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라 경상사고가 87건 발생하였다면 무상해사고는 몇 건이 발생하였겠는가?
1.
300건
2.
600건
3.
900건
4.
1200건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 29 : 300
3 : 87 : 900 [해설작성자 : 뭠마]
경상 : 87건/ 29 = 3 무상해 = 300 * 3 = 900
사망 또는 중상해 = 1 경상해 = 29 무상해 사고 = 300 [해설작성자 : 에효]
사망 : 경상 : 무상해 = 1 : 29 : 300 29:300 = 87:X X = 87*300/29 [해설작성자 : 예쁘니]
2.
OJT(On the Job Train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2.
교육효과가 업무에 신속히 반영된다.
3.
다수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4.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OJT : 일하는 중 상사가 옆에서 가르쳐줌 OFF JT : 단체로 한 곳에 모아 강의함 [해설작성자 : 공부중]
OJT : 사업장 내에서 실시하는 교육훈련(OJT)에서는 개개인에게 지도훈련을 실시한다. 따라서, 다수의 근로자들을 상대로 한 교육은 어렵다. [해설작성자 : 폴리텍 2학년]
1번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의미는 지도훈현을 쉴새없이 계속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필요한 업무를 계속하면서 지도훈련을 하기 때문에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 입니다. ==> 정답은 3번 맞습니다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지도훈련은 OJT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예비 합격자]
3.
재해사례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해사례연구는 주관적이며 정확성이 있어야 한다.
2.
문제점과 재해요인의 분석은 과학적이고,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3.
재해사례를 과제로 하여 그 사고와 배경을 체계적으로 파악한다.
4.
재해요인을 규명하여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세운다.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주관적으로 판단하지 맙시다! [해설작성자 : 다같이]
4.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ㆍ보건 표지에서 기본모형의 색상이 빨강이 아닌 것은?
1.
산화성물질 경고
2.
화기금지
3.
탑승금지
4.
고온 경고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4. 고온 경고는 삼각형모양의 표지판 사용 -> 바탕 : 노랑 / 기본모형 및 그림 : 검정 [해설작성자 : ㅇㅅㅇ]
경고 표지는 화학적 요소 경고면 빨강 아니면 노랑 이렇게 생각하면 편해요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
금지표시는 빨강 경고표시는 노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모랄 서베이(Morale Survey)의 효용이 아닌 것은?
1.
조직 또는 구성원의 성과를 비교ㆍ분석한다.
2.
종업원의 정화(Catharsis)작용을 촉진시킨다.
3.
경영관리를 개선하는 데에 대한 자료를 얻는다.
4.
근로자의 심리 또는 욕구를 파악하여 불만을 해소하고, 노동의욕을 높인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모랄 서베이 2가지 조사방법 있다. 1.구성원의 성과 기록, 추세파악 2. 태도조사방법 ->구성원의 근로의욕을 증가시킬수 있음 [해설작성자 : 배고픈데..]
측정법은 2가지! 1. 종업원의 활동과 성과를 기록하고, 그 추세와 갑작스런 변화에 주의하여 근로의욕 ·태도를 파악하는 관찰법으로서 불평불만의 횟수와 내용, 결근율과 이직률 및 재해율, 작업의 실패율 등이 그 지표가 된다. ② 태도조사법으로서 면접 또는 설문지에 의하여 종업원의 태도와 의식상태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면접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일반적으로 설문지에 의한 방법이 채택된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경영관리의 자료를 얻게 되며,직원들의 욕구 불만을 알게 되어 이것을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해설작성자 : 하늘아도와줘]
6.
주의(Attention)의 특징 중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 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주의가 집중되는 것은?
1.
선택성
2.
방향성
3.
변동성
4.
검출성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선택성: 여러 종류의 자극을 받을 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주의가 집중되는 성질 방향성: 한 종류의 자극에 주의를 집중하면, 다른 곳의 주의가 약해지는 성질 변동성: 주의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일정한 주기로 부주의하는 리듬이 존재하는 성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인간의 적응기제(適機應制)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갈등(conflict)
2.
