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벽이 없는 원핵생물로 인공배지에 배양이 되지 않으며, 곤충에 매개되는 특성이 있고,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 형태로 알려진 식물병원 미생물은?
1.
아메바
2.
원생동물
3.
프라이온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4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파이토플라스마 -크기가 0.1~1㎛인 단위막에 의해 형성된 세균에 가까운 병원체 -세포막이 없고 일종의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여 있음 -인공배지에서의 병원균의 배양 어려움 -약제 : 테트라싸이클린 등 항생제에 의한 약간의 억제효과, 완전방제는 어려움 -대추나무 빗자루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뽕나무 오갈병 등의 병원체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1.병원균은 담자균문에 속한다. x 자낭균 진균에 속한다. 2.균사가 뿌리의 상처로 침입한다. x 분생포자 형태로 침입 3.주로 7월 이휴 고온에서 발병x 24도 이하 저온에서 발병 4.발아전 디티아논 수화제를 살포하면 방제할 수 있다. o [해설작성자 : 농과 18학번]
8.
벚나무 빗자루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1.
세균
2.
균류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벗나무 빗자루병은 진균(자낭균류)에 의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오지우]
9.
매개충에 의해 병원이 경란전염하는 것은?
1.
벼 오갈병
2.
오이 모자이크병
3.
벼 검은줄오갈병
4.
감자 Y바이러스병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벼오갈병은 끝둥무늬매미충 번개,무늬매미충에 의해 매개되며 알을 통해 바이러스가 다음 대로 전해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병든 부분을 해부하여 조직 속의 이상현상이나 병원체의 존재를 밝히는 방법. ·참깨세균성 시들음병 : 유관속 갈변 ·Fusarium에 의한 참깨 시들음병 : 유관속 폐쇄 -그람염색법 : 대부분의 식물병원균은 그람음성균으로 그람염색법을 이용해 감자 둘레썩음병 등 그람양성 병원균 진단 -침지법(DN) :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1차적으로 검정하는데 유효,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을 염색해 관찰하는 방법 -초박절편법(TEM) : 바이러스 이명조직을 아주 얇게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면역전자현미경법 : 혈청반응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반응 민감도가 높고 병원체의 형태와 혈청반응을 동시에 관찰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문제 해설> 하루살이목(고시류) -입은 퇴화하여 먹지 못한다. -약충은 물속에 살며 입은 저작구이다. -배에는 기관새가 있어 이것으로 호흡한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31.
곤충의 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이러스가 아닌 것은?
1.
과립 바이러스
2.
베고모 바이러스
3.
핵다각체 바이러스
4.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과립, 핵다각체,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대부분 나비목서 발견
32.
날개가 두 쌍이 있는 곤충(잠자리 등)의 가슴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슴 각 마디에 1쌍씩의 다리가 있다.
2.
앞가슴과 가운데 가슴에 1쌍씩의 날개가 있다.
3.
가슴 안에는 날개와 다리를 움직이는 근육이 있다.
4.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의 3마디로 구분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운데가슴과 뒷가슴에 한쌍씩 날개가 있음
[추가 오류 신고]
날개 -대개 2쌍이며 앞날개는 가운데가슴에 뒷날개는 뒷가슴에 달려있다. -나비, 나방은 앞날개의 폭이 넓고 연약하며 보통 삼각형이다. -파리목은 뒷날개가 퇴화되어 평균곤을 이룬다. -부채벌레목은 앞날개가 퇴화하여 작대기 모양의 평균곤을 이룬다. -메뚜기와 딱정벌레류는 뒷날개만 나는데 이용, 앞날개는 시초(초시)로 변형되어 뒷날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33.
해충의 가해 습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혹명나방 : 유충이 잎을 가해한다.
2.
박쥐나방 : 유충이 열매를 가해한다.
3.
먹노린재 : 약충이 줄기를 가해한다.
4.
이화명나방 : 유충이 줄기 속을 파먹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박쥐나방 피해: 유충이 나무의 줄기를 한 바퀴 돌며, 고리모양으로 표피 밑을 가해한다. [해설작성자 : 된장포스]
박쥐나방의 부화유충은 처음에는 초본류를 가해하다가 수목으로 이동하여 기주식물의 줄기를 고리모양으로 먹어 들어가 똥을 배출하고 실을 토하므로 쉽게 발견된다. [해설작성자 : gogo]
34.
