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폭굉유도거리가 짧아지는 요인 - 압력이 높을수록 짧음 - 점화원의 에너지가 강할수록 짧음 - 연소속도가 큰 혼합가스일수록 짧음 - 관 속에 방해물이 있으면 짧음 - 관 내경(지름)이 작을수록 짧음 [해설작성자 : 조데몽]
9.
연소 시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함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굴뚝을 높게 한다.
2.
연소온도를 낮게 한다.
3.
질소함량이 적은 연료를 사용한다.
4.
연소가스가 고온으로 유지되는 시간을 짧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질소산화물 생성 억제 및 경감방법 *물분사법,2단연소법,배기가스 재순환연소법,저산소(저공기비)연소법,저온연소법,농담연소법 *건식법 환원제(암모니아,탄화수소,일산화탄소)를 낮춘다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양호하게 하여 연소온도를 낮춘다 *저온 배출가스 일부를 연소용 공기에 혼입해서 연소용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저하시킨다 *버너 부근의 화염온도 그리고 배기가스 온도를 낮춘다 *연소가스가 고온으로 유지되는 시간을 짧게한다 *저소감:과잉공기량,연소온도,연소용 공기중의 산소농도,노내 가스잔류시간,미연소분 *질소성분이 적거나 질소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연료를 사용한다. -굴뚝의 높이와는 상관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굴뚝을 높게 하는 것은 배출된 NOx를 분산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만, NOx의 생성량 자체를 줄이는 방법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엉덩이실룩실룩]
10.
수소의 연소반응은 H2+½O2 → H2O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반응은 수많은 소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난다고 한다. 다음은 무슨 반응에 해당하는가?
1.
연쇄창시반응
2.
연쇄분지반응
3.
기상정지반응
4.
연쇄이동반응
정답 : [
4
] 정답률 : 82%
11.
설치장소의 위험도에 대한 방폭구조의 선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0종 장소에서는 원칙적으로 내압방폭구조를 사용한 다.
2.
2종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선관용 부속품은 KS에서 정하는 일반품으로서 나사접속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3.
두 종류 이상의 가스가 같은 위험장소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중 위험등급이 높은 것을 기준으로 하여 방폭전기기기의 등급을 선정하여야 한다.
4.
유입방폭구조는 1종 장소에서는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0종 장소에서는 본질안전방폭구조 선택 [해설작성자 : 하얀맛팬티]
12.
유황(S kg)의 완전연소 시 발생하는 SO2의 양을 구하는 식은?
1.
4.31×S Nm3
2.
3.33×S Nm3
3.
0.7×S Nm3
4.
4.38×S Nm3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유황=X/32(MOL)이므로 완전연소시 발생하는 SO2의양=X/32*1*22.4=0.7X(N/M^3)이다
LPG가 완전연소 될때 생성되는 물질은 프로판(C3H8),부탄(C4H10) 프로판(C3H8)과 부탄(C4H10)의 연소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3H8+5O2→3CO2+4H2O C4H10+6.5O2→4CO2+5H20 [해설작성자 : 차연준]
LPG 탄화수소류가 완전 연소하면 CO2와 H2O가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난화짧]
15.
디토네이션(deton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열반응으로서 연소의 전파속도가 그 물질 내에서 음속보다 느린 것을 말한다.
2.
물질 내에 충격파가 발생하여 반응을 일으키고 또한 반응을 유지하는 현상이다.
3.
충격파에 의해 유지되는 화학 반응 현상이다.
4.
디토네이션은 확산이나 열전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폭발적 연소, 폭연을 말하며 정상적인 연소의 화염속도는 매초 수십미터이지만, 이 경우는 음속을 초월하는 비정상적인 고속으로 화염이 전파된다. 이러한 충격적 압력파에 의해 노킹이 발생하고 엔진 파괴 원인이 된다. 고압축비 엔진이나 압축 혼합 가스 온도가 높을 때, 또한 낮은 옥탄가 연료를 사용할 때도 발생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조데몽]
폭굉(Detonation) [해설작성자 : 가스산기 따자~~!!]
16.
불꽃 중 탄소가 많이 생겨서 황색으로 빛나는 불꽃은?
1.
휘염
2.
층류염
3.
