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석의 흡인력은 공극(air gap)의 자속밀도를 B라 할때 다음의 어느 것에 비례하는가?
가.
B
나.
B0.5
다.
B1.6
라.
B2.0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전자력 = 1/2*BH = 1/2*B^2/u [해설작성자 : 공부중]
6.
그림과 같이 평행한 두 개의 무한 직선 도선에 전류가 각각 I, 2I인 전류가 흐른다. 두 도선 사이의 점 P에서 자계의 세기가 0이다. 이 때 a/b 는?
가.
4
나.
2
다.
1/2
라.
1/4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a=9x10^9xI/x^2
b=9x10^9x2I/x^2
a=1 b=2 a/b=1/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무한 직선 도선의 자계의 세기 H=I/2πr H∝I/r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자계의 세기=벡터량> 크기와 방향이 존재 자계가 0 이 되려면 자계의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한다 자계의 방향은 앙페어의 오른나사 법칙을 이용한다 > 직선도체로 I(1)번에 의한 자계의 방향과 2i에 의한 자계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 i(1): 들어가는 방향 2i: 나가는 방향) 자계의 크기가 서로 같았야된다 I(1):i/2파이*a = 2i : 2i/2파이*b > 각 식에 2파이를 곱하여 정리 > a/b =1/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감자율(Demagnetization factor)이 “0”인 자성체로 가장 알맞은 것은?
가.
환상 솔레노이드
나.
굵고 짧은 막대 자성체
다.
가늘고 긴 막대 자성체
라.
가늘고 짧은 막대 자성체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감자력은 자성체 내부에서 생기는데 환상 솔레노이드는 내부 자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감자율이 0이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
질량이 m(kg)인 작은 물체가 전하 Q(C)를 가지고 중력방향과 직각인 무한도체평면 아래쪽 d(m)의 거리에 놓여있다. 정전력이 중력과 같게 되는데 Q(C)의 크기는?
기전력 공식이 e = -L di/dt 가 맞구요 인덕턴스(L) 양의 값만 갖는 특성 때문에 헷갈려 하실수도 있을 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언어의 맙소사]
[오류신고 반론] 쉽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문제에서 L:0.5 , S: 1/200 초 I:25A에서 20A로 감소, 기전력 크기와 방향은 ? - 5 <- (25A에서 20A로 감소했으므로 변화량은 -5A) 공식대입 E = -0.5 * ───── = 500V (부호는 플러스 이므로 전류와 같은방향) 1/ 200 [해설작성자 : 21년 3회 전산기 첫도전]
[오류신고 반론] 렌츠의 전자유도법칙에 보면 "유도 기전력의 방향은 쇄교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수식의 값은 항상 음의 값이 나오기에 크기를 알기 위해서 마이너스가 붙습니다. 결과적으로 e[V] > 0 의 값이 나오면 인가된 전류와 같은 방향이 되며 e[V] < 0 의 값이 나오면 인가된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안알랴줌]
11.
어느 점전하에 의하여 생기는 전위를 처음 전위의 1/2이 되게 하려면 전하로부터의 거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
1/2로 감소시킨다.
나.
1/√2로 감소시킨다.
다.
2배 증가시킨다.
라.
1/√2배 증가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점전하에서 E -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V - 거리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공부중]
12.
자계의 세기를 표시하는 단위가 아닌 것은?
가.
A/m
나.
Wb/m
다.
N/Wb
라.
AT/m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Wb/m (x) Wb/m^2 (o) [해설작성자 : 간단한 해석법]
H=NI/l (AT/m=A/m) F=mH (N)식을 이용해 H=F/m (N/wb) [해설작성자 : jworg]
13.
그림과 같이 면적 S(m2), 간격 d(m)인 극판간에 유전율 ε, 저항률 ρ인 매질을 채웠을 때 극판간의 정전용량 C와 저항 R의 관계는? (단, 전극판의 저항률은 매우 작은 것으로 한다.)
