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조종-반응 비율(Control-Response rati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종-반응 비율이 낮을수록 둔감하다.
2.
조종-반응 비율이 높을수록 조정시간은 증가한다.
3.
표시장치의 이동거리를 조종장치의 이동거리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4.
회전 꼭지(knob)의 경우 조정-반응 비율은 손잡이 1회전에 상당하는 표시장치 이동거리의 역수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R 비율 : 조종-반응 비율이 낮을수록 민감하다 : 조종-반응 비율이 높을수록 조정시간은 감소한다 : 조종장치의 이동거리를 표시장치의 이동거리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 회전 꼭지(knob)의 경우 조정-반응 비율은 손잡이 1회전에 상당하는 표시장치 이동거리의 역수이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3.
인체측정자료의 응용원칙 중 출입문, 통로 등의 설계시 가장 적합한 원칙은?
1.
조절식 범위를 이용한 설계
2.
최소치를 이용한 설계
3.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
4.
최대치를 이용한 설계
정답 : [
4
] 정답률 : 93%
4.
다음 중 인간의 제어 정도에 따른 인간-기계 시스템의 일반적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동 시스템
2.
기계화 시스템
3.
자동 시스템
4.
감시제어 시스템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인간에 의한 제어의 정도에 따라 수동 시스템, 기계화 시스템, 자동화 시스템의 3가지 분류한다. 감시제어 시스템은 자동화의 정도에 따른 분류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이엔젤]
5.
의미 있고 적절한 가능성이 있는 정보가 여러 근원으로부터 동일한 감각경로나 둘 이상의 감각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양립성(compatibility)
2.
시배분(time-sharing)
3.
정보 보관(information storage)
4.
정보 응축(information condensation)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시배분'은 의미 있고 적절한 가능성이 있는 정보가 여러 근원으로부터 동일한 감각경로나 둘 이상의 감각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6.
다음 중 눈의 구조 가운데 빛이 도달하여 초점이 가장 선명하게 맺히는 부위는?
1.
동공
2.
홍채
3.
황반
4.
수정체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동공 : 홍채의 중앙에 구멍이 나 있는 부위를 말한다. 홍채 :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위치하며, 홍채의 색은 인종별, 개인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수정체 : 수정체는 비록 작지만 모양체근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긴장을 하면 두꺼워져 가까운 물체를 볼 수 있게 되고, 긴장을 풀면 납작해져서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볼 수 있게 된다. 수정체는 보통 유연성이 있어서 눈 뒤쪽의 감광표면인 망막에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7.
신호검출이론(signal detection theory)에서 판정기준을 나타내는 가능성비(likelihood ratio) β와 민감도(sensitivity) 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β가 클수록 보수적이고, d가 클수록 민감함을 나타낸다.
2.
β가 작을수록 보수적이고, d가 클수록 민감함을 나타낸다.
3.
β가 클수록 보수적이고, d가 클수록 둔감함을 나타낸다.
4.
β가 작을수록 보수적이고, d가 클수록 둔감함을 나타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8.
다음 중 1000Hz, 40dB를 기준으로 음의 상대적인 주관적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1.
sone
2.
siemens
3.
dB
4.
phon
정답 : [
1
] 정답률 : 84%
9.
다음 중 경계 및 경보신호에 사용되는 청각적 표시장치가 가져야 할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300m 이상의 장거리용 신호에서는 4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2.
경계신호는 가급적 통일해서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하지 말아야 한다.
3.
장애물이나 칸막이를 넘어가야 하는 신호는 1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4.
주의를 끄는 목적으로 신호를 사용할 때에는 변조신호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300m 이상 장거리 -> 저주파 2. 경계신호는 분리하여 개별 의미 부여 3. 칸막이 장애물 넘어가려면 1kHz 이하 저주파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10m 떨어진 곳에서 높이 2cm의 물체(Snellen letter)를 겨우 볼 수 있을 00때, 이 사람의 시력은 얼마 정도인가?
소리가 들린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음 강도는 차폐음보다 15dB이상 이어야 한다.
