의 수법에 준한다. - 주경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배경식재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지 말아야 하므로 암녹색, 암회색 등의 수관이나 수피를 가진 수목이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양단면적평균법 공식: Da(A단면적) + Db(B단면적)/2 x 거리 => 56m^2 + 90m^2 /2 x 12m = 876m^3 [해설작성자 : 김치볶음밥]
82.
그림과 같은 기둥에서 유효좌굴길이는?
1.
0.5L
2.
0.7L
3.
1.0L
4.
2.0L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유효좌굴길이는 기둥 상하단의 고정상태를 고려하여, 양단고정(0.5L), 일단고정 타단회전(0.7L), 양단회전(1.0L), 일단고정 타단자유(2.0L)의 조건으로 판정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83.
미장용 정벌 바르기 또는 벽돌쌓기 줄눈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모르타르의 적합한 용적 배합비는?
1.
1 : 1
2.
1 : 2
3.
1 : 3
4.
1 : 4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모르타르 배합비 용도 1:1 - 치장줄눈, 방수, 기타 중요한 곳 1:2 - 미장용 정벌 바르기, 기타 중요한 곳 1:3 - 미장용 정벌 바르기, 쌓기줄눈 1:4 - 미장용 초벌 바르기 1:5 - 기타 중요하지 않은 곳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란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변화가 없는 가운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점차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크리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하중 클수록, 시멘트량과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재령이 짧을수록, 부재의 단면치수가 작을수록, 외부의 습도가 낮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커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기반조성공사, 식재공사, 잔디 및 지피ㆍ 초화류공사, 조경석공사, 시설물공사, 수경시설 설치공사 등으로 공사의 과정별로 분할하여 도급계약하는 방식은?
1.
전문공종별 분할도급
2.
공정별 분할도급
3.
공구별 분할도급
4.
직종별ㆍ 공종별 분할도급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전문공정별 분할도급 : 시설공사 중 설비공사를 주체공사에서 분리하여 전문공사업자와 직접계약하는 방식 2. 공정별 분할도급 : 정지, 구체, 마무리 등의 공사를 공정별로 나눠 주는 도급방식 3. 공구별 분할도급 : 대규모 공사에서 지역별로 공사를 구분하여 발주하는 방식 4. 직종별 공종별 분할도급 : 전문직별 또는 각 공종별로 도급을 주는 방식으로 직영제도에 가깝고 총괄도급자의 하도급에 많이 적용됨 노무만을 도급줄때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다음 수목 굴취공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은행나무와 칠엽수는 나무높이에 의한 굴취품을 적용한다.
2.
굴취 시 야생일 경우에는 굴취품의 20%까지 가산할 수 있다.
3.
관목의 굴취 시 나무높이가 1.5m를 초과할 때는 나무높이에 비례하여 할증할 수 있다.
4.
뿌리돌림은 수목 이식 전에 뿌리분 밖으로 돌출된 뿌리를 깨끗이 절단하여 주근 가까운 곳의 측근과 잔뿌리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작업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은행나무는 흉고직경에 의한 굴취품을 적용하고, 칠엽수는 근원직경에 의한 굴취품을 적용한다 [해설작성자 : 촤웃]
87.
변재(邊材)와 심재(心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심에 가까운 부위가 변재이다.
2.
심재보다 변재가 내후성이 작다.
3.
일반적으로 심재는 변재에 비해 강도가 강하다.
4.
변재는 심재보다 비중이 적으나 건조하면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안)주심(수심)- 심재 - 변재 - 수피(밖) 순이다. 따라서 1. 수심에 가까운 부위는 '심재' 이다. [해설작성자 : 김치볶음밥]
변재는 껍질에 가까운 짙은 목질 부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내후성 : 목재가 썩지 않고 견디는 성질 [해설작성자 : 배상명]
88.
조경 시공관리의 3대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정관리
2.
자원관리
3.
품질관리
4.
원가관리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시공관리의 3대 기능 : 공정관리, 품질관리, 원가관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다음 배수관거와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원형관이 수리학상 유리하다.
2.
관거의 매설깊이는 동결심도와 상부하중을 고려한다.
3.
배수관거의 유속은 1.0 ~ 1.8m/sec 가 이상적이다.
4.
관거는 간선과 지선이 90° 일 때 배수효과가 가장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간선과 지선의 중심교각은 30~40'가 이상적이지만 도로의 폭, 그 밖의 장애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야 6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관거는 간선과 지선이 90도 일때 배수효과가 가장 나쁘고, 간선과 지선의 각도가 적을수록 배수효과가 좋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점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순수점토일수록 용융점이 높고 저급점토는 낮다.
2.
점토의 일반적 성분은 SiO2, Al2O3, Fe2O3, CaO, MgO 등이다.
3.
화학적으로 순수한 점토를 카올린(고령토)이라 한다.
4.
침적점토는 바람이나 물에 의해 멀리 운반되어 침적되므로 입자가 크며 가소성이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침적점토는 입자가 가늘고 가소성이 크다
91.
식물의 관수량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토양의 침투율(浸透率)
2.
토양의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3.
토양의 위조함수량(萎凋含水量)
4.