유충과 성충이 모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1.
독나방
2.
솔잎혹파리
3.
오리나무잎벌레
4.
꼬마버들재주나방
정답 : [
3
] 정답률 : 78%
35.
밀도의족적 치사(밀도종속적 사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망률은 개체군 내 밀도 크기에 비례한다.
2.
탄생율은 개체군 내 밀도 크기에 비례한다.
3.
사망률은 개체군 내 밀도 크기에 반비례한다.
4.
탄생율은 개체군 내 밀도 크기에 반비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밀도 의존적 치사 : 밀도에 의존하여 사망률이 변하는 경우 -개체군의 증가에 따라 식량이 감소하며, 피식자가 많은 곳으로 포식자의 이동이 증가한다. -질병의 확산은 고밀도에서 급증하며, 사망률이 급증한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추가 해설] 노포크식 윤작법은 지력유지, 잡초발생, 토지이용도, 생산물관계 등 여러 면에서 조직적으로 포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모범적이며 이상적인 윤작방식이다. 노퍽식은 순무-보리-클로버-밀이라는 4년주기 윤작방식으로 유럽에서는 이 방법에 의해 밭작물의 생산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해설작성자 : gogo]
49.
목초의 하고현상을 일으키는 유인은?
1.
고온
2.
습윤
3.
단일
4.
저온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북방형 다년생 목초는 내한성이 강하여 겨울을 잘 넘기지만 여름철 고온기에는 생육이 쇠퇴하거나 정지하고 심하면 황하고사하여 여름철 목초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목초의 하고현상 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PDK]
50.
연작의 해가 비교적 커서 5년 이상의 휴작이 필요한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토마토, 양배추, 담배
2.
참외, 시금치, 생강
3.
호박, 땅콩, 오이
4.
수박, 가지, 고추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연작에 의한 해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물별 휴작 기간 1년 : 콩, 파, 쪽파, 생강, 시금치 2년 : 마, 오이, 감자, 땅콩, 잠두 3년 : 쑥, 토란, 참외, 땅콩 5~7년 : 수박, 가지, 완두, 우엉, 고추, 토마토, 사탕무 10년 이상 : 아마, 인삼 [해설작성자 : PDK]
51.
박과채소류 접목육묘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흡비력이 강해진다
2.
토양전염성병의 발생이 적어진다.
3.
불량 환경에 대한 내성이 증대된다.
4.
질소 흡수가 줄어들어 당도가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질소 흡수가 강해져 당도가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52.
토양공기가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토양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토양이 산성화 되고 무기염류의 흡수가 저해된다.
2.
토양용기량이 증가하면 환원성 유해물질이 생성되어 뿌리가 상한다.
3.
토양용기량이 증가하면 산소의 농도가 감소한다.
4.
미숙유기물의 시용은 토양 내 산소의 농도를 높여 흡수를 촉진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53.
작물의 동상해에 대한 응급대책이 아닌 것은?
1.
저녁에 충분히 관개한다.
2.
수증기가 많이 함유된 연기를 발산시킨다.
3.
낡은 타이어, 중유 등을 연소시킨다.
4.
이랑을 낮추어 뿌림골을 낮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번이 틀린이유는 이랑을 세워 뿌림골을 깊게 해야하며(맥류), 또한 응급대책이 아니라 재배적 대책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뿌림골을 높게하면 오히려 동상해에 취약해집니다. [해설작성자 : 식자15]
54.
종자의 발아조사에서 총 발아된 종자수를 총 조사일수로 나눈 값은?
1.
평균발아일수
2.
평균발아속도
3.
발아속도지수
4.