4.
차폐되는 소리의 임계주파수대(critcal frequency band) 주변에 있는 소리들에 의해 가장 많이 차폐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목소리에서 남자는 여자보다 주파수가 낮음 낮은 주파수는 차폐가 어려움 [해설작성자 : 더블디스타]
14.
다음 중 인간-기계 비교의 한계점을 지적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대적 비교는 항상 변할 수 있다.
2.
언제나 최고의 성능이 우선적이다.
3.
기능의 할당에서 사회적인 가치도 고려해야 한다.
4.
가용도, 가격, 신뢰도와 같은 가치기준도 고려되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15.
다음 중 인강공학 연구에 사용되는 기준에서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생리학적 지표
2.
기계 신뢰도
3.
인간성능 척도
4.
주관적 반응
정답 : [
2
] 정답률 : 67%
16.
다음 중 암호의 사용에 있어 일반적인 지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암호표시는 다른 암호표시와 비슷하여 변별이 되지 않아야 한다.
2.
암호체계는 사람들이 이미 지니고 있는 연상을 이용해서는 안된다.
3.
암호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그 뜻을 알 수 없어야 한다.
4.
암호를 표준화하여 사람들이 어떤 상황에서 다른 상황으로 옮기더라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 암호의 원칙중 표준화에 대한 내용 (암호는 일관성을 위해 반드시 표준화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석세스팍]
17.
실제 사용자들의 행동 분석을 위해 사용자가 생활하는 자연스러운 생활환경에서 관찰하는 사용성 평가기법은?
1.
Heuristic Evaluation
2.
Observation Ethnography
3.
Usability Lab Testing
4.
Focus Group Interview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관찰 에쓰노그라피 Observation Ethnography 실제 사용자들의 행동 분석을 위해 사용자가 생활하는 자연스러운 생활 환경에서 관찰하는 사용성 평가기법, 생활환경에서 비디오 등으로 녹화하는 사용성 평가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중 책상과 의자의 설계에 필요한 인체치수 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의자 높이:오금 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2.
의자 깊이:엉덩에서 무릎 뒤까지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다.
3.
책상 높이:선 자세의 팔꿈치 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4.
의자 너비:엉덩이 너비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19.
다음과 같은 인간의 정보처리모델에서 구성 요소의 위치(A~D)와 해당 용어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A-주의
2.
B-작업기억
3.
C-단기기억
4.
D-피드백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C-장기기억 [해설작성자 : 냐옹]
20.
다음 중 인간의 후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훈련을 통하면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특정한 냄새에 대한 절대적 식별 능력은 떨어진다.
3.
후각은 특정 물질이나 개인에 따라 민감도의 차이가 있다.
4.
훈련을 통하여 식별이 가능한 일상적인 냄새의 수는 최대 7가지 종류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4. 훈련을 통하여 식별 가능한 일상적인 냄새의 수는 60종까지도 가능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2과목 : 작업생리학
21.
작업자 A가 작업할 때 측정한 평균 흡기량과 배기량이 각각 50L/min과 40L/min이며 평균 배기량 중 산소의 함량이 17%였다면 이 때 분당 산소소비량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 중 산소의 함량 21%이다.)
다음 중 에너지소비율(Relative Metabolic Rat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업시 소비된 에너지에서 안정시 소비된 에너지를 공제한 값이다.
2.
작업시 소비된 에너지를 기초대사량으로 나눈 값이다.
3.
작업시와 안정시 소비에너지의 차를 기초 대사량으로 나눈 값이다.
4.
작업강도가 높을수록 에너지소비율은 낮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23.
다음 중 뼈와 근육을 연결하며 근육에서 발휘된 힘을 뼈에 전달하는 근골격계 조직은?
1.
건
2.
혈관
3.
인대
4.
신경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건은 뼈와 근육을 연결하며 근육에서 발휘된 힘을 뼈에 전달하는 것으로 보통 힘줄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24.
1Cd의 점광원으로부터 4m 거리에 떨어진 구면의 조도는 몇 럭스(lux)가 되겠는가?
