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ps의 디젤기관이 24시간 동안에 360L의 연료를 소비하였다면, 이 기관의 연료소비율은( g/PS·h)은? (단, 연료의 비중은 0.9이다.)
가.
약 125
나.
약 450
다.
약 113
라.
약 513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연료 소비율이란.. 축 출력당 1시간에 소비하는 연료의 양을 뜻한다. 먼저 연료사용량을 1시간에 얼마만큼 사용했는지 알아내고 그다음 축출력값으로 나누어 주면된다. 공식= 1000x (1시간 연료사용량/축출력) 1. 연료 사용량: 360L 를 24로 나누어 주면 360/24 = 15 L (리터). 1시간에 15리터를 사용했음 2. 15L 를 이것을 Kg 으로 환산 하기위해 m3 (세제곱 미터) 으로 바꾸면 0.015 m3 이됩니다. (1L 는 0,001m3 이기때문에) 다시 여기에 비중을 곱하면 0,015*0.9*1000 = 13.5kg 3. 이제 공식에 대입하면 1000 x (13.5/120) = 112.5 [해설작성자 : 울산MCKim]
3.
기회기식과 비교한 전자제어 가솔린 연료분사장치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가.
고출력 및 혼합비 제어에 유리하다.
나.
연료 소비율이 낮다.
다.
부하변동에 따라 신속하게 응답한다.
라.
적절한 혼합비 공급으로 유해 배출가스가 증가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적절한 혼합비의 공급은 유해 배출가스를 줄이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슝]
4.
배기밸브가 하사점 전 55°에서 열리고 상사점 후 15°에서 닫혀 진다면 배기밸브의 열림각은?
가.
70°
나.
195°
다.
235°
라.
250°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밸브 오버랩 기본 기준 : 상사점 좌우 : 360도 기준 왼쪽 15도 오른쪽 12도 하사점 좌우 : 180도 기준 왼쪽 48도 오른쪽 50도 배기밸브 열려있는 기간은..242도 흡기밸브 열려있는 기간은..243도 위 문제에서 하사점 55도는 기본인 50도 보다 5도 더 열렸고... 상사점 역시 12도보다 3도 더 열렸다... 그러므로 배기 열려있는 기간은 242도 + 5도 + 3도 = 250도이다. [해설작성자 : LSK]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휠 스피드 센서
나.
하이드롤릭 모터
다.
프리뷰센서
라.
하이드롤릭 유닛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2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우리 문제집은 2번이라는데 ㅠ]
[오류신고 반론] 답은 3번 프리뷰는 초음파 센서 [해설작성자 : 나야나]
[추가 오류 신고] 윈큐 2021년 책에는 2번으로 알려줘서 2번했는데 3번인가요?? [해설작성자 : 지금까지 잘못 알고 있었던 건가?]
[추가 오류 신고] 휠 스피드센서 라는 데.... [해설작성자 : 힝]
[오류신고 반론] (에듀웨이 2021) 하이드로릭 모터: 각 차륜의 휠 실린더로 보내는 유압의 증감을 담당함. 프리뷰 센서: 초음파로 차량 전방 노면의 돌기 등을 검출하여 서스펜션의 감쇠력을 조절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프리뷰 센서가 맞네요 [해설작성자 : siwon]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5.
브레이크 계통을 정비한 후 공기빼기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가.
브레이크 파이프나 호스를 떼어 낸 경우
나.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오일을 보충한 경우
다.
베이퍼 록 현상이 생긴 경우
라.
휠 실린더를 분해 수리한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59%
26.
사이드 슬립테스터의 지시 값이 4m/km일 때 1km 주행에 대한 앞바퀴의 슬립 량은?
가.
4mm
나.
4cm
다.
40cm
라.
4m
정답 : [
4
] 정답률 : 58%
27.
종감속 장치에서 하이포이드 기어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가.
기어 이의 물림 율이 크기 때문에 회전이 정숙하다.
나.
기어의 편심으로 차체의 전고가 높아진다.
다.
추진축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거주성이 향상된다.
라.
이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강도를 향상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하이포이드 기어는 구동피니언 및 추진축을 낮게 하여 차체의 전고를 낮출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두팔]
28.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사용하는 센서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차속센서
나.
차고센서
다.
스로틀 포지션센서
라.
냉각수 온도센서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사용하는 센서 - 조향 휠 각속도 센서(스티어링 휠 각속도 센서): 조향 휠의 작동 속도, 급커브 상태를 감지 - 차속센서: 급출발 및 급제동등을 파악 * 차량속도에 따라 저속에서는 조향력을 가볍게 고속에서는 무겁게 - 스로틀 위치(포지션) 센서: 스로틀 밸브의 작동속 등을 검출/ 전기적인 신호를 ECU에 입력시키는 역할 - 차고센서: 차고변화에 따른 보디와 액슬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 / 차고의 변화는 센서에 전달되는 레버의 회전량을 변환됨 * 구성부품: 발광다이오드(LED, 발광기), 수광 트랜지스터(수광기) [해설작성자 : 2022년 군무원합격생]
29.
