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 질화법 : 암모니아 가스를 이용하여 520도에서 50~100시간 가열 2. 침탄법 : 0.2%이하의 저탄소강을 침탄제와 침탄 촉진제를 함께 넣어 가열 3. 화영경화법 : 0.4% 전후의 강을 산소-아세틸렌 화염으로 표면만 가열 냉각 4. 숏피닝 : 숏이라고 하는 강제 소립자를 피가공품 표면에 20~50 cm/sec 속도로 다수 분사시키는 냉간 가공 [해설장석자 : 한성컴퓨터학원 번개머리]
2.
비철금속 구리(Cu)가 다른 금속 재료와 비교해 우수한 것 중 틀린 것은?
가.
연하고 전연성이 좋아 가공하기 쉽다.
나.
전기 및 열전도율이 낮다.
다.
아름다운 색을 띠고 있다.
라.
구리합금은 철강 재료에 비하여 내식성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구리는 비자성체로서 전기 및 열의 양도체입니다. [해설장석자 : 한성컴퓨터학원 번개머리]
전기 및 열전도율이 우수합니다. Ag-Cu-Au(Pt)-Mg-Zn-Ni-Fe-Pb-Sb [해설작성자 : (주)글로벌아카데미(구. 글로벌직업전문학교)]
회전체의 균형을 좋게 하거나 너트를 외부에 돌출시키지 않으려고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너트는?
가.
캡 너트
나.
둥근 너트
다.
육각 너트
라.
와셔붙이 너트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둥근 너트(Circular Nut) 외형이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너트로 이 외주에 홈을 파 놓은 것, 윗면 또는 외주에 구멍이 뚫린 것, 외주에 널링(knuring) 가공이 되어 있는 것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필]
9.
축이음 기계요소 중 플렉시블 커플링에 속하는 것은?
가.
올덤 커플링
나.
셀러 커플링
다.
클램프 커플링
라.
마찰 원통 커플링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플랙시블 커플링은 두개의 축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커플링이 있다면 축의 각도가 서로 다르거나 혹은 축의 중심이 서로 평행한 경우에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 중 올덤커플링은 두개의 -_ 평행한 축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준다. 올덤은 사람이름이므로 암기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문둥이]
스퍼 기어에서 Z는 잇수(개)이고, P가 지름피치(인치) 일 때 피치원 지름(D mm)를 구하는 공식은?
가.
나.
다.
라.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mZ=D,m=25.4/p D=25.4*Z/p [해설작성자 : ???]
p=25.4/m=25.4z/m D=25.4z/p [해설작성자 : jonjones]
2과목 :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왕복운동 기관에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상호 전달할 수 있는 축은?
가.
직선 축
나.
크랭크 축
다.
중공 축
라.
플렉시블 축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랭크 축은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크랭크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뚜민]
중공축 : 축의 자중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단면의 중심부에 구멍이 뚫려 있는 축 [해설작성자 : 3D프린터융합기계설계(효성직업전문학교)]
12.
재료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허용할 수 있는 최대응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주 응력
나.
사용 응력
다.
수직 응력
라.
허용 응력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재료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허용할 수 있는 것은 허용 응력이다. [해설작성자 : 김창만]
사용 응력: 기계나 구조물에 실제로 사용하는 응력. 허용 응력: 재료를 사용할 때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응력. [해설작성자 : (주)글로벌아카데미(구. 글로벌직업전문학교)]
13.
스프링의 길이가 100mm인 한 끝을 고정하고, 다른 끝에 무게 40N의 추를 달았더니 스프링의 전체 길이가 120mm로 늘어났을 때 스프링 상수는 몇 N/mm 인가?
가.
8
나.
4
다.
2
라.
1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스프링상수=하중/변위량 40/120-100 [해설작성자 : 광주인력개발원]
40/120-100을 하면 -299/300이 나오므로 40/(120-100)이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제도기능사합격좀....]
14.
다음 벨트 중에서 인장강도가 대단히 크고 수명이 가장 긴 벨트는?
가.
가죽 벨트
나.
강철 벨트
다.
고무 벨트
라.
