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폐기물을 X90 = 2.5cm로 파쇄하고자 할 때, Rosin-Rammler 모델에 의한 특성입자 크기(XO)는? (단, n=1로 가정한다.)
1.
1.09 cm
2.
1.18 cm
3.
1.22 cm
4.
1.34 cm
정답 : [
1
] 정답률 : 69%
7.
다음 조건을 가진 지역의 일일 최소 쓰레기 수거 횟수는?
1.
2회
2.
4회
3.
6회
4.
8회
정답 : [
1
] 정답률 : 53%
8.
쓰레기의 성상분석 절차로 가장 옳은 것은?
1.
시료→전처리→물리적조성→밀도측정→건조→분류
2.
시료→전처리→건조→분류→물리적조성→밀도측정
3.
시료→밀도측정→건조→분류→전처리→물리적조성
4.
시료→밀도측정→물리적조성→건조→분류→전처리
정답 : [
4
] 정답률 : 81%
2과목 : 세무회계의 이해
9.
유기물(포도당 C6H12O6) 2kg을 혐기성분해로 완전히 안정화시키는 경우 이론적으로 생성되는 메탄의 체적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약 0.25 m3
2.
약 0.45 m3
3.
약 0.75 m3
4.
약 1.35 m3
정답 : [
3
] 정답률 : 65%
10.
완전히 건조시킨 폐기물 20g을 취해 회분량을 조사하니 5g 이었다. 이 폐기물의 원래 함수율이 40%이었다면, 이 폐기물의 습량기준 회분 중량비(%)는? (단, 비중은 1.0 기준)
1.
5
2.
10
3.
15
4.
20
정답 : [
3
] 정답률 : 56%
11.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지수로 나타내는 청소상태 평가법의 약자로 옳은 것은?
1.
SEI
2.
CEI
3.
USI
4.
ESI
정답 : [
3
] 정답률 : 78%
12.
pH가 2인 폐산용액은 pH가 4인 폐산용액에 비해 수소이온이 몇 배 더 함유되어 있는가?
1.
5배
2.
2배
3.
100배
4.
10배
정답 : [
3
] 정답률 : 76%
13.
수거대상 인구가 10,000명인 도시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밀도는 0.5 ton/m3 이고, 하루 폐기물 수거를 위해 차량적재 용량이 10 m3인 차량 10대가 사용된다면 1일 1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단, 차량은 1일 1회 운행 기준)
1.
2 kg/인·일
2.
3 kg/인·일
3.
4 kg/인·일
4.
5 kg/인·일
정답 : [
4
] 정답률 : 71%
14.
3,000,000 ton/year의 쓰레기 수거에 4,000명의 인부가 종사한다면 MHT값은? (단, 수거인부의 1일 작업시간은 8시간이고 1년 작업일수는 300일 이다.)
1.
2.4
2.
3.2
3.
4.0
4.
5.6
정답 : [
2
] 정답률 : 79%
15.
고형분 20%인 폐기물 10톤을 소각하기 위해 함수율이 15%가 되도록 건조시켰다. 이 건조폐기물의 중량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약 1.8톤
2.
약 2.4톤
3.
약 3.3톤
4.
약 4.3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0(1-0.8)=X(1-0.15) X=2.3529 [해설작성자 : 남빈]
16.
어느 폐기물의 밀도가 0.32 ton/m3이던 것을 압축기로 압축하여 0.8ton/m3로 하였다. 부피 감소율은?
1.
40%
2.
50%
3.
60%
4.
70%
정답 : [
3
] 정답률 : 53%
17.
다음 중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는 방법이 아닌것은?
1.
Trend method
2.
Material balance method
3.
Multiple regression model
4.
Dynamic simulation model
정답 : [
2
] 정답률 : 75%
18.
쓰레기의 수거노선을 설정할 때 유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많은 양의 쓰레기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2.
U자형 회전을 피하여 수거한다.
3.
적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나 동일한 수거빈도를 받기를 원하는 적재지점은 가능한 한 같은 날 왕복 내에서 수거하도록 한다.
4.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많은 양의 쓰레기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한다. [해설작성자 : 국화]
19.
함수율 82%의 하수슬러지 80m3와 함수율 15%의 톱밥 120m3을 혼합 했을 때의 함수율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42%
2.
45%
3.
48%
4.
55%
정답 : [
1
] 정답률 : 73%
20.
폐기물적재차량 중량이 28500kg, 빈차의 중량이 15000kg, 적재함의 크기는 가로 300cm, 세로 150cm, 높이 500cm 일 때 단위 용적 당 적재량 (t/m3)은?
1.
0.22
2.
0.46
3.
0.60
4.
0.81
정답 : [
3
] 정답률 : 76%
21.
플라스틱을 다시 활용하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분해 이용법
2.
용융고화재생 이용법
3.
유리화 이용법
4.
파쇄 이용법
정답 : [
3
] 정답률 : 69%
22.
인구가 400000명인 어느 도시의 쓰레기배출 원 단위가 1.2kg/인·일 이고, 밀도는 0.45 t/m3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쓰레기를 분쇄하여 그 용적이 2/3로 되었으며, 이 분쇄된 쓰레기를 다시 압축하면서 또다시 1/3 용적이 촉소되었다. 분쇄만 하여 매립할 때와 분쇄, 압축한 후에 매립할 때에 양자 간의 년간 매립소요면적의 차이는? (단, Trench 깊이는 4m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 안함)
1.
