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저도 청솔모님과 같은 생각입니다만, 여기 지문에서 단서조항으로 주어진 1m3 당 들어가는 각 입자의 양은, 배합비에 의해 들어간 양으로 이해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출제하신 분 지문 의도는 잘 모르겠지만, 어렵게 표현하실려고 많이 노력하신 듯 합니다. ^^
다 알고는 계시겠지만, 저와같은 초보자님을 위해 다시 정리하자면 지문의 단서조항에서 주어진 각 구성체 물량은 1m3당 배합비에 의한 것이므로 작업할 부피 3m3에 들어갈 각 구성체의 물량을 구하려면, 기준부피 대비 작업할 부피를 비율로 확인한 다음, 그 비율만큼 같은 기준 구성체별로 곱하기만 하면 됩니다. 즉, 여기에서는 기준부피(1m3당) 대비 작업부피(3m3)가 3배수이니, 기준부피에서 구성하는 각 물체에 3을 곱하는 겁니다. 정답은 1이 되겠네요... [해설작성자 : 달봉]
38.
다음 중 가로수 식재를 설명한 것 중에서 옳지 않는 것은?
가.
일반적으로 가로수 식재는 도로변에 교목을 줄지어 심는 것을 말한다.
나.
가로수 식재 형식은 일정 간격으로 같은 크기의 같은 나무를 일렬 또는 이렬로 식재한다.
다.
식재 간격은 나무의 종류나 식재목적, 식재지의 환경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4∼10m로 하는데, 5m 간격으로 심는 경우가 많다.
라.
가로수는 보도의 나비가 2.5m 이상 되어야 식재할 수 있으며, 건물로부터는 5.0m 이상 떨어져야 그 나무의 고유한 수형을 나타낼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가로수의 식재기준 ① 차도로부터의 간격 : 0.65m 이상 ② 건물로 부터의 거리 : 5 - 7 m ③ 수간거리 : 6 - 10 m ④ 가로수는 대지 경계선과 관계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다. ⑤ 특수효과를 위한 가로수를 제외하고는 한 가로변에는 동일수종을 식재한 다. ⑥ 열간거리 : 수간거리에 준하여 정하며 일반적으로 6m이상으로 한다. ⑦ 3열 또는 그 이상의 가로수에서는 서로서로 비껴심어 수관배치를 자연적으 로 하여주며 열간거리를 5m 정도 줄여준다. ⑧ 자연경관 및 도로보호와 차량통행의 안전을 위하여 커브길, 교통신호등 각 종 안내판의 시계를 가리는 장소에서는 식재를 제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거름을 줄 때 지켜야 할 점으로 잘못된 것은?
가.
흙이 몹시 건조하면 맑은 물로 땅을 추기고 거름주기를 한다.
나.
두엄, 퇴비 등으로 거름을 줄 때는 다소 덜 썩은 것을 선택하여 실시한다.
다.
속효성 거름 주기는 7월말 이내에 끝낸다.
라.
거름을 주고난 다음에는 흙으로 덮어 정리 작업을 실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40.
시설물 관리를 위한 페인트 칠하기의 방법으로 적당치 못한 것은?
가.
목재의 바탕칠을 할 때는 먼저 표면상태 및 건조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나.
철재의 바탕칠을 할 때에는 불순물을 제거한 후 바로 페인트 칠을 하면 된다.
다.
목재의 갈라진 구멍, 홈, 틈은 퍼티로 땜질하며 24시간 후 초벌칠을 한다.
라.
콘크리이트, 모르타르면의 틈은 석고로 땜질하고 유성 또는 수성 페인트를 칠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41.
다음 수종 중 빗자루병에 잘 걸리는 나무는?
가.
향나무
나.
소나무
다.
벚나무
라.
목련
정답 : [
3
] 정답률 : 74%
42.
향나무, 주목 등을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전정을 하여 형태를 다듬었다. 가지 다듬기는 어떤 목적을 위한 작업인가?
가.
생장조장을 돕는 가지 다듬기
나.
생장을 억제하는 가지 다듬기
다.
세력을 갱신하는 가지 다듬기
라.
생리조정을 위한 가지 다듬기
정답 : [
2
] 정답률 : 73%
43.
한국적인 색채가 가장 짙은 정원양식이 발생한 시대는?
가.
조선시대
나.
고려시대
다.
백제시대
라.
신라전성기
정답 : [
1
] 정답률 : 88%
44.
일반적인 성인의 보폭으로 디딤돌을 놓을 때 좋은 보행감을 느낄 수 있는 디딤돌과 디딤돌사이의 중심간 길이로 가장 적당한 것은?
가.
20cm 정도
나.
40cm 정도
다.
50cm 정도
라.
80cm 정도
정답 : [
2
] 정답률 : 65%
45.
모과나무의 붉은별무늬병의 여름포자·겨울포자 세대(중간기주)의 식물은?
가.
잣나무
나.
향나무
다.
배나무
라.
느티나무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적성병은 원래 배나무의 적성병인데 배나무적성병에서 중간기주역할은 향나무로 모과나무에서도 배나무와 마찬가지로 경제적 가치가 적다고 생각되는 향나무를 중간기주로 볼수있겠다. [해설작성자 : 마음은청춘]
46.
우리나라 들잔디의 종자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KOH 20‾5% 용액에 10‾5분간 처리 후 파종한다.
나.
KOH 20‾5% 용액에 20‾0분간 처리 후 파종한다.
다.
KOH 20‾5% 용액에 30‾5분간 처리 후 파종한다.
라.
KOH 20‾5% 용액에 1시간 처리 후 파종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47.
신체장애자를 위한 경사로(RAMP)를 만들 때 가장 적당한 경사는?
가.
8%이하
나.
10%이하
다.
12%이하
라.
15%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71%
48.
굳지 않은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서 물이 분리되어 위로 올라오는 현상은?
가.
워커빌리티(workability)
나.
블리딩(bleeding)
다.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라.
레이턴스(laitance)
정답 : [
2
] 정답률 : 76%
49.
자연석놓기 중에서 경관석놓기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가.
시선이 집중되는 곳이나 중요한 자리에 한두개 또는 몇개를 짜임새 있게 놓고 감상한다.
나.
경관석을 놓았을 때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아름다움을 느끼게 멋과 기풍이 있어야 한다.
다.
경관석짜기의 기본은 주석(중심석)과 부석을 바꾸어 놓고 4,6,8...등 균형감 있게 짝수로 놓아야 자연스럽게 보인다.
라.
경관석을 다 놓은 후에는 그 주변에 알맞는 관목이나 초화류를 식재하여 조화롭고 돋보이는 경관이 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