억압(repression)
3.
공격(aggression)
4.
합리화(rationalization)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인간의 적응 기제 1. 도피 : 억압, 퇴행, 백일몽, 고립 2. 방어 : 보상, 합리화, 승화, 동일시, 투사 3. 공격 [해설작성자 : ㅇㅅㅇ]
8.
산업안전보건법상 직업병 유소견자가 발생하거나 다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건강진단은?
1.
특별 건강진단
2.
일반 건강진단
3.
임시 건강진단
4.
채용시 건강진단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제131조(임시건강진단 명령 등) ① 고용노동부장관은 같은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들에게 유사한 질병의 증상이 발생한 경우 등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업주에게 특정 근로자에 대한 건강진단(이하 "임시건강진단"이라 한다)의 실시나 작업전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ㅇㅈㅇ]
9.
위험예지훈련 중 TBM(Tool Box Meet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 장소에서 원형의 형태를 만들어 실시한다.
2.
통상 작업시작 전ㆍ후 10분 정도 시간으로 미팅한다.
3.
토의는 다수인(30인)이 함께 수행한다.
4.
근로자 모두가 말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이렇게 하자”라고 합의한 내용이 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다수가 아닌 5 ~ 7인 정도가 적당. [해설작성자 : 수험생]
10인 이하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
10.
제조업자는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하여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를 입은 자에게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단, 당해 제조물에 대해서만 발생한 손해는 제외한다.)
1.
입증 책임
2.
담보 책임
3.
연대 책임
4.
제조물 책임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문제에 정답이 있습니다. 제조물로 인한 피해는 제조물 책임입니다. [해설작성자 : gunplay]
11.
하버드 학파의 5단계 교수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교시(Presentation)
2.
연합(Association)
3.
추론(Reasoning)
4.
총괄(Generalization)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하버드 학파 5단계 교수법 : 준비->교시->연합->총괄->응용
[추가 해설]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준, 교, 야(연), 총, 은(응)? 앞글자만 따서 준교연총응 이거를 조금 더 쉽게 외우고자 준교야 총은?이렇게 외우는게 쉬울 수 도 있습니다
<문제 해설> 리스크 테이킹은, 위험을 감지해서 위험의 크기를 평가하는 것은 위험지각(risk perception) 또는 위험인지(risk cognition)라 하며, 위험을 지각한 뒤, 굳이 행동하는 것이 위험감행(risk taking)이다.
사고의 재해원인에는 이러한 것이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안전태도와 리스크 테이킹과의 관계는 안전태도가 양호한 사람일수록 리스크 테이킹의 정도가 적으며, 또 안전태도 수준이 같은 정도라고 해도 작업의 달성동기, 성격, 능률 등 각종 요인이 영향이 되어 리스크 테이킹의 정도가 변한다. 사고를 방지하려면 이러한 위험을 감행하는 행위를 없애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 목전에 전개되는 상태를 판단하고 거기에 수반되는 행동에서 어느 정도의 위험성이 예측되어도 그것을 억지로 수행하려고 하는 태도이며, 일반적으로 젊은 사람일수록 리스크 테이킹과 같은 태도가 많으며, 또 생활상의 책임을 가족에 맡기고 있는 사람일수록 리스크 테이킹을 범하는 태도가 적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자기 나름대로 판정해서 의지결정을 하면 리스크가 생기면 자신이 감수해야겠죠? 그래서 리스크 테이킹! [해설작성자 : 시험 D-7]
<문제 해설> 무조건 나쁜 일에만 발생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상황에 직면하는 기회가 많을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겠지요.
3번이 정답인 이유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정신적으로 힘들어져 일을 하는데 있어 집중력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16.
누전차단장치 등과 같은 안전장치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작동시키고 동작상황의 양부를 확인하는 점검은?
1.
외관점검
2.
작동점검
3.
기술점검
4.
종합점검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문제에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작동 시키고...." 2. 작동점검 [해설작성자 : 울산 남구 전어회무침]
17.
