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AE제 [air-entraining agent] 두산백과 콘크리트 시공을 할 때 콘크리트 속에 있는 작은 공기 거품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이다. AE제를 혼입한 콘크리트를 AE콘크리트라고 한다. AE제는 거품을 일으키는 성질이 뛰어난 계면활성제로서, 콘크리트 중에 작은 기포(氣泡)를 고르게 발생시켜 내동결융해성(耐凍結融解性)·내식성(耐蝕性) 등 내구성을 개선한다. *동결융해 (대한건축학회 건축용어사전) - 물이 동결되거나 융해(고체상태의 물질이 에너지를 흡수하여 액체로 상태변화가 일어나는 것)되는 것. 이 현상이 콘크리트, 흙 등의 재료 속에서 일어나면 물이 얼어 체적이 팽창되기 때문에 큰 빙압이 생겨서 재료 파괴의 원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Cara]
33.
20세기 3대 건축 재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강철
나.
판유리
다.
시멘트
라.
합성수지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C 건축 발달에 이바지한 3대 건축재료 - 판유리, 강철, 시멘트 [해설작성자 : Hahmmm]
34.
비철금속 중 구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알칼리성에 대해 강하므로 콘크리트 등에 접하는 곳에 사용이 용이하다.
나.
건조한 공기중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나, 습기가 있거나 탄산가스가 있으면 녹이 발생한다.
다.
연성이 뛰어나고 가공성이 풍부하다.
라.
건축용으로는 박판으로 제작하여 지붕재료로 이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알칼리성에 약하므로 콘크리트와 접하면 부식된다. [해설작성자 : 오]
구리 (대한건축학회 건축용어사전) : 상온의 건조공기 중에서는 변화하지 않으나 가열하면 표면이 산화하여 암적색으로 된다. 또 습기가 있으면 광택을 잃고 녹청이 발생하나 내부로의 침식은 적다. 따라서 박판으로 하여 지붕을 이고 철사못 등으로서 건축용재로 널리 쓰인다. 알칼리에 약하므로 시멘트, 콘크리트에 접하는 곳에서는 부식이 빠르다. 기타 전기전도율이 높고 전연성이 풍부하여 전선일용품 여러 기구 등에 이용하며 성분동합금의 원료로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ara]
[오류신고 반론] 그냥 기본벽돌이라고 하였을 경우에는 헷갈릴수 있겠으나 문제에는 분명히 건선공사표준품셈에 따른 기본벽돌이라고 정확히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답은 3번이 맞습니다. 그리고 1번은 기본형 벽돌크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THE 국제전문학교 종여리]
37.
다음 미장재료 중 균열 발생이 가장 적은 것은?
가.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나.
석고 플라스터
다.
회반죽
라.
시멘트 모르타르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회반죽 같은데 왜 아닌거지?신고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돌로마이트 : 건조 수축이커서 균열이나기가 쉽다. 회반죽 : 굳으면서 균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여물을넣어 균열을 방지한다. 시멘트 모르타르 : 굳으면서 균열이 생긴다. 석고 플라스터 : 석고플라스터는 경화가 빠르고 단단합니다. 또한 균열발생위험 적고 물에 연화하는 성질을 가지고있어요 [해설작성자 : 갱덩기]
38.
실을 뽑아 직기에 제작을 거친 벽지는?
가.
직물벽지
나.
비닐벽지
다.
종이벽지
라.
발포벽지
정답 : [
1
] 정답률 : 87%
39.
물의 중량이 540kg이고 물시멘트비가 60%일 경우 시멘트의 중량은?
가.
3,240 kg
나.
1,350 kg
다.
1,100 kg
라.
900 kg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물시멘트비
물시멘트비 = W/C (W:물의 무게, C: 시멘트의 무게) 물과 시멘트의 무게(질량)에 대한 비율로 콘크리트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W/C가 클 경우 강도 저하와 재료 분리 및 블리딩(Bleeding)현상이 증가한다 60%=540kg(물의무게)/X(시멘트의 무게) 즉, x = 900 [해설작성자 : 킹갓갓성님]
40.
벤젠과 에틸렌으로부터 만든 것으로 벽, 타일, 천장재, 블라인드, 도료, 전기용품으로 쓰이며 특히, 발포제품은 저온 단열재로 널리 쓰이는 수지는?
가.
아크릴수지
나.
염화비닐수지
다.
폴리스티렌수지
라.
폴리프로필렌수지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폴리스티렌수지는 스티로폼으로 단열재로 쓰인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문제 해설> 1. 계획설계도: 1)구상도:설계에 대한 최초의 발상을 손으로 스케치.. 2)조직도:실(방)의 용도나 주변 실의 관련성을 표기한것 3)동선도:사람이나 물건 자동차등이 이동할수 있는 것을 표기한것 4)면적도표: 전체면적중에 각 실의 크기를 비율로 산출해서 표기한것
2.기본설계도: 건축주에게 설계계획을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한 기본도면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설계설명서, 투시도등이 있습니다..