약 12820 m2
2.
약 16230 m2
3.
약 21630 m2
4.
약 28540 m2
정답 : [
3
] 정답률 : 60%
23.
COD/TOC < 2.0, BOD/COD < 0.1, COD는 500mg/L 미만인 매립연한 10년 이상 된 곳에서 발생된 침출수의 처리공정의 효율성을 틀리게 나타낸것은?
1.
활성탄 – 불량
2.
이온교환수지 – 보통
3.
화학적침전(석회투여) - 불량
4.
화학적산화 – 보통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매립기간 10년 이상, COD/TOC = 2미만, BOD/COD = 0.1미만
퇴비화는 도시폐기물 중 음식찌꺼지, 낙엽 또는 하수처리장 찌꺼기와 같은 유기물을 안정한 상태의 부식질(humus)로 변화시키는 공정이다. 다음 중 부식질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원균이 사멸되어 거의 없다.
2.
C/N비가 높아져 토양개량제로 사용된다.
3.
물 보유력과 양이온교환능력이 좋다.
4.
악취가 없는 안정된 유기물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부식질(Humus, 완성화 된 퇴비)의 특징 1. 악취가 없는 안정한 유기물이다.(흙냄새) 2. 병원균이 사멸되어 거의 없다. 3. 뛰어난 토량 개량제이다. 4. 수분 보유력과 양이온 교환능력이 좋다. 5. C/N 비율이 낮다(10~20) 6. 짙은 갈색(검은색)이다.
25.
최근 국내에서도 도입되고 있는 폐기물 소각재의 용융고화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용융방식에는 코크스 베드식, 아크 용융, 플라즈마 용융 등이 있다.
2.
최종 처분되는 폐기물의 부피는 크게 감소시키고, 2차오염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3.
용융되어 생성되는 슬래그에서 다량의 중금속이 용출된다.
4.
생성된 슬래그는 도로포장재 등 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26.
침출수의 혐기성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농도의 침출수를 희석없이 처리할 수 있다.
2.
중금속에 의한 저해효과가 호기성 공정에 비해 작다.
3.
미생물의 낮은 증식으로 슬러지 처리 비용이 감소된다.
4.
호기성 공정에 비해 낮은 영양물 요구량을 가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27.
토양오염복원기법 중 Bioven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 투수성은 공기를 토양 내에 강제 순환시킬 때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이다.
2.
오염부지 주변의 공기 및 물의 이동에 의한 오염물질의 확산의 염려가 있다.
3.
현장 지반구조 및 오염물 분포에 따른 처리기간의 변동이 심하다.
4.
용해도가 큰 오염물질은 많은 양이 토양수분 내에 용해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처리효율이 좋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 처리효율이 나빠진다 [해설작성자 : 강해린렛츠고]
28.
매립지 선정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하는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매립지로 유입되는 쓰레기 성상
2.
사후 매립지 이용 계획
3.
주변 환경 조건
4.
운반도록의 확보 및 지형지질
정답 : [
1
] 정답률 : 47%
29.
밀도가 2.0g/cm3인 폐기물 20kg에 고형화 재료를 20kg 첨가하여 고형화 시킨 결과 밀도가 2.8g/cm3으로 증가하였다면 부피변화율(VCF)은?
1.
1.04
2.
1.17
3.
1.27
4.
1.43
정답 : [
4
] 정답률 : 59%
30.
슬러지 매립지 침출수에 함유되어 있는 암모니아를 염소로 처리하려고 한다. 침출수 발생량은 3780m3/d이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7.7kg/d의 염소를 주입하고 잔류염소농도는 0.2mg/L 이었다면 염소요구량은 몇 mg/L인가?
1.
약 4.31
2.
약 3.83
3.
약 2.21
4.
약 1.84
정답 : [
4
] 정답률 : 42%
31.
포도당(C6H12O6)만으로 된 유기물 3.0kg이 혐기성 상태에서 완전부해 된다면 생산되는 메탄의 용적(Sm3)은?
1.
약 0.66
2.
약 1.12
3.
약 1.43
4.
약 1.86
정답 : [
2
] 정답률 : 62%
32.
토양오염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경로가 다양하다.
2.
피해발현이 완만하다.
3.
오염의 인지가 용이하다.
4.
원상복구가 어렵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오염의 인지가 어려움 [해설작성자 : 김태진]
33.
체의 통과 백분율이 10%, 30%, 50%, 60%인 입자의 직경이 각각 0.05mm, 0.15mm, 0.45mm, 0.55mm 일 때 곡률계수는?
1.
0.82
2.
1.32
3.
2.76
4.
3.71
정답 : [
1
] 정답률 : 69%
34.
가장 흔히 사용되는 고화처리 방법 중의 하나이며 무기성고화재를 사용하여 고농도의 중금속의 폐기에 적합한 화학적 처리방법은?
공극율이 0.4인 토양이 깊이 5m까지 오염되어 있다면 오염된 토양의 m2당 공극의 체적은 몇 m3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3
] 정답률 : 72%
41.
