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인터넷과 교재쪽 자료를 찾아 본 결과 문제의 설명은 보기 1번 PHA의 설명에 대한 내용을 나타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PHA는 모든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의 최초단계의 분석. 시스템 내의 위험요소가 얼마나 위험한 상태에 있는가를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최초라는 언급이 없어서 1,3 복수정답이 필요해보이는데, 최종답안이 어떻게 되었나요 [해설작성자 : 하늘감자]
32.
양립성이란 인간의 기대가 자극들, 반응들, 혹은 자극-반응조합과 모순되지 않는 관계를 말한다. 다음 중 양립성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공간적 양립성
2.
형태적 양립성
3.
개념적 양립성
4.
운동 양립성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양립성의 종류 및 예시 1) 개념적 양립성 : 빨간버튼 온수, 파란버튼 냉수 개빨가면 개뜨거워 2) 공간적 양립성 : 오른쪽 조리대는 오른쪽 조절장치로, 왼쪽 조리대는 왼쪽 조절장치로 조절 왼쪽 오른쪽 = 공간에 대한 이야기 3) 운동의 양립성 : 조종장치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표시장치의 지침이 오른쪽으로 이동 4) 양식 양립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조작자와 제어버튼 사이의 거리, 선반의 높이, 조작에 필요한 힘 등을 정할 때 적용되는 인체측정자료 응용원칙은 어느 것인가?
1.
평균치설계
2.
최대치설계
3.
최소치설계
4.
조절식설계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평균치 - 은행 관련 최대치 - 출입문 관련 최소치 - 선반 관련 조절식 - 의자 관련 [해설작성자 : 외웁시다]
34.
재해예방 측면에서 FT의 상부측 정상사상에 가까운 쪽의 OR 게이트를 어떠한 인터록이나 안전장치 등에 의해 AND게이트로 바꿔주면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는가?
1.
재해율의 급격한 증가
2.
재해율의 점진적인 증가
3.
재해율의 변화가 없음
4.
재해율의 급격한 감소
정답 : [
4
] 정답률 : 64%
35.
기계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어느 기간 동안 기계의 기능이 계속되어 재해로 발전되는 것을 막는 기구를 무엇이라 하는가?
표준체구의 남자가 서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점의 위치가 신체의 전방 20cm일 때 가장 적당한 작업점의 높이는?
1.
높이 60cm
2.
높이 90cm
3.
높이 120cm
4.
높이 150cm
정답 : [
2
] 정답률 : 38%
38.
인간-기계 통합체계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수동체계
2.
자동체계
3.
기계화체계
4.
특수체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인간-기계 통합체계의 특성 수동체계 : 자신의 신체적인 힘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을 통제하는 인간 사용자와 결합(수공구 또는 그 밖의 보조물 사용) 기계화 또는 반자동체계 : 운전자가 조종장치를 사용하여 통제하며, 동력은 전형적으로 기계가 제공 자동체계 : 기계가 감지, 정보처리, 의사결정 등 행동을 포함한 모든 임무를 수행하고, 인간의 감시, 프로그래밍, 정비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체계 [해설작성자 : ㄱㅌ]
39.
다음 그림의 결함수에서 최소 컷셋을 올바르게 구한 것은?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해설> 벽은 견고한 "철근 콘크리트" 또는 동등 이상의 구조로, 천장은 "얇은 철판" 또는 "가벼운 불연성 재료"로 [해설작성자 : 집에서는 공부가 안 돼]
44.
연삭기의 덮개(커버)와 연삭숫돌의 원주면의 간격은 몇 mm 이내인가?
1.
2
2.
3
3.
4
4.
5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자율안전고시 기준입니다. 연삭숫돌의 외경이 125mm이상인 연삭기 또는 연마기는 연삭숯돌의 절단면과 가드 사이의 거리가 5mm이내이고 숫돌의 측면과의 간격이 10mm이내가 되도록 조정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다음은 설비의 이상시 전형적인 검출방법을 연결한 것중 틀린 것은?
1.
풀림 : 소프법, 페로그래픽
2.
부식 : 전기저항, 초음파
3.
이상온도 : 열전대, 서머크레이온
4.
