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카 퓸을 콘크리트에 혼합하면 수화열을 저감시키고, 강도발현이 현저하며, 수밀성, 화학저항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감소한다 -> 증가한다.
19.
시방 배합설계 결과 잔골재량이 630kg/m3, 굵은 골재량이 1170kg/m3이었다. 현장의 골재 상태가 아래 표와 같을 때 현장 배합의 잔골재량과 굵은 골재량으로 옳은 것은?
1.
잔골재:579kg/m3, 굵은 골재 : 1241kg/m3
2.
잔골재:551kg/m3, 굵은 골재 : 1229kg/m3
3.
잔골재:531kg/m3, 굵은 골재 : 1201kg/m3
4.
잔골재:519kg/m3, 굵은 골재 : 1189kg/m3
정답 : [
1
] 정답률 : 53%
20.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로서 상수돗물 이외의 물의 품질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탁 물질의 양은 5g/L 이하여야 한다.
2.
염소 이온(Cl-)의 양은 250mg/L 이하여야 한다.
3.
용해성 증발 잔류물의 양은 1g/L 이하여야 한다.
4.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비는 재령 7일 및 재령 28일에서 90%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 g/L [해설작성자 : rd]
2과목 :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안지름이 25cm, 안높이가 28.5cm인 용기에 콘크리트를 넣고 2시간 동안 블리딩에 의한 물의 양을 측정했을 때 64.5mL이었다면 이 때 블리딩량은?
1.
0.13mL/cm2
2.
0.013mL/cm2
3.
0.92mL/cm2
4.
0.092mL/cm2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블리딩량 = V/A = 64.5ML / (π×12.5×12.5)cm2 = 0.13ML/cm2 V:측정시간 동안 생긴 블리딩 물의 양 A:콘크리트 윗면의 면적 [해설작성자 : 사리엘]
22.
콘크리트 현장 품질관리에서 재하 시험에 의한 구조물의 성능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로 틀린 것은?
1.
공사 중에 콘크리트가 동해를 받았다고 생각되는 경우
2.
공사 중 구조물의 안전에 어떠한 근거 있는 의심이 생긴 경우
3.
공사 중 현장에서 취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결과를 보고 강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4.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에서 판정기준을 3가지 이상 벗어나는 콘크리트로 시공한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63%
23.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굳은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중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1.
휨강도
2.
압축강도
3.
인장강도
4.
전단강도
정답 : [
2
] 정답률 : 82%
24.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표면에 고인 물은 홈을 만들어 흐르게 하는 것이 좋다.
2.
외기온도가 높아질수록 허용 이어치기시간간격은 짧게 하는 것이 좋다.
3.
콘크리트를 쳐 올라가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재료분리가 일어나기 쉽다.
4.
타설한 콘크리트는 거푸집 안에서 내부 진동기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25.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검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미관이 중요한 구조라 해도 미관상의 허용 균열폭이 없기 때문에 균열 검토를 하지 않는다.
2.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균열이 구조물의 기능, 내구성 및 미관 등의 사용 목적에 손상을 주는가에 대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검토해야 한다.
3.
균열 제어를 위한 철근은 필요로 하는 부재 단면의 주변에 분산시켜 배치하여야 하고, 이 경우 철근의 지름과 간격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야 한다.
4.
내구성에 대한 균열의 검토는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폭을 환경조건, 피복두께, 공용기간으로부터 정해지는 강재부식에 대한 균열폭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26.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할 때 AE 콘크리트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잔골재율 증가
2.
단위 수량 감소
3.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 증가
4.
워커빌리티(workability)의 증가
정답 : [
1
] 정답률 : 66%
27.
현장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20회 측정한 결과 표준편차는 1.4MPa이었다. 설계기준 압축강도(fck)가 30MPa일 때 배합강도(fcr)는? (단 시험횟수가 20회일 때의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는 1.08을 사용한다.)
1.
28MPa
2.
30MPa
3.
32MPa
4.
40MPa
정답 : [
3
] 정답률 : 68%
28.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 시 흡수율이 큰 골재의 경우 골재 낱알의 흡수가 시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골재의 수정계수를 측정하여야 한다. 다음과 같은 1배치 배합에 대하여 압력방법(KS F 2421)에 의한 골재의 수정계수를 구할 때 필요한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양은? (단, 공기량 시험기의 용적은 6ℓ로 한다.)
상세조사는 표준조사의 자료로부터 원인추정, 보수보강 여부의 판정과 보수보강공법 선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실시한다. 상세조사의 시험항목이 아닌 것은?
1.
균열 폭
2.
강도 시험
3.
콘크리트 분석
4.
탄산화 깊이 시험
정답 : [
1
] 정답률 : 43%
78.
준공 후 20년 경과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가 15mm이었다. 준공 후 100년 경과된 시점에서 탄산화 깊이의 예측값으로 적정한 것은? (단, 탄산화 깊이 C=A√t이고, 여기서 A의 비례상수, t는 시간이다.)
1.
10.4mm
2.
19.5mm
3.
27.4mm
4.
33.5mm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5 = A * √20 => A = 3.354 100년 후 C = 3.354 * √100 = 33.54 m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에서 인장철근은 D22 철근 2개가 윗부분에, D29철근 2개가 아랫부분에 두 줄로 배치되었다. 이 때 보의 공칭휨강도(Mn)은? (단, fck=28MPa, fy=400MPa이며 철근 D22 2본의 단면적은 774mm2, 철근 D29 2본의 단면적은 1285mm이다.)
1.
271kNㆍm
2.
281kNㆍm
3.
291kNㆍm
4.
301kNㆍm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C=T 0.85 x Fck x a x b = As x Fy a=(As*Fy)/(0.85*Fck*b) =((400*774)+(400*1285))/(0.85*28*300) =(309600+514000)/7140 = 115.35 Mn=T x z =(Fy*(As1*(d1-a/2))+Fy*(As2*(d2-a/2))) =(400*(774*((500-(50+70))-115.35/2))+(400*(1285*((500-70)-115.35/2))) =291kN·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철근 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휨방향 비틀림철근은 종방향 철근 주위로 135° 표준갈고리에 의하여 정착하여야 한다.
2.
종방향 비틀림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300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다.
3.
종방향 비틀림철근의 지름은 스터럽 간격의 1/24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D10이상의 철근이어야 한다.
4.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200mm 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가장 바깥의 횡방향 폐쇄스터럽 중심선의 둘레의 1/6보다 작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