재해발생 형태별 분류 중 물건이 주체가 되어 사람이 상해를 입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1.
추락
2.
전도
3.
충돌
4.
낙하ㆍ비래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물건이 떨어지면 낙하 사람이떨어지면 추락 [해설작성자 : 관리자님충성충성]
추락 - 사람이 떨어지는 것 전도 - 사람이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 충돌 - 부딪히는 것 낙하, 비래 - 물건이 주체가 되어서 사람에게 부딪히는 것 ex) 낙하 : 하늘에서 돌덩이가 떨어진다, 비래 : 작업 중 비산물이 튀어서 맞는다. [해설작성자 : 동돌이]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특별안전ㆍ보건 교육의 대상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석면해체ㆍ제거작업
2.
밀폐된 장소에서 하는 용접작업
3.
화학설비 취급품의 검수ㆍ확인 작업
4.
2m 이상의 콘크리트 인공구조물의 해체 작업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아세틸렌 용접장치 또는 가스집합 용접장치를 사용하는 금속의 용접, 용단 또른 가열작업(발생기,도관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용접장치만 해당된다) 2. 밀폐된 장소(탱크 내 또는 환기가 극히 불량한 좁은 장소를 말한다)에서 하는 용접작업 또는 습한 장소에서 하는 전기용접 작업 3.폭발성 물반응성 자기반응성 자기발열성 물질, 자연발화성 액체 고체 및 인화성 액체의 제조 또는 취급 작업(시험연구른 위한 취급작업은 제외한다) 4. 전압이 75볼트 이상인 정전 및 활선 작업 5. 거푸집 동바리의 조립 또는 해체작업 6. 비계의 조립 해체 또는 변경작업 7. 타워크래인을 설치(상승작업을 포함한다) 해체하는 작업 8. 게이지 압력을 제곱센티미터당 1킬로그램 이상으로 사용하는 압력용기의 설치 및 취급작업 9. 밀폐공간에서의 작업 10. 석면해체 제거작업 11. 콘크리트 파쇄기를 사용하여 하는 파쇄작업(2미터 이상인 구축물의 파쇄작업만 해당한다) 등 총 38개 작업. 끝. [해설작성자 : 빅엿]
19.
안전을 위한 동기부여로 틀린 것은?
1.
기능을 숙달시킨다.
2.
경쟁과 협동을 유도한다.
3.
상벌제도를 합리적으로 시행한다.
4.
안전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주지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안전동기의 유발방법 ①안전의 근본이념(참가자)을 인식시킬것 ②안전목표를 명확히 설정할것 ③결과를 알려줄것 ④상 과 벌을 줄것(상벌제도를 합리적으로 시행할것) ⑤경쟁과 협동을 유도할것 ⑥동기유발의 최적수준을 유지할것 [해설작성자 : 붉은여우]
20.
안전교육의 3단계에서 생활지도, 작업동작지도 등을 통한 안전의 습관화를 위한 교육은?
1.
지식교육
2.
기능교육
3.
태도교육
4.
인성교육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번은 말 그대로 '태도교육' 즉, 행동에 대해서 교육을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생활을 해야 한다던지 또는 어떠한 작업을 할 때 이렇게 해야 하는 것이다." 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번과 2번 그리고 4번은 몸을 움직이는 것보다는 듣는 것이 더 많지요. [해설작성자 : 수험생]
동전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 P(앞)=0.6이고, 뒷면이 나올 확률 P(뒤)=0.4일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사건의 정보량을 각각 맞게 나타낸 것은?
1.
앞면:0.10bit, 뒷면:1.00bit
2.
앞면:0.74bit, 뒷면:1.32bit
3.
앞면:1.32bit, 뒷면:0.74bit
4.
앞면:2.00bit, 뒷면:1.00bit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보량(H) = log2(1/P) [해설작성자 : 공부중]
log(1/P)÷log(2) [해설작성자 : 10개년3회독]
39.
어떤 결함수의 쌍대결함수를 구하고, 컷셋을 찾아내어 결함(사고)을 예방할 수 있는 최소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은?
