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 ((μ*IA*IB)/(2π*r)) * L μ: 진공 투자율 IA, IB: 각 도선에 흐르는 전류 r: 도선의 이격 거리 L: 도선의 힘이 적용되는 길이 (서로 마주보는 구간의 길이) 두 분이 잘해주셨는데 너무 요약하셔서 약간 설명 추가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너님은무슨님]
<문제 해설> 안전도 향상 대책 1. 계통의 직렬 리액턴스 감소 2. 전압변동률 적게함(속응여자방식사용,계통의 연계,중간 조상방식) 3. 계통에 주는 충격을 적게 함(중성점 접지,고속차단방식,재폐로 방식) 4. 고장 중의 발전기 돌입 출력의 불평형을 적게 함 [해설작성자 : 슬리빙]
22.
다음 중 페란티 현상의 방지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선로전류를 지상이 되도록 한다.
나.
수전단에 분로리액터를 설치한다.
다.
동기조상기를 부족여자로 운전한다.
라.
부하를 차단하여 무부하가 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페란티 현상의 방지대책 1.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지상이 되도록 한다. 2. 수전단에 분로리액터를 설치한다. 3. 동기조상기를 부족여자로 운전한다.
페란티 현상 - 무부하의 경우 선로의 정전용량 때문에 전압보다 위상이 90도앞선 충전전류의 영향이 커져서 흐르는 전류가 진상이 되어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Jacky]
23.
보호계전기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가.
고장 상태를 신속하게 선택 할 것
나.
조정 범위가 넓고 조정이 쉬울 것
다.
보호동작이 정확하고 감도가 예민할 것
라.
접점의 소모가 크고, 열적 기계적 강도가 클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보호계전기의 구비조건 > ① 고장 상태를 식별하여 신속하게 선택할 것 ② 고장 개소를 정확히 선택할 수 있을 것 ③ 동작이 예민하고 오동작이 없을 것 ④ 적절한 후비 보호 능력이 있을 것 ⑤ 조정범위가 넓고 조정이 쉽고 경제적일 것 [해설작성자 : 코로나 조심]
24.
우리나라의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복수기는?
가.
분사 복수기
나.
방사 복수기
다.
표면 복수기
라.
증발 복수기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터빈을 돌리고 나온 뜨거운 습증기가 복수기에 있는 차가운 물과 표면에서 열을 주고 받으면서 기체에서 액체로 변환됨.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25.
뒤진 역률 80%, 1000kW의 3상 부하가 있다. 이것에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95%로 개선하려면 콘덴서의 용량은 약 몇 kVA로 해야 하는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루트1-0.8/0.8 이 아니라 0.6/0.8로해야 답이나옵니다
[오류신고 반론] 루트(1-0.08^2) = 0.6 입니다. jacky님께서 이 공식 모르는 사람들이 루트1에 -0.8^2를 뺄까봐 친절하게 괄호까지 해주셨는데 오류신고는 뭔가요 제발 모르면 다른사람들 공부 헷갈리게 하지말고 가만히 계세요,,,, 몰라서 질문한 사람들 제외하고 모르는데 그냥 글 쓰고 보는사람들이 종종 보여서 불편해서 참다가 씁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모르면 가만히 있자..]
26.
154kV 송전선로에 10개의 현수애자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 중 전압부담이 가장 적은 것은? (단, 애자는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
철탑에 가장 가까운 것
나.
철탑에서 3번째에 있는 것
다.
전선에서 가장 가까운 것
라.
전선에서 3번째에 있는 것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철탑에서 3번째 또는 전선에서 8번째 [해설작성자 : 전기끄아앙]
27.
교류송전에서는 송전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일 전압에서의 송전 가능 전력이 적어진다. 그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가.
표피효과가 커지기 때문이다.
나.
코로나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
선로의 어드미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라.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송전전력 P = (EsEr/X)*sinδ에서 따라서, 선로의 리액턴스가 커지면 송전가능 전력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Jacky]
28.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에 의한 트립되는 방식으로 정류기,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단기의 트립방식은?
가.
과전류 트립방식
나.
콘덴서 트립방식
다.
직류전압 트립방식
라.
부족전압 트립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콘덴서 트립방식 →콘덴서 축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슬리빙]
29.
어느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단락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하는 보호계전기의 약어는?
가.
ZR
나.
UFR
다.
OVR
라.
DOCR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단락 방향 계전기(DOCR, DSR) : 어느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단락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하는 보호계전기 [해설작성자 : 코로나 조심]
ovr 은 일정한 크기 이상의 "전압" 입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기본적인 약어 C = current (전류), V=voltage(전압) U=under, O= over F= frequency (주파수) 맨 뒤에 붙은 R은 Relay 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30.