이상진동 : 진동픽업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소프법,페로그래픽은 오일분석 프로그램 이네요 [해설작성자 : 여니]
46.
공기압 구동식 산업용로봇의 경우 이상시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1.
공기누설의 유무
2.
물방울의 혼입유무
3.
압력저하 유무
4.
불순물의 혼입유무
정답 : [
4
] 정답률 : 33%
47.
활차륜이 5개 달린 활차(滑車)장치와 활차로 2톤의 화물을 인양할 때 각 로프의 스트레인 강도는?
1.
400kg
2.
300kg
3.
250kg
4.
200kg
정답 : [
1
] 정답률 : 54%
48.
공기압축기의 운전정지시 탱크내 공기의 역류방지기는?
1.
안전밸브
2.
파열판
3.
체크밸브
4.
언로드밸브
정답 : [
3
] 정답률 : 48%
49.
기계 구조물의 파손은 주로 용접부에서 발생한다. 이는 용접시 발생되는 결함을 기인하기 때문이다. 다음 중 용접의 결함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언더컷(under cut)
2.
비드(bead)형성
3.
용입불량
4.
기공(blow hole)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비드는 결함이 아니고 용접 후 두금속 조각사이의 접합부에 필러재료를 적용하여 생성된 부분임 [해설작성자 : 조로미]
50.
다음 중 연삭기를 사용한 작업시에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은?
1.
결함이 없는 자유연삭 평형 V숫돌을 사용하여 2500m/min의 속도에서 연삭작업을 한다.
2.
안전덮개가 인장강도18kg/mm2이상이고, 연신율이 14%인 압연강판이다.
3.
숫돌직경이 5cm 이상인 경우 안전덮개와 칩비산방지 실드를 설치한다.
4.
숫돌 교체시 1분 이상 시운전을 실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번 2000m/min 2번 재질 수치로는 판단 제한 4번 3분 [해설작성자 :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51.
기계설비의 본질적 안전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작상 위험이 없도록 설계할 것
2.
안전기능은 기계외부에 부착되어 있을 것
3.
페일세이프(fail safe) 기능을 가질 것
4.
풀 프루프(fool proof) 기능을 가질 것
정답 : [
2
] 정답률 : 60%
52.
기계기구에 대한 방호 조치이다. 이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프레스기 - 감응식 방호장치
2.
승강기 - 과부하 방지장치
3.
연삭기 - 반발예방장치
4.
아세틸렌 용접기 및 가스 용접장치 - 안전기
정답 : [
3
] 정답률 : 45%
53.
공작기계의 절삭 작업시 안전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1.
바이트는 정확하고, 견고하게, 되도록 짧게 장치한다.
2.
절삭중인 제품의 가공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회전하고 있는 물체를 수시로 측정한다.
3.
가공 중에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지만, 보호안경은 반드시 착용한다.
4.
절삭분 제거시는 브러시나 긁기봉을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54.
배관 파이핑(piping)에서 열응력 발생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적절한 연결방법은?
1.
유니언 이음
2.
리벳 이음
3.
자재 이음
4.
신축 이음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배관 파이핑(Piping):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관과 기기를 연결하는 기술과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배관 시스템은 플랜트 내 다양한 설비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유체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55.
다음 중 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수면계의 고장은 과열의 원인이 된다.
2.
부적당한 급수처리는 부식의 원인이 된다.
3.
안전밸브의 작동불량은 압력상승의 원인이 된다.
4.
안전장치가 불량할 때에는 최대사용기압 1.25배에서 파열하는 원인이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56.
진동장애의 예방대책이 아닌 것은?
1.
저진동공구를 사용한다.
2.
진동업무를 자동화한다.
3.
방진장갑과 귀마개를 한다.
4.
실외작업을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57.
인장강도가 25kg/mm2인 강판의 안전율이 4라면 허용응력은?
1.
4.25 kg/mm2
2.
6.25 kg/mm2
3.
8.25 kg/mm2
4.
10.25 kg/mm2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허용응력은 인장강도/안전율 = 25/4=6.25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58.
다음 중 왕복운동을 하는 동작운동과 움직임이 없는 고정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은?
1.
협착점
2.
끼임점
3.
절단점
4.
