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제어계의 동작순서:검출 -> 비교 -> 판단 -> 조작 ※제어요소의 구성:조작부와 조절부. ※자동제어의 분류 1.제어량에 의한 분류 : 프로세서제어, 서보기구제어, 자동조정제어 (1)서보기구제어:위치, 방위, 각도등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추종한다. (2)자동조정제어:회전속도, 주파수, 전압, 전류, 힘, 장력을 제어량으로 추종한다.
2.목표값에 의한 분류 : 정치제어, 추치제어. (1)정치제어:목표값이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는 제어를 말한다. ⓐ프로세서제어 : 유량, 압력, 온도, 농도, PH등의 상태량을 생산공정에 알맞게 자동조절하는 제어를 말한다. 외란의 억제를 주 목적으로 한다.
ⓑ자동조정제어 : 회전속도, 주파수, 전압, 전류, 힘, 장력을 제어량으로 추종한다.
(2)추치제어 ⓐ추종제어 ⓑ프로그램제어 ⓒ비율제어(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제어이다.)
3.동작에 의한 분류 (1)불연속제어 (2)연속제어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1.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의 소자에 사이리스터를 사용하여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또 이 제어를 이용한 직류전동기의 가변속도제어 및 직류전동기를 이용한 교류형 전동차의 제어를 말한다.
※피드백제어 1.출력의 신호를 입력의 상태로 되돌려주는 제어이고 피드백에 의하여 제어할 양의 값은 목표치와 비교하여 일치가 되도록 동작을 행하는 제어를 말한다.
※제어방식의 종류 1.비례(P)제어:정상오차 수반, 잔류편차 발생 2.적분(I)제어:잔류편차 제거 3.비례적분(PI)제어:잔류편차 제거, 제어결과가 진동적으로 될 수 있다. 4.비례적분미분(PID)제어:잔류편차제거, 응답의 오버슈트감소, 응답 속응성의 개선.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2.
유전가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표면의 소손, 균열이 없다.
2.
온도 상승 속도가 빠르고 속도가 임의 제어된다.
3.
반도체의 정련, 단결정의 제조 등 특수 열처리가 가능하다.
4.
열이 유전체손에 의하여 피열물 자신에게 발생하므로 가열이 균일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반도체의 정련은 유도가열의 특징 [해설작성자 : 전린이]
3.
정전압 소자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제너 다이오드
2.
터널 다이오드
3.
포토 다이오드
4.
발광 다이오드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전력용 반도체 소자 1.제너다이오드:전압 조정기에 사용된다, 제너항복 발생시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전류는 급격히 증가한다. (1)대표적인 다이오드:정전압 다이오드(역방향의 전압이 가해질때 정전압이 발생한다) (2)전류가 변화되어도 전압이 일정하다는 특징을 이용해 서지전류 및 정전기로부터 IC등을 보호하는 보호소자로 이용한다.
2.터널다이오드:터널효과에 의한 부성특성을 이용한 다이오드(부성저항이란 전압을 올리면 전류가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1)증폭, 발진, 고속스위칭 개폐등에 이용한다.
3.포토다이오드:빛에 따라 전압-전류 특성이 변하는 것을 이용한다. (1)주로 광소자로 이용한다. (2)광전효과:반도체에 빛이 가해지면 전기저항이 변화되는 효과.
4.발광다이오드:일렉트로 루미네센스에 이용한다, 주로 디지털표기 계기등에 응용한다.
5.버렉터 다이오드:역방향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접합하며 정전용량이 가변되는 성질을 이용한 다이오드 (1)주파수 선택을 위한 가변소자 (2)주로 공진회로, 발전기등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연(납)축전지(극판, 격리판, 전해액, 케이스로 구성) 1.반응식 - 충전 PbO2(양극) + 2H2SO4 + Pb(음극) -> 방전 PbSO4(양극) + 2H2O + PbSO4(음극), 전해액은 묽은 황산(H2SO4)을 사용한다. 2.특징 ★장점 (1)축전지의 필요 셀수가 적다. (2)경제적이다 (3)충방전 전압의 차이가 작다 (4)전해액의 비중에 의해 충방전상태 추정이 가능 하다. (5)알칼리축전지에 비해 충전용량이 크고 효율이 우수하다. (6)단시간 대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단점 (1)기계적강도가 약하다. (2)충전시간이 길다. 3.공칭전압(공칭용량):2[V/Cell](10[Ah]) 4.부동충전전압:2.18[V] 5.기전력:2.05~2.08[V]
알칼리 축전지 1.반응식 충전 2NiOOH(양극) + 2H2O + Cd(음극에 Fe을 쓰면 에디슨 전지, Cd을 쓰면 융그너 전지) -> 방전 2NiOH2(양극) + CdOH2(음극), 전해액은 수산화칼륨(KOH)를 사용한다. 2.특징 ★장점 (1)극판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2)고율충방전 특성이 좋다. (3)과방전, 과전류에 강하다. (4)충전시간이 짧고 수명이 길다. (5)방전시 전압변동이 작고, 전해액의 농도변화는 거의 없다. (6)진동에 강하고 연축전지에 비해 크기가 작다. (7)용량이 감소해도 사용이 가능하고 온도 특성이 좋다. (8)부식성의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3.공칭전압(공칭용량):1.2[V/Cell](10[AH]) 4.기전력:1.32[V]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9.
