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차광렌즈(Welding lens)의 차광능력의 등급을 차광도 번호라 한다. 100A 이상 300A 미만의 아크 용접 및 절단 등에 쓰이는 차광도 번호는 얼마인가?
1.
4 - 5
2.
7 - 8
3.
10 - 12
4.
14 - 15
정답 : [
3
] 정답률 : 89%
8.
가스절단 결과의 판정은 다음 사항을 중요시 하는 데,그 중 틀린 사항은?
1.
드래그가 일정할 것
2.
절단면의 윗 모서리가 예리할 것
3.
슬래그의 이탈성이 나쁠 것
4.
절단면이 깨끗하며 드래그 흠이 없을 것
정답 : [
3
] 정답률 : 91%
9.
잠호용접(SAW)용 용제(Flux)의 역할을 열거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용착금속의 탈산작용
2.
전류이행 능력의 향상
3.
용접후 슬래그의 이탈성 향상
4.
합금원소의 첨가
정답 : [
2
] 정답률 : 54%
10.
MIG용접에서 용융금속의 이행 형태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류의 형태와 크기
2.
전류밀도
3.
용접봉의 성분
4.
용접자세
정답 : [
4
] 정답률 : 69%
11.
MIG용접에서 아크의 자기제어를 위해 주로 많이 사용되는 전원특성은?
1.
정전압특성
2.
정저항특성
3.
수하특성
4.
역극성
정답 : [
1
] 정답률 : 65%
12.
이산화탄산가스(CO2 gas) 아크용접에서 복합 와이어 (combined wire)중 와이어가 노즐(nozzle)을 나온 부분에, 자성 플럭스(magnetic powder flux)가 부착하는 형태의 용접법은?
1.
유니온 아크법(union arc process)
2.
아코스 아크법(arcos arc process)
3.
휴스 아크 CO2법(fus arc CO2 process)
4.
NCG법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자성을 가진 용제를 탄산가스 기류에 송급하는 방법을 유니온 아크 용접법이라고 하는데, 아크가 발생하여와이어에 전류가 흐르면 와이어 주위에 자장이 형성되고 이로인해 용제(Flux)가 자성화(磁性化)되어 와이어에 흡착되어 마치 피복용접봉 같은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이 방법을 자성플럭스방법 이라고도 한다. 플럭스를 사용하면 슬랙이 발생하게된다. [해설작성자 : 주동글]
13.
플럭스 코어 아크용접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전류가 적정 범위 내에서 증가함에 따라 비드 높이는 높아지고 비드 폭은 넓어진다.
2.
아크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용접비드 높이는 납작하고 폭은 넓어지게 된다.
3.
용접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드 높이는 낮아지고 비드 폭은 증가한다.
4.
노즐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또한 비드의 높이와 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14.
플라스마(plasma)를 구성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양이온 (positive ions)
2.
중성자 (neutral atoms)
3.
음전자 (negative electrons)
4.
양전자 (positive electrons)
정답 : [
4
] 정답률 : 63%
15.
다음 용접과정중 고진공 용기(Vacuum Chamber) 속에서 수행되는 용접은?
1.
플라즈마 아크용접
2.
엘렉트로 슬랙용접
3.
전자비임 용접
4.
마찰용접
정답 : [
3
] 정답률 : 70%
16.
일렉트로 슬래그(ELECTRO SLAG) 용접에서 용접 조건이 모재의 용입 깊이에 미치는 영향 중 맞게 설명한 것은?
1.
용접속도가 빠르면 용입이 깊어진다.
2.
플럭스(FLUX)의 전기전도성이 크면 용입이 깊어진다.
3.
용접 전압이 높으면 용입이 깊어진다.
4.
용접 전압이 낮으면 용입이 깊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17.
테르밋 용접(thermit welding)에서 테르밋은 무엇의 혼합물인가?
1.
붕사와 붕산의 분말
2.
알루미늄과 산화철의 분말
3.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의 분말
4.
규소와 납의 분말
정답 : [
2
] 정답률 : 84%
18.
다음중 원자수소 용접에 이용되는 용접열은 얼마나 되는 가?
1.
2000 - 3000℃
2.
3000 - 4000℃
3.
4000 - 5000℃
4.
