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께가 3㎜이고, 직경이 30㎜인 제품의 블랭킹 가공을 하기 위한 펀치와 다이의 직경은? (단, 소재의 편측 클리어런스는 4%이다.)
1.
펀치직경 : 29.76㎜, 다이직경 : 30㎜
2.
펀치직경 : 29.88㎜, 다이직경 : 30㎜
3.
펀치직경 : 30㎜, 다이직경 : 29.76㎜
4.
펀치직경 : 30㎜, 다이직경 : 29.88㎜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클리어런스는 블랭킹 금형은 펀치에 적용, 피어싱 금형은 다이에 적용 C = (D-d / 2t) × 100 (C : 클리어런스 , D : 다이의 지름 , t : 소재의 두께, d : 펀치의 지름) 4 = {(30 - χ) / 2ㆍ3} × 100 χ = 29.76
13.
두께 1.8mm의 연강판을 사용하여 지름 38㎜의 구멍을 피어싱 가공할 경우 소요되는 전단력(kgf)은 약 얼마인가? (단, 전단하중은 40kgf/mm2 이다.)
1.
4798.5
2.
8595.4
3.
12893.6
4.
17691.2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P = Kㆍℓㆍtㆍτ (K : 보정계수,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Dㆍπ)ㆍtㆍτ = 38ㆍ3.141592ㆍ1.8ㆍ40 = 8595.395712
14.
소요 공정 수에 상당하는 대수의 프레스 기계를 병렬로 배치한 프레스 라인을 통해 가공제품을 전자동으로 이송하여 각 기계간에 흐르게 하는 방법은?
1.
조립 가공
2.
트랜스퍼 가공
3.
파인블랭킹 가공
4.
프로그레시브 가공
정답 : [
2
] 정답률 : 78%
15.
용기 또는 판재에 장식, 보강, 변형제거의 목적으로 끈 모양의 돌출부를 내는 가공은?
1.
비딩(beading)
2.
벌징(bulging)
3.
시밍(seaming)
4.
사이징(sizing)
정답 : [
1
] 정답률 : 74%
16.
두께 1㎜, 지름 100㎜의 원형 소재를 가지고 지름 40㎜의 원통컵을 만들고자 할 때 필요한 드로잉 공정 수는? (단, 초기 드로잉률은 0.55, 2공정 이후의 재드로잉률은 0.8로 계산)
1.
1공정
2.
2공정
3.
3공정
4.
4공정
정답 : [
3
] 정답률 : 65%
17.
다음 금형 부품 중 가공 압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 방지를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반드시 열처리를 해야 하는 부품은?
1.
다이홀더
2.
펀치홀더
3.
펀치 고정판
4.
다이플레이트
정답 : [
4
] 정답률 : 75%
18.
프레스 기계의 점검 사항 내용이 아닌 것은?
1.
클러치의 동작 상태
2.
안전장치의 동작 상태
3.
램의 섕크 고정볼트 조임 상태
4.
가이드 핀과 부시의 슬라이딩 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83%
19.
프로그레시브 금형가공에서 캐리어(carrier)의 가장 큰 역할로 적합한 것은?
1.
소재 잔폭을 결정한다.
2.
재료의 이용률을 높게 한다.
3.
블랭크의 이빠짐 현상을 방지한다.
4.
반 가공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정확하게 운송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20.
가동식 스트리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펀치를 고정시킨다.
2.
가공한 제품의 거스러미가 적다.
3.
펀치가 소재에 박힐 때까지 안내한다.
4.
스트립을 누르면서 가공하기 때문에 제품이 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2과목 : 기계제작법
21.
주형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주물사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반복 사용하여도 노화하지 않을 것
2.
용탕의 압력에 견딜 만한 고온 강도
3.
용탕의 온도에 견딜 만한 내화 온도
4.