1.
1/16
2.
1/9
3.
1/6
4.
1/3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거리^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얼마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하는가?
1.
80데시벨
2.
85데시벨
3.
90데시벨
4.
95데시벨
정답 : [
2
] 정답률 : 86%
26.
다음 중 근력에 있어서 등척력(isometric strength)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신체부위가 동적인 상태에서 물체에 이동한 힘을 가하는 상태의 근력이다.
2.
물체를 들어올려 일정시간 내에 일정거리를 이동시킬 때 힘을 가하는 상태의 근력이다.
3.
물체를 들어 올릴 때처럼 팔이나 다리의 신체부위를 실제로 움직이는 상태의 근력이다.
4.
물체를 들고 있을 때처럼 신체부위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고정된 물체에 힘을 가하는 상태의 근력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27.
다음 중 육체적 강도가 높은 작업에 있어 혈액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1.
소화기관
2.
골격
3.
피부
4.
근육
정답 : [
4
] 정답률 : 75%
28.
다음 중 낮은 진동수에서의 진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1.
감시
2.
의사 표시
3.
반응 시간
4.
추적 능력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진동은 진폭에 비례하여 추적 능력을 손상시키며 5Hz 이하의 낮은 진동수에서 가장 심하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29.
다음 중 근육의 수축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섬유가 수축하면 I대와 H대가 짧아진다.
2.
최대로 수축했을 때의 Z선이 A대에 맞닿는다.
3.
액틴과 마이오신 필라멘트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4.
근육 전체가 내는 힘은 비활성화된 근섬유수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 각 섬유는 일정한 힘으로 수축하며, 근육 전체가 내는 힘은 활성화된 근섬유 수에 의해 결정된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30.
다음 중 고열환경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수로 사용되는 것은?
1.
실효온도(ET)
2.
열스트레스지수(HSI)
3.
습구흑구온도지수(WBGT)
4.
옥스퍼드지수(Qxford index)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작업환경 측정에 사용되는 단위로서 고열환경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수이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31.
다음 중 반사 눈부심의 처리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창문을 높이 설치한다.
2.
간접조명 수준을 좋게 한다.
3.
휘도 수준을 낮게 유지한다.
4.
조절판, 차양 등을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창문을 높이 설치하는 것은 창문으로부터의 직사휘광 처리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32.
신체동작의 유형 중 팔꿈치를 굽히는 동작과 같이 관절에서 각도가 감소하는 동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상향(supination)
2.
외전(abduction)
3.
신전(extension)
4.
굴곡(flexion)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상향, 회외(supination) : 손바닥을 위로 향하도록 하는 회전 외전(abduction) : 팔을 옆으로 들 때처럼 인체 중심선(midline)에서 멀어지는 측면에서의 인체 부위의 동작 신전(extension) : 굴곡과 반대방향의 동작. 팔꿈치를 펼 때처럼 관절에서의 각도가 증가하는 동작 굴곡(flexion) : 팔꿈치로 팔굽히기를 할 때처럼 관절에서의 각도가 감소하는 인체부분의 동작 [해설작성자 : 버터컵]
33.
다음 중 작업자세를 생체역학적으로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각 신체부위의 길이
2.
각 신체부위의 무게
3.
각 신체부위의 근력
4.
각 신체부위의 무게중심점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인체측정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생체역학에서는 신체부위의 길이, 무게, 부피, 운동범위 등을 포함하여 신체모양이나 기능을 측정하는 것을 다룬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34.
휴식 중의 에너지소비량이 1.5kcal/min인 작업자가 분당 평균 8kcal의 에너지를 소비한 작업을 60분 동안 했을 경우 총 작업시간 60분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 시간은 몇 분인가? (단, Murrell의 식을 적용하며, 작업 시 권장 평균에너지 소비량은 5kcal/min으로 가정한다.)
다음 중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에서 주장하는 구조주도적(initiating structure)리더와 배려적(consideration) 리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려적 리더는 관계지향적, 인간중심적으로 인간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2.