섬유 벨트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벨트의 재질 중에서 강철로 만들어진 것이 인장강도가 가장 크며 수명도 가장 깁니다. [해설작성자 : 뚜민]
15.
큰 토크를 전달시키기 위해 같은 모양의 키 홈을 등 간격으로 파서 축과 보스를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만든 기계 요소는?
가.
코터
나.
묻힘 키
다.
스플라인
라.
테이퍼 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코터 : 축과 축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평행의 쇄기일종, 축과 축 또는 축과 보스의 이음에 사용되며 힘의 방향에 직각으로 뚫은 구멍에 테이퍼가 붙은 핀을 때려박고 체결한다. 이와 같은 이음을 코터라고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3D프린터융합기계설계(효성직업전문학교)]
스플라인: 축의 둘레에 4~20개의 턱을 만들어 큰 회전력을 전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복잡한 형상의 절단 작업이 가능하다.
나.
장시간 동안 무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
경도가 높은 금속도 절단이 가능하다.
라.
방전 후 사용한 와이어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사용한 와이어는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최재민]
17.
다음 중 비절삭작업에 속하지 않는 가공법은?
가.
단조
나.
호빙
다.
압연
라.
주조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비절삭작업의 큰 분류로 주조, 소성가공, 용접, 특수가공으로 나뉘며, 용어로는 주조, 압출, 압연, 단조, 판금, 납땜, 용접, 전해연마, 방전, 숏피닝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인천인력개발원 강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압연은 재료를 눌러 뽑아내는 것 이므로 압연도 비절삭가공으로 봐야 할 듯 합니다. 호빙도 연삭이므로 약간은 절삭이 이루어지는 것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맑은샘]
[오류신고 반론] '맑은샘'님, 문제에 오해가 있으셨는 듯합니다.
'비절삭작업'이 '아닌' 것을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즉, 절삭작업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는 문제이지요.
단조, 압연, 주조는 비절삭작업이고 호빙은 절삭작업이므로, 2번 호빙이 정답이 맞습니다.
18.
다음 중 절삭 저항력이 가장 작은 칩의 형태는?
가.
열단형 칩
나.
전단형 칩
다.
균열형 칩
라.
유동형 칩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연한 재질을 고속으로 절삭할 경우 연속적인 형태의 유동형 칩이 발생한다. 선반에서 연강에 깊이를 얕게 주고 부드럽게 이송을 줄 때 쉽게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스덕호드플]
19.
연삭숫돌 구성의 3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가.
입자
나.
결합제
다.
조직
라.
기공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숫돌 바퀴의 3요소] ① 숫돌입자 ② 기공 ③ 결합제 [해설작성자 : 흰둥이]
20.
선반 작업의 안전 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절삭공구는 가능한 길게 고정한다.
나.
칩의 비산에 대비하여 보안경을 착용한다.
다.
공작물 측정은 정지 후에 한다.
라.
칩은 맨손으로 제거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절삭공구를 길게 고정할수록 받는 저항이 강해져서 절삭할때 많이 떨립니다. [해설작성자 : Pussy]
절삭 공구는 가능한 짧게 고정한다. [해설작성자 : (주)글로벌아카데미(구. 글로벌직업전문학교)]
21.
수직 밀링머신에서 넓은 평면을 능률적으로 가공하는데 적합한 커터는?
가.
더브테일 커터
나.
사이트밀링 커터
다.
정면 커터
라.
T 커터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보통 밀링가공을 할 때에는 정면커터=페이스커터라고 불리웁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과대표]
* 더브테일 커터: 각도면 가공 * 사이트밀링 커터: 측면 가공 * 정면 커터: 평면(넓은 면) 가공 * T 커터: T홈 가공 [해설작성자 : (주)글로벌아카데미(구. 글로벌직업전문학교)]
22.
미터나사에서 지름이 14mm, 피치가 2mm의 나사를 태핑하기 위한 드릴구멍의 지름은 보통 몇 mm로 하는가?
가.
16
나.
14
다.
12
라.
10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드릴 구멍의 지름 = 나사지름 - 피치 -> 14 - 2 = 12
23.