소각로에 열교환기를 설치,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급수 예열에 사용할 때 급수 출구온도는 몇 ℃ 인가? (단, 배기가스량 : 100kg/hr, 급수량 : 200kg/hr, 배기가스 열교환기 유입온도 : 500℃, 출구온도 : 200℃, 급수의 입구온도 : 10℃, 배기가스 정압비열 : 0.24 kcal/kg ·℃)
1.
26
2.
36
3.
46
4.
56
정답 : [
3
] 정답률 : 39%
42.
고체 및 액체 연료의 연소 이론 산소량을 중량으로 구하는 경우, 산출식으로 적절한 것은?
1.
2.67C + 8H + O + S (kg/kg)
2.
3.67C + 8H + O + S (kg/kg)
3.
2.67C + 8H - O + S (kg/kg)
4.
3.67C + 8H - O + S (kg/kg)
정답 : [
3
] 정답률 : 68%
43.
전기집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수가치성이 있는 입자 포집이 가능하다.
2.
고온가스, 대량의 가스처리가 가능하다.
3.
전압변동과 같은 조건변동에 쉽게 적응하기 어렵다.
4.
유지관리가 어렵고 유지비가 많이 소요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44.
다음 중 표면연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코크스나 목탄과 같은 휘발성 성분이 거의 없는 연료의 연소형태를 말한다.
2.
휘발유와 같이 끓는점이 낮은 기름의 연소나 왁스가 액화하여 다시 기화되어 연소하는 것을 말한다.
3.
기체연료와 같이 공기의 확산에 의한 연소를 말한다.
4.
니트로글리세린 등과 같이 공기 중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분자 자신 속의 산소에 의해서 연소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45.
플라스틱 폐기물의 소각 및 열분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압증류법은 황의 함량이 낮은 저유황유를 회수할 수 있다.
2.
멜라민 수지를 불완전 연소하면 HCN과 NH3가 생성된다.
3.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모노머는 발화성이 크고, 생성가스의 연소성도 크다.
4.
고온열분해법에서는 타르, char 및 액체상태의 연료가 많이 생성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고온열분해법에서는 타르, char 및 액체상태의 연료가 적게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국화]
46.
완전건조된 폐기물 10000 kg/h을 소각할 때 폐기물 중 유기물성분이 60% 이면 굴뚝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량은 약 몇 kJ/h 인가? (단, 건조 기준으로 유기물의 연소열은 19193 kJ/kg 으로 가정하며, 복사에 의한 열손실은 입력의 5%이고, 발생열은 10% 가 소각재에 잔존한다고 가정한다.)
소각로에서 쓰레기의 소각과 동시에 배출되는 가스성분을 분석한 결과 N2 85%, O2 6%, CO 1%와 같은 조성을 나타냈다. 이 때 이 소각로의 공기비는? (단, 쓰레기에는 질소, 산소 성분이 없다고 가정함)
1.
1.25
2.
1.32
3.
1.81
4.
2.28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100 이라고 하면, N2 는 85 이고 연소 반응에서 N2 는 반응하지 않으므로 넣어준 산소량을 N2 로부터 알 수 있음. 넣어준 O2 는 85*(21/79)=22.5949 이고 이 값이 실제 O2 값. C + 0.5O2 -> CO 의 반응은 불완전 연소고, 생성된 CO 가 1 이므로 이 반응에서 소모된 O2 는 0.5 임. 완전 및 불완전 연소 반응 후 남은 O2 가 6 이므로, 두 연소 반응에서 쓰인 O2 를 알 수 있음. [넣어준 O2]-[완전 연소에 쓰인 O2]-[불완전 연소에 쓰인 O2]=[남은 O2] 이므로, 22.5949-x-0.5=6 이므로 x=16.0949 이고 이 값이 [완전 연소에 쓰인 O2] 임. 근데 불완전 연소하지 않고 완전 연소를 했으면 O2 는 0.5 가 아니라 1 이 소모되어야함. 그러므로 이론적으로 소모되는, 즉 완전 연소를 기준으로 했을 때 O2 는 16.0949+1=17.0949 가 소모되어야함. 따라서 실제 넣어준 O2 가 22.5949, 이론적으로 소모되는 O2 가 17.0949 이므로, m=22.5949/17.0949=1.3217 [해설작성자 : 호돌이]
49.
연소에 있어 검뎅이의 생성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A중유 < B중유 < C중유 순으로 검뎅이가 발생한다.
2.
공기비가 매우 적을 때 다량 발생한다.
3.
중합, 탈수소축합 등의 반응을 일으키는 탄화수소가 적을수록 검뎅이는 많이 발생한다.
4.
전열면 등으로 발열속도 보다 방열속도가 빨라서 화염의 온도가 저할될 때 많이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50.
발열량 1000 kcal/kg인 쓰레기의 발생량이 20ton/day인 경우, 소각로내 열부하가 50000 kcal/m3· hr인 소각로의 용적은? (단, 1일 가동시간은 8hr이다.)
1.
50 m3
2.
60 m3
3.
70 m3
4.
80 m3
정답 : [
1
] 정답률 : 62%
51.
열분해방법이 소각방법에 비교해서 공해물질 발생면에서 유리한 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중금속의 최소부분만이 재(ash)속에 고정되며 나머지는 쉽게 분리된다.
2.
대기로 방출되는 가스가 적다.
3.
고온용융식을 이용하면 재를 고형화할 수 있고 중금속의 용출은 없어서 자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4.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 염화수소의 양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52.