용탕에서 나오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주물사의 구비조건 ① 주형제작이 용이하게 성형성이 있어야 한다. ② 고온의 용융금속과 접하여도 화학적 변화가 생기지 않아야 한다. ③ 고온의 용융금속에 녹지 않는 내열성이 있어야 한다. ④ 금속이 녹으면 많은 가스를 흡수하고, 응고할 때에는 그 가스를 발산한다. 이 가스를 주형으로부터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⑤ 열이 잘 전달하지 않는 보온성이 있어야 한다. ⑥ 쉽게 노화되지 않고 재활용하여 사용 할 수 있는 복원성이 있어야 한다. ⑦ 값이 싸고, 구입하기 쉬워야 한다. ⑧ 적당한 입도(1인지를 나눈 숫자) 를 가져야 한다. ⑨ 무거운 용융그속을 잘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⑩ 주물의 표면으로부터 모래의 이탈이 쉽고, 표면이 깨끗하여야 한다.
22.
합금 주철에 첨가되는 원소의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크롬은 경도, 내열성, 내부식성이 증가한다.
2.
니켈은 얇은 부분은 칠(chill)발생을 방지한다.
3.
몰리브덴은 흑연화를 방지하며, 경도를 증가시킨다.
4.
바나듐은 흑연을 조대화시키고, 흑연화를 촉진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23.
드로잉(drawing)시 역장력을 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이 수명이 증가된다.
2.
드로잉 저항이 감소된다.
3.
다이면에 발생되는 압력이 증가된다.
4.
가공된 제품의 기계적 성질이 좋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24.
절삭 작업에서 절삭저향력이 300kgf, 절삭속도가 75m/min일 때 절삭동력은 몇 PS인가?
강을 A3 ~ Acm 변태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조직을 변화시킨 후 공랭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뜨임
2.
불림
3.
질화법
4.
침탄법
정답 : [
2
] 정답률 : 66%
30.
교류아크 용접기에서 효율(%)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8%
31.
절삭저항을 3분력 중 주분력 P1, 이송분력 P2, 배분력 P3일 때 크기 비교가 옳은 것은? (단, 공구는 초경바이트 피삭재는 저탄소강, 절삭 깊이는 노즈 반지름 이내로 가공할 때이다.)
1.
P1 > P2 > P3
2.
P1 > P3 > P2
3.
P3 > P1 > P2
4.
P3 > P2 > P1
정답 : [
2
] 정답률 : 73%
32.
용접이음의 안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시공조건
2.
재료의 용접성
3.
용접사의 심리상태
4.
구조상의 노치부 회피
정답 : [
3
] 정답률 : 83%
33.
절삭공구 재료 중 다이아몬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장시간 고속 절삭이 가능하다.
2.
날 끝이 손상되면 재가공이 어렵다.
3.
금속에 대한 마찰계수 및 마모율이 크다.
4.
표면 거칠기가 우수한 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34.
래핑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정밀도가 높은 제품을 얻을 수 있다.
2.
가공면은 윤활성 및 내마모성이 좋다.
3.
가공이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4.
먼지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하기 쉽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35.
전해연마 가공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다.
2.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연마가 가능하다.
3.
가공 변질층이 있고 평활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4.
연질의 알루미늄, 구리 등도 쉽게 광택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36.
다이 내의 테이퍼 구멍으로 소재를 잡아당겨서 테이퍼 구멍과 동일한 단면의 봉재, 관재, 선재를 제작하는 가공방법은?
1.
압연
2.
압출
3.
인발
4.
전조
정답 : [
3
] 정답률 : 77%
37.
사인바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 각도는?
1.
15도
2.
25도
3.
35도
4.
45도
정답 : [
4
] 정답률 : 82%
38.
선반에서 절삭에 필요한 전 소비동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손실동력
2.
이송동력
3.
회전동력
4.
유효절삭동력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전소비동력 = 유효절삭동력 + 이송동력 + 손실동력
39.
선반에서 경사면 위를 연속적으로 흘러 나가는 모양의 칩이 발생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경사각이 클 때
2.
절삭속도가 빠를 때
3.
절삭깊이가 많을 때
4.
윤활성이 좋은 절삭제를 사용할 때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유동형칩 : 연속하여 긴 칩이 흐르는 것처럼 나오는 형태를 말하며, 표면은 한결같고 두께는 일정. ※ 유동형칩 발생원인 ① 절삭속도가 클 때 ② 바이트 경사각이 클 때 ③ 연강, Al등 점성이 있고 연한 재질일 때 ④ 절삭 깊이가 낮을 때 ⑤ 윤활성이 좋은 절삭제의 공급이 많을 때
40.