전선의 자체 중량과 빙설의 종합하중을 W1, 풍압하중을 W2라 할 때 합성하중은?
가.
W1+W2
나.
W2-W1
다.
라.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전선의 하중(Wi), 빙설하중(Wc), 풍압하중(Wp) 빙설이 적은 지방의 합성하중: W= 루트 Wi^2+Wp^2 빙설이 많이 지방의 합성하중: W= 루트 (Wi+Wc)^2+Wp^2 [해설작성자 : 윤영준]
31.
보호계전기 동작속도에 관한 사항으로 한시 특성 중 반한시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가.
입력 크기에 관계없이 정해진 한시에 동작하는 것
나.
입력이 커질수록 짧은 한시에 동작하는 것
다.
일정 입력(200%)에서 0.2초 이내로 동작하는 것
라.
일정 입력(200%)에서 0.04초 이내로 동작하는 것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반한시 - 입력이 크면 시간은 반비례로 동작 정한시 - 그냥 정해진 시간으로 보호계전기 동작 [해설작성자 : 보석나라꿀잼]
32.
다음 중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F일 때 손실계수 H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가.
H=F
나.
다.
H=F3
라.
0≤F2≤H≤F≤1
정답 : [
4
] 정답률 : 74%
33.
송전선에 낙뢰가 가해져서 애자에 섬락이 생기면 아크가 생겨 애자가 손상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
댐퍼(Damper)
나.
아킹혼(Arcing horn)
다.
아모로드(Armour rod)
라.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애자보호 - 아킹혼, 아킹링, 초호한, 소호각 [해설작성자 : 소성]
소성님의 해설에 약간 덧 붙이자면 초호한=소호환=아킹링 초호각=소호각=아킹혼 [해설작성자 : 늘 감사합니다 ]
34.
154kV 3상 1회선 송전선로의 1선의 리액턴스가 10Ω, 전류가 200A 일 때 %리액턴스는?
<문제 해설> 1. 연속정격:정해진조건에서 연속사용할경우 규정의온도상승 한도를초과하지 않는정격 2. 반복정격:정해진조건에서 운전과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경우 규정의 온도 상승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정격 3. 단시간정격:일정한 단시간조건에서 운전할때 규정의 온도 상승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정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 중 광범위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운전 효율이 높은 방법은?
가.
계자제어
나.
전압제어
다.
직렬저항제어
라.
병렬저항제어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직류기의 속도제어법 1. 계자제어: 속도 조정 범위가 넓고, 제어가 간단하며, 효율이 좋은 편 2. 저항제어: 제어가 간단하지만, 효율이 안 좋음 3. 전압제어: 효율이 가장 우수하며 광범위한 속도제어가 가능하다(일그너,워드레오너드 등의 방식이 있음)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45.
트라이액(triac)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쌍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이다.
나.
턴오프 시간이 SCR보다 짧으며 급격한 전압변동에 강하다.
다.
SCR 2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 연결하여 양방향 전류제어가 가능하다.
라.
게이트에 전류를 흘리면 어느 방향이든 전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도통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46.
탭전환 변압기 1차측에 몇 개의 탭이 있는 이유는?
가.
예비용 단자
나.
부하전류를 조정하기 위하여
다.
수전점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하여
라.
변압기의 여자전류를 조정하기 위하여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탭 전환 변환기] - 일반 변압기에 비해 전압비를 자유롭게 조정하기 위해 1차 측 권선에 여러 탭을 설치한 변압기이다. - 부하 변동에 따른 전압 변동을 보상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47.
스테핑전동기의 스텝각이 3°이고, 스테핑주파수(pulse rate)가 1200pps이다. 이 스테핑전동기의 회전속도[rps]는?
초당 회전각도 : 1200*3= 3600° 1회전당 회전각도 : 360° 초당 회전속도 : 초당 회전각도/1회전당 회전각도 = 3600/360 = 10[rps] [해설작성자 : Jacky]
48.
직류기의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이 아닌 것은?
가.
주자속이 증가한다.
나.
전기적 중성축이 이동한다.
다.
정류작용에 악영향을 준다.
라.
정류자 편간전압이 상승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전기자반작용의 특징 1. 주 자속 감소 2. 정류자 편간 불꽃섬락 발생 3. 전기적 중성축 이동 4. 유기기전력 감소 <대책> 1. 보상권선 설치(계자극에 전기자권선과 직렬로) 2. 보극 설치(공극의 자속밀도 균일화)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49.
유도전동기 역상제동의 상태를 크레인이나 권상기의 강하 시에 이용하고 속도제한의 목적에 사용되는 경우의 제동방법은?
가.
발전제동
나.
유도제동
다.
회생제동
라.