토양의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토양의 위조함수량 ; 시들어 마르는데 필요한 물의 양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92.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단순보의 지점 D에서 휨모멘트 크기는?(문제 오류로 D가 없네요.. 정답은 3번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문제 해설> 40톤(40,000kg) x 20%(이용율) x 0.5%(질소의 비율) = 40kg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유효질소량 = 총비료량x질소율x이용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4.
재해원인 분석방법의 통계적 원인분석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관리도
2.
파레토도
3.
크로스도
4.
특성 요인도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파레토도는 비율이나 빈도에 따라서 원인을 중요도에 따라 정렬하여 상위 원인을 찾아내는 도구로, 문제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가장 중요한 원인에 집중하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파레토도는 품질 관리, 문제 해결,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5.
조경석 쌓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관적 목적 또는 구조적 목적으로 조경석을 쌓아 단을 조성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2.
가로쌓기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을 경우 높이가 1.5m 이하일 때는 찰쌓기로 1.5m 이상인 경우와 상시 침수되는 연못, 호수 등은 메쌓기로 한다.
3.
뒷부분에는 고임돌 및 되채움돌을 써서 튼튼하게 쌓아야 하며, 필요에 따라 중간에 뒷길이가 0.6 ~ 0.9m 정도의 돌을 맞물려 쌓아 붕괴를 방지한다.
4.
사전에 지반을 조사하여 연약지반은 말뚝박기 등으로 지반을 보강하고 필요한 경우 콘크리트나 잡석 등으로 기초를 보완하는 등 하중에 의한 침하를 방지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로쌓기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을 경우 높이가 1.5m 이하일 때에는 메쌓기를 하고 1.5m 이상인 경우와 상시 침수되는 연못, 호수 등은 찰쌓기로 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06.
수목관리와 비교한 수림지 관리만의 고유특성이라 분류하기 어려운 것은?
1.
천연갱신의 유도
2.
생태적 복원력에 의지
3.
정상천이계열의 존중
4.
수목생장에 따른 보식 및 갱신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목관리는 녹음, 장식, 차폐, 관상 등의 수목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형태적, 생태적으로 일정한 단계를 유지하는 것이고 수림지관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식물 공간을 형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림의 육성, 보전 등의 관리이다. [해설작성자 : soooou]
<문제 해설> 패칭은 포장의 훼손이 심하여 보수가 불가능 할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순서는 ·파손부 청소 -> 파손된 노면 걷어내기 -> 슬래브 및 노면 고르기 -> 콘크리트 혼합물 넣고 슬래브 면 고르기 -> 필요기간 동안 양생 의 순으로 작업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깨끗이 쓸어낸 뒤 텍코팅을 하는 것은 아스팔트 포장 배수의 패칭공법이다.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110.
다음과 같은 피해현상을 보이는 해충은?
1.
미국흰불나방
2.
참나무재주나방
3.
천막벌레나방
4.
박쥐나방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박쥐나방은 알로 월동하며, 5월에 부화한 유충은 수피와 목질부를 식해하며 이동한 후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8~10월 상순에 우화한 성충은 박쥐처럼 저녁에 활발히 활동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11.
다음 조경시설물에 보수의 목표(보수시기)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로 광장의 아스팔트 포장 균열 보수 : 전면적의 15 ~ 20%의 함몰이 생길 때 (3 ~ 5년)
2.
원로, 광장의 평판 교체 : 파손장소가 눈에 띌 때 (2년)
3.
시소의 베어링 보수 : 베어링이 마모되어 삐걱 삐걱 소리가 날 때 (3 ~ 4년)
4.
목재 벤치의 좌판보수 : 전체의 20% 이상 파손, 부식이 생길 때 (5 ~ 7년)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전면적의 5~10% 균열 함몰이 생길 때(3~5년) 2. 전면적의 10% 이상 이탈이 생길 때(3~5년) 4. 전체의 10%이상 파손,부식이 생길 때(3~5년)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문제 해설> 중국 소주의 4대 명원에는 졸정원, 사자림, 유원, 창랑정이 있다. 북경에는 원명원 이궁, 만수산 이궁이 있다. [해설작성자 : 김치볶음밥]
2.
고려시대 궁원에 관한 기록에서 동지(東池)는 5대 경종에서 31대 공민왕에 이르기까지 자주 나타나고 있다. 기록상으로 추측할 때 동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전(政殿)인 회경전 동쪽에 위치
2.
연꽃을 감상하기 위한 정적인 소규모 연못
3.
연못 주변과 언덕에 누각 조성
4.
학, 거위, 산양 등을 길렀던 유원 조성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려시대 동지(東池),구령각지원
*위치:궁 동편 *[고려사] -백학,거위,오리, 산양 등의 진금기수 사육 -연못가의 누각 조성,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는 장소로 이용 -무사를 검열하고 활 쏘는 구경을 하는 장소
3.
안동 하회마을 부용대에서 체험할 수 있는 다차원적 놀이문화와 관계가 먼 것은?
1.
천천히 줄에 매달려 강을 건너는 불
2.
독특한 송진 타는 냄새 맡기
3.