발아세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발아율(PG) : 파종된 총 종자개체수에 대한 발아종자개체수의 비율(%) · 발아세 : 일정한 기간 내의 발아율 · 발아 시 : 파종된 종자 중에서 최초로 1개체가 발아한 날 · 발아기 : 전체 종자수의 50%가 발아한 날 · 발아전 : 전체 종자수의 80%가 발아한 날 · 발아일수 : 파종기부터 발아기까지의 일수 · 발아기간 : 발아시부터 발아 전까지의 기간 · 평균발아일수(MGT) : 발아한 모든 종자의 평균적인 발아일수 평균발아일수(MGT) = Σtini / 총발아 개체수(N) - ti : 파종 후 일수 - ni : 당일 발아개체수 · 평균발아속도 : 발아한 모든 종자의 평균적인 발아속도 , MDG = N/T (T:총 조사일수)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55.
다음 중 밭토양에 부식이 크게 부족할 때를 이를 개량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문제 해설> 지베렐린은 발아 촉진, 화성 촉진, 경엽의 신장 촉진, 생장 촉진, 비대 및 숙지 촉진 등에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62.
하우스 내의 시설재배에 있어서 병충해 방제를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것으로 미분쇄로 된 분제인 플로우더스트(FD) 제형의 평균 입경은 얼마 정도인가?
1.
2㎛
2.
10㎛
3.
20㎛
4.
40㎛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플로우더스트제(FD제) : 평균입경 2㎛ -하우스 내의 시설재배에 있어서 병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농약의 미립자가 시설 내에 장시간 부유하고 균일하게 확산된다. -보통분제의 약 10배 농도의 성분을 함유하는 고농도의 미분제이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63.
약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약해란 농약에 의해서 식물의 정상적인 생육을 저해하는 것이다.
2.
약해라고 해서 전부 작물의 수확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고, 환경조건에 따라 회복되는 일시적 약해도 있다.
3.
살충제의 약해발생은 유기인계 계통이 많다.
4.
만성적인 약해는 약제를 살포한지 1주일 이내에 나타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만성적인 약해는 약제 살포 후 1주일 이후에 나타나는 약해이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64.
디멘존 45% 유제 50mL(비중 1.0)를 1200배액으로 희석하여 살포하려 할 때 소요되는 물의 양은?
1.
24L
2.
27L
3.
60L
4.
67L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희석배수에 의한 소요물량 = 약량 X 희석배수 = 50mL X 1,200배액 = 60L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65.
각종 응애류를 방제하는데 적합하며 특히 소나무 재선충에 대해 살선충 활성을 보이는 약제는?
1.
캡탄(Captan)
2.
밀베멕틴(Milbemectin)
3.
메토밀(Methomyl)
4.
풀루아지남(Fluazinam)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밀베멕틴 등의 살비제는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 응애류를 방제하는 데 사용되는 약제롤 성충과 유충뿐만 아니라 알을 죽일 수 있는 살란력이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gogo]
66.
건조 상태에서 안정하지만 공기 중의 습기에서는 서서히 반응하여 창고의 곡물, 사료, 잎담배 해충의 방제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훈증제는?
인화알루미늄[ aluminium phosphide ] 담배 및 곡물의 저장창고의 훈증제로 사용되는 약제로, 화합물 분자는 AIP로서 짙은 회색 또는 황색 결정체이다. 건조상태에서는 안정하나 습기가 있으면 격렬하게 가수반응(加水反應)을 일으켜 포스핀(H3P)을 생성하여 강한 독성물질로 변한다. 따라서 일단 개봉하면 전부 사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67.
만코제브 수화제는 어느 계통의 농약인가?
1.
유기유황계
2.
카바메이트계
3.
유기염소계
4.
피레스로이드계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유기유황계 살균제의 종류에는 만코제브 티람 프로피네브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indlstjd]
<문제 해설> 잡초종자의 발아 습성은 발아의 주기성, 발아의 계절성, 발아의 기화성, 발아의 준동시성 및 연속성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그린하트바이오]
83.
작물과 잡초의 양분 경합이 가장 큰 것은?
1.
질소
2.
인산
3.
칼륨
4.
석회
정답 : [
1
] 정답률 : 80%
84.
왕우렁이를 이용한 잡초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잡초방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물을 얕게 댄다.
2.
이앙 전 평탄하게 정지작업을 잘해야 효과가 크다.
3.
왕우렁이 방사 시기는 벼이앙 후 5-7일이 효과적이다.
4.