알루미늄 합금과 마그네슘 합금 등의 주조에 주로 사용하나, 금형의 선택 조건이 까다롭고 비싸므로 대량 생산에 주로 이용되는 주조법은?
1.
원심 주조법
2.
칠드 주조법
3.
다이캐스팅법
4.
셀 몰드 주조법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① 원심 주조법 : 원통의 주형을 300~3000rpm 으로 회전시키면서 용융금속을 주입하면 원심력에 의해 용융금속은 주형의 내면에 압착응고하게 되고, 이와 같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치밀하고 결함이 없는 주물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 ② 칠드 주조법 : 사형과 열전도율이 큰 금형으로 주형을 완성하여 주조하는 것으로 특별한 기계적 성질을 가진 주철주물을 얻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금형에 의하여 급랭되는 표면부분은 탄소가 흑연으로 석출하지 못하고 탄화철이 되면서 백선조직의 백주철이 된다. 표면은 경하고 내부는 회주철의 연질조직이 된다. ③ 다이캐스팅법 : 정밀한 금형에 용융금속을 고압, 고속으로 주입하여 정밀하고 표면이 깨끗한 주물을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얻는 주조 방법이다. 주물재료는, Al 합금, Zn합금, Cu,합금, Mg 합금과 같은 저융점 함금 등이며, 자동차 부품, 전기기기, 통신기기용품, 일용품 등 소형 제품의 대량 생산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④ 셀 몰드 주조법 : 규소 모래와 열경화성의 합성수지를 배합한 분말을 가열된 금형에 뿌려 주형을 만들고 주형을 신속히 다량 생산할 수 있다.
<문제 해설> ※ 크리프 : 재료에 일정하중을 주고 고온에서 일정시간 유지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현량이 증가하는 현상 1단계 : 초기 크리프 : 변형경화 > 연화작용 되어 변형속도가 감소하는 단계 2단계 : 정상 크리프 : 변형이 증가하면서 경화작용이 진행하여 크리프 속도가 일정하게 진행되는 단계 3단계 : 가속 크리프 : 경화작용은 거의 없고 연화 작용만이 크게되어 속도가 증가되면서 파단에 이르는 단계
44.
일반구조용강에서 청열취성이 원인이 되는 고용 성분은?
1.
N
2.
V
3.
Al
4.
Nb
정답 : [
1
] 정답률 : 73%
4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부식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현상은?
1.
공식 발생을 일으키는 주요 이온은 Cl-, F-, Br-이다.
2.
고온(1000~1150℃)에서 가열 후 급냉하면 입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3.
공식 발생 대책은 재료 중에 C를 많게 하거나 Ni, Cr, Mo, I, N 등을 적게 한다.
4.
입계부식의 방지대책은 C 와의 친화력이 Cr보다 큰 Ti, Nb, Ta을 첨가해서 안정화 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46.
아연(Zn)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융점은 약 420℃ 이다.
2.
고온의 증기압이 높다.
3.
상온에서 면심입방격자이다.
4.
일반적으로 25℃에서 밀도는 약 7.13g/cm3 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47.
다음의 강재 중 탄소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SKH51
2.
SM15C
3.
SCr415
4.
SNCM220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① SKH51 : 0.80~0.88% ② SM15C : 0.15% ③ SCr415 : 0.13~0.18% ④ SNCM220 : 0.17~0.23%
<문제 해설> ※ 분말야금의 특징 ① 기계가공을 생략할수 있다. ② 제조과정에서 융점까지 온도를 올릴 필요가 없다. ③ 융해법으로 만들수 있는 합금을 만들 수있다. ④ 다공질의 금속재료를 만들수 있다. ⑤ 대량 생산시 경제적이다. ⑥ 좋은 표면 상태를 얻을 수있다. ⑦ 매 LOT마다 형태의 치수가 일정하다. ⑧ 소결강에서는 표면경화, 열처리, 수증기 처리가 가능
52.
다음 중 항온열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마퀘칭(Marquenching)
2.
마템퍼링(Martempering)
3.
인상 담금질(Time quenching)
4.
오스템퍼링(Austempering)
정답 : [
3
] 정답률 : 77%
53.