가.
나.
다.
R=ερC
라.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RC= 로우(ρ)입실론(ε) [해설작성자 : 예차니]
14.
점전하 Q(c)와 무한평면도체에 대한 영상전하는?
가.
Q(C)와 같다.
나.
-Q(C)와 같다.
다.
Q(C)보다 크다.
라.
Q(C)보다 작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15.
전계의 세기 E, 자계의 세기가 H일 때 포인팅 벡터(P)는?
가.
P=E× H
나.
P=1/2E× H
다.
P=H curl E
라.
P=E curl H
정답 : [
1
] 정답률 : 87%
16.
철심환의 일부에 공극(air gap)을 만들어 철심부의 길이 ℓ(m), 단면적 A(m)2, 비투자율이 μ이고 공극부의 길이 δ(m)일 때 철심부에서 총권수 N회인 도선을 감아 전류 I(A)를 흘리면 자속이 누설되지 않는다고 하고 공극 내에 생기는 자계의 자속 ø0(Wb)는?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기자력F=NI=Rm파이 자속=NI/Rm -> Rm=l/진공 중 투자율*비투자율*단면적 + lg/진공 중 투자율*단면적 (l:철심의 길이 l= 공극의 길이 lg + 공극을 제외한 철심의 길이lc)(lc>>lg -> 따라서 l=lc) -> 1/진공 중 투자율*단면적(l/비투자율 + lg) 비투자율을 분모,분자에 곱해줌 -> 1/비투자율*진공 중 투자율*단면적(l+비투자율*lg) 위 자속 식에 대입 시 자속=NI*비투자율*진공 중 투자율*단면적/l+비투자율*lg (제가 봐도 복잡해 보이지만 공책에 차근차근 써보세요! 그럼 단번에 이해됩니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인덕턴스)L = N * Φ / I ▶ ( N / I ) * ( N * I / Rm ) ▶ N^2 / Rm 인덕턴스)L = N * Φ / I ▶ ( N / I ) * ( μ * S * N * I / ℓ) ▶ μ * S * N^2 / ℓ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과목 : 전력공학
21.
직렬 콘덴서를 선로에 삽입할 때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가.
부하의 역률을 개선한다.
나.
선로의 리액턴스가 증가된다.
다.
선로의 전압강하를 줄일 수 없다.
라.
계통의 정태안정도를 증가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직렬 콘덴서 = 유도리액턴스 감소 , 정태안정도 증가 병렬 콘덴서 = 역률개선 [해설작성자 : KYH]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도리액턴스가 아니라 유도-용량 리액턴스가 되서 전체 리액턴스 감소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오류신고 반론] 굳이 오류로 신고할만한 내용은 아닌듯 어찌됐든 유도성리액턴스에 대한 강하 보상으로 리액턴스 감소해서 계통 안정도 증진이니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송전선로의 중성점을 접지하는 목적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가.
전압강하의 감소
나.
유도장해의 감소
다.
전선 동량의 절약
라.
이상전압의 발생 방지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접지는 이상전압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23.
그림과 같은 3상 송전계통의 송전전압은 22kV이다. 한 점 P에서 3상 단락했을 때 발전기에 흐르는 단락전류는 약 몇 A인가?
가.
725
나.
1150
다.
1990
라.
3725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단락된 곳까지의 임피던스 Z=1+j11 한선의 전압 V = 22*10^3/root(3) 단락전류 I = V/|Z| = 22*10^3/{root(3)*root(1^2+11^2)} = 1149.95[A] [해설작성자 : 내일 2회 시험 ㅠ]
I = E/|Z|
E = 상전압 V = 선간전압 = E/root(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일반회로정수가 A, B, C, D이고 송전단 상전압이 Es인 경우, 무부하 시의 충전전류(송전단 전류)는?
가.
C Es
나.