구조주도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성과환경을 구조화하는 리더십 행동이다.
3.
구조적 리더십은 성과를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하는 행동 유형을 말한다.
4.
배려적 리더는 구성원의 과업을 설정, 배정하고 구성원과의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명백히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57.
조직의 리더(leader)에게 부여하는 권한 중 구성원을 징계 또는 처벌할 수 있는 권한은?
1.
보상적 권한
2.
강압적 권한
3.
합법적 권한
4.
전문성의 권한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조직이 리더에게 부여한 권한 보상적 권한 - 부하직원들을 승진시킬 수 있고 봉급을 인상해 주는 등의 능력 강압적 권한 - 구성원을 징계 또는 처벌할 수 있는 권한 합법적 권한 - 조직 내의 공식적인 지위에서 비롯된 권한 . -리더가 자신에게 부여한 권한 전문성의 권한 - 리더가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지식과 재능을 가질 때 발생하는 권한 위임된 권한 - 부하직원들이 상사를 존경하며 스스로 따른다고 할 때 상사에게 부여되는 권한 [해설작성자 : 이꽁치]
58.
다음 중 집단 간의 갈등 해결기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자원의 지원을 제한한다.
2.
집단들의 구성원들 간의 직무를 순환한다.
3.
갈등 집단의 통합이나 조직 구조를 개편한다.
4.
갈등관계에 있는 당사자들이 함께 추구하여야 할 새로운 상위의 목표를 제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59.
다음 그림은 스트레스 수준과 성과수준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A, B, C에 해당하는 스트레스의 종류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순기능, B:역기능, C:순기능
2.
A:직무, B:역기능, C:직무
3.
A:역기능, B:순기능, C:역기능
4.
A:직무, B:순기능, C:개인
정답 : [
3
] 정답률 : 73%
60.
재해원인 중 간접 원인이 아닌 것은?
1.
교육적 원인
2.
인적, 물적 원인
3.
기술적 원인
4.
관리적 원인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인적, 물적은 직접원인 [해설작성자 : 인공기준비생]
61.
작업분석에 있어서 개선 활동을 위한 원칙 중 ECRS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Element
2.
Combine
3.
Rearrange
4.
Simplify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Eliminate [해설작성자 : 티케이짱]
62.
공정별 소요시간은 다음과 같고, 각 공정에는 1명씩 배정되어 있다. 몇 번째 분할에서 효율이 가장 높은가?
1.
현재 분할
2.
1회 분할
3.
2회 분할
4.
3회 분할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2+16+14+16+12)/(5*16) [해설작성자 : 222]
식)라인 밸런싱 효율(%) = (총 작업시간 ÷ (작업자 수 × 싸이클 타임)) × 100 - 총 작업시간: 모든 공정 시간의 합 = 12 + 16 + 14 + 16 + 12 = 70분 <싸이클 타임(Cycle time): 가장 오래 걸리는 작업 시간 (각 분할마다 다름), 작업자 수: 분할 수에 따라 달라짐>
1. 현재 분할 (1명) 전체 작업을 1명이 모두 수행 → 싸이클 타임 = 70분 효율 = (70 ÷ (1 × 70)) × 100 = 100%
2. 1회 분할 (2명) 공정을 2개로 분할하여 2명이 수행하도록 함 가능한 분할: (12+16+14=42) / (16+12=28) → 싸이클 타임 = 42분 효율 = (70 ÷ (2 × 42)) × 100 ≒ 83.3%
3. 2회 분할 (3명) 가능한 분할: (12+16=28), (14+16=30), (12) → 싸이클 타임 = 30분 효율 = (70 ÷ (3 × 30)) × 100 ≒ 77.78%
4. 3회 분할 (4명) 가능한 분할: (12+16=28), (14), (16), (12) → 싸이클 타임 = 28분 효율 = (70 ÷ (4 × 28)) × 100 ≒ 62.5%
정답 : 효율 100%인 현재 분할 [해설작성자 : 111]
63.
