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김헌창 - 신라의 왕족이자 장안국의 왕 - 태종 무열왕의 후손인 김주원의 아들 - 김주원이 왕위에 오르지 못한 일로 반란을 일으킴 - 새로운 정부를 수립해 국호 '장안', 연호 '경운'이라 함 - 토벌군에게 반란 중요 거점인 웅진성이 함락되고 김헌창은 자결 후 진압 [해설작성자 : 김토미]
1. 이자겸 키워드 인종(아들), 척준경(사돈), 외척 이자겸은 딸 5중 3을 왕가에 시집보내고 심지어 아들인종은 이모 2명과 다시 결혼 시킴 문벌귀족의 부패의 끝판왕 통일신라(김헌창의난)-> 문벌귀족(이자겸의난)-> 묘청의난(서경천도운동으로 이름바뀜) -> 무신정권(망이망소이의난, 만적의난)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문제 해설> 이문제의 출제의도는 구례 화엄사의 각황전이 갖는 우리나라의 영욕의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첫 축조는 통일신라->임진왜란 불타없어짐 -> 인조 재건축 시간내서 네이버에서 검색해 사진과 국보들을 기억하시길 바란다.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13.
다음 사건을 발생시기가 앞선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ㄱ → ㄷ → ㄹ → ㄴ
3.
ㄴ → ㄱ → ㄹ → ㄷ
4.
ㄷ → ㄴ → ㄱ → ㄹ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건원중보 고려 성종 996 삼국사기 고려인종 1145 상정고금예문 대몽항쟁기 1234 짐지심체요절 우왕 1377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14.
조선 전기의 경제 상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화, 조선통보가 발행되었다.
2.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3.
조세와 지대의 금납화가 이루어졌다.
4.
시중에 동전이 부족한 전황이 발생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조선 전기 - 저화, 조선통보 조선 후기 - 상평통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상평통보 조선후기 3. 18세기 이후 대동미+ 세금은 동전 4. 조선후기 양반지주& 상인 = 화폐를 감추고 고리대의 방식으로 부를 축적함 통화량의 부족현상은 본질적으로는 화폐경제의 원활한 발전을 저해하고 동전의 유통 보급으로 촉진된 전통사회의 해체를 가속화시킨 중요한 원인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문제 해설> 1. 농사직설 : 1429년 편찬, 가장 오래된 농서, 조선세종 2. 농상집요 : 1286년 원 조정에서 간행, 중국 화북지역 농사법 반영, 토지관리 및 분뇨 활용 3. 농가집성 : 17세기 중엽 편찬, 벼농사 경종법인 이앙법 정리 4. 농정신편 : 1885년 편찬, 안종수가 저술한 농업서, 서양 근대 농법 참고, 최초의 근대 농서 [해설작성자 : 김토미]
<문제 해설> 금동은 동금을 입힌것이고 금제는 금으로 조각한것이다. 3. 100% 순황금으로 제작된 불상으로 신라시대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또한 신라시대 불교 문화를 고찰하는 데에도 좋은 사료(꼭 한번 검색해보시길)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36.
다음 중 석회동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ㄹ
3.
ㄴ, ㅁ
4.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이문제의 출제의도는 용암동굴을 제외하라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숫자가 적은 용암동굴을 외우는걸 추천한다. (용암동굴의 형성과정과 제주도에 관해서 함께 공부하면 좋다.)
<문제 해설> 한량- 조선시대 양인 이상의 특수신분 (관직이 없이 한가롭게 사는 사람) 한량은 본래 관직을 가졌다가 그만두고 향촌에서 특별한 직업이 없이 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 후에는 소속처가 없는 사람, 유생인데 학교에 가지 않은 사람, 그리고 평민으로서 소속처가 없는 사람을 모두 한량으로 호칭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38.
개최지역과 축제명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광주광역시 - 추억의7080충장축제
2.
충청남도 - 한성백제문화제
3.
경상북도 - 함양산삼축제
4.
충청북도 - 해미읍성역사체험축제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추억의 7080충장축제 ; 광주 동구 2. 한성백제문화제 ; 서울 송파구 3. 함양산삼축제 ; 경상남도 함양군 4. 해미읍성역사체험축제 ; 충청남도 서산시 [해설작성자 : 김토미]
추억의 7080은 "추억의 충장축제"로 변경 해미읍성역사축제는 "서산해미읍성축제"로 변경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