AC Es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Es=A Er+B Ir Is=C Er+d Ir 무부하시 Is=0 Is=C Er/ Er=Es/A Is=C/A Es [해설작성자 : 준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무부하시 Ir=0
29.
주상변압기의 고장이 배전선로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압기의 과부하 소손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폐기는?
가.
리클로저
나.
부하개폐기
다.
컷아웃스위치
라.
섹셔널라이저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리클로저(Recloser) : 가공 배전선로 사고시 신속하게 고장구간 차단하고 사고점의 아크를 소멸 시킨 후 즉시 재투입이 가능한 개폐장치 -부하개폐기(LBS) : 무부하 또는 부하전류가 흐르는 회로 개폐 -섹셔널라이저 : 고압 배전선에서 사용되는 차단 능력이 없는 유입 개폐기로, 리크로저의 부하 쪽에 설치되고, 리크로저의 개방동작 횟수보다 1~2회 적은 횟수로 리크로저의 개방 중에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 [해설작성자 : 추가 설명 돌이]
30.
중성점 저항접지방식에서 1선 지락 시의 영상전류를 Io라고 할 때, 접지저항으로 흐르는 전류는?
가.
1/3Io
나.
다.
3Io
라.
6Io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선지락시 영상전류 =역상= 정상 모두 같습니다. ig = 3io 와 같게 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변전소에서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소내 기기를 점검할 경우, 차단기와 단로기의 개폐조작 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점검 시에는 차단기로 부하회로를 끊고 난 다음에 단로기를 열어야 하며, 점검 후에는 단로기를 넣은 후 차단기를 넣어야 한다.
나.
점검 시에는 단로기를 열고 난 후 차단기를 열어야 하며, 점검 후에는 단로기를 넣고 난 다음에 차단기로 부하회로를 연결하여야 한다.
다.
점검 시에는 차단기로 부하회로를 끊고 단로기를 열어야하며, 점검 후에는 차단기로 부하회로를 연결한 후 단로기를 넣어야 한다.
라.
점검 시에는 단로기를 열고 난 후 차단기를 열어야 하며, 점검이 끝난 경우에는 차단기를 부하에 연결한 다음에 단로기를 넣어야 한다.
계기용변압기(PT):1차측의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보호 계전기에 공급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뀨!]
34.
단거리 송전선로에서 정상상태 유효전력의 크기는?
가.
선로리액턴스 및 전압위상차에 비례한다.
나.
선로리액턴스 및 전압위상차에 반비례한다.
다.
선로리액턴스에 반비례하고 상차각에 비례한다.
라.
선로리액턴스에 비례하고 상차각에 반비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상상태 유효전력의 크기는 송전용량 식으로 구하면된다. p= X리액턴스분의 VsVr*sin상차각 [해설작성자 : jworg]
35.
전력 원선도의 실수축과 허수축은 각각 어느 것을 나타내는가?
가.
실수축은 전압이고, 허수축은 전류이다.
나.
실수축은 전압이고, 허수축은 역률이다.
다.
실수축은 전류이고, 허수축은 유효전력이다.
라.
실수축은 유효전력이고, 허수축은 무효전력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전력 원선도 가로축 : 유효전력, 세로축 : 무효전력. 원선도 반지름 : Es×Er/B 전력 원선도에서 구할 수 없는 것 : 과도 안정 극한 전력 & 코로나 손실 [해설작성자 : 전기 산업기사 공부하는 중년]
36.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장소에 사용되며, 일명 E형 철탑이라고도 하는 표준 철탑의 일종은?
가.
직선형 철탑
나.
내장형 철탑
다.
각도형 철탑
라.
인류형 철탑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E형 철탑이라고 하는 내장형 철탑은 장경간 또는 경간거리의 차이가 큰 전선로에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이글비츠로]
내장형 철탑 :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 인류형 철탑 : 전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 각도형 철탑 : 전선로 중 3도를 초과하는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에 사용 보강형 철탑 : 전선로의 직선부분에 그 보강을 위하여 사용 [해설작성자 : 추가 설명 돌이]
37.
