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아크 용접 작업시 작업자가 감전된 것을 발견했을 때의 조치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빠르게 전원 스위치를 차단한다.
나.
전원차단 전 우선 작업자를 손으로 이탈시킨다.
다.
즉시 의사에게 연락하여 치료를 받도록 한다.
라.
구조 후 필요에 따라서는 인공호흡 등 응급저치를 실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작업 종료 시에는 용접기 스위치 먼저 끄고, 메인 스위치는 마지막에 끄는 것이 전기 안전 수칙이다. [해설작성자 : 나주 박현범실장]
10.
용접 시공시 발생하는 용접변형이나 잔류응력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용접순서를 정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동일평면 내에 많은 이음이 있을 때 수축은 가능한 자유단으로 보낸다.
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용접한다.
다.
수축이 적은 이음은 가능한 먼저 용접하고, 수축이 큰 이음은 맨 나중에 한다.
라.
리벳작업과 용접을 같이 할 때에는 용접을 먼저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수축이 큰부분을 먼저 해야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용접과 리벳 이음을 동시에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리벳 이음을 먼저 하고 그 후에 용접을 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리벳의 위치 고정: 리벳을 먼저 설치하면 부재들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용접 시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구조적 안정성: 리벳이 설치되면 구조적으로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용접 과정에서의 변형이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열 변형 방지: 용접은 높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부재에 변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리벳을 먼저 설치하면 이러한 변형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과 리벳 이음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리벳을 먼저 설치한 후 용접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나은 방법입니다.
3번도 답이고 4번도 답입니다.
11.
다음 중 서브 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에서 용제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가.
아크 안정
나.
용락 방지
다.
용접부의 보호
라.
용착금속의 재질 개선
정답 : [
2
] 정답률 : 46%
12.
다음 중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전류밀도가 낮다.
나.
비철금속 용접에만 적합하다.
다.
전류밀도가 낮아 용입이 얕다.
라.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은 전류밀도가 대단히 높으므로 용입이 깊고 용접속도를 빠르게 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모심기]
13.
다음 중 이음 형상에 따른 저항 용접의 분류에 있어 겹치기 저항 용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점 용접
나.
퍼커션 용접
다.
심 용접
라.
프로젝션 용접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저항용접 분류 겹치기:심용접,점용접,프로젝션 용접 맞대기:플래시맞대기,업셋맞대기,방전충격 이 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취업역량강화반 ]
산업안전보건법상 화학물질 취급장에서의 유해ㆍ위험 경고를 알리고자 할 때 사용하는 안전ㆍ보건표지의 색채는?
가.
빨간색
나.
녹색
다.
파란색
라.
흰색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색상 의미 용도 빨간색(Red) 금지, 화재 경고 출입금지, 금연, 소화기 노란색(Yellow) 경고, 주의 감전 위험, 낙하물 위험 파란색(Blue) 지시, 필수사항 보호구 착용, 작업 허가 녹색(Green) 안전, 안내 비상구, 응급처치, 안전통로 [해설작성자 : rlaehrwk123]
16.
전류가 증가하여 전압이 일정하게 되는 특성으로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장치 등의 아크 발생에 필요한 용접기의 외부 특성은?
가.
상승 특성
나.
정전류 특성
다.
정전압 특성
라.
부저항 특성
정답 : [
3
] 정답률 : 72%
17.
일반적으로 사람의 몸에 얼마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사망할 위험이 있는가?
가.
5[mA]
나.
15[mA]
다.
25[mA]
라.
50[mA]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1~5mA: 감전 느낌 10~30mA: 근육 마비 50mA 이상: 심실세동으로 인한 즉사 가능 → 50mA가 생명에 직접적 위협을 줌. [해설작성자 : 나주 박현범실장]
18.
피복 아크 용접 시 일반적으로 언더컷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용접 전류가 너무 높을 때
나.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다.
부적당한 용접봉을 사용했을 때
라.
홈 각도 및 루트 간격이 좁을 때
정답 : [
4
] 정답률 : 56%
19.
금속나트륨, 마그네슘 등과 같은 가연성 금속의 화재는 몇 급 화재로 분류되는가?
가.
A급 화재
나.
B급 화재
다.
C급 화재
라.
D급 화재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A급 화재 : 일반화재 B급 화재 : 유류화재 C급 화재 : 전기화재 D급 화재 : 금속화재 [해설 작성자 : 홍어의거리 왕]
20.
다음 중 용접 작업 전 예열을 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가.
용접 작업성의 향상을 위하여
나.
용접부의 수축 변형 및 잔류 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다.
용접금속 및 열 영향부의 연성 또는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라.
고탄소강이나 함금강 열 영향부의 경계를 높게 하기 위하여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예열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용접성 향상 (균열 방지) 용접부 수축 변형 및 잔류응력 감소 금속의 연성과 인성 향상 반면, 열영향부 경계를 높게 하는 것은 금속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예열 목적이 아님. [해설작성자 : 나주 박현범실장]
21.
다음 중 표준 홈 용접에 있어 한쪽에서 용접으로 완전 용입을 얻고자 할 때 V형 홈이음의 판 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1 ~ 10mm
나.
5 ~ 15mm
다.
20 ~ 30mm
라.
