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금은 우선주자본금과 보통주자본금으로 구분하며, 발행주식수 × 주당 발행가액으로 표시된다.
2.
잉여금은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으로 구분 표시한다.
3.
주식의 발행은 할증발행, 액면발행 및 할인발행이 있으며, 어떠한 발행을 하여도 자본금은 동일하게 표시된다.
4.
자본은 자본금ㆍ자본잉여금ㆍ이익잉여금ㆍ자본조정 및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구분 표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주당 발행가액이 아닌 액면가액으로 표시 [해설작성자 : 오색경단]
3.
연초에 취득하여 영업부서에 사용한 소형승용차(내용연수 5년, 잔존가치 “0”)를 정률법으로 감가상각 할 경우, 정액법과 비교하여 1차년도의 당기순이익 및 1차년도 말 유형자산(차량운반구)의 순액에 미치는 영향으로 올바른 것은?
1.
당기순이익은 과대계상 되고, 유형자산은 과대계상 된다.
2.
당기순이익은 과대계상 되고, 유형자산은 과소계상 된다.
3.
당기순이익은 과소계상 되고, 유형자산은 과대계상 된다.
4.
당기순이익은 과소계상 되고, 유형자산은 과소계상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정액법은 감가상각비가 늘 일정한데 비해 정률법은 초기엔 감가상각비가 높았다가 점점 감소되는 형식이다. 따라서 연초 취득한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는 정률법으로 도출된 감가상각비가 정액법에 의해 도출된 감가상각비보다 더 높을것이다. 감가상각비(비용증가)가 높으면 유형자산은 과소계상되고 자산이 과소계상되면 당연히 당기순이익도 과소계상된다. [해설작성자 : 뀨]
4.
다음의 회계등식 중 옳지 않는 것은?
1.
기말자산 = 기말부채 + 기초자산 + 이익
2.
총비용 + 이익 = 총수익
3.
기말자본 - 기초자본 = 이익
4.
자산 = 부채 + 순자산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기말자산 = 기말부채 + 기초자본 + 이익 [해설작성자 : 대한민군]
5.
물가가 상승하는 시기에 있어 재고자산의 기초재고수량과 기말재고수량이 같을 경우 당기순이익과 법인세비용을 가장 높게 하는 재고자산 원가결정방법으로 묶어진 것은?(순서대로 당기순이익, 법인세비용)
1.
선입선출법, 평 균 법
2.
후입선출법, 선입선출법
3.
평 균 법, 평 균 법
4.
선입선출법, 선입선출법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당기순이익은 매출총이익과 비례관계에 있다. 매출총이익은 매출원가에 반비례하므로 물가가 상승할때 선입선출법을 사용하면 비교적 매출원가가 작아진다. 매출원가가 작아지면 매출총이익이 커지고 당기순이익이 커진다. 법인세비용은 매출총이익에 비례하므로 위와 같다. [해설작성자 : gksqlc]
6.
다음 중 유형자산의 취득원가가 아닌 것은?
1.
설치장소 준비를 위한 지출
2.
관리 및 기타 일반간접원가
3.
자본화대상인 차입원가
4.
설치비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번 ㅡ 관리 및 기타 일반간접원가는 그 비용의 성격에 따라 기간비용 또는 제조원가로 처리한다. [해설작성자 : 수처작주]
7.
(주)관우의 결산 결과 손익계산서에 당기순이익이 100,000원으로 계상되어 있으나,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발견하고 수정하였다. 수정 후의 당기순이익으로 옳은 것은?
1.
99,000원
2.
100,000원
3.
101,000원
4.
109,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익-비용 대응원칙에 따라 차기비용,차기수익을 올해 손익으로 인식하면 안된다.따라서 비용으로계상돼 차감된건 다시 더해주고 수익으로 계상돼 더해진건 다시 차감해준다. 100,000+5,000-4,000=101,000 [해설작성자 : 뀨]
8.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의 일반원칙으로 가장 틀린 것은?
1.
전기 재무제표의 모든 계량정보를 당기와 비교하는 형식으로 표시한다.
2.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에 대한 책임은 회계담당자에게 있다.
3.
재무제표는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하고 명료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4.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 경영성과, 현금흐름 및 자본변동을 공정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번 ㅡ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에 대한 책임은 경영진에게 있다. [해설작성자 : 수처작주]
9.
다음 중 원가회계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제품제조원가계산을 위한 원가자료의 제공
2.
기업의 외부정보이용자에게 정보제공
3.
기업의 경영통제를 위한 원가자료의 제공
4.
특수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제공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번 ㅡ 원가회계는 일반적으로 기업내부정보이용자(경영자)의 경영의사결정을 위해 제공된다. [해설작성자 : 수처작주]
10.
다음 자료를 활용하여 선입선출법에 의한 재료비와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