물림점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협착점 : 왕복운동 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는 위험점(프레스기, 전단기, 성형기) 끼임점 : 고정 부분과 회전하는 동작 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연삭숫돌과 덮개, 교반기 날개와 하우징) 절단점 : 회전하는 운동부 자체, 운동하는 기계부분 자체의 위험점(날, 커터를 가진 기계) 물림점 :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에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롤러와 롤러, 기어와 기어 등) 접선 물림점 :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으로 물려 들어가는 위험(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컷, 잭과 피니언) 회전 말림점 : 회전하는 물체에 작업복, 머리카락 등이 말려들어가는 위험점(회전축, 커플링)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재해 용어의 변경 떨어짐 : 높은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구:추락) 넘어짐 : 사람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짐(전도) 깔림,뒤집힘 : 물체의 쓰러짐이나 뒤집힘(전도) 부딪힘 : 물체에 부딪힘(충돌) 물체에 맞음 : 날아오거나 떨어진 물체에 맞음(낙하,비래) 무너짐 : 건축물이나 쌓여진 물체가 무너짐(붕괴,도괴) 끼임 :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협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드릴링 머신에서 드릴 회전수가 1000rpm이고, 드릴 지름이 20mm일 때 원주속도는 얼마인가? (단, π = 3.14 임)
1.
62.8m/min
2.
31.4m/min
3.
3.14m/min
4.
6.28m/min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V=3.14×20×1000/1000 [해설작성자 : 허찬]
60.
기계설비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과 생산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3가지 요소에 들지 않는 것은?
1.
안전설계
2.
보전관리
3.
신종 기계의 개발
4.
안전작업 방법의 설정
정답 : [
3
] 정답률 : 76%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전력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나 역률개선용 콘덴서 등이 접속되어 있는 전로에서 정전작업을 할 경우 반드시 취해야하는 조치 사항은 어떤 것인가?
1.
개폐기의 통전금지
2.
잔류전하의 방전
3.
안전표지의 부착
4.
활선근접작업에 대한 방호
정답 : [
2
] 정답률 : 59%
62.
인체의 전기저항 R을 1000[Ω]이라하면 이때 위험 한계 에너지는 몇 J인가? (단, 통전시간은 1초임)
저압전로에 2000(A)의 전류가 흘렀을 때 누설전류는 몇 암페어(A)를 초과할 수 없는가?
1.
2
2.
1
3.
0.2
4.
0.1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누설전류= 최대공급전류X 1/2000 [해설작성자 : 나는나]
64.
저압의 옥내배선, 옥외배선에서 활선부와의 접촉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상호간, 전선과 대지간에 절연저항이 어느 값 이상이어야 한다. 전압과 절연저항의 연결이 잘못 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대지전압 150[V] 이하 - 0.1[MΩ]
2.
사용전압 400[V] 이하 - 0.2[MΩ]
3.
사용전압 400[V] 미만 - 0.3[MΩ]
4.
사용전압 240[V] 이하 - 0.2[MΩ]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당법이 바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5.
방폭지역의 구분시 환기가 충분한 장소란 대기 중의 가스⋅증기의 밀도가 폭발하한계의 몇 % 를 초과하여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환기량이 보장되는 장소를 말하는가?
1.
20%
2.
25%
3.
30%
4.
40%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방폭지역 환기 충분한 장소:폭발하한계 25%초과 방지 [해설작성자 : 허찬]
66.
인체의 감전사고 방지책으로써 가장 좋은 방법은?
1.
중성선을 접지한다.
2.
단상 3선식을 채택한다.
3.
변압기의 1⋅2차를 접지한다.
4.
계통을 비접지 방식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67.
가공 송전 선로에서 낙뢰의 직격을 받았을 때 발생하는 낙뢰전압이나 개폐 서지 등과 같은 이상 고전압은 일반적으로 충격파라 부르는데 이러한 충격파는 어떻게 표시하는가?
1.
파고치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 × 파미 부분에서 파고치의 50%로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
2.
파고치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 × 파미 부분에서 파고치의 30%로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
3.
파고치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 × 파미 부분에서 파고치의 20%로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
4.
파고치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 × 파미 부분에서 파고치의 10%로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
정답 : [
1
] 정답률 : 45%
68.
자기방전식 제전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아세테이트 필름의 권취공정, 셀로판제조공정에 유용하다.