타이어의 표시 235 55R 19에서 55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가.
편평비
나.
림 경
다.
부하 능력
라.
타이어의 폭
정답 : [
1
] 정답률 : 78%
30.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기구에서 매뉴얼 밸브의 역할은?
가.
선택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P, R, N, D등의 각 레인지로 변환 시 유로 변경
나.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차속과 부하에 알맞은 압력으로 조정
다.
유성 기어를 차속이나 엔진 부하에 따라 변환
라.
각 단 위치에 따른 포지션을 컴퓨터로 전달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자동변속기 유압 제어 회로 1)오일펌프: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회로에 사용하는 유압이 발생하는 곳 - 오일에 압력을 발생시켜 토크 컨버터에 오일을 공급 - 유성기어 유닛의 윤활, 유압제어계통에 작용 유압을 공급하는 역할 2)매뉴얼밸브: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변속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용 밸브 변속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오일라인에 압력을 P,R,N,D,Z,L 등의 각 레인지로 변환하여 유로를 변경시킴 3)시프트 밸브 : 유성기어를 자동차의 주행속도나 기관의 부하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환시키는 밸브 - 변속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4) 압력 제어 밸브 : 유압펌프의 유압을 제어하여 각 부로 보내는 유압을 그 때의 차속과 기관의 부하에 적합한 압력으로 조정 - <기관이 정지 되었을 때> 토크 변환기에서의 오일의 역류도 방지하고, 변속 시에 충격 발생을 방지 5)스로틀 밸브 - 변속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의 기준 신호로 삼음 6)거버너 밸브=조속기 : 자동차의 속도에 알맞은 오일의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밸브 - 자동변속기의 출력축에 설치 - 차속(출력 회전수)의 신호를 TCU가 받아 변속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의 기준 신호로 삼음 7)킥다운<=>리프트 풋업 : 자동변속기에서 일정한 차속으로 주행 중 스로틀밸브 개도를 갑자기 증가시키면 시프트 다운되어, 큰 구동력 얻을 수 있음 - 가속페달을 80%이상 갑자기 밟았을 때(깊게 밟아) 강제적으로 다운 시프트(기어변속을 한 단 낮춰 가속력을 높이는 주행기법) 되는 현상 / 순간적 힘 낼때 저단 내려가면 rpm상승 -> 순간적 힘& 가속력 얻음 - 킥 다운 이후 계속 가속페달을 밟고 있으면 속도가 올라가면서 업 시프트 되는 킥업이 일어남 # 시프트다운(감속변속): 커브길이나 언덕올라갈 때 자동차의 변속기어를 1단 또는 2단,3단으로 낮게 전환 - 시프트레버 이용 순간 가속 8) 펄스 제너레이터 A.B * 펄스 제너레이터-A: 킥 다운 드럼의 엔진 회전속도 * 펄스 제너레이터-B: 변속기 피동기어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TCU로 입력시킴 [해설작성자 : 2022년 군무원합격생]
31.
제어 밸브와 동력 실린더가 일체로 결합된 것으로 대형트럭이나 버스 등에서 사용되는 동력조향장치는?
가.
조합형
나.
분리형
다.
혼성형
라.
독립형
정답 : [
1
] 정답률 : 62%
32.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브레이크 작동을 계속 반복하면 드럼과 슈에 마찰열이 축적되어 제동력이 감소되는 것을 페이드 현상이라 한다.
나.
공기 브레이크에서 제동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언로더 밸브를 조절한다.
다.
브레이크 페달의 리턴스프링 장력이 약해지면 브레이크 풀림이 늦어진다.
라.
마스터 실린더의 푸시로드 길이를 길게 하면 라이닝이 수축하여 잘 풀린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브레이크 고장원인(브레이크가 풀리지 않는 원인) - 마스터실린더 리턴 구멍이 막혔을 때: 모든 바퀴의 제동이 풀리지 않음 -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 길이가 길때 - 브레이크 페달 리터 스프링의 장력이 부족할 때 - 마스터 실린더 피스톤 컵이 부풀었을 때 [해설작성자 : 2022년 군무원합격생]
33.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토크컨버터 내부의 오일 압력이 부족한 이유 중 틀린 것은?
가.
오일펌프 누유
나.
오일쿨러 막힘
다.
입력축의 씰링 손상
라.
킥다운 서브스위치 불량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킥다운 서보 스위치는 가속시 기어를 한 단계 내려 가속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이므로 오일압력과 관련이 없는거 같네요 [해설작성자 :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