5000 - 6000℃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개의 텅스텐 전극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키고 홀더 노즐에서 수소가스 유출시 열해리를 일으켜 발생되는 발생열(3000~4000°C)로 용접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주동글]
*결과적으로 보기는 모두 용접성에 영향을 주게됩니다 정답은 무엇일까요? 2번입니다 열전도도와 열전도율의 개념이 유사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열전도도란 물체의 고유한 성질로 높은 열전도도를 가진 물체일수록 열에너지를 더 잘 전달합니다 열전도율이란 구체적인 크기와 모양을 가진 물체가 실제로 열을 전달하는 정도를 뜻합니다 즉, 열전도도가 같은 물질로 만든 물체라도 크기와 모양이 달라지면 실제 열전도율은 달라집니다 때문에 용접성에는 열전도도가 영향을 미치는것이 아닌 열전도율이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재질의 3T와 9T의 모재는 녹는점은 분명 같지만 용접할때 3T는 빨리열받아 금방 녹고 9T는 열이 천천히 퍼져 충분히 열을 가해야 하는 이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주동글]
24.
승용차의 차체(Chassis, 샤시)에 고장력 강을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고장력강의 필요성은 무엇이 주요한 이유인가?
1.
연강과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2.
부식에 견디는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3.
소성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4.
외관이 미려하기 때문에
정답 : [
1
] 정답률 : 75%
25.
용접부에 생기는 잔류응력을 없애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1.
담금질을 한다.
2.
뜨임을 한다.
3.
불림을 한다.
4.
풀림을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 저온응력완화법 - 용접선 양측을 가스 불꽃에 의해 너비 150mm를 150∼200˚C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로 가열한 ... 기계적응력완화법 - 잔류응력이 있는 제품에 하중을 주어 용접부에 약간의 소성 변형을 일으킨 다음 하중을 제거 피닝법 노내풀림법 국부풀림법 [해설작성자 : 주동글]
26.
가열로 안에서 강선재를 900 - 1000℃로 급속히 가열하고 연욕노(鉛浴爐,lead bath)를 통과시켜 380 - 550℃에서 항온변태를 일으키게 하여 소르바이트(Sorbite)나 미세펄 라이트(fine pearlite)조직으로 하는, 일반 연강재료에 대하여 처리하는 방법은?
1.
템퍼링
2.
노멀라이징
3.
패턴팅
4.
어닐링
정답 : [
3
] 정답률 : 45%
27.
풀림(annealing)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단조,주조,기계가공에서 생긴 내부 응력 제거
2.
가공 또는 공작에서 경화된 재료의 연화
3.
금속 결정입자의 조대화
4.
열처리로 인하여 경화된 재료의 연화
정답 : [
3
] 정답률 : 72%
28.
두께가 각기 다른 여러가지 용접물을 노(爐)내에서 응력제거 열처리를 하고자 한다. 열처리 방법중 알맞는 것은?
1.
가장 두꺼운 용접물을 기준으로 열처리 시간을 정한다.
2.
용접물의 평균 두께를 측정하여 열처리 시간을 정한다.
3.
두께별로 분류하여 2단계(2 step method)로 열처리 한다.
4.
두께가 1 [inch] 이상 차이나는 것은 분류하여 따로 열처리 하도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29.
다음 그림과 같이 맞대기 용접하였을 경우 인장하중 P = 4800[㎏f]에 대하여 용접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몇 [kgf/㎜2]인가?
1.
1.08
2.
10.81
3.
100.81
4.
1000.81
정답 : [
1
] 정답률 : 60%
30.
맞대기 용접의 강도계산은 어느 부분을 기준으로 정하여 행하는가?
1.
다리길이
2.
목두께
3.
루트간격
4.
홈깊이
정답 : [
2
] 정답률 : 74%
31.
그림에서 필릿 용접 이음이 아닌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 : [
3
] 정답률 : 80%
32.
용접 순서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조물의 중앙에서 부터 용접을 시작한다.
2.
대칭으로 용접을 진행한다.
3.
수축이 적은 이음부를 먼저 용접한다.
4.
수축은 가능한 한 자유단으로 보낸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33.
지그와 고정구(Fixture)의 역할이 되지 못하는 것은?
1.
구조물이나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며,고정과 분리가 단순해야 한다.
