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1과목 : 건축계획


1. 다음 중 주택 부엌의 기능적 측면에서 작업삼각형(work triangle)의 3변 길이의 합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000mm
     2. 2000mm
     3. 3000mm
     4. 4000mm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냉장고와 개수대 그리고 가열대를 잇는 작업 삼각형의 길이는 3.6~6.6m 범위로 하는것이 능률적
- 냉장고와 개수대, 개수대와 가열대 사이는 동선이 짧아야 한다.
- 개수대와 조리대 사이는 1.2~1.8m 가 적당
[해설작성자 : 현찌]

2. 상점건축에서 진열창(show window)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곡면 유리를 사용한다.
     2. 유리면을 경사지게 한다.
     3. 진열창의 내부를 외부보다 어둡게 한다.
     4. 차양을 설치하여 진열창 외부에 그늘을 조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진열창의 조도를 외부보다 밝게한다.
[해설작성자 : .건축 합격.]

3. 숑바르 드 로브에 따른 주거면적기준 중 한계기준은?
     1. 8m2
     2. 14m2
     3. 15m2
     4. 16m2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주거생활 수준
숑바르 드 로브(사회학자)
병리기준:8m2,한계기준:14m2,표준기준:16m2 (단위:m2/인이상)

4. 다음 설명에 알맞은 국지도로의 유형은?

   

     1. T자형
     2. 격자형
     3. 루프(loop)형
     4. 쿨데삭(cul-de-sac)형

     정답 : []
     정답률 : 73%

5. 학교의 배치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산병렬형은 넓은 교지가 필요하다.
     2. 폐쇄형은 운동장에서 교실로의 소음 전달이 거의 없다.
     3. 분산병렬형은 일조, 통풍 등 환경조건이 좋으나 구조계획이 복잡하다.
     4. 폐쇄형은 대지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으며 화재 및 비상 시 피난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 소음이 크다
3. 구조계획이 간단함
4. 화재 및 비상 시 피난에 불리하다
[해설작성자 : 답십리건축가]

6. 공동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독주택보다 독립성이 크다.
     2. 주거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다.
     3. 대지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다.
     4. 도시생활의 커뮤니티화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6%

7. 다음 설명에 알맞은 공장건축의 레이아웃 형식은?

   

     1. 제품중심 레이아웃
     2. 공정중심 레이아웃
     3. 고정식 레이아웃
     4. 혼성식 레이아웃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제품중심 레이아웃- 대량생산 예상산이 가능한 공장
고정식 레이아웃 - 고정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방식 조선소 건축현장
혼성식 레이앗웃 - 제품중심 공정중심 혼합 또는 제품 중심 고정식 혼합
[해설작성자 : 코로나 ]

8. 무창 방직공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부 발생 소음이 작다.
     2.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적다.
     3. 내부 조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4. 배치계획에 있어서 방위를 고려할 필요가없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무창 방직공장은 내부 발생소음이 작지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서준]

9. 모듈러 코디네이션(Modular Coordination)의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량생산의 용이
     2. 설계작업의 단순화
     3. 현장작업의 단순화 및 공기 단축
     4. 건축물 형태의 창조성 및 다양성 확보

     정답 : []
     정답률 : 84%

10.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 계획 중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성이 결핍되고 소음이 있다.
     2.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공사비가 개실 시스템보다 저렴하다.
     4. 방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개방식 배치는 방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11. 다음 중 사무소 건축의 기둥 간격(span) 결정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코어의 위치
     2. 책상의 배치 단위
     3. 구조상의 스팬의 한도
     4. 지하주차장의 주차구획크기

     정답 : []
     정답률 : 51%

12. 사무실 건물에서 코어 내 각 공간의 위치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엘리베이터는 가급적 중앙에 집중시킬 것
     2. 코어내의 공간과 임대사무실 사이의 동선이 간단할 것
     3. 계단과 엘리베이터 및 화장실은 가능한 한 접근시킬 것
     4. 엘리베이터 홀은 출입구문에 인접하여 바싹접근해 있도록 할 것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4. 엘리베이터 홀은 출입구문에 근접시키지 아니하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건축 합격.]

13. 단독주택의 거실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목적 공간으로서 활용되도록 한다.
     2. 정원과 테라스에 시각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3. 개방된 공간으로 가급적 독립성이 유지되도록한다.
     4. 다른 공간들을 연결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우선 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4. 다음 설명에 알맞은 사무소 건축의 코어 유형은?

    

     1. 편심코어형
     2. 양단코어형
     3. 중심코어형
     4. 독립코어형

     정답 : []
     정답률 : 81%

15. 공동주택의 형식 중 탑상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
     1. 건축물 외면의 입면성을 강조한 유형이다.
     2. 판상형에 비해 경관 계획상 유리한 형식이다.
     3. 모든 세대에 동일한 거주 조건과 환경을 제공한다.
     4. 타워식의 형태로 도심지 및 단지 내의 랜드마크적인 역할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탑상형
장점
1.대지의조망, 경관계획상유리
2.각 세대 시각적인 개방감
3.랜드마크적인 역할 가능
4.외부공간의 음영이 적어 정원 등 관리상 이점
5.외부인의 출입통제, 방법 등의 관리상 유리
단점
1.엘리베이터이용호수제한, 관리비면 불리
2.주호가 중앙홀을 중심으로 전면배치됨으로써 각 주호 탑상조건 불균등