2.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공기를 이온화 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3.
정상상태에서 방전현상은 수반하나 착화하는 경우는 없지만 본체가 금속이므로 접지를 해야 한다.
4.
제전능력이 작아서 충분한 제전시간이 필요하며 특히 이동하는 물체의 제전에 부적합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보기 4번은 방사선식 제전기에 해당 [해설작성자 : 맑갑]
69.
전기설비의 잠재적 점화원인 것은?
1.
직류전동기의 정류자
2.
전동기의 고온부
3.
보호계전기의 전기접점
4.
변압기의 권선
정답 : [
4
] 정답률 : 36%
70.
B.E.Maholob의 연구에 의하면 인체의 피부 중 1∼2mm2 정도의 적은 부분은 전기자극에 의해서 신경이 이상적으로 흥분해 다량의 피지가 분비해서 그 부분의 전기저항이 1/10정도로 적어지는 피전점(皮電点)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피전점은 다음 중 어느 부분인가?
1.
허리
2.
손등
3.
머리
4.
발등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손등,턱,볼,정강이 [해설작성자 : 허찬]
71.
주위공간에 암모니아가스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클로로프렌 피복케일을 배선하는 경우 부식의 정도는?
1.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약간 영향을 준다.
3.
성능이 약간 저하한다.
4.
성능이 현저히 저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72.
전기설비사용장소의 폭발위험성에 대한 위험장소 판정시의 기준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위험가스의 현존가능성
2.
통풍의 정도
3.
위험물질의 온도
4.
작업자의 영향
정답 : [
3
] 정답률 : 21%
73.
저압 및 고압선을 직접 매설식으로 매설할 때 중량물의 압력을 받지 않는 장소의 매설깊이는?(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
1.
120[cm]이상
2.
10[cm]이상
3.
70[cm]이상
4.
60[cm]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직접매설식 : 1.2[m] → 1[m] (중량에 의한 압력우려 없을 시 0.6[m]) ※ 직접매설식/관로식/암거식 모두 동일
[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공고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54조제1항제7호[공고 제2019-195호(2019. 3. 25.) 포함]의 규정은 2021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74.
다음은 정전기에 관련한 설명이다. 잘못 된 것은?
1.
정전유도에 의한 힘은 반발력이다.
2.
발생한 정전기와 완화한 정전기의 차가 마찰을 받은 물체에 축적되는 현상을 대전이라 한다.
3.
같은 부호의 전하는 반발력이 작용한다.
4.
겨울철에 나일론제 셔츠 등을 벗을 때 경험한 부착 현상이나 스파크발생은 박리대전현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정전기 유도에 의한 힘은 인력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자동차가 통행하는 도로에 지중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시설할 수 있는 전선은?
1.
비닐 외장 케이블
2.
콤바인 덕트 케이블(combine duct cable)
3.
폴리에틸렌 외장 케이블
4.
클로로프렌 외장 케이블
정답 : [
2
] 정답률 : 56%
76.
인체 피부의 전기저항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통전경로
2.
접촉면적
3.
전압의 크기
4.
인가시간
정답 : [
1
] 정답률 : 28%
77.
작업복에 50(㎛)의 직경을 갖는 도전성 섬유를 넣어 코로나 방전을 방출하므로써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복을 입게 되는데, 이 제전복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는?
1.
전산실 등 전자기계 취급 장소
2.
상대 습도가 낮은 장소
3.
반도체등 전기소자 취급 작업
4.
분진발생 작업이나 장소
정답 : [
1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학교에서 전산실 갈때 제전복을 입고 들어가진 않죠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78.
피뢰기가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성능 중 잘못 된 것은?
1.
제한전압이 낮아야 한다.
2.
반복동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3.
뇌전류 방전 능력이 크고 속류 차단이 확실해야 한다.
4.
충격 방전 개시 전압이 높아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79.
비접지식 전로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300V 저압에 용량 3kVA 이하에 안정적으로 사용
2.
혼촉방지판 접지를 고압측과 저압측 권선의 중간에 넣어 만든 변압기
3.
변압기 고압측과 저압측을 두고 저압전로 중간에 절연변압기를 사용하는 방법
4.