모넬 메탈(Monel metal)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Ni에 Al을 첨가하여 주조성을 높인 합금이다.
2.
일명 백동이라 하며 가공성과 절삭성을 개선한 합금이다.
3.
Ni(60~70%)에 Cu 를 첨가하여 내식성,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합금이다.
4.
R - monel은 소량의 Si 를 넣어 강도를 향상시키고 절삭성을 저하한 합금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모넬 메탈 : 구리와 니켈로 이루어진 합금의 하나. 60~75%의 니켈과 26~30%의 구리 및 소량의 철, 망가니즈, 규소 따위가 들어 있는 자연 합금으로, 내식성과 높은 온도에서 강도가 높아 각종 화학 기계, 열기관, 터빈 날개 따위에 쓰인다 ※ R모넬 : 소량의 황(0.025~0.06%)을 첨가하여 강도를 저하&절삭성을 개선하였다.
54.
금속의 강화기구 중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고용강화
2.
가공경화
3.
분산강화
4.
결정립미세화강화
정답 : [
4
] 정답률 : 78%
55.
다음 중 주철을 접종처리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기지조직을 조대화 하기 위해서
2.
흑연형상의 개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주철에서 chill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4.
결정의 핵생성을 촉진하고 조직 및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답 : [
4
] 정답률 : 66%
56.
Al-Cu-Si계 합금으로 Si 에 의하여 주조성을 개선하고, Cu 에 의해 피삭성을 좋게 한 합금의 명칭은?
1.
라우탈(Lautal)
2.
슈퍼인바(Superinvar)
3.
문쯔메탈(Muntz metal)
4.
하이드로날륨(Hydronalium)
정답 : [
1
] 정답률 : 74%
57.
6:4황동에 주석을 첨가한 것으로 판ㆍ봉 등으로 가공되어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
1.
델타 메탈(delta metal)
2.
네이벌 브라스(navel brass)
3.
두라나 메탈(durana metal)
4.
애드미럴티 메탈(admiralty metal)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① 델타메탈 : 철황동, 6.4황동에 Fe 1~2% 첨가. 강도, 내식성 우수(광산, 선박, 화학 기계에 사용) ② 네이벌 황동 : 6.4황동에 Sn 1%첨가한 것이며, 내해수성이 강해 선박 기계에 사용. ③ 두라나 메탈 : 7.3황동에 Fe1~2% 첨가시킨 황동 ④ 에드미럴티 황동 : 7.3황동에 Sn1%를 첨가한 것이며, 콘덴서 튜브에 사용
58.
강을 열간가공한 후 냉간 가공하여 제품의 치수조절, 표면 마무리 면을 아름답게 하거나 가공 경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간가공은 잔류응력이 압축응력일 때 피로강도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2.
청열취성온도 영역에서 온간가공하면 전위밀도의 증가에 따라 강도가 상승한다.
3.
적층결함에너지가 낮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에서 경화현상이 현저하다.
4.
항복점 연신을 나타내는 강을 항복점 이상으로 냉간가공하면 항복점과 항복연신이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59.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C) 함량은 약 몇 %인가?
1.
0.027wt%C
2.
0.8wt%C
3.
2.0wt%C
4.
6.67wt%C
정답 : [
3
] 정답률 : 74%
60.
강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쇼트 피이닝(shot peening)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강재의 피로한도(fatigue limit)를 높여 준다.
2.
쇼트피이닝은 강재의 화학조성을 변화시키는 표면 경화법이다.
3.
크랭크 축(crank shaft), 각종 기어, 스프링등의 부품에 이용된다.
4.
강재의 표면경도를 높게 하고 표면층에 압축응력을 존재하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61.
측정에서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확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우연오차에 의한 것이고, 정밀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계통적 오차에 의한 것이다.
2.
측정에 있어서는 정확도와 정밀도의 양쪽을 포함한 것 또는 그 어느 쪽을 지적하여 정도라 한다.
3.
정확도는 한쪽으로 치우침이 작은 정도를 말하며, 정밀도는 흩어짐이 작은 정도를 말한다.
4.
양적인 표시에 대해서 정확도는 모평균에서 참값을 뺀 값으로 표시하고 정밀도는 모표준편차 값으로 표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62.