-판상형
장점
1.각 주호의 환경조건이 균등
2.동일형식 주호배열 가능
단점
1.대지의 조망 차단 쉬움
2.인동간격으로 인해 배치계획상 제약이 많음
3.외부공간에 긴 음영이 생겨 공용시설 계획이 어려움
[해설작성자 : 현찌]

16. 소규모 주택에서 주방의 일부에 간단한 식탁을 설치하거나 식사실과 주방을 하나로 구성한 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리빙 키친
     2. 다이닝 키친
     3. 리빙 다이닝
     4. 다이닝 테라스

     정답 : []
     정답률 : 83%

17. 숍 프론트(shop front) 구성 형식 중 폐쇄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이 내부 분위기에 만족하도록 계획한다.
     2. 고객의 출입이 많은 제과점 등에 주로 적용된다.
     3. 고객이 상점 내에 비교적 오래 머무르는 상점에 적합하다.
     4. 숍 프론트(shop front)를 출입구 이외에는 벽 등으로 차단한 형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18. 근린생활권의 구성 중 근린주구의 중심이 되는 시설은?
     1. 유치원
     2. 대학교
     3. 초등학교
     4. 어린이 놀이터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인보구 - 어린이놀이터, 근린분구 - 유치원, 파출소. 근린주구 - 초등학교
[해설작성자 : 도베르만스캐닝]

19. 백화점의 엘리베이터 배치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렬 배치는 4대를 한도로 한다.
     2. 교통동선의 중심에 설치하여 보행거리가 짧도록 배치한다.
     3. 일렬 배치 시 엘리베이터 중심 간 거리는 15m 이하가 되도록 한다.
     4.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 그룹별 배치와 군 관리 운전방식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일렬배치시 8m
[해설작성자 : 황병만]

20. 우리나라 중학교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학교 운영방식은?
     1. 플래툰형(P형)
     2. 종합교실형(U형)
     3. 교과교실형(V형)
     4. 일반 및 특별교실형(U+V)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정답은 4번입니다. 모든 교실이 특정 교과를 위해 필요한 형태가 교과교실형이고 일반교실에기타 특별교실을 가지는 형태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찾아보고 답달아]

정답 4번입니다..... 교과교실형은 민사고나 국제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건축시공


21. 63.5k의 추를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30cm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횟수를 구하는 시험은?
     1. 전기탐사법
     2. 베인테스트(Vane test)
     3.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4. 딘월샘플링(hin wall sampling)

     정답 : []
     정답률 : 83%

22. 다음 중 공사시방서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성능의 규정 및 지시
     2. 시험 및 검사에 관한 사항
     3. 현장 설명에 관련된 사항
     4. 공법, 공사 순서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시방서 기재 사항]
- 적용범위
- 사전준비 사항
- 사용재료에 관한 사항
- 시공방법에 관한 사항
- 기타 관련사항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23. 조적식구조의 조적재가 벽돌인 경우 내력벽의 두계는 당해 벽높이의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10
     2. 1/12
     3. 1/16
     4. 1/20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조적재가 벽돌인 경우에는 내력벽의 두께는 당해 벽 높이의 1/2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24. 타일의 크기가 11cm × 11cm 일 때 가로·세로의 줄눈은 6mm이다. 이 때 1m2에 소요되는 타일의 정미 수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34매
     2. 55매
     3. 65매
     4. 75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타일)
11cm mm로 환산시 -> 110mm
110mm+6mm(줄눈) = 116mm
면적으로 따지면 116^2mm
(면적)
1m^2 = 1000mm^2

1000^2 / 116^2 = 74.3매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강성수]

0.116*0.116/1000 = 74.3
[해설작성자 : 쉽게가자]

25. 반복되는 작업을 수량적으로 도식화하는 공정관리기법으로 아파트 및 오피스 건축에서 주로 활용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횡선식 공정표(Bar Chart)
     2. 네트워크 공정표
     3. PERT 공정표
     4. LOB(Line of balance) 공정표

     정답 : []
     정답률 : 61%

26. 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니셔빌리티란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라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말한다.
     2.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컨시스턴시가 좋아 작업이 용이하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3. 블리딩이란 콘크리트 타설후 표면에 물이 모이게 되는 현상으로 레이턴스의 원인이된다.
     4. 워커빌리티란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골재의 입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컨시스턴시는 좋아지나 반드시 워커빌리티가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물시멘트비가 커져 컨시스턴시가 좋아진하 하더라도 수(水)량이 많아지게 되면 재료분리 현상이 일어나 목표로 하고자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강성수]

27. 마감공사 시 사용되는 철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코너비드는 기둥과 벽 등의 모서리에 설치하여 미장면을 보호하는 철물이다.
     2. 메탈라스는 철선을 종횡 격자로 배치하고 그 교점을 전기저항용접으로 한 것이다.
     3. 인서트는 콘크리트 구조 바닥판 밑에 반자틀, 기타 구조물을 달아맬 때 사용된다.
     4. 펀칭메탈은 얇은 판에 각종모양을 도려낸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메탈라스 : 얇은 철판에 자름금을 내어서 당겨 만든 것, 벽이나 천장의 미장바름에 사용