환원염
4.
확산염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휘염[luminous flame] : 오렌지색이 변하여 하얗게 빛이 나는 화염을 말하며, 휘염은 휘도가 높으며 연료 성분 중의 탄소 화합물이 열분해하여 탄소 미립자가 불꽃으로 된다. 연소에 의한 빛의 색깔 및 상태는 아래와 같다. - 적열상태 500℃ - 적색 850℃ - 백열상태 1000℃ - 황적색 1100℃ - 백적색 1300℃ - 휘백색 1500℃ [해설작성자 : 휘황]
-20℃ 이하에서 24시간 이상 방치한 후 지체 없이 10회 이상 굽힘시험을 한 후에 기밀시험에 누출이 없어야 한다.
3.
3MPa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는 내압시험에서 이상이 없고 4MPa 이상의 압력에서 파열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4.
호스의 구조는 안층·보강층·바깥층으로 되어 있고 안층이 재료는 염화비닐을 사용하며, 인장강도는 65.6N/5mm 폭 이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번 : 호스의 안지름은 1종 : 6.3mm 2종: 9.5mm. 3종 : 12.7mm 이고 허용오차는 +- 0.7mm 2번 : -20도씨 이하에서 24시간 방치후 5번이상 굽힘시험 한 후 기밀시험에서 누출이 없어야 한다 3번 : 3.0MPa의 압력으로 5분간 실시하는 내압시험에서 누출이 없으며 파열 및 국부적인 팽창 등이 없고, 4.0MPa 이상의 압력에서 파열되는 것으로 한다. 4번 : 인장강도는 73,6N/5mm 폭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3]
29.
냄새가 나는 물질(부취제)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2.
물에 녹지 않아야 한다.
3.
화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한다.
4.
토양에 대한 투과성이 낮아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부취제는 토양에 대한 투과성이 높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어드레스불러보소 헤헤]
도시가스배관을 도로매설 시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도로 경계까지 얼마 이상의 수평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1.
0.8m
2.
1.0m
3.
1.2m
4.
1.5m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은 1.2m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라인화르트]
[오류신고 반론] 1m입니다. [해설작성자 : SM]
[오류신고 반론] 해당 기준은「도시가스사업 시행규칙」 별표5 제3가목1)사)에서 설치환경에 따라 매설깊이를 정하고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 배관은 그 배관의 유지관리에 지장이 없고, 그 배관에 대한 위해의 우려가 없도록 설치하되, 설치환경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적절한 안전조치를 마련할 것 ①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에는 설치환경에 따라 다음 기준에 따른 적절한 매설 깊이나 설치 간격을 유지할 것 ㉮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매설깊이는 산이나 들에서는 1m 이상, 그 밖의 지역에서는 1.2m 이상. 다만, 방호구조물 안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도로의 경계까지 수평거리 1m 이상, 도로 밑의 다른 시설물과는 0.3m 이상 ㉰ 배관을 시가지의 도로 노면 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노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 1.5m 이상. 다만, 방호구조물 안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노면으로부터 그 방호구조물의 외면까지 1.2m 이상 ㉱ 배관을 시가지 외의 도로 노면 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노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 1.2m 이상 ㉲ 배관을 포장되어 있는 차도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그 포장부분의 노반(차단층이 있는 경우에는 그 차단층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밑에 매설하고 배관의 외면과 노반의 최하부와의 거리는 0.5m 이상 ㉳ 배관을 인도ㆍ보도 등 노면 외의 도로 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 1.2m 이상. 다만, 방호구조물 안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방호구조물의 외면까지 0.6m(시가지의 노면 외의 도로 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0.9m) 이상 ㉴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궤도 중심까지 4m이상, 그 철도부지 경계까지는 1m이상의 거리를 유지하고,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깊이를 1.2m 이상 ㉵ 하천구역(「하천법」 제10조제1항에 따른 하천구역 중 제방 이외의 하심측(河心側)의 토지를 말한다. 이하 같다)을 횡단하여 매설하는 경우 배관의 외면과 계획하상높이(계획하상높이가 가장 깊은 하상높이보다 높을 때에는 가장 깊은 하상높이. 이하 ㉵에서 같다)와의 거리는 원칙적으로 4m 이상, 소하천ㆍ수로를 횡단하여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과 계획하상높이와의 거리는 원칙적으로 2.5m 이상, 그 밖의 좁은 수로(용수로ㆍ개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은 제외한다)를 횡단하여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과 계획하상높이와의 거리는 원칙적으로 1.2m 이상 -정답은 2번 1m- [해설작성자 : adf]
[오류신고 반론]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도로의 경계까지 수평거리 1m 이상, 도로 밑의 다른 시설물과는 0.3m 이상 [해설작성자 : 조데몽]
[오류신고 반론] 도로 병행 매설: 배관 외면으로부터 도로 경계까지는 1m 이상의 수평거리를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아싸가오리]
42.