1.
최대 컷셋
2.
최소 컷셋
3.
최대 패스셋
4.
최소 패스셋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컷셋: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의집합 패스셋: 고장을 일으키지않는 원인의집합 위 문제를 읽어보면 예방(사고방지)이므로 패스셋을 지칭하며 최소조합이니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CSO]
컷: 고장의 원인이 어디지? 엇 여기다 컷! 멈춰봐! 패스셋: 음 여기는 고장이 없네 패스! [해설작성자 : 셍셍정보통]
40.
인간-기계 시스템에서의 신뢰도 유지 방안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lock system
2.
fail-safe system
3.
fool-proof system
4.
risk assessment system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인간-기계 시스템의 신뢰도 유지 방안 lock system fail-safe system(기계의 실수) fool-proof system(인간의 실수) [해설작성자 : 동돌이]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금형 조정 작업 시 슬라이드가 갑자기 작동하는 것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가장 필요한 안전장치는?
1.
안전블록
2.
클러치
3.
안전 1행정 스위치
4.
광전자식 방호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금형의 해체, 조정, 부착 작업 시에 슬라이드가 갑자기 작동하는 것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안전블록입니다. [해설작성자 : gunplay]
42.
프레스 작업 중 작업자의 신체일부가 위험한 작업점으로 들어가면 자동적으로 정지되는 기능이 있는데, 이러한 안전 대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풀 프루프(fool proof)
2.
페일 세이프(fail safe)
3.
인터록(inter lock)
4.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인간의 실수 : fool proof 기계의 실수 : fail safe [해설작성자 : ㅇㅅㅇ]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인터락 또한 설비기구에 근접하여 적외선 센서에 노출되거나 설비에 접촉하는 둥의 작업자의 실수가 있을경우 자동으로 설비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기술인데 해당답이 1,3번 두개가 아니고 1번에만 해당하는 궁극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정답이 두개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공부]
[오류신고 반론] 여기서는 대책을 묻고 있습니다. 인터록은 방지 회로나 설비를 말하겠죠 [해설작성자 : ㅇㅇ]
43.
다음 중 취급운반 시 준수해야 할 원칙으로 틀린 것은?
1.
연속 운반으로 할 것
2.
직선 운반으로 할 것
3.
운반 작업을 집중화시킬 것
4.
생산을 최소로 하도록 운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취급 운반의 5원칙 ] 1. 직선 운반 2. 연속 운반 3. 운반 작업을 집중화 4. 생산을 최고로 하는 운반 5. 최대한 시간과 경비를 절약하는 운반 방법 [해설작성자 : 스마트팩토리과]
백신을 하나씩 운반하면 인건비가 더나온다. [해설작성자 : ㅇㄴㅅㄷ]
44.
프레스기에 사용하는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행정 1정지 기구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누름버튼을 양 손으로 동시에 조작하지 않으면 작동시킬 수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양쪽버튼의 작동시간 차이는 최대 0.5초 이내일 때 프레스가 동작되도록 해야 한다.
4.
방호장치는 사용전원전압의 ±50%의 변동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사용전원전압 ±20% 변동 [해설작성자 : ㅇㅅㅇ]
45.
피복 아크 용접 작업 시 생기는 결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패터(spatter):용융된 금속의 작은 입자가 튀어나와 모재에 묻어있는 것
2.
언더컷(under cut):전류가 과대하고 용접속도가 너무 빠르며, 아크를 짧게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모재 및 용접부의 일부가 녹아서 발생하는 홈 또는 오목하게 생긴 부분
3.
크레이터(crater):용착금속 속에 남아있는 가스로 인하여 생긴 구멍
4.
오버랩(overlap):용접봉의 운행이 불량하거나 용접봉의 용융 온도가 모재보다 낮을 때 과잉 용착금속이 남아있는 부분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레이터 : 용접시 끝이 오목하게 파이는 현상 pit : 용접부 표면에 생기는 작은 기포 구멍이 발생하는 현상 blow hole : 용접부에 기공이 발생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ㅇㅅㅇ]
46.
