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해설] 계약, 주문, 채용 이외에 담보제공, 보관까지 총 5개 사항이 거래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기웃기웃]
2.
다음 내용과 관련 있는 회계 용어로 옳은 것은?
1.
거래의 8요소
2.
거래의 이중성
3.
대차평균의 원리
4.
수익, 비용 대응의 원리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3. 모든 거래는 동일 사실의 양면, 즉 대차관계이므로 기장상으로 대변과 차변에 동시에동일 금액이 기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것은 거래를 분개하였을 때, 각 계정에 기입하였을 때, 각 계정의 잔액 또는 합계액을 표시하였을 때 반드시 대차가평균 같아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기장에 착오가 있는 것이다. 이 원리는복식부기의 특징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셀동]
3.
회계기말까지 미지급한 이자비용이 결산 시 장부에 반영되지 않았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자산의 과대평가와 비용의 과대평가
2.
부채의 과대평가와 비용의 과소평가
3.
자산의 과소평가와 비용의 과대평가
4.
부채의 과소평가와 비용의 과소평가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결산분개
회계기말까지 미지급한 이자비용이 결산 시 장부에 반영되지 않았을 경우 결산분개 차) 이자비용 xxx 대) 미지급비용 xxx
이자비용=비용 발생, 미지급비용=부채 증가 미반영되었을 경우 발행해야 할 비용이 발생되지 않았고 증가해야할 부채가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둘다 과소평가됨. [해설작성자 : 기웃기웃]
4.
다음의 대화에서 박대리의 답변을 분개하는 경우 대변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1.
현금
2.
보통예금
3.
외상매출금
4.
외상매입금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차)보통예금 100만원 대)외상매출금 100만원 돈이 들어왔으니까 차변으로 와야하고, 현금이 아니라 계좌로 들어왔기 때문에 나와있는 '보통예금'으로 한다. 원래는 외상매출금이 자산이기 때문에 차변에 있었지만 입금으로 인해 대변으로 보내 날린다. **주의: 외상매입금이랑 헷갈리지 말것! [해설작성자 : 단발여신]
외상매입금은 대변에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서문교]
5.
다음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종류 중 그 성격상 분류가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1.
자기앞수표
2.
타인(동점)발행수표
3.
일람출급어음
4.
취득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채권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현금 : 통화 및 통화대용증권 - 통화 : 지폐 + 동전 - 통화대용증권 : 타인발행 당좌수표, 은행발행 자기앞수표, 우편환증서(송급환증서), 만기가 도래한 국공채 및 회사채의 이자표, 만기가 도래한 어음, 배당금지급통지서, 일람출급어음 등 *현금성자산 :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단기금융상품 *1~3번은 현금으로 취급되고 4번은 현금성자산으로 취급됨. 참고로 유동성 배열법에 의해 현금이 현금성자산보다 우선 배열됨.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6.
다음 빈칸 안에 들어 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가)손익계산서, (나)유동자산
2.
(가)손익계산서, (나)유동부채
3.
(가)재무상태표, (나)유동자산
4.
(가)재무상태표, (나)유동부채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영업의 손익은 손익계산서에 포함되며 힌트는 손익이 들어가서 손익계산서라 생각하시면 조금 더 쉬울 것 같습니다 선급비용은 비용을 선급한 것으로 즉, 미리 낸것입니다 그러니 나중에 그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되겠죠? 그러므로 자산이 증가하고 유동자산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미경]
7.
다음 자료에 의하여 당기 외상매입금 지급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3,400,000원
2.
3,200,000원
3.
2,600,000원
4.
600,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외상매입금 기초 600,000+당기 외상 매입금3,200,000-기말외상매입금400,000 [해설작성자 : 미래양이]
8.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대손상각비는 상품매입의 차감적 평가 계정이다.
2.
대손충당금은 손익계산서에 표시된다.
3.
외상매입금에 대하여 대손충당금을 설정할 수 있다.
4.
대손충당금은 채권에 대한 차감적 평가계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대손충당금은 채권에 대한 차감적 평가계정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된다
9.
성수상사는 9월 1일 차입한 차입금(만기 1년)에 대한 이자 3개월분 48,000원을 차입한 당일 현금으로 선지급하였다. 12월 31일 결산분개 시 미지급이자 계상액은 얼마인가?
1.
24,000원
2.
26,000원
3.
16,000원
4.
64,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9월1일에 차입이므로 12월31 결산 분개 시 4개월분을 지급해야 하는데 3개월분인 48,000원을 선지급 하였다고 주어졌고 48,000원이 3개월 분이면 1개월분은 16,000원이다. 4개월분 중 3개월분을 지급했으므로 미지급이자는 1개월분인 16,000원이 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10.
다음 자료에 기초한 장보고회사의 매출원가와 매출총이익은 얼마인가? (순서대로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문제 해설> *매입에누리 : 매입한 제품에 규격미달이나 기타의 결함이 있지만 경미하여 매입가격을 감소해준 금액. *매입환출 : 매입한 제품의 결함이 심각하여 매입자가 판매자에게 반품한 금액. *매입할인 : 외상판매한 매출채권에서 현금을 일찍 회수하기 위하여 조기 지금한 금액을 할인해 준 금액. **회계처리방법에서는 세 가지 모두 매입 후 발생한 것으로 지급할 총액인 총매입액에서 차감하여 처리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12.
다음 자료에서 2018년 12월 31일 결산 후 재무제표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년분 4,000,000원 2년분2,400,000> 감가상각누계액은 2년이 누적되어 6,400,000원이 맞습니다. 따라서 재무상태표에 감가상각누계액 6,400,000원이 표시됩니다. 하지만 감가상각비는 누적되지 않고 그 해에 발생한 금액만 기재됩니다. 따라서 손익계산서에 감가상각비 2,400,000원이 표시됩니다. [해설작성자 : 기웃기웃]
13.
다음은 손익계정의 일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순매입액은 460,000원이다.
2.
매출총이익은 320,000원이다.
3.
기말자본금은 150,000원이다.
4.
당기 총수익은 780,000원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1.순매입액=총매입액930,000-(매입에누리+매입환출+매입할인) : 매입에누리,매입환출,매입할인 금액이 표시되지 않아 알수 없음. 2.매출총이익320,000=매출780,000-매입460,000 3.자본금 150,000 : 자본금만 표기되어 있고 기초자본금과 기말자본금 구분이 없어 기말자본금이 정확히 얼마인지 알수 없음. 4.당기 총수익 930,000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