짚단에 불 붙여 절벽 아래 던지기
4.
물 위에 술잔 띄워 돌리기
정답 : [
4
] 정답률 : 86%
4.
이슬람 정원에서 4개의 수로로 분할되는 4분 정원의 기원은?
1.
마스지드(al-Masjid)
2.
차하르 바그(Chahar Bagh)
3.
지구라트(Ziggurat)
4.
마이단(Maidan)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차하르바그 거리는 세계 최초의 가로수 길, 사파비 왕조가 수도 이전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 만든 곳, 차하르바그는 이란어로 4개의 정원이라는 의미, 이 길은 천도를 결심하고 만들기 시작하여 수도를 이전한 1598년에 완공, 현재 이 길은 에스파한 시 남쪽 끝에 위치한 쏘페(Soffeh) 산 밑에서부터 씨오세 다리를 지나 쇼하다(Shohada) 로터리까지 이어짐 [해설작성자 : 팔봉K]
5.
통일신라시대 경주의 도시구획 패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선형
2.
격자형
3.
십자형
4.
동심원형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통일신라시대는 상주의 물리적인 근간이 형성된 시기로 북천과 남천, 산으로 둘러 쌓인 평야지대 전체에 약 160m×160m의 격자형 토지구획이 적용되었다.
6.
서원의 외부공간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성생단
2.
관세대
3.
소전대
4.
정료대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소전대 : 제례를 지낸 후 지방을 태우는 시설로 조선 왕릉 중 소전대가 있는 곳은 태조의 건원릉과 태종의 헌릉 [해설작성자 : 팔봉K]
1.성생단: 제관들이 직접 제사에 쓰일 생(소,양,염소 같은 고기)이 적합한가의 여부를 폼평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2.관세대: 사당을 참배할 때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대야를 올려 놓았던 석조물 4.정료대: 궁궐이나 서원, 향교, 사찰 등 넓은 뜰이 있는 건물에서 밤에 불을 밝히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 [해설작성자 : ㄼ]
7.
16~17C의 네덜란드 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정원 시설물이 아닌 것은?
1.
캐스케이드
2.
창살울타리
3.
화상(花床)
4.
정자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네덜란드: 국토가 평평하기 때문에 지면이 해면보다 낮아 노단시설 부적합
캐스케이드[cascade] : 서양식 정원의 조원법(造園法)의 하나로, 폭포와 같이 물을 낙하시키는 방식 [해설작성자 : 팔봉K]
8.
중세 스페인 알함브라 궁원의 주정으로 일명 “천인화의 파티오”라 불리는 것은?
1.
사자의 파티오
2.
연못의 파티오
3.
다라하의 파티오
4.
레하의 파티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알베르카(alberca)중정 혹은 도금양, 천인화의 중정이라 불린다. 공적인 기능. 연못 양쪽에 천인화가 열식되어 있다.
9.
다음 중 동일한 서원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은?
1.
송죽매국
2.
절우사
3.
시사단
4.
관어대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도산서원(절우사,시사단) [해설작성자 : 늘bluesky]
경주 옥산서원 : 관어대 도산서원 : 송죽매국, 절우사, 시사단
10.
19세기에 공공공원(public park)을 마련한 기본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2.
공중위생에 대한 관심
3.
국민의 도덕에 대한 관심 증가
4.
낭만주의적·미적인 관심 증가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포스트모더니즘은 20C 중후분에 등장하는 사조이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9세기 조경의 일반적인 경향은 과학의 발달로 현실에 눈을 돌린 절충식 경향이다 (사실주의) 인식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가 늘어나 공중위생 , 도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공원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낭만주의적이고 미적인 관심 또한 증가했다 이후 사실주의에 반발하는 모더니즘 (20세기 전반) 이 나타났고 다시 이에 반발하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 이다 [해설작성자 : 쏭]
11.
조선시대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의 적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조선 궁궐을 만드는 원칙 가운데 하나이다.
2.
삼조삼문의 치조는 정전과 편전이 있는 곳을 의미한다.
3.
우리나라에서는 전조후시 원칙을 적용하여 궁궐을 조성했다.
4.
삼조삼문의 외조는 신하들이 활동하는 관청이 있는 곳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 : 『주례』는 중국, 주대의 관제(官制)를 기술한 경서. 전설에 의하면 서주 초기(B.C. 12세기)의 주공(周公)이 정한 예제(禮制)를 기록한 것. 전한·무제(재위 B.C. 141~B.C. 87)때, 하간(河問)의 헌왕(獻王)에게 이씨(李氏)가 바쳤다고 함 천·지·춘·하·추·동의 6부서로 나누기 때문에 『육관(六官)』이라고도 한다. 그중 동관(冬官)의 기사가 없어졌기 때문에 성제(成帝, 재위 B.C. 33~B.C. 7) 때 보완한 것이 『고공기』임. 그 도성의 건설에 관해서는 기록에 「匠人管國, 方九里, 旁三門, 國中九經九緯, 經徐九軌, 左祖右社, 面朝後市」라 기재되어 있어 후대 중국 역대왕조의 도성건설에 기본이 됨 조선의 도시계획은 중국 주례의 고공기 룰을 그대로 따른게 아니라 굴곡이 많은 인왕산, 북악산에 적용. 고공기를 벤치마크했지만 우리의 자연 속에서 우리 식으로 만듦 [해설작성자 : 팔봉K]
12.