-에어졸의 충전 기준에 적합한 용기의 내용적은 몇 L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 : [
1
] 정답률 : 83%
43.
내용적 20000L의 저장탱크에 비중량이 0.8kg/L인 액화가스를 충전할 수 있는 양은?
1.
13.6톤
2.
14.4톤
3.
16.5톤
4.
17.7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W=0.9dv×10^-3
44.
기업활동 전반을 시스템으로 보고 시스템 운영 규정을 작성·시행하여 사업장에서의 사고 예방을 위한 모든 형태의 활동 및 노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안전관리체계를 의미하는 것은?
1.
MMS
2.
SMS
3.
CRM
4.
SSS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SMS 개념> 기업의 안전관리 및 생산활동중 전반에 존재하는 위해요인을 찾아내 이를 분석, 평가하고 체크리스트를 체계화해 관리, 필요에 따라 사전 예방조치를 강구함으로서 사고를 예방하는 제도적 시스템. [해설작성자 : 개스코]
45.
특수가스의 하나인 실란(SiH4)의 주요 위험성은?
1.
상온에서 쉽게 분해된다.
2.
분해 시 독성물질을 생성한다.
3.
태양광에 의해 쉽게 분해된다.
4.
공기 중에 누출되면 자연발화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실란sih4 -특이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독성기체로 공기중에 누출되면 자연발화한다 -파라핀계 탄화수소에 비해 불안정하여 물,수산화알칼리용액등과 반응한다 -반도체제조공정에서 실리콘 중심의 막질증착 등에 사용된다 -가열하면 폭발할수있고 흡입 및 피부 흡수시 치명적일수있다 -증기는 자각 없는 현기증또는 질식을 유발할수있다 -격렬하게 중합반응하여 화재와 폭발을 일으킬수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공기중에 반응함 H4 + O2 2H2o [해설작성자 : d]
46.
에어졸 충전시설에는 온수시험탱크를 갖추어야 한다. 충전용기의 가스누출시험 온도는?
1.
26℃ 이상 30℃ 미만
2.
30℃ 이상 50℃ 미만
3.
46℃ 이상 50℃ 미만
4.
50℃ 이상 66℃ 미만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에어졸 제조(충전)시설에는 온도를 46℃ 이상 50℃ 미만으로 누출시험을 할 수 있는 에어졸 충전용기의 온수시험탱크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노력과 성공]
47.
LPG 판매 사업소의 시설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스누출경보기는 용기보관실에 설치하되 일체형으로 한다.
2.
용기보관실의 전기설비 스위치는 용기보관실 외부에 설치한다.
3.
용기보관실의 실내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한다.
4.
용기보관실 및 사무실은 동일 부지 내에 구분하여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분리형으로 설치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석유화학소재공학과]
48.
최대지름이 6m인 고압가스 저장탱크 2기가 있다. 이 탱크에 물분부장치가 없을 때 상호 유지되어야 할 최소 이격거리는?
<문제 해설> 사방을 방호벽으로 설치하는 경우 두방향으로 분산설치한다 강제통풍시설의 방출구는 지면에서 5m이상의 높이에 설치한다 강제통풍시설의 통풍능력은 1제곱미터마다 0.5세제곱미터/분이상으로한다.
51.
도시가스를 지하에 매설할 경우 배관은 그 외면으로 부터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얼마 이상의 거리를 유지 하여야 하는가?
1.
0.3m
2.
0.5m
3.
1m
4.