비접지식은 표현 그대로 고⋅저압 권선에 접지를 하지 않고 기능 절연변압기 사용
정답 : [
4
] 정답률 : 35%
80.
전기누전 화재의 요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발화점
2.
누전점
3.
접지점
4.
접촉점
정답 : [
4
] 정답률 : 34%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최소발화에너지와 압력과의 관계는?
1.
압력이 클수록 최소발화에너지는 감소한다.
2.
압력이 클수록 최소발화에너지는 증가한다.
3.
압력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압력과는 관계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압력이 클수록 "최대"발화에너지는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최대랑최소]
82.
다음 중 차압식 유량계가 아닌 것은?
1.
습식가스미터(wet gasmeter)
2.
피토관(pitot tube)
3.
오리피스미터(orifice meter)
4.
로터미터(rota meter)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차압식 →피토관,오리피스미터,벤투리미터 등 면적식 → 로타미터(ROTA METER) 등으로 기재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로터미타가 정답으로볼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쌔근호]
83.
TNT 100kg이 폭발할 때 폭심으로부터 400m 지점의 창유리가 반파된다고 한다. TNT 10kg이 폭발할 때 같은 위력을 가지는 거리는?
고압(高壓)의 공기 중에서 장시간 작업하는 경우에 일어나는 잠함병(潛函病)또는 잠수병(潛水病)은 어떤 물질에 의하여 중독현상이 일어나는가?
1.
아황산가스
2.
황화수소
3.
일산화탄소
4.
질소
정답 : [
4
] 정답률 : 64%
96.
포스겐가스 누설검지의 시험지로 사용되는 것은?
1.
연당지
2.
염화파라듐지
3.
하리슨시험지
4.
초산구리벤젠지
정답 : [
3
] 정답률 : 57%
97.
충전탑과 트레이드탑을 비교할 때 트레이드탑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1.
압력손실이 적다.
2.
hold up이 적다.
3.
기체 상승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4.
부식성 유체에 적합하지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31%
98.
반응기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 중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상의 형태
2.
온도 범위
3.
부식성
4.
중간생성물의 유무
정답 : [
4
] 정답률 : 52%
99.
다음 물질을 혼합할 때 위험성(발화 또는 폭발)이 존재하는 것은?
1.
황-에테르
2.
황-아세톤
3.
황-케톤
4.
황-황산
정답 : [
4
] 정답률 : 41%
100.
다음 중 압력과 힘의 관계로부터 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1차 압력계는?
1.
브르동관식 압력계
2.
자유피스톤형 압력계
3.
벨로즈식 압력계
4.
전기저항 압력계
정답 : [
2
] 정답률 : 35%
101.
진동과 소음이 적어 시가지 공사에 적합하고 벤토나이트(bentonite) 용액을 사용하는 흙막이 공법은?
1.
지중연속벽(slurry wall) 공법
2.
웰 포인트(well point) 공법
3.
오픈 컷(open cut) 공법
4.
샌드 드레인(sand drain) 공법
정답 : [
1
] 정답률 : 29%
102.
선창의 내부에서 화물취급 작업을 하는 때에는 갑판의 윗면에서 선창 밑바닥까지 깊이가 몇 m 를 초과하는 경우에 당해 작업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m
2.
1.2m
3.
1.3m
4.
1.5m
정답 : [
4
] 정답률 : 57%
103.
추락방지용 방망의 그물코가 10cm인 신제품 매듭방망사의 인장강도는?
1.
80kgf
2.
110kgf
3.
150kgf
4.
200kgf
정답 : [
4
] 정답률 : 61%
104.
근로자의 신체 등과 충전전로 사이의 사용 전압별 접근 한계거리로 옳은 것은?
1.
15kV 이하 : 70cm
2.
15kV 초과 37kV 이하 : 90cm
3.
37kV 초과 88kV 이하 : 120cm
4.