경복궁의 아미산(峨嵋山)원에서 볼 수 있는 경관요소가 아닌 것은?
1.
굴뚝
2.
정자
3.
석지(石池)
4.
수조(水槽)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미산은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의 후원으로 인공적으로 조성한 화계에 각종 수목이 식재되어 있으며 굴뚝 석지 수조 괴석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ㅇ]
13.
중국의 북경에 있는 원명원(圓明園)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강희(康熙)황제가 꾸며 공주에게 넘겨준 것이다.
2.
1860년에 침략한 일본군에 의하여 파괴 되었다.
3.
원명원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만춘원이 있고, 남동쪽에는 장춘원이 있다.
4.
뜰(園)안에는 대 분천(噴泉)을 중심으로 하는 프랑스식 정원이 꾸며져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원명원은 원명원, 장춘원, 기춘원(후에 만춘원으로 변경) 3원을 통틀어 일컫으며, 1860년 침공한 영불 연합군에의해 대부분 소실되었으며 아직도 복원이 끝나지 않았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추가 해설] 성림[聖林] : 고대 그리스시대에 신전 주위에 꾸민 성스러운 정원 아카데미 : 기원전 385년,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에서 북서쪽에 있는 영웅신 아카데모스의 신역에 청년들의 심신을 수양시켜 국정에 공헌할 인물을 배출하려는 목적으로 플라톤이 세운 아카테미아에서 유래 된 것, 철학을 중심으로 수학·음악·천문학 등이 주요시되었고, 동시에 사회에 유익한 인재를 배출하는 데도 힘써 웅변술인 수사학을 가르치는 수사학교 김나지움[gymnasium] : 고대 그리스의 체육장 통상 직사각형의 안뜰을 가진 열주랑(列柱廊⇒콜로네이드)으로 둘러싸이고 그 주변에 많은 방을 가진 파라이스트라(파라에스트라)를 포함, 그밖에 지붕이 있는 실내 경기장과 노천경기장, 탈의실, 도유실(塗油室), 권투, 구기연습장, 모래사장, 욕실 등을 갖춘 방대한 종합시설 [해설작성자 : 팔봉K]
16.
정원시설과 관련된 인물의 연결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오곡문 - 양산보
2.
암서재 - 송시열
3.
초간정 - 권문해
4.
동천석실 - 정영방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번의 정영방은 서석지원, 석문임천정원과 관련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조경화이팅]
보길도 동천석실(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198) : 윤선도의 이상세계인 부용동을 바라볼 수 있는 낙서재 앞산 중턱으로 자리하는 동천석실은 보길도 최고의 경관을 보여주는 하늘의 정원 넉넉한 산속 우거진 숲 사이를 걸어가면 하늘이 툭 열리듯 보길도와 부용동을 한눈으로 담는 자리에 한 칸으로 만들어진 정자 [해설작성자 : 팔봉K]
17.
다음 중 베티가(House of vettii)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고대 그리스 별장에 속한다.
2.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의 구분이 모호하다.
3.
2개의 중정과 지스터스로 이루어져 있다.
4.
아트리움(Atrium)과 페리스틸움(Peristylium)을 갖추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로마의 별장이 아니라 주택정원입니다 [해설작성자 : 괜춘함춘]
베티가는 로마의 주택전원입니다 [해설작성자 : 하하]
18.
영국 버컨헤드(Birkenhead) 공원의 설계자는?
1.
Humphry Repton
2.
Joseph Paxton
3.
Joseph Nash
4.
Robert Owen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영국 버컨헤드 공원을 설계한 사람은 조셉 펙스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산림조경 아자아자]
19.
일본정원에 학도(鶴島)와 구도(龜島)가 함께 조성된 정원은?
1.
용안사 석정
2.
은각사 향월대
3.
서방사 이끼정원
4.
남선사 금지원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강호(에도)시대의 남선사 금지원으로 학도(학)구도(거북이)가 함께 조성되어있다:장군의 장수 기원
20.
고대 서부아시아 수렵원(Hunting Park)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늘날 공원(park)의 시초가 된다.
2.
인공으로 호수와 언덕을 만들고, 물가에 신전을 세웠다.
3.
소나무, 사이프러스에 대한 관개를 위해 규칙적으로 식재하였다.
4.
니네베(Nineveh)의 인공 언덕 위에 세워진 궁전 사냥터가 유명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인공으로 언덕을 쌓아만들고 정상에 신전을 세웠다.
2과목 : 신호기기
21.
공장배치 및 조경의 체계에 가장 부합되지 않는 것은?
1.
일반적으로 입구 정면에 수위실을 두어 근무자와 화물의 출입을 통제한다.
2.
관련도가 높은 공장들은 모이게 배치하고, 관련성이 없는 것은 떨어지게 배치한다.
3.
외부공간에 도입되는 설계요소를 단순화시켜 작업 효율의 향상에 기여한다.