연강철선을 전기용접하여 격자형으로 만든것은 와이어 메쉬 이다.
[해설작성자 : 수방]

28. 사질토와 점토질을 비교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점토질은 투수계수가 작다.
     2. 사질토의 압밀속도는 느리다.
     3. 사질토는 불교란 시료 채집이 용이하다.
     4. 점토질의 내부마찰각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점토질은 투수계수가 작다, 사질토의 압밀속도는 빠르다, 사질토는 불교란 시료채집이라는 표현이 적절하지않다. (점토질에 비해 시료를 채취하는것이 좋지만 저런 표현은 적절하지않다.)
점토질의 내부마찰각은 작다.
[해설작성자 : 서준]

29.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재 중 플라이애쉬(Fly Ash)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회를 집진기로 포집한 것이다.
     2. 시멘트와 골재 접촉면의 마찰저항을 증가시킨다.
     3. 건조수축 및 알칼리골재반응 억제에 효과적이다.
     4. 단위수량과 수화열에 의한 발열량을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플라이애시 - 화력발전소 등의 연소 보일러 내의 재의 미립분자를 집긴기에 포집한것으로 입자는 미끈한 알이다
1. 콘크리트에 혼입하면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수밀성이 향상되고 수화열과 건조수축이 적어 균열 억제 효과가 있다.
3. 초기 재령의 강도는 다소 작으나 장기 재령의 강도는 증가한다.
4. 저장 중 고결에 주의가 필요하다.
5. 부산물, 폐기물이기 때문에 공장별, 시기에 따라 품질상 유의를 요한다.
[해설작성자 : 현찌]

30. 미장공사의 바름층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바탕조정과 초벌, 재벌, 정벌의 3개층으로 이루어진다,
     2. 바탕조정 작업에서는 바름에 앞서 바탕면의 흡수성을 조정하되, 접착력 유지를 위하여 바탕면의 물축임을 금한다.
     3. 재벌바름은 미장의 실체가 되며 마감면의 평활도와 시공 정도를 좌우한다.
     4. 정벌바름은 시멘트질 재료가 많아지고 세골재의 치수도 작기 때문에 균열 등의 결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얇게 바르며 흙손 자국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미장공사]
-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배합을 정확하게, 혼합을 충분하게 한다.
- 바탕면의 적당한 물축임과 면을 거칠게 해둔다.
- 얇게 여러 번 바르며 1회 바름 두께는 바닥을 제외하고 6mm를 표준으로 한다.
- 초벌 후 재벌까지의 기간(2주이상)을 충분히 잡는다.
- 급격한 건조를 피하고 시공 중이나 경화 중에는 진동을 피한다.
- 미자용 모래는 지나치게 가는 것을 금지한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규본타 데이비스]

31. 연약점토질 지반의 점착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토질시험은?
     1. 전기적탐사
     2. 표준관입시험
     3. 베인테스트
     4. 삼축압축시험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점토 및 연약토의 전단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험 방법입니다. 이 시험은 주로 토질의 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점토질 토양이나 연약한 토양에서 많이 적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서준]

32. 공동도급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술력 확충
     2. 신용도의 증대
     3. 공사계획 이행의 불확실
     4. 융자력 증대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동도급의 장점
- 융자력 증대
- 기술의 확충
- 위험 분산
- 시공의 확실성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33. 흙막이 공법 중 수평버팀대의 설치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1. 가→라→나→다→마
     2. 가→라→다→나→마
     3. 라→가→마→다→나
     4. 라→가→다→나→마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수평버팀대 설치순서]
규준대 대기-널말뚝 박기-흙파기-받침기둥 박기-띠장 및 버팀대 대기-중앙부 흙파기-주변부 흙파기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34. 금속커튼월의 성능시험 관련 실물모형시험(mock up test)의 시험종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비시험
     2. 기밀시험
     3. 정압 수밀시험
     4. 구조시험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커튼월의 성능시험]
내풍압성, 수밀시험, 기밀시험,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 층간 변위 추종성, 구조시험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35. 커튼월을 외관형태로 분류할 때 그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슬라이드 방식(slide type)
     2. 샛기둥 방식(mullion type)
     3. 스팬드럴 방식(spandrel type)
     4. 격자 방식(grid type)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외관형태별 분류>
스팬드럴 방식
샛기둥 방식
격자 방식
피복 방식
[해설작성자 : 시대고시 참고]

36.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의 물리적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건비중은 보통콘크리트의 약 1/4정도이다.
     2. 열전도율은 보통콘크리트와 유사하나 단열성은 매우 우수하다.
     3. 불연재인 동시에 내화성능을 가진 재료이다.
     4. 경량이어서 인력에 의한 취급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열전도율은 콘크리트의 1/10로 단열성이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응가누]

37. 금속의 방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큰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풀림하여 사용한다.
     2. 도료 또는 내식성이 큰 금속을 사용하여 수밀성 보호피막을 만든다.
     3. 부분적으로 녹이 발생하는 녹이 최대로 발생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한꺼번에 제거한다.
     4. 표면을 평활, 청결하게 하고 가능한 한 건조한 상태로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할 것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38. 철공공사에서 녹막이 칠을 하지 않는 부위와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에 밀착 또는 매립되는 부분
     2. 폐쇄형 단면을 한 부재의 외면
     3. 조립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면
     4. 현장용접을 하는 부위 및 그곳에 인전하는 양측 100mm 이내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폐쇄형 단면을 한 부재의 밀폐된 “내면”에 녹막이칠을 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반]