2.
구조물이나 부재의 지지,고정 또는 안내를 정확히 해야 한다.
3.
주어진 한계 내에서 정밀도를 유지한 제품이 제작될 수 있어야 한다.
4.
기존 기계장비의 사용을 최초로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34.
용접전에 용접부의 예열을 시키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급냉되면 용접부와 그 열영향부가 취약해지고 경도가 약해지므로 경도를 높여주기 위해서이다.
2.
용접부와 열영향부의 수축응력을 감소시켜 주기 위해서이다.
3.
용접부와 열영향부의 연성을 높여주기 위해서이다.
4.
용착금속중의 수소성분이 달아날 시간을 주어 비드밑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35.
용접할 경우 일어나는 균열 결함 현상에서 저온 균열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은?
1.
Crater Crack
2.
Bead Crack
3.
Root Crack
4.
Hot tear Crack
정답 : [
4
] 정답률 : 61%
36.
용접의 기공(氣孔)방지 대책에 대해 옳게 서술한 것은?
1.
적정 아크 길이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2.
개선면에 다소의 녹이 붙어 있어도 용접전류를 크게 해서 가스를 부상시킨다.
3.
아크 길이를 길게 해서 용접하면 가스는 부상이 쉽게 되어 좋다.
4.
용재에 있는 다소의 습기는 용접입열을 크게 해서 용접하면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37.
다음 중 선박건조시 자주 사용되지 않은 용접법은?
1.
플러그 용접
2.
맞대기 용접
3.
겹치기 용접
4.
T 이음 용접
정답 : [
1
] 정답률 : 73%
38.
각종 금속의 용접에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보통 사용되지 않는 재료는?
1.
고니켈합금
2.
저탄소강
3.
순철
4.
가단주철
정답 : [
4
] 정답률 : 58%
39.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1.
용접입열이 일정한 경우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것일수록 냉각속도가 크다.
2.
수축이 작은 이음과 수축이 큰 이음을 용접할 때는 수축이 작은 이음부터 용접한다.
3.
모재의 두께 및 탄소 당량이 같은 재료에서는 E4301을 사용하면 E4316을 사용할 때보다 예열온도가 낮아도 좋다.
4.
합금원소가 많아져서 탄소당량이 커지든지 판이 두꺼워지면 용접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예열온도를 높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40.
열영향부(HAZ)의 재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1.
용접부의 예열과 후열
2.
특수용가재 사용
3.
용접부 피닝
4.
특수플럭스(용제) 사용
정답 : [
1
] 정답률 : 80%
41.
다음은 아크 에어가우징(Arc air gouging)과 가스가우징을 비교한 작업 능률이다. 아크 에어가우징은?
1.
작업 능률이 가스가우징과 대략 동일하다.
2.
작업 능률이 가스가우징 보다 1.5배이다.
3.
작업 능률이 가스가우징 보다 2 - 3배이다.
4.
작업 능률이 가스가우징 보다 4 - 6배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42.
용접부의 기계적 시험법을 동적 시험법 및 정적 시험법으로 분류할 때, 동적 시험법에 해당되는 것은?
1.
인장시험
2.
굽힘시험
3.
피로시험
4.
경도시험
정답 : [
3
] 정답률 : 61%
43.
겹치기 이음의 비이드 밑 균열시험에 주로 사용하는 시험법으로 열적 구속도 균열 시험법이라고도 한다. 이 시험법은?
1.
피스코 균열시험
2.
리하이형 구속 균열시험
3.
CTS 균열시험
4.
킨젤시험
정답 : [
3
] 정답률 : 73%
44.
비자성인 금속재료로 철구조물을 제작하였다. 여기에 사용할 수 없는 검사방법은?
1.
침투검사
2.
맴돌이 전류검사
3.
자분검사
4.
방사선 투과검사
정답 : [
3
] 정답률 : 69%
45.
용접 변형 교정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얇은 판에 대한 점 수축법
2.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
3.
국부 템퍼링법
4.
가열한 후 해머링하는 방법
정답 : [
3
] 정답률 : 75%
46.
강재의 표면에 균열, 주름등의 결함이나, 탈탄층 등을 불꽃 가공에 의해 비교적 얇고 넓게 제거하는 방식의 가공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