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이 d 인 원형단면봉에 비틀림 토크가 작용할 때의 전단응력이 τ 라고 하면, 지름이 3d 인 동일 재질의 원형단면봉에 동일한 비틀림 토크가 작용할 때의 전단응력은?
1.
1/9 τ
2.
9 τ
3.
1/27 τ
4.
27 τ
정답 : [
3
] 정답률 : 57%
7.
정확도와 정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확도는 참값에 대한 한쪽으로 치우침이 작은 정도를 뜻한다.
2.
정밀도는 측정치의 흩어짐이 작은 정도를 뜻한다.
3.
정밀도는 모표준편차로 나타낼 수 있다.
4.
정확도는 계통적 오차보다는 우연오차에 의한 원인이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정확도는 계통적 오차보다는 우연오차에 의한 원인이 작다 [해설작성자 : 김동현]
8.
그림과 같은 기어 트레인 장치에서 A축과 B축이 만나는 기어의 잇수를 각각 Z1, Z21 라고 하고, B축과 C축이 만나는 기어의 잇수를 각각 Z2, Z31, C축과 D축이 만나는 기어의 잇수를 각각 Z3, Z4라고 할 때 그 잇수가 다음 표와 같을 경우 A축의 회전수(N1)가 1600 rpm 일 때 D축의 회전수(N4)는 몇 rpm인가?
1.
90
2.
100
3.
110
4.
120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기어비 : 구동/피동 계산 전 유의사항은 B,C의 피동기어는 큰 기어이다. B의 회전수 : 45/64의 값에 x A의 회전수. 이런 방법으로 D까지 구함. [해설작성자 : Das Beste oder nichts.]
9.
냉간가공과 열간가공을 구분하는 것은?
1.
가공 경화
2.
변형 경화
3.
나선 전위
4.
재결정 온도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가공하면 냉간가공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가공하면 열간가공 [해설작성자 : 잇힝^3^]
10.
나사의 풀림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분할 핀을 사용하여 조립
2.
캡 너트를 사용
3.
로크 너트를 사용
4.
스프링 와셔를 적용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캡 너트란 누설을 방지하는 너트이다 [해설작성자 : 시험 붙자잉]
11.
유압펌프를 처음 시동할 경우 작동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동 시 펌프가 차가울 경우 뜨거운 작동유를 사용하여 펌프 온도를 상승시킨다.
2.
신품인 베인펌프는 압력을 걸어 시동하고 최초 5분 정도는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길들이는 것이 좋다.
3.
시동 전에 회전상태를 검사하여 플렉시블 캠링의 회전 방향과 설치 위치를 정확히 해둔다.
4.
작동유는 적절한 정도로 맑고 깨끗하게 사용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12.
다음 중 베어링용 합금이 아닌 것은?
1.
켈밋(kelmet)
2.
건 메탈(gun metal)
3.
화이트 메탈(white metal)
4.
배빗 메탈(babbitt metal)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단조성이 좋고 강력하며 내식성(耐蝕性)이 있어서 밸브, 코크, 기어, 베어링의 부시 등의 주물에 널리 사용된다. 포금(砲金)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엽떡주먹]
13.
주조품을 제작하기 위한 모형(pattern)의 종류 중 주물형상이 크고 소량의 주조품을 요구할 때 그 형상의 골격을 제작한 후 그 간격의 공간을 점토 등의 물질로 메꾸어 제작하는 모형은?
1.
코어 모형
2.
부분 모형
3.
매치 플레이트 모형
4.
골조 모형
정답 : [
4
] 정답률 : 74%
14.
축에 끼운 링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끝 부분을 두 갈래로 벌려 굽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계요소는?
TCS (Traction Control System)에서 안정된 선회동작을 목적으로 한 트레이스 제어의 입력조건이 아닌 것은?
1.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량
2.
움직이지 않는 바퀴의 좌우측 속도차
3.
앞뒤바퀴의 슬립비
4.
가속페달을 밟은 양
정답 : [
3
] 정답률 : 48%
53.
자동변속기차량에서 토크컨버터 내부에 있는 댐퍼클러치의 접속 해제 영역으로 틀린 것은?
1.
기관의 냉각수 온도가 낮을 때
2.
공회전 운전 상태일 때
3.
토크비가 1에 가까운 고속 주행일 때
4.
제동 중 일 때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토크비가 1에 가까운 고속 주행에서는 댐퍼클러치가 작동한다 [해설작성자 : 김동현]
54.
제동력을 더욱 크게 하여주는 제동 배력장치 작동의 기본 원리로 적합한 것은?
1.
동력피스톤 좌우의 압력차가 커지면 제동력은 감소한다.
2.
동일한 압력조건일 때 동력 피스톤의 단면적이 커지면 제동력은 커진다.
3.
일정한 단면적을 가진 진공식 배력장치에서 기관내부의 압축 압력이 높아질수록 제동력은 커진다.
4.
일정한 동력피스톤 단면적을 가진 공기식 배력장치에서 압축공기의 압력이 변하여도 제동력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55.
종감속 기어에서 링 기어의 백래시가 클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회전저항 증대
2.
기어 마모
3.
토크 증대
4.
소음 발생
정답 : [
3
] 정답률 : 79%
56.
자동변속기가 과열되는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동변속기 오일쿨러 불량
2.
라디에이터 냉각수 부족
3.
기관의 과열
4.
자동변속기 오일량 과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57.
브레이크 라이닝의 표면이 과열되어 마찰계수가 저하되고 브레이크 효과가 나빠지는 현상은?
1.
브레이크 페이드 현상
2.
언더스티어링 현상
3.