연소방법에 따른 소각로 종류 중 설명이 잘못된것은?
1.
준연속식 소각로는 회분식 소각로와 같이 쓰레기를 간헐적으로 투입하나 화격자를 건조층과 연소층으로 구분하여 건조 및 연소속도를 향상 시킨 소각로이다.
유동층 소각로에서 슬러지의 온도가 30℃, 연소온도 850℃, 배기온도 450℃일 때, 유동층 소각로의 열효율은?
1.
49%
2.
51%
3.
62%
4.
77%
정답 : [
1
] 정답률 : 60%
60.
완전연소일 경우의 (CO2)max의 값(%)은? (단, CO2 : 배출가스 중 CO2량(Sm3/Sm3) O2 : 배출가스 중 량(Sm3/Sm3) N2 : 배출가스 중 량(Sm3/Sm3)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1%
61.
크롬함량을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의해 정량하고자 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흡광도는 540nm에서 측정한다.
2.
발색 시 황산의 최적농도는 0.1M이다.
3.
시료 중 철이 20mg 이하로 공존할 경우에는 다이페닐카바자이드용액을 넣기 전에 피로인산나트륨-10수화물용액(5%) 2mL를 넣어 주면 간섭을 줄일 수 있다.
4.
시료의 전처리에서 다량의 황산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시료에 무수황산나트륨 20mg을 넣고 가열하여 황산의 백연을 발생시켜 황산을 제거한 후 황산(1+9) 3mL를 넣고 실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0->2.5 [해설작성자 : 티몬]
62.
강열감량 측정 실험에서 다음 데이터를 얻었다. 유기물 함량은 몇 %인가?
1.
49.56%
2.
51.68%
3.
53.68%
4.
95.88%
정답 : [
2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초기 시료의 질량은 항량 건조, 방냉 후 무게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57.1253-30.5238=26.6015g 이 시료 전체의 질량. 이 시료가 강열 과정을 거치면 43.3767-30.5238=12.8529g 이 됩니다. 이때 100*(12.8529/26.6015)=48.32% 가 나오는데, 이는 '강열 후 남은 것들' 에 대한 질량이고, 강열 과정에서 분해되어 시료에서 사라진 유기물은 100-48.32=51.68% 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호돌이]
63.
온도의 표시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실온은 1~25℃ 로 한다.
2.
찬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인 곳을 뜻한다.
3.
온수는 60~70℃를 말한다.
4.
냉수는 15℃ 이하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실온 1-35℃ [해설작성자 : 국화]
64.
다음은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의 광원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텅스텐램프, ㉡ 중수소 방전관
2.
㉠ 중수소 방전관, ㉡ 텅스텐램프
3.
㉠ 할로겐램프, ㉡ 헬륨 방전관
4.
㉠ 헬륨 방전관, ㉡ 할로겐램프
정답 : [
1
] 정답률 : 69%
65.
크롬의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의한 측정에서 공기-아세틸렌 불꽃으로는 철, 니켈 등에 기인한 방해 영향이 크다. 이 때의 대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황산나트륨을 1% 정도 넣어서 측정한다.
2.
수소-공기-알곤 불꽃으로 바꾸어 측정한다.
3.
수소-산소 불꽃으로 바꾸어 측정한다.
4.
이소부틸케톤 용액 20 mL를 넣어 측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66.
X선 회절기법으로 석면 측정시 X선 회절기로 판단할 수 있는 석면의 정량범위는?
1.
0.1~100.0 wt%
2.
1.0~100.0 wt%
3.
0.1~10.0 wt%
4.
1.0~10.0 wt%
정답 : [
1
] 정답률 : 52%
67.
유리전극법을 이용하여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할 때 적용 범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pH를 0.01 까지 측정한다.
2.
pH를 0.05 까지 측정한다.
3.
pH를 0.1 까지 측정한다.
4.
pH를 0.5 까지 측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68.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에 적용되는 시료의 전처리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질산-과염소산-불화수소산에 의한 유기물 분해
2.
질산-염산에 의한 유기물 분해
3.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유기물 분해
4.
질산-황산에 의한 유기물 분해
정답 : [
1
] 정답률 : 58%
69.
유기인의 정제용 컬럼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실리카겔 컬럼
2.
플로리실 컬럼
3.
활성탄 컬럼
4.
실리콘 컬럼
정답 : [
4
] 정답률 : 60%
70.
용출시험방법의 용출조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액의 조제가 끝난 혼합액은 유리섬유 여과지로 여과하여 진탕용 시료로 사용한다.
2.
진탕용 시료는 분당 약 200회, 진폭 4~5cm인 진탕기를 사용하여 6시간 연속 진탕한다.
3.
원심분리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3000rpm 이상으로 20분 이상 원심분리한다.
4.
시료를 원심분리한 경우는 상징액을 적당량 취하여 용출시험용 시료용액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용출시험용액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티몬]
71.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에서 시안분석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원자흡수분광광도법
2.
이온전극법
3.
기체크로마토그래피
4.
유도결합플라즈마-원자발광분광법
정답 : [
2
] 정답률 : 59%
72.
총칙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고상폐기물”이라 함은 고형물의 함량이 5% 이상인 것을 말한다.
2.
“반고상폐기물”이라 함은 고형물의 함량이 10% 미만인 것을 말한다.
3.
“방울수”라 함은 4℃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을 뜻한다.