다이액(DIAC)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과전압 보호회로에 사용되기도 한다.
2.
역저지 4극 사이리스터로 되어 있다.
3.
쌍방향으로 대칭적인 부성저항을 나타낸다.
4.
콘덴서 방전전류에 의하여 트라이액을 ON 시킬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DIAC은 역저지 2극 사이리스터이다. 따라서,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ㅎ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2차 여자에 의한 권선형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에서 2차 유기전압과 반대방향으로 슬립 주파수 전압 Ec를 크게하면 속도는?
1.
속도가 증가한다.
2.
속도가 감소한다.
3.
속도의 변화는 없다.
4.
속도는 증가하나 역률이 떨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39%
59.
3상 동기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을 Y 결선으로 하는 이유 중 △결선과 비교할 때 장점이 아닌 것은?
1.
권선의 코로나 현상이 적다.
2.
출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3.
고조파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4.
권선의 보호 및 이상전압의 방지 대책이 용이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전기자 권선을 Y결선으로 하는 이유 1.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으므로 권선보호 장치의 시설이 용이 2.이상전압의 방지대책이 용이 3.권선의 불평형 및 제3고조파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는다(지문은 그냥 고조파라고 되어있어서 오답) 4.상전압은 선간 전압의 루트3/1이 되어 코일의 절연이 용이하고 코로나 발생을 억제 [해설작성자 : 힘내서 시험합격]
60.
8극, 50[kW], 3300[V], 60[Hz], 3상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4[%]라고 한다. 이 슬립링 사이에 0.16[Ω]의 저항 3개를 Y로 삽입하면 전부하 토크를 발생할 때의 회전수 [rpm]는? (단, 2차 각상의 저항은 0.04[Ω]이고, Y접속이다.)
1.
660
2.
720
3.
750
4.
880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Ns = 120*f/p = 120*60/8 =900 [rpm] r2/s = r2+R/s' =>즉, s'은 전부하토크와 같은 토크로 운전 시 슬립으로 s<s'...st는 r2와 비례관계 s' =0.2 s' = Ns-N'/Ns 를 풀어서 전부하 토크 발생 회전수N'을 구한다
[해설작성자 : Es]
4과목 : 회로이론
61.
다음 두 회로의 4단자 정수가 동일할 조건은?
1.
R1=R2, R3=R4
2.
R1=R3, R2=R4
3.
R1=R4, R2=R3=0
4.
R2=R3, R1=R4=0
정답 : [
4
] 정답률 : 36%
6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인가 전압에 의한 전류 i를 입력, V0를 출력이라 할 때 전달함수는? (단, 초기 조건은 모두 0이다.)
1.
2.
Cs
3.
4.
1+Cs
정답 : [
1
] 정답률 : 40%
63.
RLC 직렬회로에서 L=0.1×10-3[H], R=100[Ω], C=0.1×10-6[F]일 때, 이 회로는?
1.
진동적이다.
2.
비진동적이다.
3.
정현파로 진동한다.
4.
진동과 비진동을 반복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64.
저항(R)과 유도 리액턴스(XL)의 직렬 회로에 E=14+j38인 교류 전압을 가하니 I=6+j2[A]의 전류가 흐른다. 이 회로의 저항(R)과 유도 리액턴스(XL)는?
1.
R=4[Ω], XL=5[Ω]
2.
R=5[Ω], XL=4[Ω]
3.
R=6[Ω], XL=3[Ω]
4.
R=7[Ω], XL=2[Ω]
정답 : [
1
] 정답률 : 42%
65.
어느 회로의 전압과 전류가 각각 e=50sin(wt+θ)[V], i=4sin(wt+θ-30°)[A]일 때, 무효전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