4.
직접 제조활동, 간접 제조활동, 자원설비공간, 부수보조공간 및 후생지원공간들이 공장조경에 고려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외부공간의 설계요소는 다양화시켜 여러 경험의 기회를 줄 수 있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2.
다음 중 도로조경 계획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변 토지이용과 노선의 구조적 특성 및 시각적 효과를 고려한 식재 및 시설물 배치를 한다.
2.
철도, 도로 등 다른 교통과 교차점이 많은 노선에 효율적으로 배치한다.
3.
절·성토의 균형 및 완만한 구배를 얻는 노선을 계획하도록 한다.
4.
가능한 곡선반경을 크게 주어 운전자가 되도록 직선에 가까운 노선으로 느끼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철도, 도로 등 다른 교통과 교차점이 적은 노선에 효율적으로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도시농업공원의 공원시설 부지면적 기준은?
1.
100분의 20이상
2.
100분의 40이하
3.
100분의 50이하
4.
100분의 60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65%
24.
통경(vista)의 배치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점, 종점의 물체, 연결공간이 시각적 단위를 형성하도록 한다.
2.
종점에서 시점을 보는 역 통경(reverse vista)은 피한다.
3.
종점의 물체를 몇 개의 시점에서 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4.
종점의 물체를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역통경도 고려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25.
외부 공간 설계에 관한 세부 설계 기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공원(mini-park) 주변의 자동차 소음을 완화하기 위하여 폭포를 설치하였다.
2.
인간적 척도(human scale)를 위하여 60층 건물의 입구에 돌출된 현관을 따로 만들었다.
3.
사적지의 엄숙함을 강조하기 위하여 고운 질감을 가진 수목 위주로 식재하였다.
4.
어린이 놀이 시설에 즐거움을 더해주기 위하여 중성색 위주로 색칠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어린이 놀이 시설에는 명도가 높고 활동적 느낌의 원색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6.
리모트 센싱에 의한 환경해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광역적인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2.
시각적 선호도에 의한 경관을 예측할 수 있다.
3.
시간적 추이에 따른 환경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4.
특정지역의 환경 특성을 광역 환경과 비교하면서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리모트 센싱에 의한 환경 조사 : 항공기, 인공위성에 의해서 땅 위에서 탐사하는 것으로 단시간 내에 광범위한 지역을 조사할 수 있고, 시간적 추이에 따른 환경의 변화가 파악되고 특정지역의 환경특성을 광역환경과 비교가 가능하다. 그러나 토양 심층부는 간접적으로 파악되고 조사에 경비가 많이 들며 수종의 명칭, 식생군락의 형태 파악이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항공기, 인공위성등에 의한 자료를 해석하는 것으로. 선호도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표지판의 종류는?
1.
안내표지
2.
해설표지
3.
유도표시
4.
주의표시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순간적인 혼란이 야기될 수 있거나 정확한 방향으로의 안내시 유도표지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8.
다음 중 안내시설의 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의 CIP개념과 독자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야간 이용을 고려하여 조명시설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재료는 내구성·유지관리성·경제성·시공성·미관성·환경친화성 등 다양한 평가항목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4.
이용자에게 시각적 방해가 되는 장소는 피하여야 하며, 보행 동선이나 차량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CIP 개념을 도입하여 통일성을 주고 해당 명칭에 고유형태(logotype)가 있는 경우 그대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9.
도시구성에 있어서 도로의 위계 체제를 명확히 함과 동시에 거주환경지역(Environmental Area)을 설정하여 일상생활에서 보행자를 우선하도록 주장한 보고서는?
1.
Barlow Report
2.
Buchanan Report
3.
Utwatt Report
4.
Regional survey of New York and its Environs Vol.III
정답 : [
2
] 정답률 : 68%
30.
일반적인 스카이라인 형성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1.
단일 고층건물의 배경에 산이 있을 경우, 건물의 높이는 산 높이의 60~70%가 되게 한다.
2.
고층건물 주변에 일정 높이의 건물이 있을 경우, 고층건물의 높이는 주변 건물 높이의 160 - 170%가 되게 한다.
3.
주변건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건물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피라미드 또는 첨탑 형태로 한다.
4.
신도시와 같이 고층건물을 집합적으로 계획할 경우, 주요 조망점에서 볼 때 하나의 형태로 겹쳐서 보이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나열하기 보다는 그룹이로 보이게 한다. 그 외, 경사진 지붕을 사용하고 배치 시 조망점에서는 멀리, 배경산에 가까이 배치하여 조망선 아래에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31.
특정 대상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고자 할 때 여러 단어로 구성된 목록을 통해 자신들이 느끼는 감정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문제 해설> 자연공원의 적정 수용력 - 물리적 수용력 : 토지, 수면이 지니는 수용력으로서 지형, 지질, 식생, 물, 안정성 등에 따라 결정 - 심리적 수용력 : 이용자가 만족스럽게 공원경험을 만끽하는데는 일정지역에 어느 정도의 인원을 수용하는 것이 적절할지 실험적 수치로서 여러 타입의 자연공원에서 실험하여 결정 - 생태적 수용력 : 생물적 균형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어느 정도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을지를 결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일상생활에서 하나하나의 부분적 경관을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풍부한 연속적 경험을 줄 수 있도록 “연속적 경관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주로 연구한 학자가 아닌 것은?