도시폐기물을 X90 = 2.5cm로 파쇄하고자 할 때, Rosin-Rammler 모델에 의한 특성입자 크기(XO)는? (단, n=1로 가정한다.)
1.
1.09 cm
2.
1.18 cm
3.
1.22 cm
4.
1.34 cm
정답 : [
1
] 정답률 : 69%
7.
다음 조건을 가진 지역의 일일 최소 쓰레기 수거 횟수는?
1.
2회
2.
4회
3.
6회
4.
8회
정답 : [
1
] 정답률 : 53%
8.
쓰레기의 성상분석 절차로 가장 옳은 것은?
1.
시료→전처리→물리적조성→밀도측정→건조→분류
2.
시료→전처리→건조→분류→물리적조성→밀도측정
3.
시료→밀도측정→건조→분류→전처리→물리적조성
4.
시료→밀도측정→물리적조성→건조→분류→전처리
정답 : [
4
] 정답률 : 81%
2과목 : 세무회계의 이해
9.
유기물(포도당 C6H12O6) 2kg을 혐기성분해로 완전히 안정화시키는 경우 이론적으로 생성되는 메탄의 체적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약 0.25 m3
2.
약 0.45 m3
3.
약 0.75 m3
4.
약 1.35 m3
정답 : [
3
] 정답률 : 65%
10.
완전히 건조시킨 폐기물 20g을 취해 회분량을 조사하니 5g 이었다. 이 폐기물의 원래 함수율이 40%이었다면, 이 폐기물의 습량기준 회분 중량비(%)는? (단, 비중은 1.0 기준)
1.
5
2.
10
3.
15
4.
20
정답 : [
3
] 정답률 : 56%
11.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지수로 나타내는 청소상태 평가법의 약자로 옳은 것은?
1.
SEI
2.
CEI
3.
USI
4.
ESI
정답 : [
3
] 정답률 : 78%
12.
pH가 2인 폐산용액은 pH가 4인 폐산용액에 비해 수소이온이 몇 배 더 함유되어 있는가?
1.
5배
2.
2배
3.
100배
4.
10배
정답 : [
3
] 정답률 : 76%
13.
수거대상 인구가 10,000명인 도시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밀도는 0.5 ton/m3 이고, 하루 폐기물 수거를 위해 차량적재 용량이 10 m3인 차량 10대가 사용된다면 1일 1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단, 차량은 1일 1회 운행 기준)
1.
2 kg/인·일
2.
3 kg/인·일
3.
4 kg/인·일
4.
5 kg/인·일
정답 : [
4
] 정답률 : 71%
14.
3,000,000 ton/year의 쓰레기 수거에 4,000명의 인부가 종사한다면 MHT값은? (단, 수거인부의 1일 작업시간은 8시간이고 1년 작업일수는 300일 이다.)
1.
2.4
2.
3.2
3.
4.0
4.
5.6
정답 : [
2
] 정답률 : 79%
15.
고형분 20%인 폐기물 10톤을 소각하기 위해 함수율이 15%가 되도록 건조시켰다. 이 건조폐기물의 중량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약 1.8톤
2.
약 2.4톤
3.
약 3.3톤
4.
약 4.3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0(1-0.8)=X(1-0.15) X=2.3529 [해설작성자 : 남빈]
16.
어느 폐기물의 밀도가 0.32 ton/m3이던 것을 압축기로 압축하여 0.8ton/m3로 하였다. 부피 감소율은?
1.
40%
2.
50%
3.
60%
4.
70%
정답 : [
3
] 정답률 : 53%
17.
다음 중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는 방법이 아닌것은?
1.
Trend method
2.
Material balance method
3.
Multiple regression model
4.
Dynamic simulation model
정답 : [
2
] 정답률 : 75%
18.
쓰레기의 수거노선을 설정할 때 유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많은 양의 쓰레기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2.
U자형 회전을 피하여 수거한다.
3.
적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나 동일한 수거빈도를 받기를 원하는 적재지점은 가능한 한 같은 날 왕복 내에서 수거하도록 한다.
4.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많은 양의 쓰레기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한다. [해설작성자 : 국화]
19.
함수율 82%의 하수슬러지 80m3와 함수율 15%의 톱밥 120m3을 혼합 했을 때의 함수율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42%
2.
45%
3.
48%
4.
55%
정답 : [
1
] 정답률 : 73%
20.
폐기물적재차량 중량이 28500kg, 빈차의 중량이 15000kg, 적재함의 크기는 가로 300cm, 세로 150cm, 높이 500cm 일 때 단위 용적 당 적재량 (t/m3)은?
1.
0.22
2.
0.46
3.
0.60
4.
0.81
정답 : [
3
] 정답률 : 76%
21.
플라스틱을 다시 활용하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분해 이용법
2.
용융고화재생 이용법
3.
유리화 이용법
4.
파쇄 이용법
정답 : [
3
] 정답률 : 69%
22.
인구가 400000명인 어느 도시의 쓰레기배출 원 단위가 1.2kg/인·일 이고, 밀도는 0.45 t/m3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쓰레기를 분쇄하여 그 용적이 2/3로 되었으며, 이 분쇄된 쓰레기를 다시 압축하면서 또다시 1/3 용적이 촉소되었다. 분쇄만 하여 매립할 때와 분쇄, 압축한 후에 매립할 때에 양자 간의 년간 매립소요면적의 차이는? (단, Trench 깊이는 4m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 안함)
1.