39. 일반적인 적산 작업 순서가 아닌 것은?
     1.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적산한다.
     2. 시공순서대로 적산한다.
     3. 내부에서 외부로 적산한다.
     4. 아파트 공사인 경우 전체에서 단위세대로 적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적산의 순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시공순서대로
내부에서 외부로
큰곳에서 작은곳으로
단위 세대에서 전체로 한다
[해설작성자 : 중구]

40. 합성고분자계 시트방수의 시공 공법이 아닌 것은?
     1. 떠붙이기공법
     2. 접착공법
     3. 금속고정공법
     4. 열풍융착공법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떠붙이기는 타일붙이기 공법이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카노프스키]

3과목 : 건축구조


41. 다음 구조물의 판별로 옳은 것은?

    

     1. 불안정 구조물
     2. 정정 구조물
     3. 1차 부정정 구조물
     4. 2차 부정정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판별식=반력수+부재수+강절점-2X모든절점=(3+2+1)-2X3=0 정정구조물이 나오지만
지점의 구조가 모두 힌지 구조이기에 수평력을 견딜 수 없어 이동하는 구조물이 되어 불안정 구조물입니다.
[해설작성자 : 주민준]

42.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지점 A의 수평반력은?

    

     1. 3 kN
     2. 4 kN
     3. 5 kN
     4. 6 kN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ΣV = 0 : VA-6 = VA = 6kN
ΣMB = 0 : {(-6)×3}+(6×6)+{(-HA)×3} = 0
그러므로 HA = 6k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 보에서 B와 C점의 처짐의 비 δB : δC 는?

    

     1. 1 : 2
     2. 2 : 1
     3. 2 : 5
     4. 5 : 2

     정답 : []
     정답률 : 40%

44. 다음 각 슬래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선슬래브는 2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슬래브이다.
     2. 슬래브의 두께가 구조제한 조건에 따르지 않을 경우 슬래브 처짐과 진동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플랫슬래브는 보가 없으므로 천장고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도 사용된다.
     4. 워플슬래브는 일종의 격자시스템 슬래브 구조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3번인거같습니다 플랫슬래브는 천정고를 넢이기위해 기등으러 하중을 받는것인데 정답오루인듯하네요.

[오류신고 반론]
문제집까지 검토한 결과 정답은 1번 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장선슬래브의 정의는 일정한 간격의 장선과 일체로 구성된 바닥판구조인 1방향 슬래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이 맞습니다!! 3번도 헷갈리실수있는데 플랫슬래브 구조는 보가 없는 구조이기에 천정고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책에 명시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주민준]

[오류신고 반론]
1번 맞아요 장선 슬래브는 1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1방향 슬래브입니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45. 그림과 같은 보의 허용하중은? (단, 허용 휨응력도 σb = 10MPa 임)

    

     1. 9 kN/m
     2. 8 kN/m
     3. 7 kN/m
     4. 6 kN/m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시그마 MxY/I=M/z=wl2/8/bh2/6입니다 wl의 자승분의 8 분의 bh2분의6입니다. 이 공식에 대입했을때 6xWx4000의자승/8x120x300=10mpa 이므로 풀면 9kn나옴
[해설작성자 : 서준]

단순보에 등분포하중 만재시 최대 휨모멘트 Mmax = wL^2/8이므로 2w
휨응력 σ=M/Z에 대입하면 10 = 2w/{(120×300^2)/6}
그러므로 w = 9kN/m
[해설작성자 : 무민]

46. 그림과 같은 인장재의 순단면적을 구하면? (단, 고장력볼트는 M22(F10T), 판의 두께는8mm 이다.)

    

     1. 512 mm2
     2. 704 mm2
     3. 896 mm2
     4. 1088 mm2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n=[h- n볼트개수Φ볼트지름+∑(s빗변수평거리 제곱/4*g빗변 수직거리)]*t두께
     = (160-2*22)*8 = 928
문제 오류 정답은 928mm2 근사값으로 3번896이 된듯
[해설작성자 : ㄱㅇㅈ]

[오류신고 반론]
정렬배치 순단면적 구하기 식
총단면전(h*t)-(n*d*t)=(160*8)-(2*24+8)=896
위 문제는 정렬배치 엇모배치X 고장력볼트 22T 표준구멍값은 22+2=24 d=24
[해설작성자 : 꼭따자]

47. 아래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AB부재의 부재력의 크기는? (단, +는 인장, -는 압축임)

    

     1. +20 kN
     2. -20 kN
     3. +40 kN
     4. -40 kN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V=0 > -20 + Nab X sin30' = 0
Nab = 40kN(인장)
[해설작성자 : 남윤수타이거]

48. 폭 b, 높이 h인 삼각형에서 밑변 축(X1-X1)에 대한 단면계수는 꼭짓점 축(X2-X2)에 대한 단면계수의 몇 배인가?