1.
틸(Thiel)
2.
린치(Lynch)
3.
할프린(Halprin)
4.
아버니티와 노우(Abernathy & Noe)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린치는 도시의 이미지성이 도시의 질을 좌우한다는 전제하에 5개의 물리적 요소를 기호화하여 분석도면을 작성하였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51.
제도의 치수기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치수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한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mm)를 원칙으로 하며, 반드시 단위 기호를 명시하여야 한다.
4.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 치수기입은 치수선 중앙 윗부분에 기입한다.(치수선 중앙에 기입 가능) 3.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를 원칙으로 하고, 이때 단위 기호는 쓰지 않는다. 4. 치수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부터 위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52.
건축물설계와 관련된 도면의 작성에서 실시설계 단계의 조경관련 도면의 축척이 옳은 것은? (단, 주택의 설계도서 작성기준을 적용한다.)
<문제 해설> 시각적 선호도의 측정방법 구두측정 : 관찰자의 직접적인 표현을 토대로 하여 측정하는 것 형태측정 : 외부로 나타난 인간행위를 중심으로 측정하는 것 정신생리측정 : 심리적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을 측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2016]
58.
린치(Lynch)의 도시의 이미지 형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통로(path)
2.
결절점(node)
3.
모서리(edge)
4.
비스타(vista)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린치의 도시의 이미지 형성요소에는 통로, 경계, 결절점, 지역, 랜드마크가 있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59.
경관을 구성하는 방법 중 눈앞에 보이는 주위의 자연경관을 어떤 구도(構圖) 속에 포함시켜 그 구도가 한층 큰 효과를 갖도록 교묘히 구성하는 방법은?
1.
축경(縮景)
2.
차경(借耕)
3.
원경(遠景)
4.
첨경(添景)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축경:(명소 등의) 자연경관을 본떠 정원 안에 꾸민 풍경. 차경:눈앞에 보이는 주위의 자연경관을 어떤 구도(構圖) 속에 포함시켜 그 구도가 한층 큰 효과를 갖도록 교묘히 구성하는 방법. 원경: 멀리 보이는 경치. 또는 먼 데서 보는 경치. [해설작성자 : 조경화이팅]
첨경: 건물의 축척이나 용도를 나타내고 현실감을 주기 위하여 평면도ㆍ입면도ㆍ투시도 따위에 덧그리는, 사람ㆍ나무ㆍ차량 따위의 장식물. [해설작성자 : 이응]
60.
리듬(Rhythm)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대칭
2.
반복
3.
방사
4.
점진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리듬에는 점층,반복,대립,변이,방사가 있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61.
11월에 백색 꽃이 피는 수종은?
1.
Albizia julibrissin
2.
Lagerstroemia indica
3.
Fatsia japonica
4.
Prunus padus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Albizia julibrissin 자귀나무: 연분홍색 꽃 2. Lagerstroemia indica배롱나무: 자주색 꽃 3. Fatsia japonica팔손이: 백색 꽃 4. Prunus padus 귀룽나무: 백색 꽃, 5월 개화 [해설작성자 : 조경 화이팅]
62.
지주목 설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목재를 지주목으로 사용할 경우 각재로서 나왕, 미송이 가장 좋으며, 되도록 방부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수피가 직접 닿는 부분은 수피가 상하지 않게 보호대를 설치한 후 지주대를 설치한다.
3.
대나무 지주의 경우에는 선단부를 고정하고 결속부에는 대나무에 흠을 넣어 유동을 방지한다.
4.
지주목 해체는 목재의 경우 5 ~ 6년경과 후 해체하지만 수목이 완전히 활착될 때까지는 설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문제 해설> 투수성이 불량한 토지는 2M 간격으로 깊이 50cm 이상, 너비 1m 이상의 도랑을 파고 그 속에 모래를 채워 사구를 형성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74.
잎차례가 대생(對生) 인 수종은?
1.
수수꽃다리
2.
박태기나무
3.
느티나무
4.
때죽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수수꽃다리:대생 2.박태기나무:호생 3.느티나무:호생 4.때죽나무:호생
대생:마주나기 호생:어긋나기 윤생:돌려나기 [해설작성자 : 조경화이팅]
75.
다음 중 느티나무(Zelkova serrata Makino) 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내한성이 약하다.
2.
성상은 낙엽활엽교목이다.
3.
과명은 느릅나무과이다.
4.
수피는 오래되면 비늘조각으로 떨어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느티나무는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생장속도도 빠르다
76.
상관(相觀) 에 의한 식생 구분은?
1.
군계에 의한 것
2.
우점종에 의한 것
3.
표징종에 의한 것
4.