A작업 한 사이클의 정미시간(normal time)이 5분, 레이팅 계수는 110%, 여유율 10%일 때 표준시간(standard time)은 약 몇 분인가? (단, 여유율은 정미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다.)
1.
6분
2.
8분
3.
10분
4.
12분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외경법 : 5*1.1*(1+0.1)=6.05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64.
다음 중 시간연구에서 다루는 내용과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정미시간
2.
표준시간
3.
여유율
4.
오차율
정답 : [
4
] 정답률 : 73%
65.
사업장 근골격계질환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에 있어 근로자 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초교육은 예방, 관리 프로그램이 도입된 후 6개월 이내에 실시한다.
2.
근로자를 채용한 때에는 작업배치 후 1개월 이내에 교육을 실시한다.
3.
교육시간은 1시간 이상 실시하되, 새로운 설비가 도입되었을 때에는 1시간 이상의 추가교육을 실시한다.
4.
교육은 반드시 관련 분야의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실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 작업 배치 전 교육 3. 교육시간 2시간 이상 4. 필요시 관계 전문가에게 의회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성수SO]
66.
다음 중 작업관리용 도표의 사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파레토 차트를 이용하여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한다.
2.
Man-machine chart를 이용하여 표준시간을 결정한다.
3.
흐름도를 이용하여 병목(bottleneck) 공정을 파악한다.
4.
다중활동분석표를 이용하여 기계와 인력배치 균형을 분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Man-machine chart를 이용하여 경제적인 작업조 편성이나 경제적인 기계담당 대수를 결정한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67.
Work Factor에서 동작시간 결정 시 고려하는 4가지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위적 조절
2.
동작 거리
3.
중량이나 저항
4.
수행도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동작 신체 부위 동작 거리 중량 및 저항 인위적 조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다음 조건에서 NIOSH Lifting Equation(NLE)에 의한 권장 한계 무게(RWL)와 들기지수(LI)는 각각 얼마인가?
<문제 해설> 2.작업피로감소를 위하여 바닥을 부드러운재질로 교체하였다. 중량물을 들고 침대위를 걷는다고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바닥이 부드러우면 오히려 중심잡기 힘들고 무릎에 무리가 갑니다. [해설작성자 : 192king]
79.
다음 중 워크 샘플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확률이론인 포아송 분포를 따른다.
2.
자료수집 및 분석시간이 길게 소요된다.
3.
짧은 주기나 반복작업인 경우 적당하다.
4.
샘플링오차는 관측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8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골격계 부담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하루 1시간 동안 허리높이 작업대에서 전동 드라이버로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
2.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하루 4시간 동안 머리 위에 위치한 부속품을 볼트로 체결하는 작업
3.
하루 6시간 동안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 입력과 문서 편집을 하는 작업
4.
하루에 15kg의 쌀을 무릎 아래에서 허리 높이의 선반에 30회 올리는 작업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 등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머리 위에 손이 있거나, 팔꿈치가 어깨위에 있거나, 팔꿈치를 몸통으로부터 들거나, 팔꿈치를 몸통뒤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4. 지지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임의로 자세를 바꿀 수 없는 조건에서,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이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트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5.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6.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1kg 이상의 물건을 한손의 손가락으로 집어 옮기거나, 2kg 이상에 상응하는 힘을 가하여 한손의 손가락으로 물건을 쥐는 작업 7.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4.5kg 이상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들거나 동일한 힘으로 쥐는 작업 8. 하루에 10회 이상 2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9. 하루에 25회 이상 10kg 이상의 물체를 무릎 아래에서 들거나, 어깨 위에서 들거나, 팔을 뻗은 상태에서 드는 작업 10.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11.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10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작업 [해설작성자 : 푸른하늘]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④
④
④
②
③
①
①
④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②
①
②
②
④
②
③
③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①
①
②
④
④
④
④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④
③
②
②
③
④
①
②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③
④
①
④
③
①
③
③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②
②
④
①
④
②
①
③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①
①
④
①
②
④
③
④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④
③
③
②
②
②
③
④
①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8월1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