    

     1. 8배
     2. 6배
     3. 4배
     4. 2배

     정답 : []
     정답률 : 42%

49. 강구조 설계에서 볼트의 중심사이 거리를 나타내는 용어는?
     1. 게이지 라인(gauge line)
     2. 게이지(gauge)
     3. 피치(pitch)
     4. 비드(bead)

     정답 : []
     정답률 : 63%

50.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에서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경우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2021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45 mm
     2. 65 mm
     3. 75 mm
     4. 95 mm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021년 기준 75로 변경되었습니다.

51. 그림과 같은 충전형 원형강관 합성기둥의 강재비는?

    

     1. 0.027
     2. 0.109
     3. 0.145
     4. 0.186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강재비 = 철골의 단면적 / 콘크리트의 단면적
콘크리트의 단면적 -> 파이 x 500^2 / 4 = 196,350mm2
강재비 = 21,380 / 196,350 = 0.109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김성진]

52.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집중하중 10kN이 특정각도로 작용할 때 B지점의 반력으로 옳은 것은?

    

     1. HB = 6kN, VB = 5kN
     2. HB = 5kN, VB = 6kN
     3. HB = 3kN, VB = 6kN
     4. HB = 6kN, VB = 3kN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삼각형 닮음에 의해 집중하중 10kN을 수직하중 8kN과 수평하중 6kN으로 분리. 수평하중의 총합이 0일때, Hb=6kN. 모멘트 합이 0일때, (6*3)-(Vb*8)=0이므로 Vb=3kN
[해설작성자 : 익명]

53. 강구조 인장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의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는 구조부재이다.
     2. 대표적인 단면형태로는 강봉, ㄱ형강, T형강이 주로 사용된다.
     3. 인장재 설계에서 단면결손 부분의 파단은 검토하지 않는다.
     4. 현수구조에 쓰이는 케이블이 대표적인 인장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54.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은 X축과 Y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의 값은? (단, 그림의 점선은 단면의 중심축임)

    

     1. X축 : 72 × 108mm4, Y축 : 32 × 108mm4
     2. X축 : 96 × 108mm4, Y축 : 56 × 108mm4
     3. X축 : 144 × 108mm4, Y축 : 64 × 108mm4
     4. X축 : 288 × 108mm4, Y축 : 128 × 108mm4

     정답 : []
     정답률 : 43%

55. 한변의 길이가 4m인 그림과 같은 정삼각형트러스에서 AB부재의 부재력은?

    

     1. 압축 10 kN
     2. 압축 5 kN
     3. 인장 10 kN
     4. 인장 5 kN

     정답 : []
     정답률 : 31%

56. 구조물의 한계상태에는 강도한계상태와 사용성한계상태가 있다. 강도한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재의 과다한 탄성변형
     2. 기둥의 좌굴
     3. 골조의 불안정성
     4. 접합부 파괴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사용성 한계상태]
부재의 과다한 탄성변형은 사용성 한계상태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응가누]

57.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직사각형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공칭전단강도는? (단, fck=24MPa, b=300mm, d=500mm, 경량콘크리트계수는 1)
     1. 69.3 kN
     2. 82.8 kN
     3. 91.9 kN
     4. 122.5 kN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공식)
1/6*(콘크리트계수)*(루트)fck*b*d
(풀이)
1/6*1*(루트)24*300*500 = 122.4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강성수]

58. 다음 그림과 같은 고장력 볼트 접합부의 설계미끄럼강도는?

    

     1. 212 kN
     2. 184 kN
     3. 165 kN
     4. 148 kN

     정답 : []
     정답률 : 43%

59.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기초에서 기초지반면에 일어나는 최대압축응력도는?

    

     1. 0.15 MPa
     2. 0.18 MPa
     3. 0.21 MPa
     4. 0.25 MPa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해설)
공식 -P/A - M/Z Y축에 맞닿기에 Y축으로 계산    
-900/6 - 90/(2X3^2/6)
정답 -180kpa
[해설작성자 : 나만이해하는거지롱]

60. 강도설계법에서 압축 이형철근 D22의 기본정착길이는? ( 단, fck=24MPa, fy=400MPa, λ=1.0))
     1. 400 mm
     2. 450 mm
     3. 500 mm
     4. 550 mm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공식)
    0.25 x db x fy
-------------------            <-----분수 식
(람다) x (루트)fck

(풀이)
    0.25 x 22 x400
-------------------    = 449
     1 x (루트)24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강성수]

4과목 : 건축설비


61. 최상부의 배수수평관이 배수수직관에 접속된 위치보다도 더욱 위로 배수수직관을 끌어올려 통기관으로 사용하는 부분으로 대기 중에 개구하는 것은?
     1. 신정통기관
     2. 각개통기관
     3. 결합통기관
     4. 루프통기관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각개통기관 : 배수관경의 1/2이상 또는 32mm이상
루프통기관 : 접속하는 배수관경의 1/2이상 또는 40mm 이상
결합통기관 : 50mm이상
신정통기관 : 75mm이상 (일반적으로 100mm)이상
더욱 위로라고 되어있으니까 4개중에 가장 높은 신정통기관이 정답이 된다.
[해설작성자 : 이승빈]