수차발전기가 난조를 일으키는 원인은?
가.
수차의 조속기가 예민하다.
나.
수차의 속도 변동률이 적다.
다.
발전기의 관성 모멘트가 크다.
라.
발전기의 자극에 제동권선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그냥 앞에 수차발전기가~라는 건 버려도 되고 핵심은 '난조의 원인'임. [난조의 원인] 1. 조속기 감도가 지나치게 예민할 경우(감도 조정) 2. 부하 급변 시(플라이휠 효과 -> 관성모멘트를 크게) 3. 전기자 저항이 너무 큰 경우(전기 저항 저감) 4. 원동기 토크에 고조파가 포함된 경우(플라이휠 효과 산정) [대책] 1. 조속기 감도 조정 2. 제동권선 사용 3. 플라이휠 효과 산정(플라이휠 효과 산정 시 관성모멘트 증가)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38.
차단기가 전류를 차단할 때, 재점호가 일어나기 쉬운 차단 전류는?
가.
동상전류
나.
지상전류
다.
진상전류
라.
단락전류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술 먹고 진상짓하면 안된다 ( 진상전류 - 재점호가 일어나기 쉬운 전류 ) [해설작성자 : 쿸쿠]
쉽게 스토리로 설명하자면 군대에서 신병이 "점호중에 실수하면 사관"이 "재점호" 하지요? 그럼 주변에선 점마 "진상"이네 할꺼고... 이해되셨나요? [해설작성자 : 스토리 텔링]
39.
배전선에 부하가 균등하게 분포되었을 때 배전선 말단에서의 전압강하는 전 부하가 집중적으로 배전선 말단에 연결되어 있을 때의 몇 % 인가?
<문제 해설> 사이리스터는 애노드, 캐소드, 게이트로 이루어진 역저지 3단자 구조로서 게이트 점호를 통해 파형의 위상각을 제어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43.
전동력 응용기기에서 GD2의 값이 적은 것이 바람직한 기기는?
가.
압연기
나.
송풍기
다.
냉동기
라.
엘리베이터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GD^2이란 관성모멘트 즉, 한 번 힘이 주어졌을 때 그 힘이 계속 유지되는 정도라고 말할 수 있는데 플라이휠 산정 시 관성모멘트가 매우 커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는 입력한 층까지만 힘이 가해지고 입력한 층 이후에는 쉽게 정지할 수 있고 다시 동작할 수 있어야 하기에 관성모멘트가 작아야 한다. 그렇기에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44.
온도 측정장치 중 변압기의 권선온도 측정에 가장 적당한 것은?
가.
탐지코일
나.
dial온도계
다.
권선온도계
라.
봉상온도계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권선온도측정이니 권선온도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어떤 변압기의 백분율 저항강하가 2%, 백분율 리액턴스 강하가 3%라 한다. 이 변압기로 역률이 80%인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 변압기의 전압변동률은 몇 % 인가?
<문제 해설>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 1. 직/교류 양용 가능 2. 와류손 감소를 위해 성층 철심 사용 3. 역률과 효율 개선을 위해 약계자 강전기자형의 구조 사용 4. 역률 개선과 전기자반작용 개선을 위해 보상권선 사용 5. 회전속도가 증가할 수록 역률 증가 6. 75kW 이하의 가정용 미싱, 소형 공구, 의료기기, 영사기 등으로 사용 7. 종류 가. 유도보상형 나. 직렬보상형 다. 직권형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47.
어떤 IGBT의 열용량은 0.02J/℃, 열저항은 0.625℃/W이다. 이 소자에 직류 25A가 흐를 때 전압강하는 3V이다. 몇 ℃의 온도상승이 발생하는가?