3.실시설계도: 1)일반도 가)배치도: 대지안에 건물이나 부대시설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나)평면도: 건축물의 각 층의 구조를 수평으로 표현한 도면..실의 배치및 크기를 나타낸다 다)입면도: 건축물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동서남북으로 표시 라)단면상세도: 건축물의 구조상 중요한 부분을 상세하게 그린 도면 마)부분상세도: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분을 상세하게 그린 도면 바)전개도: 각 실내의 입면을 전개하여 그린 도면 사)창호도:창문 및 문의 종류및 크기를 나타낸 도면 아)각종 평면도: 기초평면도, 바닥틀평면도, 천장평면도,지붕틀평면도등이 있습니다
2)구조설계도 .기초,기둥,벽,보,바닥 평면도..일람표등..치수나 위치 크기등을 자세하게 표시한 도면
<문제 해설> 이중창은 단열을 위해 유리 사이 공간을 두어 만든 것 [해설작성자 : 123]
47.
건축계획과정 중 평면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평면계획은 일반적으로 동선계획과 함께 진행된다.
나.
실의 배치는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계획한다.
다.
평면계획시 공간 규모와 치수를 결정한 후 각 공간에서의 생활행위를 분석한다.
라.
평면계획은 2차원적인 공간의 구성이지만, 입면 설계의 수평적 크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3 : 평면계획시 공간에서의 생활행위를 분석 후 공간 규모와 치수를 결정 [해설작성자 : 박상중]
48.
트랩(trap)의 봉수파괴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가.
증발 현상
나.
수격 작용
다.
모세관 현상
라.
자기사이펀 작용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트랩의 봉수 파괴원인으로 자기사이펀작용, 흡출작용, 모세관현상, 증발, 분출작용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오]
49.
건축법령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용어는?
가.
신축
나.
이전
다.
개축
라.
재축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재축 : 천재지변이나 화재 등 불가항력으로 인한 건물의 전체 또는 일부 파손 시, 종전 건축 규모 안에서 재건 하는 것. 개축 : 임의로 기존 건축물의 전부를 철거 후, 종전 건축 규모 안에서 재건 하는 것. 이 내용으로 보았을 때는 재축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가을타는남자]]
50.
건축제도에서 불규칙한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제도 용구는?
가.
삼각자
나.
스케일
다.
자유곡선자
라.
만능제도기
정답 : [
3
] 정답률 : 88%
51.
건축제도의 치수 및 치수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나.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쓴다.
다.
치수선의 양 끝 표시는 화살 또는 점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같은 도면에서 2종을 혼용할 수도 있다.
라.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로부터 위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화살 또는 점으로 표시 가능하지만 2종을 혼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합격할 수 있겠지?]
52.
건축제도통칙에 따른 투상법의 원칙은?
가.
제1각법
나.
제2각법
다.
제3각법
라.
제4각법
정답 : [
3
] 정답률 : 82%
53.
주택의 주방과 식당 계획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가.
채광
나.
조명배치
다.
작업동선
라.
색채조화
정답 : [
3
] 정답률 : 87%
54.
다음 중 동선의 길이를 가장 짧게 할 수 있는 부엌가구의 배치형태는?
가.
일자형
나.
ㄱ자형
다.
병렬형
라.
ㄷ 자형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ㄷ자형 : ㄷ자의 중심에 개수대를 두고, 좌우에 조리대와 가열대를 배치하는 형태 1) 가장 효율적인 형태로, 불필요한 통행이 없어 동선이 절약된다. 2) 좁은 부엌에는 적합하지 않다.
3. 병렬형 : 작업대를 두 벽면 사이에 마주 보게 배치한 형태 1) 작업대 간의 거리는 줄어들지만, 작업시 몸을 앞 뒤로 회전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2) 출입문이 양쪽 끝에 있으면 통행로가 되어 오히려 불편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공기조화방식의 열반송매체에 의한 분류 중 전수방식에 속하는 것은?
가.
단일 덕트 방식
나.
이중 덕트 방식
다.
팬코일 유닛 방식
라.
멀티존 유닛 방식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전수(全水)방식에는 팬코일 유닛 방식과 복사냉난방식이 있습니다.
56.
건축물의 표현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단선에 의한 표현방법은 종류와 굵기에 유의하여 단면선, 윤곽선, 모서리선, 표면의 조직선 등을 표현한다.
나.
여러 선에 의한 표현방법에서 평면은 같은 간격의 선으로, 곡면은 선의 간격을 달리하여 표현한다.
다.
단선과 명암에 의한 표현방법은 선으로 공간을 한정시키고 명암으로 음영을 넣는 방법으로 농도에 변화를 주어 표현한다.
라.
명암처리만으로의 표현방법에서 면이나 입체를 한정시키고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공간상 입체의 윤곽선을 굵은 선으로 명확히 그린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명암'처리만으로'의 표현방법이기에 윤곽선 등의 표현은 적절하지 못한 방법입니다. 명암 처리만으로의 표현 방법으로는 명암의 농도의 변화로 표현합니다. [해설작성자 : 단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