두께 30 mm의 탄소강판에 절삭속도 20 m/min, 드릴의 지름 10 mm, 이송 0.2 mm/rev로 구멍을 뚫을 때 절삭 소요시간은 약 몇 분인가?(단, 드릴의 원추 높이는 5.8 mm, 구멍은 관통하는 것으로 한다.)
가.
0.11
나.
0.28
다.
0.75
라.
1.11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5.8+30)*3.14*10/(1000*20*0.2) [해설작성자 : Los Orz]
24.
수평형 브로칭 머신의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직립형에 비해 가공물 고정이 불편하다.
나.
기계의 조작이 쉽다.
다.
가동 및 안전성, 기계의 점검 등이 직립형보다 우수하다.
라.
직립형에 비해 설치면적이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수평형 브로칭 머신은 직립형 브로칭 머신에 비해 설치 면적이 크다 [해설작성자 : 이브이]
상식적으로도 수평형기기의 경우에는 설치면적이 넓을 수 밖에 없다. 마치 책을 세우고 눕히는 것과 유사하다. 그리고 수평형이므로 가공물 고정이 용이하기때문에 조작이 쉽고 안정성이나 점검하기도 쉽다. [해설작성자 : 문둥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째 해설에 오류가 있네요 가공물고정은 수직형이 더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사람]
25.
NC 공작기계의 절삭 제어방식 종류가 아닌 것은?
가.
위치결정 제어
나.
직선절삭 제어
다.
곡선절삭 제어
라.
윤곽절삭 제어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공구 경로에 따른 방식 가. 위치결정방식 : 지정위치로 이동하는 공구경로 제어 나. 직선절삭제어 : 직선이동하는 공구경로 제어 다. 윤곽절삭제어 : 원호를 따라 이동하는 공구경로 제어 2. 공구 위치 제어방식 가. 개방회로 방식 : 공구의 이동여부를 확인하지 않는다. 나. 반 폐쇄회로 방식 : 공구 위치를 추정하여 보정하는 간접 피드백 시스템 제어방식 다. 폐쇄회로 방식 : 공구 위치를 확인하고 보정하는 피드백 시스템 제어방식 [해설작성자 : 이완]
26.
다음의 평면도에 해당하는 것은(제3각법의 경우)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각법인데 죄측면도로 나오는데요?
[오류신고 반론] 3각법도 필요에따라서 좌측면도로 그리기도 합니다 [해설작성자 : 0.]
27.
도면 관리에서 다른 도면과 구별하고 도면 내용을 직접 보지 않고도 제품의 종류 및 형식 등의 도면 내용을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입하는 것은?
가.
도면 번호
나.
도면 척도
다.
도면 양식
라.
부품 번호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도면 번호는 기계의 종류, 형식 조립도, 부품도의 구분, 도면의 크기에 따라 번호를 부여합니다. [해설작성자 : (주)글로벌아카데미(구. 글로벌직업전문학교)]
28.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도로 할 때, 제3각법으로 투상한 것 중 옳은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입체도면을 투상하면 4번맞음 입체도면
29.
산술 평균 거칠기 표시 기호는?
가.
Ra
나.
Rs
다.
Rz
라.
Ru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Ra = 산술 평균 거칠기 (중심선 평균 거칠기) Ry = 최대 높이 거칠기 Rz = 10점 평균 거칠기 [해설작성자 : 김해 아성직업전문학교]
30.
다음 기하공차의 종류 중 위치공차 기호가 아닌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모양공차 - 원통도 [해설작성자 : 익명]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온흔들림은 데이텀을 기준으로 규제형체 표면의 두방향에 적용되는 공차이다 즉 원형 방향과 직선방향에 모두 적용되는 공차이다 [해설작성자 : ghostmedic]
33.
조립한 상태의 치수 허용 한계값을 나타낸 것으로 틀린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축의 치수가 구멍 치수 뒤에 기입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ㅇㅇ]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작성오류 답음1번 3번 둘다입니다 3번인 경우 구멍치수가 위로 올라가야하는게 맞고 1번인 경우 구멍치수 위치수가 아래치수보다 작을수가 없는데 문제 답에서는 아래치수는 0인데 위치수는 -가 치수앞에 붙어있으므로 오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욥욥]
[오류신고 반론] 1번 구멍치수에 아래치수가 0이고 위치수가 -가이닌 +입니다. 문제작성오류가 아닌 그림이 작은게 문제인거 같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조립 상태에서 치수 허용 한계값을 나타낼 때는 항상 구멍의 허용차가 먼저 나오고 축을 뒤에 나타냅니다. 따라서 3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주)글로벌아카데미(구. 글로벌직업전문학교)]
34.