다음 중 선반(lathe)의 방호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슬라이드(slide)
2.
심압대(tail stock)
3.
주축대(head stock)
4.
척 가드(chuck guard)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척가드=커버 [해설작성자 : 일욜에 시험]
47.
안전계수 5인 로프의 절단하중이 4000N 이라면 이 로프는 몇 N이하의 하중을 매달아야 하는가?
1.
500
2.
800
3.
1000
4.
1600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4000/5=800 [해설작성자 : 뭠마]
48.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아세틸렌 발생기실에 설치해야 할 배기통은 얼마 이상의 단면적을 가져야 하는가?
1.
바닥면적의 1/16
2.
바닥면적의 1/20
3.
바닥면적의 1/24
4.
바닥면적의 1/30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바닥면적의 16분의 1이상의 단면적을 가진 배기통을 옥상으로 돌출시키고 그 개구부를 창 또는 출입구로부터 1.5미터 이상 떨어지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앙탈질래]
위에 두 번째로 해설 하신분이 오해의 소지가 없을 거라고 작성하셨는데 원주 구하는 공식이 지름 x π 또는 2 x πx 반지름이라서 뭘해도 상관 없어요. 오히려 그렇게 적은게 더 헷갈릴 것 같아요. 또한 네 번째로 어렵게 생각하지 말라고 하신 분은 급정지 거리가 나누기 2.5가 나올 수도 있는데 그냥 무시하신 것 같아요. 다 섯번째로 작성하신분은 표면속도 공식에서 나누기 100이아니고 1000이에요.
정리하자면 D=지름, N=회전속도 표면속도 공식= πD N [m/min]이고 위에해설중 πD N/1000 은 문제에서 제시된 지름mm를 m로 바꾸려고 1000으로 나눈 것 입니다.
표면속도 =πx 0.2(m) x 30(rpm) = 18.85 [m/min] 이거나 1000으로 나눈다면 다음과 같아요. 표면속도= πx 200(mm) x 30(rpm) / 1000 = 18.85 [m/min]
표면속도 30[m/min] 미만 이므로 앞면 롤러 원주의 1/3 따라서 2*π*100=628.32(mm) 628.32/3=209.4mm [해설작성자 : 답답해서 내가 적는다]
50.
정(chisel) 작업의 일반적인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1.
따내기 및 칩이 튀는 가공에서는 보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2.
절단 작업 시 절단된 끝이 튀는 것을 조심하여야 한다.
3.
작업을 시작할 때는 가급적 정을 세게 타격하고 점차 힘을 줄여간다.
4.
담금질 된 철강 재료는 정 가공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정 작업 시 처음에는 가볍게 두드리고 점차 힘을 가한 후, 작업이 끝날 때에는 가볍게 두드린다. [해설작성자 : 스마트팩토리과]
51.
다음과 같은 작업조건일 경우 와이어로프의 안전율은?
1.
2
2.
2.5
3.
4
4.
5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인양작업 안전율 안전율=피단하중/사용하중(인양하중)×가닥 수 100/40×2=5 [해설작성자 : 외울꺼참많네]
문제 해설 수정 인양작업 안전율 안전율=로프의 파단하중(P)x로프의 가닥수(N)/안전하중(Q) =100x2/40 = 5 [해설작성자 : 홍현진]
52.
컨베이어 역전방지장치의 형식 중 전기식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라쳇 브레이크
2.
밴드 브레이크
3.
롤러 브레이크
4.
슬러스트 브레이크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계식-라쳇,밴드,롤러 전기식-슬러스트,전기 [해설작성자 : ㅇㅇ]
역전할머니맥주집 가서 락앤롤~~(라밴롤) [해설작성자 : 재밌게공부하소]
기계과 회식가서 락앤롤~~(라밴롤) 이게 더 잘외워집니다. [해설작성자 : 고딩때 놀았다]
53.
공장설비의 배치 계획에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의 흐름에 따라 기계 배치
2.