약 12820 m2
2.
약 16230 m2
3.
약 21630 m2
4.
약 28540 m2
정답 : [
3
] 정답률 : 60%
23.
COD/TOC < 2.0, BOD/COD < 0.1, COD는 500mg/L 미만인 매립연한 10년 이상 된 곳에서 발생된 침출수의 처리공정의 효율성을 틀리게 나타낸것은?
1.
활성탄 – 불량
2.
이온교환수지 – 보통
3.
화학적침전(석회투여) - 불량
4.
화학적산화 – 보통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매립기간 10년 이상, COD/TOC = 2미만, BOD/COD = 0.1미만
퇴비화는 도시폐기물 중 음식찌꺼지, 낙엽 또는 하수처리장 찌꺼기와 같은 유기물을 안정한 상태의 부식질(humus)로 변화시키는 공정이다. 다음 중 부식질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원균이 사멸되어 거의 없다.
2.
C/N비가 높아져 토양개량제로 사용된다.
3.
물 보유력과 양이온교환능력이 좋다.
4.
악취가 없는 안정된 유기물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부식질(Humus, 완성화 된 퇴비)의 특징 1. 악취가 없는 안정한 유기물이다.(흙냄새) 2. 병원균이 사멸되어 거의 없다. 3. 뛰어난 토량 개량제이다. 4. 수분 보유력과 양이온 교환능력이 좋다. 5. C/N 비율이 낮다(10~20) 6. 짙은 갈색(검은색)이다.
25.
최근 국내에서도 도입되고 있는 폐기물 소각재의 용융고화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용융방식에는 코크스 베드식, 아크 용융, 플라즈마 용융 등이 있다.
2.
최종 처분되는 폐기물의 부피는 크게 감소시키고, 2차오염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3.
용융되어 생성되는 슬래그에서 다량의 중금속이 용출된다.
4.
생성된 슬래그는 도로포장재 등 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26.
침출수의 혐기성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농도의 침출수를 희석없이 처리할 수 있다.
2.
중금속에 의한 저해효과가 호기성 공정에 비해 작다.
3.
미생물의 낮은 증식으로 슬러지 처리 비용이 감소된다.
4.
호기성 공정에 비해 낮은 영양물 요구량을 가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27.
토양오염복원기법 중 Bioven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 투수성은 공기를 토양 내에 강제 순환시킬 때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이다.
2.
오염부지 주변의 공기 및 물의 이동에 의한 오염물질의 확산의 염려가 있다.
3.
현장 지반구조 및 오염물 분포에 따른 처리기간의 변동이 심하다.
4.
용해도가 큰 오염물질은 많은 양이 토양수분 내에 용해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처리효율이 좋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 처리효율이 나빠진다 [해설작성자 : 강해린렛츠고]
28.
매립지 선정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하는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매립지로 유입되는 쓰레기 성상
2.
사후 매립지 이용 계획
3.
주변 환경 조건
4.
운반도록의 확보 및 지형지질
정답 : [
1
] 정답률 : 47%
29.
밀도가 2.0g/cm3인 폐기물 20kg에 고형화 재료를 20kg 첨가하여 고형화 시킨 결과 밀도가 2.8g/cm3으로 증가하였다면 부피변화율(VCF)은?
1.
1.04
2.
1.17
3.
1.27
4.
1.43
정답 : [
4
] 정답률 : 59%
30.
슬러지 매립지 침출수에 함유되어 있는 암모니아를 염소로 처리하려고 한다. 침출수 발생량은 3780m3/d이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7.7kg/d의 염소를 주입하고 잔류염소농도는 0.2mg/L 이었다면 염소요구량은 몇 mg/L인가?
1.
약 4.31
2.
약 3.83
3.
약 2.21
4.
약 1.84
정답 : [
4
] 정답률 : 42%
31.
포도당(C6H12O6)만으로 된 유기물 3.0kg이 혐기성 상태에서 완전부해 된다면 생산되는 메탄의 용적(Sm3)은?
1.
약 0.66
2.
약 1.12
3.
약 1.43
4.
약 1.86
정답 : [
2
] 정답률 : 62%
32.
토양오염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경로가 다양하다.
2.
피해발현이 완만하다.
3.
오염의 인지가 용이하다.
4.
원상복구가 어렵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오염의 인지가 어려움 [해설작성자 : 김태진]
33.
체의 통과 백분율이 10%, 30%, 50%, 60%인 입자의 직경이 각각 0.05mm, 0.15mm, 0.45mm, 0.55mm 일 때 곡률계수는?
1.
0.82
2.
1.32
3.
2.76
4.
3.71
정답 : [
1
] 정답률 : 69%
34.
가장 흔히 사용되는 고화처리 방법 중의 하나이며 무기성고화재를 사용하여 고농도의 중금속의 폐기에 적합한 화학적 처리방법은?
공극율이 0.4인 토양이 깊이 5m까지 오염되어 있다면 오염된 토양의 m2당 공극의 체적은 몇 m3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3
] 정답률 : 72%
41.