투상도법에서 원근감을 갖도록 나타내어 건축물 등의 공사 설명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투상도법은?
가.
등각투상도
나.
투시도
다.
정투상도
라.
부등각 투상도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투시도란 물체를 눈에 보이는 그대로 그리는 그림(원근법 반영)으로 '중심투영도'라고도 합니다.
*투상도법 -등각투상도(등각도): 각이 서로 120도를 이루는 3개의 축을 기본으로 하여 이 축에 물체의 높이, 너미, 안쪽 길이를 옮겨서 나타낸 도면. -정투상도: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세 개의 화면(평화면, 입화면, 측화면) 사이에 물체를 놓고, 각 화면에 수직되는 평행광선으로 투상하여 얻은 도면. -부등각 투상도: 등각투상도(등각도)에서 3개의 기본 축 중 세 각을 모두 다르게 하여 나타낸 도면. [해설작성자 : 뚜민]
35.
다음은 KS 제도 통칙에 따른 재료 기호이다. KS D 3752 SM 45C 이 기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가.
가, 나
나.
가, 라
다.
가, 나, 다
라.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라 는 45c는 탄소의 함유량을 나타낸것 이라서 라 를 제외한 나머지가 다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kale]
36.
제작 도면으로 사용할 도면의 같은 장소에 숫자와 여러 종류의 선이 겹치게 될 때 가장 우선 되는 것은?
가.
해칭선
나.
치수선
다.
숨은선
라.
숫자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치수문자,기호-외형선-숨은선-절단선-중심선-무게중심선-치수보조선
37.
대상물의 구멍, 홈 등 모양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 그 부분만을 도시하는 그림과 같은 투상도는?
가.
회전 투상도
나.
국부 투상도
다.
부분 투상도
라.
보조 투상도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회전투상도 : 각도를 가진 물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기 위해서 그 부분을 회전해서 나타낸다. 3.부분투상도 : 특정한 부분의 도형이 작아서 그 분분을 자세하게 나타낼 수 없거나 치수 기입을 할 수 없을 때에는 그 부분을 가는 실선으로 둘러싸고 한글이나 알파벳 대문자로 표시한다. 4.보조투상도 : 경사면을 지니고 있는 물체는 그 경사면의 실제 모양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보이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나타낼때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채채-다들 합격하자요!!]
3.부분투상도에 대한 설명이 부분확대도에 대한 설명으로 해설된 것 같아요..
부분투상도 : 전체 물체를 나타내는 것보다 부분을 표시하는 것이 도면을 이해하기 쉬울 때 사용하며 투상을 생략한 부분과의 경계를 파단선으로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Pookie]
38.
그림과 같은 단면도를 무슨 단면도라 하는가?
가.
회전도시 단면도
나.
부분 단면도
다.
한쪽 단면도
라.
온 단면도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회전도시 단면도 : 절단면을 90도로 회전시켜서 표시. 2. 부분 단면도 : 필요한 내부를 그리기 위해 일부분만 단면도로 표시.(경계는 파단선으로..) 3. 한쪽 단면도 : 물체를 1/4로 절단하여 내부,외부 모습을 표시. 4. 온 단면도 : 물체를 1/2로 절단하여 내부를 표시. [해설작성자 : Pookie]
39.
다음 그림의 면의 지시기호이다. 그림에서 M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가.
밀링 가공
나.
줄무늬 방향
다.
표면 거칠기
라.
선반 가공
정답 : [
2
] 정답률 : 74%
40.
가상선의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인접 부분을 참고로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나.
수면, 유면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다.
가공 전,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라.
도시된 단면의 앞쪽에 있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유면이나 수면은 가는실선으로 표시 [해설작성자 : 검사인벤터25D]
수준면선(가는 실선): 수면, 유면 등의 위치를 표시 [해설작성자 : 꼭 합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