88kV 초과 121kV 이하 : 150cm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단위 : kV cm 0.3 이하 : 접촉금지 0.3 초과 0.75 이하 : 30 0.75 초과 2 이하 :45 2 초과 15 이하 :60 15 초과 37 이하 :90 37 초과 88 이하 :110 88 초과 121 이하 :130 121 초과 145 이하 :150 145 초과 169 이하 :170 169 초과 242 이하 :230 242 초과 362 이하 :380 362 초과 550 이하 :550 550 초과 800 이하 :790 [해설작성자 : 나역시 모름]
물로 포화된 점토에 다지기를 하면 물이 배출되지 않는 한 흙이 압축되며 압축하중으로 지반이 침하하는데 이로 인하여 간극수압이 높아져 물이 배출되면서 흙의 간극이 감소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압축
2.
압밀
3.
조립도
4.
함수비
정답 : [
2
] 정답률 : 57%
108.
통나무로 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높이는 얼마 이하인가?
1.
6m
2.
9m
3.
12m
4.
15m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통나무비계는 통나무를 부재로 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과거 소규모의 주택 현장에서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통나무 비계는 지상높이 4층 이하 또는 12m 이하인 건축물, 공작물 등의 건조(建造), 해체 및 조립 등 작업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통나무 비계를 조립할 때는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안전규칙 제376조).
(1) 비계기둥의 간격은 2.5m 이하로 하고 지상으로부터 첫 번째 띠장은 3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2) 비계기둥이 미끄러지거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계기둥의 하단부를 묻고, 밑둥잡이를 설치하거나 깔판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비계기둥의 이음이 겹쳐이음인 때에는 이음부분에서 1m 이상을 서로 겹쳐서 2개소 이상을 묶고 비계기둥의 이음이 맞댄 이음인 때에는 비계기둥을 쌍기둥틀로 하거나 1.8m 이상의 덧댐목을 사용하여 4개소 이상을 묶는다. (4) 비계기둥, 띠장, 장선 등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철선 기타 튼튼한 재료로 견고하게 묶어야 한다. (5) 교차가새로 보강한다. (6) 벽 이음 및 버팀의 간격은 수직방향에서 5.5m 이하, 수평방향에서는 7.5m 이하로 강관, 통나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견고한 것으로 한다. (7) 인장재와 압축재로 구성되어 있는 때에는 인장재와 압축재의 간격은 1m 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9.
산업재해발생률의 산정기준 중 사망재해자에 대하여 다음 중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는 경우는?
1.
폭풍, 폭우, 폭설 등 천재지변에 의한 경우
2.
법원의 판결 등에 의하여 사업주의 무과실이 인정되는 경우
3.
운동, 휴식 중의 사고로 작업과 관련이 있는 경우
4.
교통사고, 개인지병, 방화 등에 의한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라. 재해자중 사망자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1) 가중치는 부상재해자의 10배로 한다. (2) 재해발생 시기와 사망시기가 연도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재해발생 연도의 다음 연도 3월 31일 이전에 사망한 경우에 한하여 (1)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3) 제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산업재해발생보고를 태만히하여 노동부장관이 사망재해 발생연도 이후에 그 사실을 인지한 경우에는 인지한 연도의 사망 재해자수로 산정하며 (1)의 규정에 의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4) 산업재해의 사망재해자중 다음의 1에 해당하는 경우로 당해 사고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사업주의 법 위반에 기인하지 아니하였다고 인정되는 재해자에 대하여는 가중치를 부여하지 아니한다. (가) 교통사고, 고혈압등 개인지병, 방화 등에 의한 경우 (나) 근로자 상호간 또는 타인과의 폭행 등에 의한 경우 (다) 폭풍·폭우·폭설등 천재지변에 의한 경우 (라) 당해 사고와 관련하여 법원의 판결 등에 의하여 사업주(수급인, 하수급인, 장비임대 및 설치·해체·물품납품 등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사업주를 포함한다)의 무과실이 인정되는 경우 (마) 당해 건설작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제3자의 과실에 의한 경우 (바) 기타 취침·운동·휴식중의 사고등 건설작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경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1. 비계기둥 간격은 보 방향에서 1.5m~1.8m, 장선 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 지상으로 첫 번째 띠장은 2m 이하로 하고 띠장 간격은 1.5m로 한다. 3. 비계기둥의 최고부로부터 31m 되는 지점의 밑으로는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워둘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1.
흙막이지보공을 설치한 때에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고 이상이 있을시 즉시 보수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부재의 손상, 변형, 부식, 변위 및 탈락의 유무
2.
부재의 접속부, 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3.