기계설비의 주변 공간 최소화
3.
공장 내 안전통로 설정
4.
기계설비의 보수점검 용이성을 고려한 배치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기계 설비의 주변공간 최소화시 안전상 위험합니다 [해설작성자 : 상큼]
기계 고장나서 정비하는데 작업공간이 협소하면 위험하고 더 힘들겠죠?? [해설작성자 : 정비쟁이]
54.
다음 중 기계설비에 의해 형성되는 위험점이 아닌 것은?
1.
회전 말림점
2.
접선 분리점
3.
협착점
4.
끼임점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접선물림점 [해설작성자 : 뭠마]
위험점이 아닌것! 위험으로 부터 분리
55.
가스 용접에서 역화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토치 성능이 부실한 경우
2.
취관이 작업 소재에 너무 가까이 있는 경우
3.
산소 공급량이 부족한 경우
4.
토치 팁에 이물질이 묻은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토치 성능이 부실한 경우 인화의 원인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접자격취득자]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용해아세틸렌의 가스집합용접장치의 배관 및 부속기구에는 구리나 구리 함유량이 몇 퍼센트 이상인 합금을 사용할 수 없는가?
1.
40
2.
50
3.
60
4.
70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구리나 구리 함유량이 70퍼센트 이상인 합금을 배관 및 부속기구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아세틸라이드라는 폭발성 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임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좀]
76.
다음 중 분진 폭발의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주변의 점화원을 제거한다.
2.
분진이 날리지 않도록 한다.
3.
분진과 그 주변의 온도를 낮춘다.
4.
분진 입자의 표면적을 크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표면적을 크게 하면 폭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겠지요. [해설작성자 : 수험생]
고기를 구워먹는데 잘게 잘라서 구우면 더 빨리 구워지잖아요 (표면적 증가) 아 갑자기 삼겹살 먹고싶다 히히 [해설작성자 : 정비쟁이]
입자가 작다 --> 표면적이 커진다 ---> 폭발가능성이 커진다 입자가 크다 --> 표면적이 작아진다 --> 폭발가능성이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약수동베일]
77.
유해ㆍ위험물질 취급 시 보호구로서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방호성능이 충분할 것
2.
재료의 품질이 양호할 것
3.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을 것
4.
외관이 화려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물론 외관이 화려하면 좋겠지만, 필수적인건 아님 [해설작성자 : 상큼]
작업할 때 유해물질을 막기 위한데 외관이 화려할 필요는 없죠 ㅎㅎ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공기 중에 3ppm이 디메틸아민(demethylaminem TLV-TWA:10ppm)과 20ppm의 시클로핵산을 (cyclohexanol, TLV-TWA:50ppm)이 있고, 10ppm의 산화프로필렌(propyleneoxide, TLV-TWA:20ppm)이 존재한다면 혼합 TLV-TWA 몇 ppm인가?
건조설비의 사용에 있어 500~800℃ 범위의 온도에 가열된 스테인리스강에서 주로 일어나며, 탄화크롬이 형성되었을 때 결정경계면의 크롬함유량이 감소하여 발생되는 부식형태는?
1.
전면부식
2.
층상부식
3.
입계부식
4.
격간부식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결정경계면 → 입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칼륨에 의한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것은?
1.
건조사(마른모래)
2.
포소화기
3.
이산화탄소소화기
4.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칼륨은 금속 금속화재는 건조사
81.
흙막이 가시설의 버팀대(Strut)의 변형을 측정하는 계측기에 해당하는 것은?
1.
Water level meter
2.
Strain gauge
3.
Piezometer
4.