일정 전압으로 운전하는 직류전동기의 손실이 x+yI2으로 될 때 어떤 전류에서 효율이 최대가 되는가? (단, z, y는 정수이다.)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그냥 손실을 x+yI^2이라고 표현해서 x와 y는 다른 손실이라는 걸 알 수 있음 그렇기에 x=y일 때 최대 효율이 됨. 따라서 x+yI^2=0 -> I=루트(x/y)이라고 품. 약간, 변압기 1/m일 부하일 때 최대효율 조건 1/m=루트(Pi/Pc)이랑 똑같다고 생각하고 품.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이게 맞는 것 같음)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52.
T-결선에 의하여 3300V의 3상으로부터 200V, 40kVA의 전력을 얻는 경우 T좌 변압기의 권수비는 약 얼마인가?
T = P Z ø Ia / 2 π a = 6 * 500 * 0.01 * 100 / 2 π * 6 = 79.577 ( N . M ) ★ 여기 중요 : 단위 잘 봐야합니다. ★
( N . M ) 를 ( KG . M ) 로 바꾸기 위해서는 ( N . M ) 에 9.8을 나누어 줘야합니다.
즉 , T = 79.577 ( N . M ) = 79.577 / 9.8 = 8.12 ( KG . M )
용어 정리 : P = 극수 , Z = 총 도체수 , Ia = 전기자 전 전류 , ø = 1극당 자속수 , a = P ( 이유 : 중권 이기때문 ) [해설작성자 : 코로나 조심]
중권은 극수만큼 파권은 2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55.
3상 동기발전기 각 상의 유기기전력 중 제3고조파를 제거하려면 코일간격/극간격을 어떻게 하면 되는가?
가.
0.11
나.
0.33
다.
0.67
라.
0.34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n차 고조파 제거] 단절권 계수 Kpn=0일 때 고조파가 제거된다. 따라서 제3고조파 제거시 Kpn=sin(n베타*파이/2) -> kp3=sin(3*베타*파이/2)=0 sin파를 그려보면 각 0', 180', 360'등 180도를 주기로 sin은 0의 값을 가지게 되는데 위 식에서 3*베타*파이/2=0', 180', 360'를 가정하고 계산 시 1. 세타의 각도가 0도인 경우 -> 베타도 0의 값을 가져야함 2. 세타의 각도가 180도인 경우 -> 270'*베타=180' 따라서 베타=2/3=0.67 3. 세타의 각도가 360도인 경우 -> 270'*베타=360' 따라서 베타=4/3 -> 3번의 경우로 베타의 값이 360도를 가지면 권선피치>극피치가 되기 때문에 단절권이 아닌 걸 알 수 있다. 따라서, 단절권을 유지한 상태로 제3고조파를 제거할 수 있는 베타의 값은 0.67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냥 이해하기 싫고 암기하고 넘어가고 싶은 분 -> 제3고조파 제거: 0.67, 제5고조파 제거: 0.8)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이거 뭐야)]
56.
3상 유도전동기의 토크와 출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속도에 관계가 없다.
나.
동일 속도에서 발생한다.
다.
최대 출력은 최대 토크보다 고속도에서 발생한다.
라.
최대 토크가 최대 출력보다 고속도에서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S(Tmax) > S(P max) : 이건 저도 암기했네요 그래서 속도는 N=(1-s)Ns 니깐 S가 크면 속도는 느린겁니다. 그래서 최대토크 속도가 최대출력 속도보다 느리다. ^ 최대 출력은 최대 토크 보다 고속도에서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기기의 최대 토크는 정지해 있는 기기를 움직일 때 필요한 힘입니다 속도가 붙은 기기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정지해 있는 기기를 작동시키는게 더 힘이 많이 들고 속도가 느리겠죠? 기어를 높게 맞춘 자전거를 예시로 들어보시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문제 해설> 정현파가 아니고 단위(구형파)전압을 가할 경우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므로 충전이 되지않아 콘덴서 기능을 상실, 회로가 개방되어 전압이 걸리지 않음 [해설작성자 : 김동건]
전압을 인가하는 순간은 t=0 이므로 전압은 0 [해설작성자 : 한번따볼까?]