35 ~ 50mm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한쪽에서의 용접에 의해 완전한 용입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이음법은 'V형 홈이음'이다. 표준각도는 54~70°이며, 판이 얇을수록 각도를 크게 하고 두꺼워질수록 작게한다.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판의 두께는 20~30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번이다. [해설작성자 : Infrai]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완전한 용입을 얻기 위해서는 5~15가 적당하다 따라서 답은 3번이 아니라 2번입니다. 기능사 문제집에서도 2번이 정답이라고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포스코맨]
[추가 오류 신고] 책에도 타어플에도 2번이라나오네요 [해설작성자 : 2번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기능사 문제에도 답이 2번이에요 그리고 완전한 용입을 얻기 위해서는 5~15가 적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sex마스터]
[관리자 입니다.
문제가 "완전한 용입"이 아니라... 한쪽에서 용접으로 라는 단서가 붙습니다.
정확하게 정답확인 가능한분 게시면 위 단서를 포함하여 정확하게 오류신고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정확한 책의 내용과 책 해설 없이 2번으로 몰아가는건 아니라고 생각 듭니다. 타 어플이나 책 어디에서 보셧는지 증거 없으면 3번이 정답인것 같습니다. 책에도 이쪽어플 다른 문제도 3번으로 된걸로 기억합니다. [해설작성자 : 오류신고]
V형 홈 : 한쪽에서의 용접에 의해 완전 용입을 얻고자 할 때 사용 표준 각도 : 54°~70° 판이 얇을수록 각도를 크게 하고 두꺼워질수록 작게 한다. 판 두께 : 20~30MM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기능사 준비생]
[추가 오류 신고] 크라운출판사 2020 용&특용 필기 책엔 v형 6~20mm로 나오고, NCS 피복아크용접 교재는 판 두께 20이하 한쪽 용접으로 완전용입. 표준각도 54~70도 적당 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각 출판사들의 교재 및 기능사 필기 시험은 결국 NCS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20mm 이하가 맞고 6mm 이하는 V보다 I가 적합하기 때문에 1번 1~10mm는 반은 맞고 반은 맞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적합한' 것은 5~15mm, 2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
[추가 오류 신고] 사대에듀 윙크 피복아크용접 기능사 책에서 나온 적용 판 두께에서는 I형 : 6mm이하, V형 : 6~19mm, 한쪽면V형 : 9~14mm, X형 : 18~28mm, U형 : 16~50mm 입니다. 정답은 2번 5~15mm로 보여집니다 [해설작성자 : 용접기능사 합격기원자]
22.
용접 결함 중 치수상 결함에 해당하는 변형, 치수불량, 형상불량에 대한 방지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역변형법 적용이나 지그를 사용한다.
나.
습기, 이물질 제거 등 용접부를 깨끗이 한다.
다.
용접 전이나 시공 중에 올바른 시공법을 적용한다.
라.
용접조건과 자세, 운봉법을 적정하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23.
정격전류 200A, 전격사용율 40%인 아크 용접기로 실제 아크 전압 30V, 아크 전류 130A로 용접을 수행한다고 가정할 때 허용사용률은 약 얼마인가?
직류아크용접기로 두께가 15mm이고, 길이가, 5m인 고장력 강판을 용접하는 도중에 아크가 용접봉 방향에서 한쪽으로 쏠리었다. 다음중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가.
이음의 처음과 끝에 엔드 탭을 이용할 것
나.
용량이 더 큰 직류용접기로 교체할 것
다.
용접부가 긴 경우에는 후퇴용접법으로 할 것
라.
용접봉 끝을 아크쏠림 반대 방향으로 기울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교류 용접기를 사용 할 것 [해설작성자 : 충주 폴리텍 송치완]
40.
다음 중 Al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가볍고 전연성이 우수하다.
나.
전기전도도는 구리보다 낮다.
다.
전기, 열의 양도체이며 내식성이 좋다.
라.
기계적 성질은 순도가 높을수록 강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기계적 성질은 다른 금속과 같이 불순물이 함유량 및 열처리에 따라 변한다 [해설작성자 : 코여]
41.
다음 중 탄소강의 표준 조직이 아닌 것은?
가.
페라이트
나.
펄라이트
다.
시멘타이트
라.
마텐자이트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페라이트: 일명 지철이라고도 하며 강의 현미경 조직에 나타나는 조직으로서 알파-철이 녹아 있는 가장 순철에 가까운 조직. 2.펄라이트: 726도에서 오스테나이트가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 층상의 공석정으로 변태한 것으로 탄소함유량은 0.77%. 강도, 경도는 페라이트보다 크며 자성이 있다. 3.시멘타이트: 고온의 강 중에서 생성하는 탄화철을 말하고 경도가 높고 취성이 많으며 상온에서는 강자성체이다. [해설작성자 : 우야]
마텐자이트 : 강철을 담금질하면 고온에서 안정된 오스테나이트로부터 실온에서 안정한 알파철과 시멘타이트로 구성되는 조직으로 변화하는 변태가 일부 저지되어 형성되는 단단한 조직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42.
다음 중 주철의 용접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주철은 연강에 비하여 여리며 급랭에 의한 백선화로 기계가공이 어렵다.
나.
주철은 용접시 수축이 많아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많다.
다.
일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하여 용착 금속에 기공이 생기지 않는다.
라.
장시간 가열로 흑연이 조대화된 경우 용착이 불량하거나 모재와의 친화력이 나쁘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주철 용접 시 탄소가 많아 기공이나 균열 발생 위험이 있음. [해설작성자 : 나주 박현범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