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2024년 이기적 교재 해설 보험료 미경과액은 기존에 보험료로 처리한 것 중에서 다음연도 분을 말하므로 회계처리 후 차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비용에서 차감,자산처리) 하지만 이자수익 미수액분은 추가로 회계처리하는 것이므로 차변 대변 각각 20,000원 추가 [해설작성자 : 송픽미]
3.
㈜석촌상회는 과일과 채소를 판매하는 기업이다. 다음 중 석촌상회가 작성하는 재무상태표의 매출채권 계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거래는?
<문제 해설> 1. 인과관계기준 : 원가와 원가대상 간에 추적할 수 있는 인과관계가 존재할 때, 그 인과관계에 따라 원가를 배분하는 기준. 가장 이상적인 기준임. ex. 전기요금을 각 부문의 전기 사용량에 따라 배분함. 2. 수혜기준 : 원가대상에 제공된 경제적 효익을 측정할 수 있을 때, 이러한 경제적 효익의 크기에 비례하게 원가를 배분하는 기준임. ex. 기업 이미지 광고로 전 사업부의 매출이 증가했다면 광고비용을 각 사업부의 매출 증가분에 따라 배분함. 3. 부담눙력기준 : 원가대상이 원가를 부담할 수 있는 능력에 비례하여 원가를 배분하는 기준. ex. CEO의 급여를 각 사업부의 당기순이익에 따라 배분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원가배부의 일반적인 목적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재고자산 평가와 이익측정을 위한 매출원가를 계산하기 위해 관련된 원가를 재고자산과 매출원가에 배부하여야 한다.
2.
개별 제품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는 원가는 제품에 배부 하면 안 된다.
3.
부문경영자나 종업원들이 합리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부문이나 활동별로 원가를 배부한다.
4.
제품의 가격결정, 부품의 자가제조 또는 외부구입과 같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 개별 제품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는 원가를 간접원가라고 하며, 일정한 배부기준에 의해 원가를 배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하자]
32.
㈜상공의 당월 중에 제조부문비 예정배부액은 ₩55,000이고, 당월 말에 제조부문비 실제배부액은 ₩50,000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한 적절한 분개로 옳은 것은?
결합제품 A와 B를 생산하였다. A와 B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각각 ₩1,000과 ₩1,200이고, 생산량은 각각 400개와 1,200개이었다. 결합제품A에 배부될 결합원가가 ₩50,000일 때, 결합제품B에 배부될 결합원가는 얼마인가? 단, 물량기준법을 적용하여 결합원가를 배부한다.
1.
₩140,000
2.
₩150,000
3.
₩160,000
4.
₩170,000
정답 : [
2
] 정답률 : 5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③
②
①
④
②
④
③
②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③
②
①
②
②
①
③
②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④
②
④
④
③
②
②
①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②
③
④
②
③
③
②
④
②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1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