소각로에 열교환기를 설치,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급수 예열에 사용할 때 급수 출구온도는 몇 ℃ 인가? (단, 배기가스량 : 100kg/hr, 급수량 : 200kg/hr, 배기가스 열교환기 유입온도 : 500℃, 출구온도 : 200℃, 급수의 입구온도 : 10℃, 배기가스 정압비열 : 0.24 kcal/kg ·℃)
1.
26
2.
36
3.
46
4.
56
정답 : [
3
] 정답률 : 39%
42.
고체 및 액체 연료의 연소 이론 산소량을 중량으로 구하는 경우, 산출식으로 적절한 것은?
1.
2.67C + 8H + O + S (kg/kg)
2.
3.67C + 8H + O + S (kg/kg)
3.
2.67C + 8H - O + S (kg/kg)
4.
3.67C + 8H - O + S (kg/kg)
정답 : [
3
] 정답률 : 68%
43.
전기집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수가치성이 있는 입자 포집이 가능하다.
2.
고온가스, 대량의 가스처리가 가능하다.
3.
전압변동과 같은 조건변동에 쉽게 적응하기 어렵다.
4.
유지관리가 어렵고 유지비가 많이 소요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44.
다음 중 표면연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코크스나 목탄과 같은 휘발성 성분이 거의 없는 연료의 연소형태를 말한다.
2.
휘발유와 같이 끓는점이 낮은 기름의 연소나 왁스가 액화하여 다시 기화되어 연소하는 것을 말한다.
3.
기체연료와 같이 공기의 확산에 의한 연소를 말한다.
4.
니트로글리세린 등과 같이 공기 중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분자 자신 속의 산소에 의해서 연소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45.
플라스틱 폐기물의 소각 및 열분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압증류법은 황의 함량이 낮은 저유황유를 회수할 수 있다.
2.
멜라민 수지를 불완전 연소하면 HCN과 NH3가 생성된다.
3.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모노머는 발화성이 크고, 생성가스의 연소성도 크다.
4.
고온열분해법에서는 타르, char 및 액체상태의 연료가 많이 생성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고온열분해법에서는 타르, char 및 액체상태의 연료가 적게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국화]
46.
완전건조된 폐기물 10000 kg/h을 소각할 때 폐기물 중 유기물성분이 60% 이면 굴뚝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량은 약 몇 kJ/h 인가? (단, 건조 기준으로 유기물의 연소열은 19193 kJ/kg 으로 가정하며, 복사에 의한 열손실은 입력의 5%이고, 발생열은 10% 가 소각재에 잔존한다고 가정한다.)
소각로에서 쓰레기의 소각과 동시에 배출되는 가스성분을 분석한 결과 N2 85%, O2 6%, CO 1%와 같은 조성을 나타냈다. 이 때 이 소각로의 공기비는? (단, 쓰레기에는 질소, 산소 성분이 없다고 가정함)
1.
1.25
2.
1.32
3.
1.81
4.
2.28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100 이라고 하면, N2 는 85 이고 연소 반응에서 N2 는 반응하지 않으므로 넣어준 산소량을 N2 로부터 알 수 있음. 넣어준 O2 는 85*(21/79)=22.5949 이고 이 값이 실제 O2 값. C + 0.5O2 -> CO 의 반응은 불완전 연소고, 생성된 CO 가 1 이므로 이 반응에서 소모된 O2 는 0.5 임. 완전 및 불완전 연소 반응 후 남은 O2 가 6 이므로, 두 연소 반응에서 쓰인 O2 를 알 수 있음. [넣어준 O2]-[완전 연소에 쓰인 O2]-[불완전 연소에 쓰인 O2]=[남은 O2] 이므로, 22.5949-x-0.5=6 이므로 x=16.0949 이고 이 값이 [완전 연소에 쓰인 O2] 임. 근데 불완전 연소하지 않고 완전 연소를 했으면 O2 는 0.5 가 아니라 1 이 소모되어야함. 그러므로 이론적으로 소모되는, 즉 완전 연소를 기준으로 했을 때 O2 는 16.0949+1=17.0949 가 소모되어야함. 따라서 실제 넣어준 O2 가 22.5949, 이론적으로 소모되는 O2 가 17.0949 이므로, m=22.5949/17.0949=1.3217 [해설작성자 : 호돌이]
49.
연소에 있어 검뎅이의 생성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A중유 < B중유 < C중유 순으로 검뎅이가 발생한다.
2.
공기비가 매우 적을 때 다량 발생한다.
3.
중합, 탈수소축합 등의 반응을 일으키는 탄화수소가 적을수록 검뎅이는 많이 발생한다.
4.
전열면 등으로 발열속도 보다 방열속도가 빨라서 화염의 온도가 저할될 때 많이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50.
발열량 1000 kcal/kg인 쓰레기의 발생량이 20ton/day인 경우, 소각로내 열부하가 50000 kcal/m3· hr인 소각로의 용적은? (단, 1일 가동시간은 8hr이다.)
1.
50 m3
2.
60 m3
3.
70 m3
4.
80 m3
정답 : [
1
] 정답률 : 62%
51.
열분해방법이 소각방법에 비교해서 공해물질 발생면에서 유리한 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중금속의 최소부분만이 재(ash)속에 고정되며 나머지는 쉽게 분리된다.
2.
대기로 방출되는 가스가 적다.
3.
고온용융식을 이용하면 재를 고형화할 수 있고 중금속의 용출은 없어서 자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4.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 염화수소의 양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52.