Load cell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strain gauge 말 그대로 해석하면 변형 측정기 [해설작성자 : 게이지? 게이.....지?]
strain gause 변형률계 [해설작성자 : 스트레스 받는다]
보기에 나온 예들이 굴착공사용 계측기기 이므로 추가하자면.. 1. Water level meter - 지하수위계 / 지반 내 지하수위의 변화를 계측하는 기구 2. Strain gauge - 변형률계 / 흙막이 가시설의 버팀대의 변형을 측정하는 계측기 3. Piezometer - 위압수두계 / 간극 수압의 변화를 계측하는 기구 4. Load cell - 하중계 / 지보공 버팀대에 작용하는 축력을 측정하는 계측기 [해설작성자 : 5월 25일 시험]
82.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준수해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이식 사다리 기둥은 사용 시 접혀지거나 펼쳐지지 않도록 철물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치할 것
표준관입시험 : 지반의 지지력, 지층의 분포 상태 및 지질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 보링 구멍을 이용하여 로드 끝에 스플릿 스푼 샘플러를 장치하고, 해머를 높이 75cm에서 자유 낙하 타격으로 30cm 관입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회전수를 측정한다.
베인테스트 : 흙의 전단강도를 구하는 시험
평판재하시험 : 지반의 현위치시험 중의 하나. 300mm×300mm의 재하판을 사용해서 그 위에 재하하고 침하량과 하중의 관계에서 지내력을 구하는 시험 [해설작성자 : 산안산기왤캐빡세]
95.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주부재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장치를 할 것
2.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는 85°이하로 할 것
3.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40cm 이상으로 할 것
4.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기울기는 75°이하로 할것!
96.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제한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2.
강우량이 시간당 1mm 이상인 경우
3.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4.
소음이 65dB 이상인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경우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강우량이 시간당 1mm이상인 경우 강설량이 시간당 1cm이상인 경우 [해설작성자 : 인생역전]
97.
강관틀비계의 높이가 20m를 초과하는 경우 주틀간의 간격을 최대 얼마 이하로 사용해야 하는가?
1.
1.0m
2.
1.5m
3.
1.8m
4.
2.0m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강관틀비계] 1. 비계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첨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밑받침에 고저차가 있는 경우 조절형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 각각의 강관틀비계가 항상 수평·수직을 유지하여야 한다. 2. 전체높이는 40미터를 초과할 수 없으며, 20미터를 초과할 경우 주틀의 높이를 2미터 이내로 하고 주틀간의 간격은 1.8미터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주틀간에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4. 벽연결은 구조체와 수직방향으로 6미터, 수평방향으로 8미터 이내마다 연결하여야 한다. 5. 띠장방향으로 길이가 4미터 이하이고 높이 10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높이 10미터 이내마다 띠장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하여야 한다. 6. 그외의 다른사항은 강관비계에 준한다. [해설작성자 : 모두다 화이팅!]
98.
철골공사에서 용접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전격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격방지를 위해 자동전격방지기를 설치한다.
2.
우천, 강설시에는 야외작업을 중단한다.
3.
개로 전압이 낮은 교류 용접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4.
절연 홀더(Holder)를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교류용접기는 개로전압이 낮은걸 사용해야한다네용~~~
99.
타워크레인의 운전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순간풍속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초당 10m 초과
2.
초당 12m 초과
3.
초당 15m 초과
4.
초당 20m 초과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5m/s 맞습니다.
쉽고 간단하게 설명드릴께요 10m/s는 설치나 해체 금지 15m/s는 T/C 운전금지 30m/s는 이탈방지(고정해야함) 35m/s는 옥외 승강기 및 건설 작업용 리프트의 붕괴방지조치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시작이 반이다.]
아마 17년도 이전에는 20m/s가 맞았는데 법 개정된 이후로 15m/s됐어요. [해설작성자 : Fish]
100.
흙막이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부재의 손상, 변형, 부식, 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2.
부재의 접속부, 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3.
침하의 정도
4.
발판의 지지 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즉조치항목 1.2.3번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해설작성자 : 공부시작합니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③
①
④
①
①
①
③
③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③
④
④
③
②
④
③
①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①
②
③
④
③
①
①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③
③
④
①
②
②
④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①
④
④
③
④
②
①
③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④
②
②
③
③
①
③
④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①
③
④
①
②
②
④
①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①
③
①
④
④
④
③
③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②
②
②
①
①
①
④
④
④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②
③
①
②
④
③
③
③
④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