군락 구분종에 의한 것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식물 생태학에서는 주로 식물 군락의 양상을 뜻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체에 대해서도 쓰인다. 결정 인자(決定因子)는 군락의 우점종(優占種)이 가진 생활형, 개체가 가진 밀도, 군락의 높이, 계절에 의한 변화, 우점종의 잎 모양, 군락 구성종의 복잡성 등이다. 이들 결정 인자 중 제일 중요한 것은 군락의 우점종이 가진 생활형이다. 따라서 상관은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식물 군계의 구분에 유용하다.
군계2 (群系) [명사] [생명 ] 생물 생태학에서, 같은 자연환경 밑에 있는 지역의 생물군을 이르는 말. 수림(樹林), 초원, 황원(荒原) 따위를 나눌 때 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배경식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층빌딩군 주변에 적용되는 식재기법으로 자연성을 증진시킨다.
2.
설계 시 건물과 연계하여 식재기능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식재위치의 선정이 중요하다.
3.
주로 사용되는 수목은 대교목으로 그늘을 제공하거나 방풍, 차폐기능을 동반한다.
4.
자연경관이 우세한 지역에서 건물과 주변경관을 융화시키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식재기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배경식재는 배경으로 사용되는 수목이 건물보다 높아야하나 높은 빌딩에서는 적용이 불가하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배경식재 - 주경관의 배경을 구성하기 위한 식재, 식재방법은 임의식재의 수법에 준한다. - 주경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배경식재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지 말아야 하므로 암녹색, 암회색 등의 수관이나 수피를 가진 수목이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양단면적평균법 공식: Da(A단면적) + Db(B단면적)/2 x 거리 => 56m^2 + 90m^2 /2 x 12m = 876m^3 [해설작성자 : 김치볶음밥]
82.
그림과 같은 기둥에서 유효좌굴길이는?
1.
0.5L
2.
0.7L
3.
1.0L
4.
2.0L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유효좌굴길이는 기둥 상하단의 고정상태를 고려하여, 양단고정(0.5L), 일단고정 타단회전(0.7L), 양단회전(1.0L), 일단고정 타단자유(2.0L)의 조건으로 판정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83.
미장용 정벌 바르기 또는 벽돌쌓기 줄눈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모르타르의 적합한 용적 배합비는?
1.
1 : 1
2.
1 : 2
3.
1 : 3
4.
1 : 4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모르타르 배합비 용도 1:1 - 치장줄눈, 방수, 기타 중요한 곳 1:2 - 미장용 정벌 바르기, 기타 중요한 곳 1:3 - 미장용 정벌 바르기, 쌓기줄눈 1:4 - 미장용 초벌 바르기 1:5 - 기타 중요하지 않은 곳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란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변화가 없는 가운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점차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크리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하중 클수록, 시멘트량과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재령이 짧을수록, 부재의 단면치수가 작을수록, 외부의 습도가 낮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커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기반조성공사, 식재공사, 잔디 및 지피ㆍ 초화류공사, 조경석공사, 시설물공사, 수경시설 설치공사 등으로 공사의 과정별로 분할하여 도급계약하는 방식은?
1.
전문공종별 분할도급
2.
공정별 분할도급
3.
공구별 분할도급
4.
직종별ㆍ 공종별 분할도급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전문공정별 분할도급 : 시설공사 중 설비공사를 주체공사에서 분리하여 전문공사업자와 직접계약하는 방식 2. 공정별 분할도급 : 정지, 구체, 마무리 등의 공사를 공정별로 나눠 주는 도급방식 3. 공구별 분할도급 : 대규모 공사에서 지역별로 공사를 구분하여 발주하는 방식 4. 직종별 공종별 분할도급 : 전문직별 또는 각 공종별로 도급을 주는 방식으로 직영제도에 가깝고 총괄도급자의 하도급에 많이 적용됨 노무만을 도급줄때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다음 수목 굴취공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은행나무와 칠엽수는 나무높이에 의한 굴취품을 적용한다.
2.
굴취 시 야생일 경우에는 굴취품의 20%까지 가산할 수 있다.
3.
관목의 굴취 시 나무높이가 1.5m를 초과할 때는 나무높이에 비례하여 할증할 수 있다.
4.
뿌리돌림은 수목 이식 전에 뿌리분 밖으로 돌출된 뿌리를 깨끗이 절단하여 주근 가까운 곳의 측근과 잔뿌리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작업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은행나무는 흉고직경에 의한 굴취품을 적용하고, 칠엽수는 근원직경에 의한 굴취품을 적용한다 [해설작성자 : 촤웃]
87.
변재(邊材)와 심재(心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심에 가까운 부위가 변재이다.
2.
심재보다 변재가 내후성이 작다.
3.
일반적으로 심재는 변재에 비해 강도가 강하다.
4.
변재는 심재보다 비중이 적으나 건조하면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안)주심(수심)- 심재 - 변재 - 수피(밖) 순이다. 따라서 1. 수심에 가까운 부위는 '심재' 이다. [해설작성자 : 김치볶음밥]
변재는 껍질에 가까운 짙은 목질 부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내후성 : 목재가 썩지 않고 견디는 성질 [해설작성자 : 배상명]
88.
조경 시공관리의 3대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정관리
2.
자원관리
3.
품질관리
4.
