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2) 광택 금속은 빛의 반사성이 우수하고 고유의 색깔을 가진다. 순금은 노란색이고, 순구리는 붉은 노란색이며, 알루미늄은 흰색이다. 대부분의 금속은 은백색을 띠지만 금속 가루는 대개 회색이나 검은색을 띤다.
5)전도도 일반적으로 금속은 전기 및 열의 전도도가 우수하다. 전기 전도도는 은(Ag), 구리(Cu), 금(Au),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순이다.
6)경도 금속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개 금속은 경도가 높다. ● 경도가 낮은 금속 : 금, 은, 아연, 납 등 ● 경도가 높은 금속 : 크롬, 철, 코발트 등 [해설작성자 : 용접 해설가]
예열의 목적은 주로 저온균열이 일어나기 쉬운 재료에 대하여 용접전에 피용접물 전체 또는 이음부 부근의 온도를 올리고 용접하여 용접부의 냉각 속도를 늦추어 열영향부의 경도를 낮추고 인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수소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저온균열을 방지하며, 또한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고 경화조직의 석출을 방지시키며, 변형과 잔류응력의 완화에도 큰 목적을 가집니다. [해설작성자 : 용접해설자]
용접부에 예열을 해도 용착금속의 경도는 증가하지 않는다.
3.
Fe-C계 평형 상태도에서 체심입방격자인 α철이 A3점에서 γ철인 면심입방격자로, A4점에서 다시 δ철인 체심입방격자로 구조가 바뀌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편석
2.
자기 변태
3.
동소 변태
4.
금속간화합물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동인한 원소 내에서 온도 변화에 따라 원자 배열이 바뀌는 현상이다.
4.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한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을 표시하는 것은?
1.
SS275
2.
SM275A
3.
SGT275
4.
STWW290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SGT :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SS :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SM275A :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TWW:상수도용 도복장 강관
5.
다음 원소 중 적열취성의 원인이 되는 것은?
1.
C
2.
H
3.
P
4.
S
정답 : [
4
] 정답률 : 83%
6.
연강류 제품을 용접한 후 노내 풀림법을 이용하여 용접 후 처리를 하려고 한다. 이때 제품을 노 내에서 출입시키는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300℃ 이하
2.
400℃ 이하
3.
500℃ 이하
4.
600℃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SR (625℃ ± 25℃ 응력제거 풀림처리 한 것) NSR (응력제거 하지 않은 봉)
노내 풀림법: 제품전체를 가열로 안에서 처리, 300℃부근이 가장 높다 그러므로 답 1번. [해설작성자 : 재대로 알고 해설 달자 ㅡㅡ]
노내 풀림법: 가열 노 내부의 유지온도는 625°C 정도이며 노에 넣을 때나 꺼낼 때의 온도는 300°C 정도로 한다.
7.
황동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자연균열
2.
시효경화
3.
탈아연 부식
4.
고온 탈아연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황동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성질 -자연균열 -탈아연부식 -경년변화 -저온풀림경화 [해설작성자 : 해군 박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