62. 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철제보일러는 내식성이 강하여 수명이 길다.
     2. 입형보일러는 설치 면적이 작고 취급이 용이하다.
     3. 관류보일러는 보유수량이 크기 때문에 가동시간이 길다.
     4. 수관보일러는 대형건물 또는 병원 등과 같이 고압증기를 다량 사용하는 곳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관류보일러는 보유수량이 작고 증기 발생이 빠르므로 소형난방에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강성수]

63. 전기설비에서 간선 크기의 결정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압 강하
     2. 송전 방식
     3. 기계적 강도
     4. 전선의 허용전류

     정답 : []
     정답률 : 54%

64. 보일러 주변을 하트포드(Hartford) 접속으로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2.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3. 스케일(scale)을 방지하기 위해서
     4. 보일러 내의 안전수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하트퍼드 배관방식의 역할]
- 보일러 안전수위 확보
- 환수관 내 찌꺼기의 보일러 유입방지
- 빈불때기 방지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65. 배수설비에서 트랩의 봉수파괴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발
     2. 공동현상
     3. 모세관현상
     4. 유도사이펀작용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공동현상은 펌프의 이상압력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봉수의 파괴원인과는 관계없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66.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배선 공사는?

    

     1. 금속몰드 공사
     2. 비스덕트 공사
     3. 금속덕트 공사
     4. 플로어덕트 공사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풀로어덕트 배선공사
- 은행, 회사 등의 사무실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입하여 사용하는 것
- 강전과 약전의 교차점에는 접속함을 사용하여 전선끼리 접촉하지 않도록 함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67. 방열량이 4200W 이고 입출구 수온차가 10℃인 방열기의 순환수량은? (단, 물의 비열은 4.2 kJ/kg·K 이다.)
     1. 100 kg/h
     2. 360 kg/h
     3. 500 kg/h
     4. 720 kg/h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60분×60초×온도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열량x3600 / 비열x온도차
4200x3600/4.2x10 = 3600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강성수]

68.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중 설치된 감지기의 주변온도가 일정한 온도상승률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작동하는 것은?
     1. 차동식
     2. 정온식
     3. 광전식
     4. 이온화식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차동식: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상승률 이상이 됐을 때 작동한다
정온식: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됐을 때 작동한다
[해설작성자 : 주민준]

69. 다음의 공기조화방식 중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것은?
     1. 이중덕트방식
     2. 유인유닛방식
     3. 정풍량 단일덕트방식
     4. 변풍량 단일덕트방식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중덕트방식은 냉온풍의 혼합으로 인한 혼합손실이 있어서 에너지소비량이 많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70. 배관 중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볼탭
     2. 부싱
     3. 체크밸브
     4. 스트레이너

     정답 : []
     정답률 : 48%

71. 피보호물을 연속된 망상도체나 금속판으로 싸는 방법으로 뇌격을 받더라도 내부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건물이나 내부에 있는 사람에게 위해를 주지 않는 피뢰설비 방식은?
     1. 돌침 방식(보통보호)
     2. 게이지 방식(완전보호)
     3. 수평도체 방식(증강보호)
     4. 가공지선 방식(간이보호)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 게이지x 케이지 방식

72. 10cm두께의 콘크리트 벽 양쪽 표면의 온도가 각각 5℃, 15℃ 로 일정할 때, 벽을 통과하는 전도 열량은? (단,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1.6W/m·K 이다.)
     1. 16 W/m2
     2. 32 W/m2
     3. 160 W/m2
     4. 320 W/m2

     정답 : []
     정답률 : 51%

73. 바닥복사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쾌적감이 높다.
     2. 매립코일이 고장나면 수리가 어렵다.
     3. 열용량이 작기 때문에 간혈난방에 적합하다.
     4. 외기침입이 있는 곳에서도 난방감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74. 급수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도직결방식은 수질 오염의 가능성이 가장높다.
     2. 압력수조방식은 급수압력이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3. 펌프직송방식은 급수 압력 및 유량 조절을 위하여 제어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4. 고가수조방식은 고가수조의 설치높이와 관계없이 최상층 세대에 충분한 수압으로 급수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75.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틈새바람 100m3/h 가 실내로 유입되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냉방현열부하는?

    

     1. 약 174 W
     2. 약 236 W
     3. 약 350 W
     4. 약 465 W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밀도*풍량*비열*온도차
1.2*100/3600*1.01*(34-27)=0.236(kJ/s)=236(W)

76. 방축열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온용 냉동기가 필요하다.
     2. 얼음을 축열 매체로 사용하여 냉열을 얻는다.
     3. 주간의 피크부하에 해당하는 전력을 사용한다.
     4. 응고 및 융해열을 이용하므로 저장열량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빙축열 시스템은 심야전력을 사용함.

피크부하 전력은 비쌈.
[해설작성자 : 시리]

77. 중앙식 급탕법 중 직접가열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규모 급탕설비에는 비경제적이다.
     2. 급탕탱크용 가열코일이 필요하지 않다.
     3. 보일러 내면의 스케일은 간접가열식보다 많이 생긴다.
     4. 건물의 높이가 높을 경우라도 고압 보일러가 필요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건물 높이에 상당하는 수압이 보일러에 가해지므로 고압보일러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미야우]

직접가열식은 보일러에서 직접 가열한 온수를 저탕조에 저장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서 건물높이에 따라 고압의 보일러가 필요하게 되어 주택 또는 소규모 건물에 적합한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78.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에서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가 4개인 경우,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의 저수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하는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3 m3
     2. 2.6 m3
     3. 5.2 m3
     4. 10.4 m3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4조(수원)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에 2.6m^3(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1. 4. 1.>
위 법령과 같이 최대 기준개수가 2개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2.6 * 2 를 하여 5.2가 정답이 됩니다.

