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권판매는 상품권의 액면가액을 선수금으로 처리하고, 이후 상품권을 회수한 시점에서 수익을 인식한다.
3.
공사진행율은 실제공사비 발생액을 총공사예정원가(토지의 취득원가와 자본화대상 금융비용 등을 포함함)로 나눈 비율로 계산함을 원칙으로 한다.
4.
입장료수익은 행사가 개최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③ 총공사예정원가에는 토지의 취득원가와 자본화대상 금융비용 등이 제외된다.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
2.
(주)백두의 다음 이종자산 교환에 의하여 새로이 취득한 차량의 취득원가는 얼마인가?
1.
26,200,000원
2.
25,900,000원
3.
22,000,000원
4.
21,700,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3.
다음의 건설공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011년도 공사수익은 2010년도보다 크다.
2.
2011년도 공사이익은 2010년도보다 크다.
3.
현재 진행기준적용시 공사전체기간의 총공사이익은 10억원으로 예상된다.
4.
현재 완성기준적용시 공사전체기간의 총공사이익은 10억원으로 예상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4.
다음은 한국(주)의 재무상태표의 일부를 보고 이에 대한 오류사항을 지적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동자산의 배열순서는 유동성배열법에 따라야 하므로 현금, 유가증권, 매출채권, 재고자산의 순서로 보고되어야 한다.
2.
기계장치는 취득원가로 기록하고 감가상각누계액을 차감하는 형식으로 보고해야 한다.
3.
매출채권은 대손충당금을 차감 후 순액으로만 보고해야 한다.
4.
무형자산의 주요 항목을 구분하지 않고 총액으로 보고하는 것은 정보로서의 가치가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5.
(갑)법인은 전기에 기계장치에 대한 감가상각비 5,000,000원을 실수로 결산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당해연도 초에 발견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수정 회계처리 하였고, 당기말 감가상각비는 정확하게 반영되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견된 오류가 중대한 오류가 아니라면 당해연도 당기순이익은 5,000,000원만큼 작게 계상된다.
2.
발견된 오류가 중대한 오류라면 당해연도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이 없다.
3.
당기말 재무상태표상 기계장치에 대한 장부가액은 정확하게 반영되어 있다.
4.
당기말 재무상태표상 자본의 합계액은 5,000,000원만큼 작게 계상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④ 발견된 오류가 중대한 경우:(차)이익잉여금5,000,000 (대)감가상각누계액5,000,000 발견된 오류가 중대하지 않은 경우:(차)전기오류수정손실5,000,000 (대)감가상각누계액5,000,000 따라서 전기의 오류사항과 당기의 수정사항이 합쳐져 당기말 재무상태표상 자본의 합계액은 정확한 금액으로 계상된다.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
6.
원가배부와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간접원가가 전체 제조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다양한 원가배부기준을 설정하여야 정확한 원가계산이 가능하다.
2.
원가배부기준으로 선택된 원가동인이 원가발생의 인과관계를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 제품 원가계산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3.
경제적 의사결정과 동기부여 등을 위해서는 이중배부율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4.
공장전체 제조간접비배부율을 이용할 경우에도 보조부문원가를 먼저 제조부문에 배분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7.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평균법은 전기에 이미 착수된 기초재공품의 기완성도를 무시하고 기초재공품이 당기에 착수된 것처럼 가정하고 원가계산을 한다.
2.
선입선출법에 비해 평균법은 당기의 성과를 이전의 기간과 독립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보다 적절한 기회를 제공한다.
3.
기초재공품이 없다면 평균법이든 선입선출법이든 기말재공품원가는 동일하다.
4.
선입선출법에서는 공손품은 모두 당기에 착수된 물량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 원가계산을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답] ② 당기의 성과를 전기 이전의 기간과 독립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은 선입선출법이다. [해설작성자 : 한국세무사회 공식답안]
8.
1,000,000원에 구입하여 사용 중이던 비품을 500,000원에 매각하는 A방안과 100,000원을 추가로 투입하여 650,000원에 매각하는 B방안이 있다면 이때 매몰원가는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