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국가가 영토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였으나, 1928년 켈로그 브리앙(Kellog-Briand)조약이나 현재 UN헌장 제2조 4항의 규정에 반하여 영토 획득의 방법으로서 타당성을 잃은 것은?
1.
점령(occupation)
2.
시효취득(prescription)
3.
정복(conquest)
4.
부합(accretion)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7.
WTO의 긴급수입제한(Safeguard)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TO 규정을 위반한 불공정무역행위에 대해 발동하는 조치이다.
2.
WTO의 설립 이전 수출자율규제(VER)나 시장질서유지협정(OMR)과 같은 회색지역조치(grey area measures)에 의존하던 관행을 없애고 GATT 제XIX조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WTO의 긴급수입제한협정(Agreement on Safeguard)이 체결되었다.
3.
수입의 증가가 국내 동종산업 또는 직접적으로 경쟁관계인 제품산업에 심각한 피해(serious injury)를 초래하거나 초래할 우려가 있어야 발동할 수 있다.
4.
'심각한 피해'는 국내 산업의 상태에 있어 중대하고 전반적인 손상을 의미하고 '심각한 피해의 우려'는 명백하게 임박한 심각한 피해의 우려를 의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18.
국제사법법원(ICJ)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기구가 ICJ의 권고적 의견을 요청하는 사안이 특정 국가와 관계되는 경우 그 국가의 동의가 필요하다.
2.
ICJ는 임의관할권을 원칙으로 한다.
3.
ICJ 규정 제36조 2항의 선택조항을 수락한 국가들 간의 분쟁에 대해서는 ICJ의 강제관할권이 성립하는 것이 원칙이다.
4.
ICJ는 라그랑(LaGrand) 사건에서 ICJ의 가보전조치(provisional measure)가 분쟁 당사국을 법적으로 구속한다고 판단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19.
1969년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이 규정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약이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조약을 탈퇴한 국가라도 탈퇴 전 그 조약의 시행으로 발생한 그 국가의 권리 및 의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조약은 그 명칭에 상관없이 국제법으로 규율되는 국가 간의 서면 합의를 의미한다.
3.
조약이 국제관습법을 규정한 경우에는 그 조약의 비당사국에도 적용된다.
4.
조약이 강행규범과 상충되어 무효인지 여부에 관한 분쟁은 바로 국제사법법원(ICJ)의 결정에 의탁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합의가 있는 경우 중재재판에 회부됨. 다만, 그러한 합의가 성립되지 않을 경우에 한해 일방당사국은 I cj에 회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I]
20.
상설국제사법법원(PCIJ)의 로터스(Lotus)호(號)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능동적 속인주의(active personality principle)에 근거하여 프랑스 선원에 대한 터키법원의 재판관할권이 인정되었다.
2.
공해상에서 국적을 달리하는 선박 충돌의 경우에는 가해선의 국적국과 피해선의 국적국이 모두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으며, 이 내용이 1982년 UN해양법협약에도 규정되었다.
3.
이 사건에서 PCIJ는 국제법이 명시적으로 금지하지 않는 분야에 대해서는 주권국가가 행동의 자유를 갖는다는, 소위 '금지이론'을 판시하였다.
4.
이 사건의 판결 원칙은 그 후 마르텐스 조항(Martens Clause)으로 계승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③
②
④
③
②
④
①
④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②
②
③
②
③
①
①
④
③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