원가관리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시공관리의 3대 기능 : 공정관리, 품질관리, 원가관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다음 배수관거와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원형관이 수리학상 유리하다.
2.
관거의 매설깊이는 동결심도와 상부하중을 고려한다.
3.
배수관거의 유속은 1.0 ~ 1.8m/sec 가 이상적이다.
4.
관거는 간선과 지선이 90° 일 때 배수효과가 가장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간선과 지선의 중심교각은 30~40'가 이상적이지만 도로의 폭, 그 밖의 장애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야 6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관거는 간선과 지선이 90도 일때 배수효과가 가장 나쁘고, 간선과 지선의 각도가 적을수록 배수효과가 좋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점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순수점토일수록 용융점이 높고 저급점토는 낮다.
2.
점토의 일반적 성분은 SiO2, Al2O3, Fe2O3, CaO, MgO 등이다.
3.
화학적으로 순수한 점토를 카올린(고령토)이라 한다.
4.
침적점토는 바람이나 물에 의해 멀리 운반되어 침적되므로 입자가 크며 가소성이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침적점토는 입자가 가늘고 가소성이 크다
91.
식물의 관수량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토양의 침투율(浸透率)
2.
토양의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3.
토양의 위조함수량(萎凋含水量)
4.
토양의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토양의 위조함수량 ; 시들어 마르는데 필요한 물의 양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92.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단순보의 지점 D에서 휨모멘트 크기는?(문제 오류로 D가 없네요.. 정답은 3번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문제 해설> 40톤(40,000kg) x 20%(이용율) x 0.5%(질소의 비율) = 40kg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유효질소량 = 총비료량x질소율x이용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4.
재해원인 분석방법의 통계적 원인분석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관리도
2.
파레토도
3.
크로스도
4.
특성 요인도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파레토도는 비율이나 빈도에 따라서 원인을 중요도에 따라 정렬하여 상위 원인을 찾아내는 도구로, 문제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가장 중요한 원인에 집중하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파레토도는 품질 관리, 문제 해결,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5.
조경석 쌓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관적 목적 또는 구조적 목적으로 조경석을 쌓아 단을 조성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2.
가로쌓기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을 경우 높이가 1.5m 이하일 때는 찰쌓기로 1.5m 이상인 경우와 상시 침수되는 연못, 호수 등은 메쌓기로 한다.
3.
뒷부분에는 고임돌 및 되채움돌을 써서 튼튼하게 쌓아야 하며, 필요에 따라 중간에 뒷길이가 0.6 ~ 0.9m 정도의 돌을 맞물려 쌓아 붕괴를 방지한다.
4.
사전에 지반을 조사하여 연약지반은 말뚝박기 등으로 지반을 보강하고 필요한 경우 콘크리트나 잡석 등으로 기초를 보완하는 등 하중에 의한 침하를 방지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로쌓기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을 경우 높이가 1.5m 이하일 때에는 메쌓기를 하고 1.5m 이상인 경우와 상시 침수되는 연못, 호수 등은 찰쌓기로 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06.
수목관리와 비교한 수림지 관리만의 고유특성이라 분류하기 어려운 것은?
1.
천연갱신의 유도
2.
생태적 복원력에 의지
3.
정상천이계열의 존중
4.
수목생장에 따른 보식 및 갱신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목관리는 녹음, 장식, 차폐, 관상 등의 수목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형태적, 생태적으로 일정한 단계를 유지하는 것이고 수림지관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식물 공간을 형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림의 육성, 보전 등의 관리이다. [해설작성자 : soooou]
<문제 해설> 패칭은 포장의 훼손이 심하여 보수가 불가능 할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순서는 ·파손부 청소 -> 파손된 노면 걷어내기 -> 슬래브 및 노면 고르기 -> 콘크리트 혼합물 넣고 슬래브 면 고르기 -> 필요기간 동안 양생 의 순으로 작업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깨끗이 쓸어낸 뒤 텍코팅을 하는 것은 아스팔트 포장 배수의 패칭공법이다.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110.
다음과 같은 피해현상을 보이는 해충은?
1.
미국흰불나방
2.
참나무재주나방
3.
천막벌레나방
4.
박쥐나방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박쥐나방은 알로 월동하며, 5월에 부화한 유충은 수피와 목질부를 식해하며 이동한 후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8~10월 상순에 우화한 성충은 박쥐처럼 저녁에 활발히 활동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11.
다음 조경시설물에 보수의 목표(보수시기)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로 광장의 아스팔트 포장 균열 보수 : 전면적의 15 ~ 20%의 함몰이 생길 때 (3 ~ 5년)
2.
원로, 광장의 평판 교체 : 파손장소가 눈에 띌 때 (2년)
3.
시소의 베어링 보수 : 베어링이 마모되어 삐걱 삐걱 소리가 날 때 (3 ~ 4년)
4.
목재 벤치의 좌판보수 : 전체의 20% 이상 파손, 부식이 생길 때 (5 ~ 7년)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전면적의 5~10% 균열 함몰이 생길 때(3~5년) 2. 전면적의 10% 이상 이탈이 생길 때(3~5년) 4. 전체의 10%이상 파손,부식이 생길 때(3~5년)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