연소방법에 따른 소각로 종류 중 설명이 잘못된것은?
1.
준연속식 소각로는 회분식 소각로와 같이 쓰레기를 간헐적으로 투입하나 화격자를 건조층과 연소층으로 구분하여 건조 및 연소속도를 향상 시킨 소각로이다.
유동층 소각로에서 슬러지의 온도가 30℃, 연소온도 850℃, 배기온도 450℃일 때, 유동층 소각로의 열효율은?
1.
49%
2.
51%
3.
62%
4.
77%
정답 : [
1
] 정답률 : 60%
60.
완전연소일 경우의 (CO2)max의 값(%)은? (단, CO2 : 배출가스 중 CO2량(Sm3/Sm3) O2 : 배출가스 중 량(Sm3/Sm3) N2 : 배출가스 중 량(Sm3/Sm3)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1%
61.
크롬함량을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의해 정량하고자 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흡광도는 540nm에서 측정한다.
2.
발색 시 황산의 최적농도는 0.1M이다.
3.
시료 중 철이 20mg 이하로 공존할 경우에는 다이페닐카바자이드용액을 넣기 전에 피로인산나트륨-10수화물용액(5%) 2mL를 넣어 주면 간섭을 줄일 수 있다.
4.
시료의 전처리에서 다량의 황산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시료에 무수황산나트륨 20mg을 넣고 가열하여 황산의 백연을 발생시켜 황산을 제거한 후 황산(1+9) 3mL를 넣고 실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0->2.5 [해설작성자 : 티몬]
62.
강열감량 측정 실험에서 다음 데이터를 얻었다. 유기물 함량은 몇 %인가?
1.
49.56%
2.
51.68%
3.
53.68%
4.
95.88%
정답 : [
2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초기 시료의 질량은 항량 건조, 방냉 후 무게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57.1253-30.5238=26.6015g 이 시료 전체의 질량. 이 시료가 강열 과정을 거치면 43.3767-30.5238=12.8529g 이 됩니다. 이때 100*(12.8529/26.6015)=48.32% 가 나오는데, 이는 '강열 후 남은 것들' 에 대한 질량이고, 강열 과정에서 분해되어 시료에서 사라진 유기물은 100-48.32=51.68% 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호돌이]
63.
온도의 표시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실온은 1~25℃ 로 한다.
2.
찬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인 곳을 뜻한다.
3.
온수는 60~70℃를 말한다.
4.
냉수는 15℃ 이하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실온 1-35℃ [해설작성자 : 국화]
64.
다음은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의 광원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텅스텐램프, ㉡ 중수소 방전관
2.
㉠ 중수소 방전관, ㉡ 텅스텐램프
3.
㉠ 할로겐램프, ㉡ 헬륨 방전관
4.
㉠ 헬륨 방전관, ㉡ 할로겐램프
정답 : [
1
] 정답률 : 69%
65.
크롬의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의한 측정에서 공기-아세틸렌 불꽃으로는 철, 니켈 등에 기인한 방해 영향이 크다. 이 때의 대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황산나트륨을 1% 정도 넣어서 측정한다.
2.
수소-공기-알곤 불꽃으로 바꾸어 측정한다.
3.
수소-산소 불꽃으로 바꾸어 측정한다.
4.
이소부틸케톤 용액 20 mL를 넣어 측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66.
X선 회절기법으로 석면 측정시 X선 회절기로 판단할 수 있는 석면의 정량범위는?
1.
0.1~100.0 wt%
2.
1.0~100.0 wt%
3.
0.1~10.0 wt%
4.
1.0~10.0 wt%
정답 : [
1
] 정답률 : 52%
67.
유리전극법을 이용하여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할 때 적용 범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pH를 0.01 까지 측정한다.
2.
pH를 0.05 까지 측정한다.
3.
pH를 0.1 까지 측정한다.
4.
pH를 0.5 까지 측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68.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에 적용되는 시료의 전처리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질산-과염소산-불화수소산에 의한 유기물 분해
2.
질산-염산에 의한 유기물 분해
3.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유기물 분해
4.
질산-황산에 의한 유기물 분해
정답 : [
1
] 정답률 : 58%
69.
유기인의 정제용 컬럼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실리카겔 컬럼
2.
플로리실 컬럼
3.
활성탄 컬럼
4.
실리콘 컬럼
정답 : [
4
] 정답률 : 60%
70.
용출시험방법의 용출조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액의 조제가 끝난 혼합액은 유리섬유 여과지로 여과하여 진탕용 시료로 사용한다.
2.
진탕용 시료는 분당 약 200회, 진폭 4~5cm인 진탕기를 사용하여 6시간 연속 진탕한다.
3.
원심분리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3000rpm 이상으로 20분 이상 원심분리한다.
4.
시료를 원심분리한 경우는 상징액을 적당량 취하여 용출시험용 시료용액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용출시험용액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티몬]
71.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에서 시안분석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원자흡수분광광도법
2.
이온전극법
3.
기체크로마토그래피
4.
유도결합플라즈마-원자발광분광법
정답 : [
2
] 정답률 : 59%
72.
총칙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고상폐기물”이라 함은 고형물의 함량이 5% 이상인 것을 말한다.
2.
“반고상폐기물”이라 함은 고형물의 함량이 10% 미만인 것을 말한다.
3.
“방울수”라 함은 4℃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