79. 정화조에서 호기성균에 의하여 오수를 처리하는 곳은?
     1. 부패조
     2. 여과조
     3. 산화조
     4. 소독조

     정답 : []
     정답률 : 72%

80. 다음 중 효율이 가장 높지만 등황색의 단색광으로 색채의 식별이 곤란하므로 주로 터널조명에 사용하는 것은?
     1. 형광램프
     2. 고압수은램프
     3. 저압나트륨램프
     4. 메탈핼라이드램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황색을 사용하지 않는 저압나트륨램프는 효율적인 측면에서는 좋으나,
웅연색성이 좋지 않아 실내조명용으로 부적합하여 주로 터널 조명으로
수이고 있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81. 신축 또는 리모델링하는 경우, 시간당 0.5회 이상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연환기 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공동주택의 최소 세대수는?(2020년 04월 09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0세대
     2. 30세대
     3. 50세대
     4. 100세대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020년 04월 09일 개정된 규정]
제11조(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기준 등)
①영 제87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신축 또는 리모델링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주택 또는 건축물(이하 “신축공동주택등”이라 한다)은 시간당 0.5회 이상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연환기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개정 2013. 9. 2., 2013. 12. 27., 2020. 4. 9.>
1. 3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2. 주택을 주택 외의 시설과 동일건축물로 건축하는 경우로서 주택이 30세대 이상인 건축물

82. 건축물의 대지에 소규모 휴식시설 등의 공개 공지 또는 공개 공간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지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상업지역
     2. 준거주지역
     3. 전용주거지역
     4. 일반주거지역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건축법 제43조(공개 공지 등의 확보)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의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와 규모의 건축물은 일반이 사용할 수 있도록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소규모 휴식시설 등의 공개 공지(空地: 공터) 또는 공개 공간(이하 “공개공지등”이라 한다)을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4. 1. 14., 2018. 8. 14., 2019. 4. 23.>
1.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2. 상업지역
3. 준공업지역
4.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도시화의 가능성이 크거나 노후 산업단지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ㆍ공고하는 지역
[해설작성자 : .건축 합격.]

83. 주차장 주차단위구획의 최소 크기로 옳은 것은? (단, 일반형으로 평행주차형식의 경우)
     1. 너비 : 1.7 m, 길이 : 4.5 m
     2. 너비 : 2.0 m, 길이 : 6.0 m
     3. 너비 : 2.0 m, 길이 : 3.6 m
     4. 너비 : 2.3 m, 길이 : 5.0 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평행주차형식의 경우]
경형 - 너비 1.7m이상 길이 4.5m이상
일반형 - 너비 2m이상 길이 6m이상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주거지역의 도로 - 너비 2m이상 길이 5m이상
장애인전용 - 너비 2m이상 길이 6m이상
이륜자동차전용 - 너비 1m이상 길이 2.3이상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경형 - 너비 2m이상 길이 3.6m이상
일반형 - 너비 2.5m이상 길이 5m이상
확장형 - 너비 2.6m이상 길이 5.2m이상
장애인전용 - 너비 3.3m이상 길이 5m이상
이륜자동차전용 - 너비 1m이상 길이 2.3m이상
[해설작성자 : .건축 합격.]

84. 다음은 노외주차장의 구조 · 설비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노외주차장에 설치하는 부대시설의 총면적은 주차장 총시설면적(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면적과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면적을 합한 면적)의 20%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로웨이]

85.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을 같은 건축물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충족해야 할 조건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할 것
     2.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 할 것
     3.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은 내화구조로 된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하여 서로 차단할 것
     4. 공동주택의 출입구와 위락시설의 출입구는 서로 그 보행거리가 30m 이상이 되도록 설치 할 것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공동주택 등과 위락시설 등은 서로 이웃하지 아니하도록 배치할 것
[해설작성자 : 만천리 한카노프스키]

86. 제1종 일반주거지역안에서 건축할 수 잇는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
     2. 고등학교
     3. 초등학교
     4. 노유자시설

     정답 : []
     정답률 : 72%

87. 건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2.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3.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4.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4번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해당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백기사]

88. 허가 대상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신고를 하면 건축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면적의 합계가 85m2 이내의 개축
     2. 바닥면적의 합계가 85m2 이내의 증축
     3. 연면적의 합계가 100m2 이하인 건축물의 건축
     4. 연멱적이 200m2 미만이고 4층 미만인 건축물의 대수선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연면적이 200m2 미만이고 3층 미만인 건축물의 대수선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강성수]

89. 부설주차장의 총주차대수 규모가 8대 이하인 자주식 주차장의 주차형식에 따른 차로의 너비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주차장은 지평식이며, 주차단위구획과 접하여 잇는 차로의 경우)
     1. 평행주차 : 2.5m 이상
     2. 직각주차 : 5.0m 이상
     3. 교차주차 : 3.5m 이상
     4. 45도 대항주차 : 3.0m 이상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부설주차장의 총주차대수 규모가 8대 이하인 자주식주차장의 구조 및 설비기준]
평행주차 - 3.0m
직각주차 - 6.0m
60' 대향주차 - 4.0m
45' 대향주차 - 3.5m
교차주차 - 3.5m
[해설작성자 : .건축 합격.]