67.
저항 R=6Ω과 유도리액턴스 XL=8Ω이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서 인 전압을 인가하였다. 이 회로의 소비되는 전력(kW)은?
가.
1.2
나.
2.2
다.
2.4
라.
3.2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전력을 구하는 것이니 P=RI^2을 사용 문제에 제시된 내용들에는 저항의 값만 나와있으므로 전류값을 별도로 구해주도록 한다. 전류 I=V/Z, 200/루트(6^2x8^2)을 해주게 되면 20이 나오게 되고 위의 공식에 적용하면 P=6x20^2=2400W가 나오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 끝나지 않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KW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 사실을 적용해주면 2400x10^-3=2.4KW가 답이되게된다. [해설작성자 : 아잉]
유효전력 P = V I Cos$ = I^2 * R = ( V^2 * R ) / R^2 + XL^2 중 에서 전압 저항 리액턴스 만 나왔으므로 3번째 식을 사용합니다. P = ( V^2 * R ) / R^2 + XL^2 = ( 200^2 * 6) / 6^2 + 8^2 = 2400 (W) = 2.4 (KW) 여기서, V = 200루트2 / 루트 2 [해설작성자 : 코로나 조심]
이 문제는 역률을 구할 수 있기에 VICOS@ 로 풀어낼 수 있습니다. 우선 V를 실효값으로 바꿔주면 200, 임피던스는 10 그러므로 전류는 20 역률은 저항/임피던스 = 6/10 = 0.6 200 * 20 * 0.6 = 2400 = 2.4kW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기전력 3V, 내부저항 0.5Ω의 전지 9개가 있다. 이것을 3개씩 직렬로 하여 3조 병렬 접속한 것에 부하저항 1.5Ω을 접속하면 부하전류(A)는?
가.
2.5
나.
3.5
다.
4.5
라.
5.5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기전력3V은 내부저항 0.9옴 각각에 걸리는 것임을 주의한다. 여기에 걸리는 전압이 3V이므로 각각 더해서 계산해줘야 한다. 그러므로 3개씩 직렬(27V)로 3조 병렬(13.5옴씩 병렬 4.5옴) +1.5옴= 6옴이 되므로 부하전류=(기전력/저항)=27/6 이므로 4.5A가 된다. [해설작성자 : 공기업 취준생]
3볼트 에 대한 내부 저항이 0.5옴 3개씩 직렬 = 1.5옴 1.5옴 3개가 병렬 이고 추가로 1.5옴 직렬이 하나가 있다. 여기서 합성저항을 구하면 2옴이 되는데 3볼트에 대한 내부저항 0.5옴이 3개 이므로 전압도 3볼트가 3개 이므로 한 선의 전압은 9볼트 이지만 키르히호프 법칙으로 인해 전체전압이 9볼트가 된다. 거기서 v/r 하면 9/2 =4.5 가 됨 [해설작성자 : 산기홧팅]
전압은 3V가 직렬3개 9V.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전압은 9V 저항은 직렬0.5Ω 3개 병렬 3개 0.5*3/3=0.5Ω 내부저항 0.5Ω+부하저항 1.5Ω = 2Ω I=V/R 9/2=4.5A [해설작성자 : 소성]
전체 합성 저항 R0 = (0.5*3 / 3)+3 = 2옴 부하 전류 I = V/R = 9/2 = 4.5 [해설작성자 : 기록해보자]
70.
의 전달함수를 미분방정식으로 표시하면? (단, 이다.)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미분 -> s로 표현 적분 -> 1/s로 표현 일반 함수 ->1로 표현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71.
정격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정격의 80%의 전압을 가할 때의 전력(W)은?
가.
340
나.
540
다.
640
라.