수면과 수면 아래의 수초를 먹는 먹이 습성을 이용한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물을 얕게 대면 작물의 어린잎을 뜯어 먹어 피해를 주게 된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우렁이를 넣는 시기는 이앙후 7-10일이후에 넣는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앙직후에 넣어도 되나 이앙직후 모는 착근하지 않은상태로 물속에 감겨있어 왕우렁이의 피해를 받기 쉽다. 그러나 이앙후 7일정도 경과하여 새뿌리가 나오고 자리를 잡아 모가 바로서고 키가 자라 수면위로 나오게 되면 왕우렁이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문제 해설> 아릴옥실페녹시 프로피오닉산계 제초제 : 화본과 잡초(피 둑새풀, 바랭이)에만 특이적인 살초효과 있음 화본과 잡초의 생육 시기에 사용하는 후기경엽처리용 제초제
92.
잡초 발생이 가장 많은 벼재배 방법은?
1.
건답직파
2.
담수직파
3.
중묘 기계이앙
4.
성묘 기계이앙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건답(마른 논)보다 담수(물을 댄 논)에 벼를 심어야 잡초종자의 산소공급량을 낮추어 잡초방제에 유리하다. 직파(종자를 직접 심는 것)보다 묘(모판에 키운 어린 벼)를 이앙하여야 벼가 잡초보다 상위엽을 우점하여 광 경합 등에서 유리하게 성장할 수 있다. 이 때 기계이앙보다 손이앙이 더욱 잡초가 덜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PDK]
93.
월동작물 재배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잡초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여뀌, 명아주
2.
바랭이, 쇠비름
3.
뚝새풀, 벼룩나물
4.
돌피, 참방동사니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월동형 잡초는 9~10월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월동 전후에 최고로 번성하고 늦봄과 초여름에 결실한다. 뚝새풀, 속속이풀, 냉이, 개미자리, 별꽃, 벼룩나물, 갈퀴덩굴, 점나도나물, 벼룩이자리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gogo]
94.
제초제의 일반적인 구비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격이 적절해야 한다.
2.
사용 및 보관이 편리 하여야 한다.
3.
잔류기간이 길어 약효 지속성이 높아야 한다.
4.
사람 및 동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제초제의 구비 조건 -제초효과 클 것 -인축에 약해가 없을 것 -자연환경에 오염이 없을 것 -사용이 편리할 것 -방제효과가 안전할 것 -가격이 적당 할 것 -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을 것 -처리의 안정성 -잔류문제가 없을 것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95.
잡초와의 경합이 가장 많은 기간은?
1.
생육 중기부터 후기
2.
개화 후부터 성숙기 전반
3.
작물의 전체 생육기간의 기간
4.
작물의 전체 생육기간의 기간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잡초경합 한계기간 -잡초의 경합이 없는 생육 초기와 경합으로 인한 피해가 없는 성숙말기 사이의 시간 -전 생육기간의 첫 1/3, 첫 1/4~1/3 기간에 해당되며 철저한 방제가 요구.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96.
유효성분 5%인 입제 제초제를 1ha당 1kg(유효성분량)을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양은?
1.
2kg
2.
10kg
3.
20kg
4.
40kg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0kg X 5% = 1kg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1kg/0.05=20kg [해설작성자 : 호호]
97.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초제를 오래 사용한 잡초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2.
다른 종의 생육을 억제하는 주된 기작은 주로 차광에 의해 일어난다.
3.
잡초가 다른 작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며 잡초 간에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4.
죽은 식물 조직에서 나오는 물질에 의해서도 상호대립억제작용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상호대립억제작용 -식물체 내에서 생선된 물질이 다른 식물의 발아와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생화학적인 상호반응 -잡초와 작물간으 ㅣ생화학적 상호작용은 촉진적인 경우보다 억제적인 경우가 많음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98.
잡초가 발아하여 지표면 위로 출현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요인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토양심도
2.
토양강도
3.
토양수분
4.
토양온도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잡초종자의 발아환경 -종자의 발아에는 적당한 수분, 산소, 온도, 광이 필요 -식물종자의 발아과정 : 수분흡수 > 저장양분의 소화 > 양분의 이동 > 동화작용 > 호흡작용 > 배의 새앙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