20℃에서 50.000인 게이지 블록을 손으로 잡아서 30℃가 되었다면, 이 때의 게이지 블록 치수는 약 몇 ㎜ 인가? (단, 게이지 블록의 선팽창계수 α = 11.1 x 10-5/℃ 한다.)
1.
50.006
2.
50.012
3.
50.056
4.
50.082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50.000 × 11.1 × 10^-5 = 0.0055
0.0055 × 10 = 0.055
63.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 거칠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Ra
2.
Rmax
3.
Rz
4.
Rq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 KS에서 표면 거칠기의 측정방법 ①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② 최대높이 거칠기 (Rmax) ③ 10점 평균 거칠기 (Rz)
[추가 오류 신고]
※ 정답 오류신고 ※ 정답 4번입니다.
64.
다음 중 3차원 측정기의 사용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능률의 향상
2.
측정값의 불안정성
3.
피로의 경감
4.
데이터 정리의 자동화
정답 : [
2
] 정답률 : 84%
65.
다음 중 간접 측정에 속하는 것은?
1.
하이트 마이크로미터에 의한 금형부품의 높이 측정
2.
삼점식 내측마이크로미터에 의한 내경의 측정
3.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한 외경의 측정
4.
3침에 의한 나사 유효지름 측정
정답 : [
4
] 정답률 : 82%
66.
다음 중 한계 게이지에 의한 검사로 불합격된 부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통과쪽이 불합격인 축의 경우는 허용치수보다 크기 때문이다.
2.
통과쪽이 불합격인 구멍의 경우는 허용치수보다 작기 때문이다.
3.
통과쪽이 불합격인 제품은 모두 재가공이 불가능한 것들이다.
4.
정지쪽이 불합격인 축의 경우는 허용치수보다 작기 때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67.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기의 검출, 확대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기계식
2.
광학식
3.
전기식
4.
베어링식
정답 : [
4
] 정답률 : 79%
68.
그린 도형에 대해 같은 중심으로 공유해서 도형의 내측에 접하는 원과 외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지름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진원도 측정 방식은?
1.
최소자승 중심법
2.
최소외접 중심법
3.
최대내접 중심법
4.
최소영역 중심법
정답 : [
4
] 정답률 : 69%
69.
투영기의 투영배율이 20X일 때, 10㎛ 까지 읽을 수 있다면, 투영배율이 50X 때는 몇 ㎛ 까지 읽을 수 있는가?
1.
3
2.
4
3.
5
4.
6
정답 : [
2
] 정답률 : 73%
70.
그림과 같은 300㎜의 게이지 블록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에어리 점(airy point) a 의 값은 약 몇 ㎜ 인가?
1.
63.39
2.
66.09
3.
68.96
4.
71.58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에어리점(airy point) : 눈금이 중립면에 없는 경우 및 블록게이지와 같은 단도기를 지지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고 처음 평행한 2개의 단면이 굽힘 후에도 평행하게 되는 방법으로 길이의 오차도 작다.
a = 0.2113 × L = 0.2113 × 300 = 63.39
71.
3차원 측정기에서 사용하는 리니어 엔코더(linear encoder)의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로터리식
2.
광전식
3.
전자 유도식
4.
마그네틱 스케일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72%
72.
다음 중 한계게이지 설계가 옳지 않는 것은?
1.
구멍의 통과측 = 구멍의 최소치수 + 마모여유 ± (게이지 제작공차/2)
2.
구멍의 정지측 = 구멍의 최대치수 ± (게이지 제작공차/2)
3.
축의 통과측 = 축의 최대치수 - 마모여유 ± (게이지 제작공차/2)
4.
축의 정지측 = 축의 최대치수 ± (게이지 제작공차/2)
정답 : [
4
] 정답률 : 62%
73.
구면계를 이용하여 곡면을 측정하고자 할 때, 측정자로부터 고정다리(엔빌)까지의 길이(r)는 15.000㎜, 평면 위의 읽음과 피 측정물 위의 읽음값의 차(높이, h)는 2.500㎜ 였다면 곡률반경 R은 약 몇 mm 인가? (단, L의 단위는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