740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0.8^2x1000=640 [해설작성자 : 소성]
P=V^2/R 정격의 80%의 전압 0.8^2*1000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비례관계가 설명이 안되어있어서 추가합니다.
소비전력P=VI=I^2R=V^2/R에서 P는 V^2과 비례관계이므로 P'=(V^2)×P 공식 사용가능 정격의 80[%] 전압을 가할 때의 P'=(0.8)^2×1000=640[W] 즉 답은 640[W] [해설작성자 : 전역빵때리는군인]
P=V^2 X R = 1kW 여기서 전압을 80% 가할때 P = (0.8V)^2 X R = 0.64V^2 X R [기존식에서 V^2 X R = 1kW = 1000W 이므로] = 0.64 X 1000 = 640 [해설작성자 : 군무원 준비]
72.
인 전압을 R-L 직렬회로에 가할 때에 제3고조파 전류의 실효값은 몇 A인가? (단, R=8Ω, ωL=2Ω이다.)
가.
5
나.
8
다.
10
라.
15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출제자가 친절하게 wL 로 주심 3고조파 실효값 구하는건 아실거라 믿고 Z= 루트{R^2 *(3*wL)^2 [해설작성자 : 3고조파니까]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루트R^2 *(3*wL)^2
요 부분 중간에 알 제곱 다음에 곱하기(*) 아니라 플러스 아닌가요? 루트 R제곱 + (3*wL)제곱 [해설작성자 : 꾸엉]
[오류신고 반론] 전압에서 3고조파는 150√2sin3ω (순서상 3번째가 아닌 ω 앞에 3이 곱해져 있는 것) 3고조파에서는 리액턴스 값이 3배가 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Z=8+j(2×3)=8+j6으로 10이되고 3고조파 전압의 실효값은 √2를 나눈 150이므로 I=V/Z=150/10=15[A]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22.9kV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중성선은 다중 접지를 하여야 한다. 각 접지선을 중성선으로부터 분리하였을 경우 1 km마다 중성선과 대지 사이의 합성전기저항 값은 몇 Ω 이하인가? (단,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의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다.)
가.
5
나.
10
다.
15
라.
20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접지선 분리시 중성선과 대지 사이의 합성전기저항(1km마다) 15kV이하 - 30옴 25kV이하 - 15옴 [해설작성자 : 공부중]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 전선의 이격거리](KEC 222.12조) <저압> <고압> <특고압>(25kV이하) 절연전선 0.75m 1.5m 2m 케이블 0.3m 0.5m 0.5m 가. 35kV 이상의 특고압 선로는 공용설치 금지 나. 21.67kN 이상 또는 단면적 50 이상의 경동연선 사용 다. 특고압 선로는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시행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세진사에서 출판한 기출문제집에선 40CM가 정답이였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위 해설의 이격 거리 표는 "공가"의 이격거리로 알고있습니다.
그 외에는
저압 0.6m (케 0.3m) 고압 0.8m (케 0.4m)
35kV 이하 60kV 이하 2m - 나전선 2m 60kV 이상 2+0.12n - 절연전선 1.5m - 케 0.5m [해설작성자 : 만정]
[지선의 시설] 1. 안전율: 2.5이상(목주와 A종은 1.5이상) 2. 최소 인장강도: 4.31kN 이상 3. 소선수 3가닥 이상 4. 금속선: 2.6mm 이상 사용(아연도강선: 2mm 이상, 허용 인장강도 0.68kN 이상) 5. 지중 부분부터 지표상 0.3m까지 내식성 금속 또는 아연도금 철봉 사용 6. 도로 횡단 시 지표상 5m 이격(교통 지장X: 4.5m, 인도: 2.5m 이상)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7.
시가지 등에서 특고압 가공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용 지지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단, 사용전압이 170kV 이하인 경우이다.)
가.
철탑
나.
목주
다.
철주
라.