하이드로 플레이닝 현상
4.
캐비테이션 현상
정답 : [
1
] 정답률 : 84%
58.
핸들의 위치를 중심에 놓고, 앞 휠의 토우 값을 축정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값이 측정 되었다면 맞는 것은?(단, 앞 좌측:토우인 2 mm, 앞 우측:토우아웃 1 mm 이며 주어진 자동차의 제원 값은 토우인 0.5 mm 이다.)
1.
주행 중 차량은 정 방향으로 주행 한다.
2.
주행 중 차량은 좌측으로 쏠리게 된다.
3.
주행 중 챠량은 우측으로 쏠리게 된다.
4.
핸들의 조작력이 무겁게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측정된 토우 값이 문제가 아니라, 양쪽 앞 휠의 방향이 둘다 오른쪽을 보고 있는데, 3번이 답이 되는 것 아닌가요? 현재 값이라면, 우측으로 1,5도 쏠려야 맞는 것 같습니다. 제 의견이 틀렸다면, 다른 분들께서 수정 해 주세요! [해설작성자 : Ausbildung 준비중]
[오류신고 반론] 사이드 슬립량 = 좌측 슬립량+우측 슬립량/2 = (+2mm/m)+(-1mm/m)/2 = +1mm/m / 2 = +0.5mm/m 즉, 측정값이 +0.5mm/m이고 주어진 자동차의 제원값이 토인 0.5mm이므로 주행 중 차량은 정방향으로 주행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사이드 슬립량 = 좌측 슬립량+우측 슬립량/2 = (+2mm/m)+(-1mm/m)/2 = +1mm/m / 2 = +0.5mm/m 즉, 측정값이 +0.5mm/m이고 주어진 자동차의 제원값이 토인 0.5mm이므로 주행 중 차량은 정방향으로 주행합니다. <<
도서출판 골든벨 2021과년도 문제집, 이분해설 맞아요 [해설작성자 : 자동차는 머림머]
59.
ABS(Anti-Lock Brake System)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2.
제동시 방향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3.
제동시 조향성을 확보해 준다.
4.
노면의 마찰계수가 최대인 상태에서 제동거리 단축의 효과가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60.
전자제어 현가장치(ECS)시스템의 센서와 제어기능의 연결이 맞지 않는 것은?
1.
앤티 피칭 제어 - 상하가속도 센서
2.
앤티 바운싱 제어 - 상하가속도 센서
3.
앤티 다이브 제어 - 조향각 센서
4.
앤티 롤링 제어- 조향각 센서
정답 : [
3
] 정답률 : 68%
61.
반도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극히 소형이고 가볍다.
2.
내부 전력 손실이 적다
3.
수명이 길다.
4.
온도 상승 시 특성이 좋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온도 상승하면 특성이 몹시 안좋다 [해설작성자 : 운전직9급 준비생]
62.
교류 발전기에서 정류 작용이 이루어지는 곳은?
1.
아마츄어
2.
계자코일
3.
실리콘 다이오드
4.
트랜지스터
정답 : [
3
] 정답률 : 62%
63.
플레밍의 왼손법칙에서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동전동기의 부품은 어느 것인가?
1.
로터
2.
계자 코일
3.
전기자
4.
스테이터
정답 : [
3
] 정답률 : 67%
64.
다음 중 트립 컴퓨터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적산 거리계
2.
주행 가능 거리
3.
최고 속도
4.
주행 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속도는 계기판에 있음 [해설작성자 : 운전직 9급 준비생]
65.
기동전동기에 흐르는 전류는 120A 이고, 전압은 12V 일 때, 이 기동전동기의 출력은 몇 PS 인가?
1.
0.56 PS
2.
1.22 PS
3.
1.96 PS
4.
18.2 PS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20x12/736=1.956...... [해설작성자 : 쵸리]
66.
배전기 방식의 점화장치에서 타이밍 라이트를 사용하여 초기 점화시기를 시험할 때 고압 픽업 클립의 설치 위치는?
1.
1번 점화 케이블
2.
3번 점화 케이블
3.
축전지 (+)극
4.
배전기 이그나이터
정답 : [
1
] 정답률 : 69%
67.
자동차의 파워 트랜지스터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파워 TR의 베이스는 ECU와 연결되어 있다.
2.
파워 TR의 컬렉터는 점화 1차코일의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3.
파워 TR의 이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4.
파워 TR은 PNP형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파워트랜지스터는 npn형이다 [해설작성자 : 운전직 9급 준비생]
68.
정류회로에 있어서 맥동하는 출력을 평활화하기 위해서 쓰이는 부품은?
1.
다이오드
2.
콘덴서
3.
저항
4.
트랜지스터
정답 : [
2
] 정답률 : 60%
69.
점화장치에서 마크네틱코어 픽업코일과 로터가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 점화코일의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맞는 것은?
1.
1차 전류가 흐르고 있는 드웰 구간
2.
1차 전류가 단속 되어진 구간
3.
2차 전류가 흐르고 있는 구간
4.
2차 전류가 단속 되어진 구간
정답 : [
2
] 정답률 : 51%
70.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직류전압(DC)전압을 다른 직류(DC)전압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는 무엇인가?
1.
캐패시터
2.
DC-AC 인버터
3.
DC-DC 컨버터
4.
리졸버
정답 : [
3
] 정답률 : 81%
71.
12V 60AH인 축전지가 방전되어 정전류 충전법으로 보충전하려고 할 때 표준충전 전류값은? (단, 축전지용량은 20시간율 용량이다)
1.
3A
2.
6A
3.
9A
4.
12A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