낙반에 대한 위험성
4.
침하의 정도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흙막이 지보공의 즉시보수 조건 1. 부재의 손상·변형·부식·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2. 버팀대의 긴압(緊壓)의 정도 3. 부재의 접속부·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4. 침하의 정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2.
그림과 같이 말뚝을 두 줄로 달아 들어 운반할 때 다음 중 말뚝 내에 발생하는 휨응력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x 의 크기는 얼마인가?
1.
0.1L
2.
0.2L
3.
0.3L
4.
0.4L
정답 : [
2
] 정답률 : 46%
113.
가설구조물이 가지고 있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연결 부재가 부족하다.
2.
부재의 단면적이 커서 대체로 안정하다.
3.
부재의 결합이 간략하여 불완전하다.
4.
조립도의 정밀도가 낮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연결재가 부족한 구조가 되기 쉽다. (2) 부재의 결합이 간단하여 불안전 결합이 되기 쉽다. (3) 구조물이라는 개념이 확고하지 않아 조립의 정밀도가 낮다. (4) 부재는 과소 단면이거나 결함이 있는 재료가 사용되기 쉽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4.
다음 중 작업발판의 안전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로자가 작업 또는 이동하기에 충분한 넓이가 확보 되어야 한다.
2.
발판의 폭은 30cm 이상이어야 한다.
3.
발판재료는 2개 이상의 지지물에 부착시켜야 한다.
4.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작업발판의 폭은 40센티미터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3센티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외줄비계의 경우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5.
터널 작업 중 강아치 지보공 조립시 안전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연결 볼트 및 띠장 등을 사용하여 튼튼히 연결한다.
2.
출입구 부분에는 받침대를 설치한다.
3.
아치작용이 충분히 되도록 쐐기를 박는다.
4.
조립간격은 암질에 따라 다르나 최대 3m 이하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조립간격은 조립도에 따를 것 2.주재가 아치작용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쐐기를 박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3.연결볼트 및 띠장 등을 사용하여 주재 상호간을 튼튼하게 연결할 것 4.터널 등의 출입구 부분에는 받침대를 설치할 것 5.낙하물이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판 등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안전보건규칙 제341조 매설물 등의 파손에 의한 위험방지 1. 매설물, 조적벽, 콘크리트벽 또는 옹벽 등의 건설물에 근접한 장소에서 굴착작업을 할 때에 해당 가설물의 파손 등에 의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건설물을 보강하거나 이설하는 등 해당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굴착작업에 의하여 노출된 매설물 등이 파손됨으로써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매설물 등에 대한 방호조치를 하거나 이설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매설물 등의 방호작업에 대하여 관리감독자에게 해당 작업을 지휘하도록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ㄱㅌ]
119.
콘크리트 타설시의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슈트, 펌프배관, 버킷 등으로 타설시에는 배출구와 치기면까지의 가능한 높이를 2m 이하로 해야 한다.
2.
비비기로부터 타설시까지 시간은 25℃ 이상에서는 1.5시간을 넘어서는 안된다.
3.
타설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는 가능한 적게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4.
최상부의 슬래브는 이어붓기를 되도록 피하고, 일시에 전체를 타설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슈트, 펌프배관, 버킷, 호퍼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높이는 1.5m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0.
다음 공법 중 잠수병 및 연락시설(Interphone)과 관련 있는 굴착공법은?
1.
아일랜드(Island) 공법
2.
케이슨(Caisson) 공법
3.
플로팅(Floating) 공법
4.
트렌치 커트(Trench cut) 공법
정답 : [
2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잠수병이 아니고 잠함공법 같습니다. 잠함공법 및 연락시설과 관련 있는 굴착공법은? [해설작성자 : 멍멍곰]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④
③
③
③
③
②
③
②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②
②
④
③
③
①
④
②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②
④
③
②
②
③
④
④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②
③
④
②
④
②
④
①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③
②
④
①
④
①
③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③
②
④
④
④
②
①
①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②
②
②
②
④
①
④
④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③
④
①
②
①
①
④
④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④
③
②
②
③
④
②
①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②
③
②
④
③
④
④
④
②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①
④
④
②
③
③
②
③
③
③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③
②
②
②
④
①
①
④
①
②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