철근 콘크리트주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시가지라서 목주사용X [해설작성자 : 필기준비중]
[시가지에서의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시설] 1) 170kV 이하 가. 경간 및 지지물(목주 사용 금지) 종류 경간 A종 75m B종 150m 철탑 400m(단주 300m, 기타: 250m) 나. 전선의 단면적 1. 100kV 이하: 21.67kN 이상의 연선, 단면적 55 이상의 경동연선, AI, 절연전선 2. 100kV 이상: 58.84kN 이상의 연선, 단면적 150 이상의 경동연선, AI, 절연전선 다. 전선의 지표상 높이 1. 35kV 이하: 10m(절연전선 사용 시 8m) 2. 35kV 이상: 10m + 단수*0.12 라. 100kV 초과 선로에는 지락 단락 사고 시 1초 이내에 동작하는 자동 차단 장치 시설 2) 170kV 초과 1. 경간: 600m 이하 2. 지지물: 철탑(위험 표시) 3. 전선 지표상 높이: 10m + 단수*0.12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8.
중성선 다중접지식의 것으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는 22.9kV 가공전선로를 상부 조영재의 위쪽에서 접근상태로 시설하는 경우, 가공전선과 건조물과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전선으로는 나전선을 사용한다고 한다.)
[25kV 이하의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건조물과의 이격거리] 1. 상부 조영재 가. 위쪽 - 나전선 3m, 절연전선 2.5m 케이블 1.2m 나 옆면, 아래쪽 - 나전선 1.5m 절연전선 1m 케이블 0.5m 2. 기타 조영재 - 나전선 1.5m 절연전선 1m 케이블 0.5m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9.
시가지에 시설하는 고압 가공전선으로 경동선을 사용하려면 그 지름은 최소 몇 mm이어야 하는가?
가.
2.6
나.
3.2
다.
4.0
라.
5.0
정답 : [
4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경동선을 기준으로 전선의 굵기를 정할 때 400V 미만의 절연전선은 2.6mm 이상, 절연전선이 아닐경우 3.2mm 이상 400V 이상의 저압 또는 고압일 경우 시가지에 설치 시 5mm 이상, 그 외의 장소에서는 4mm 이상 특고압일 경우 무조건 단면적 22mm^2 이상의 굵기를 선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박종범]
전기부식방지 시설을 시설할 때 전기부식방지용 전원 장치로부터 양극 및 피방식체까지의 전로의 사용전압은 직류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
가.
20
나.
40
다.
60
라.
80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기부식방지 시설] - 지중/수중에 시설하는 금속체의 부식 방지를 위해 양극과 피방식체 간의 방식전류를 통하는 시설 1. 사용 전압: 60V 이하 2. 지중에 매설하는 양극의 매설깊이: 0.75m 이상 3. 전위차 가. 수중 시설 양극과 주위 1m 이내 임의 점과의 전위차: 10V 미만 나. 지표/수중에서 1m 간격의 임의 2점: 5V 미만(양극과 1m 이내의 점은 제외)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직 6 교 4 [해설작성자 : 쉽게 쉽게]
96.
변압기의 안정권선이나 유휴권선 또는 전압조정기의 내장권선을 이상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특히 필요할 경우에 그 권선에 접지공사를 할 때에는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제1종 접지공사 - 피뢰기,피뢰침,전기집진장치,항공장애,전압조정기,보호망 등 [해설작성자 : 공부중]
[규정 개정] 2021년부터 전기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에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내용이 적용됨. KEC 규정에서는 접지를 계통접지로 구분하므로 이 문제는 앞으로 시험에 나올 수 없는 문제임. 이 문제뿐만 아니라 접지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 해당됨. 모든 수험자는 상기 사항을 필히 숙지하고, 변경된 기준에 맞도록 계통접지에 대해 공부해야함. 또한 전압 기준, 전선 식별, 절연저항 기준 등도 변경된 기준에 따라 공부해야함.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97.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