90. 다음은 건축물 층수 산정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3m
     2. 3.5m
     3. 4m
     4. 4.5m

     정답 : []
     정답률 : 69%

91. 다음 중 건축기준의 허용오차(%)가 가장 큰 항목은?
     1. 건폐율
     2. 용적률
     3. 평면길이
     4. 인접건축물과의 거리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건폐율 : 0.5%
용적률 : 1%
평면길이 : 2%
인접건축물과의 거리 : 3%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김성진]

92. 승용승강기 설치 대상 건축물로서 6층 이상의 거실 면적의 합계가 2000m2인 경우, 다음 중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가 가장 많은 건축물은? (단, 8인승 승용승강기의 경우)
     1. 의료시설
     2. 업무시설
     3. 위락시설
     4. 숙박시설

     정답 : []
     정답률 : 69%

93. 세대수가 20세대인 주거용 건축물에 설치하는 음용수용 급수관의 최소 지름은?
     1. 25mm
     2. 32mm
     3. 40mm
     4. 50mm

     정답 : []
     정답률 : 44%

94. 건축법령상 의료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치과병원
     2. 동물병원
     3. 한방병원
     4. 마약진료소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의료시설 : 치과병원, 한방병원, 마약진료소
제 2종근린생활시설 : 동물병원, 안마시술소
[해설작성자 : 주민준]

95. 연면적이 200m2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하는가? (단, 건축물은 초등학교이며,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의 경우)
     1. 1.2m
     2. 1.5m
     3. 1.8m
     4. 2.4m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양 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 = 2.4m 이상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그 밖의 복도 = 1.8m 이상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김성진]

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공업지역의 세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준공업지역
     2. 중심공업지역
     3. 일반공업지역
     4. 전용공업지역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공업지역의 세분]
- 전용공업지역
- 일반공업지역
- 준공업지역
[해설작성자 : 응가누]

1. 주거지역

가. 전용주거지역
(1) 제1종전용주거지역
(2) 제2종전용주거지역
나. 일반주거지역
(1) 제1종일반주거지역
(2) 제2종일반주거지역
(3) 제3종일반주거지역
다. 준주거지역

2. 상업지역
가. 중심상업지역
나. 일반상업지역
다. 근린상업지역
라. 유통상업지역

3. 공업지역
가. 전용공업지역
나. 일반공업지역
다. 준공업지역

4. 녹지지역
가. 보전녹지지역
나. 생산녹지지역
다. 자연녹지지역
[해설작성자 : .건축 합격.]

97. 건축물에 급수, 배수, 환기, 난방 설비 등의 건축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건축기계설비기술사 또는 공조냉동기계기술사의 협력을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
     2. 연립주택
     3. 다세대주택
     4. 숙박시설로서 해당 용도에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0m2인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40%

98. 건축법령상 연립주택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m2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2.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m2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3.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30m2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3개층 이하인 주택
     4.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30m2를 초과하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3개층 이하인 주택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제2호]
연립주택: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 합계가 660제곱미터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해설작성자 : .건축 합격.]

99. 다음 중 노외주차장의 출구 및 입구를 설치할 수 잇는 장소는?
     1. 너비가 3m 인 도로
     2. 종단보도로부터 12% 인 도로
     3. 횡단보도로부터 8m 거리에 잇는 도로의 부분
     4. 초등학교 출입구로부터 15m 거리에 있는 도로의 부분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너비 4미만 종단구배10초과 초등학교20이내 횡단보도5이내
설치금지

100.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 관람석의 바닥면적이 800m2인 경우 설치하여야 하는 최고 출구수는? (단,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기준상 최소로 한다.)
     1. 5개소
     2. 4개소
     3. 3개소
     4. 2개소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800 x 0.6 / 100 = 4.8m
= 4.8 / 1.5 = 3.2 따라서 4개설치
[해설작성자 : 백기사]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50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4월27일(9796) 좋은아빠되기 2025.09.12 2
9249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3월06일(9795) 좋은아빠되기 2025.09.12 0
9248 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3월05일(9794)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47 자동차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3월31일(9793)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46 자동차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7월12일(9792)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45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4월27일(9791) 좋은아빠되기 2025.09.12 0
9244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9월05일(9790)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43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5월23일(9789)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42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3월07일(9788)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41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05월25일(9787) 좋은아빠되기 2025.09.12 0
9240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9월08일(9785)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39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5월26일(9784)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38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3월10일(9783)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37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10월10일(5회)(9782) 좋은아빠되기 2025.09.12 0
9236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2월01일(1회)(9781)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35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01월26일(1회)(9780)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34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10월06일(5회)(9779)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4월27일(9778) 좋은아빠되기 2025.09.12 0
9232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4월27일(9777)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9231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6년08월06일(9776) 좋은아빠되기 2025.09.12 1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629 Next
/ 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