1.5m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배관은 그외면으로부터 도로 밑의 다른 시설물과 0.3m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시가지 도로 노면 밑에 매설할 때는 노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깊이를 1.5m이상으로한다 시가지외의 도로노면밑에 매설할때는 노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깊이를 1.2,m이상으로 한다
52.
암모니아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0℃에서 약 8.5기압의 가압으로 액화시킬 수 있다.
2.
암모니아를 물에 계속 녹이면 용액의 비중은 물보다 커진다.
3.
액체 암모니아가 피부에 접촉하면 동상에 걸려 심한 상처를 입게 된다.
4.
암모니아 가스는 기도, 코, 인후의 점막을 자극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용액의 비중에는 변화가 없다. [해설작성자 : 오뎅]
암모니아는 상온,상압에서 기체 상태로 물에 800배 정도 용해 되므로 용액의 비중에는 변화가 없다 [해설작성자 : 아싸가오리]
53.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에 설치되는 가스누출 검지경보장치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보농도는 가연성가스의 경우 폭발한계의 1/2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검지에서 발신까지 걸리는 시간은 경보농도의 1.2배 농도에서 보통 20초 이내로 한다.
3.
경보기의 정밀도는 경보농도 설정치에 대하여 가연성 가스용은 ±25% 이하이어야 한다.
4.
검지경보장치의 경보정밀도는 전원의 전압 등 변동이 ±20%정도일 때에도 저하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검지에서 발신까지 걸리는 시간은 경보농도의 1.6배 농도에서 보통 30초 이내 경보기 정밀도는 가연성 가스용은 플마 25%, 독성가스용은 플마 30% 검지 경보장치 경보 정밀도는 전원 전압 등 변동이 플마 10% 정도일때 저하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54.
LPG 저장설비 주위에는 경계책을 설치하여 외부인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계책의 높이는 몇 m이상 이어야 하는가?
1.
0.5m
2.
1.5m
3.
2.0m
4.
3.0m
정답 : [
2
] 정답률 : 73%
55.
독성가스 충전시설에서 다른 제조시설과 구분하여 외부로부터 독성가스 충전시설임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조치는?
1.
충전표지
2.
경계표지
3.
위험표지
4.
안전표지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위험표지 : 독성가스가 누출할 우려가 있는 부분에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 [해설작성자 : 노력과 성공]
56.
고압가스 특정제조의 기술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연성가스 또는 산소의 가스설비 부근에는 작업에 필요한 양 이상의 연소하기 쉬운 물질을 두지 아니할 것.
2.
산소 중의 가연성가스의 용량이 전용량의 3% 이상의 것은 압축을 금지할 것.
3.
석유류 또는 글리세린은 산소압축기의 내부윤활제로 사용하지 말 것.
4.
산소 제조 시 공기액화분리기 내에 설치된 액화산소통 내의 액화산소는 1일 1회 이상 분석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산소 중의 가연성가스의 용량이 전용량의 4% 이상의 것은 압축을 금지할 것. [해설작성자 : 도경일]
57.
수소용기의 외면에 칠하는 도색의 색깔은?
1.
주황색
2.
적색
3.
황색
4.
흑색
정답 : [
1
] 정답률 : 84%
58.
용기 파열사고의 원인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염소용기는 용기의 부식에 의하여 파열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2.
수소용기는 산소와 혼합충전으로 격심한 가스폭발에 의한 파열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3.
고압아세틸렌가스는 분해폭발에 의한 파열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4.
용기 내 과다한 수증기 발생에 의한 폭발로 용기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수증기는 불연성기체라 용기파열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해설작성자 : 오뎅]
59.
LP가스 용기저장소를 그림과 같이 설치 할 때 자연환기시설의 위치로서 가장 적당한 곳은?
1.
㉠
2.
㉡
3.
㉢
4.
㉣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LP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워서 환기시설을 ㉣과 같이 설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지니쌤]
60.
LPG용 가스렌지 사용하는 도중 불꽃이 치솟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가장 직접적인 사고 원인은?
1.
압력조정기 불량
2.
T관으로 가스누출
3.
연소기의 연소불량
4.
가스누출자동차단기 미작동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lpg용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도중에 불꽃이 치솟는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가장 직접적인 사고원인은 압력조정기의불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