단상제동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유도제동기 : 1 < s < 2 의 범위로 동작(두 상의 접속 변경하여 역상제동의 형태로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단락비가 큰 동기기의 특징 중 옳은 것은?
가.
전압 변동률이 크다.
나.
과부하 내량이 크다.
다.
전기자 반작용이 크다.
라.
송전선로의 충전 용량이 작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단락비 KS=1/Zs 따라서 단락비가 클 때. 1. 단락비가 크기 때문에 동기임피던스가 작다. 2. 동기임피던스가 작기 때문에 반작용 리액턴스가 작다. 3. 철기계로 중량이 무겁고 가격이 비싸지만 철 분포가 많아 계자기자력이 커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 충전용량이 크다.-> 전압변동률이 작고, 안정도가 크다 4. 과부하 내량이 크다. 5. 돌극형 철기계로서 극수가 많은 저속기(수차형)으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51.
전류가 불연속인 경우 전원전압 220V인 단상 전파정류 회로에서 점호각 α=90°일 때의 직류 평균전압은 약 몇 V 인가?
가.
45
나.
84
다.
90
라.
99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단상전파이므로 0.9E(1+cos@/2) [해설작성자 : 지워니당]
Ed=0.9E((1+2cos@)/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류가 불연속이라고 했으므로 사이리스터 정류회로이다. 단상 전파에서 0.45E(1+cos점호각) 공식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사이리스터 정류회로 공식 단상 반파 Ed = √2/π * E x (1+cosδ)/2 = 0.45E * (1+cosδ)/2 단상 전파 Ed = 2√2/π * E x (1+cosδ)/2 = 0.9E * (1+cosδ)/2 3상 반파 Ed = 3√6/π * E x cosδ 3상 전파 Ed = 2√3/π * E x cosδ δ = 점호각 [해설작성자 : 만정]
타여자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에 사용되는 워드 레오나드(Ward Leonard) 방식은 다음 중 어느 제어법을 이용한 것인가?
가.
저항제어법
나.
전압제어법
다.
주파수제어법
라.
직병렬제어법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직류기의 전압제어법] •워드 레어너드 방식: 주 전동기의 여자 전류를 최대로하고 발전기의 단자전압을 0에서 서서히 상승시키면 주 전동기는 기동저항 없이 조용히 기동한다. 이렇게 주 전동기의 속도를 단계 없이 제어할 수 있다. •일그너 방식: 부하의 변동이 심할 경우 사용. 플라이휠 (관성 원리). 대용량 압연기나 승강기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최강 걸그룹 트와이스]
54.
단상변압기 2대를 사용하여 3150V의 평형 3상에서 210V의 평형 2상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각 변압기의 1차 전압과 2차 전압은 얼마인가?
가.
주좌 변압기 : 1차 3150V, 2차 210V, T좌 변압기 : 1차 3150V, 2차 210V
나.
주좌 변압기 : 1차 3150V, 2차 210V, T좌 변압기 : 1차 , 2차 210V
다.
주좌 변압기 : 1차 , 2차 210V, T좌 변압기 : 1차 , 2차 210V
라.
주좌 변압기 : 1차 , 2차 210V,T좌 변압기 : 1차 3150V, 2차 210V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주좌 변압기 1차권선의 1/2되는점, 즉 n/2에서 탭을 인출하여 T좌 변압기 한단자에 접속하고 T좌 변압기의 √3/2 되는점. 즉, √3n/2 에서 탭을인출하여 전원을 공급함.
주좌 변압기 : 1차 3150[V], 2차 210[V] T좌 변압기 : 1차 3150*(√3/2)[V], 2차 210[V] [해설작성자 : Jacky]
55.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 중 2차 저항제어와 관계가 없는 것은?
가.
농형 유도전동기에 이용된다.
나.
토크 속도특성의 비례추이를 응용한 것이다.
다.
2차 저항이 커져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라.
조작이 간단하고 속도제어를 광범위하게 행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은 2가지로 나뉨. 농형과 권선형
이 중 저항제어는 권선형 제어법이므로 농형 유도전동기에는 해당이 안 됨. [해설작성자 : 순하리]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 1. 2차 저항제어법 2. 2차여자 제어법 3. 종속법 [2차 저항제어법] - 제어 조작이 용이, 구조 간단, 내구성 풍부 - 속도변동이 큼, 제어용 저항 비쌈, 효율이 안 좋음, 경부하 시 속도 조정 범위가 좁음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56.
직류발전기의 무부하 특성곡선은 다음 중 어느 관계를 표시한 것인가?
가.
계자전류 – 부하전류
나.
단자전압 – 계자전류
다.
단자전압 – 회전속도
라.
부하전류 – 단자전압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 무부하 특성곡선 4. 부하 특성 곡선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부하전류-단자전압은 부하 특성곡선이 아니라, 외부 특성 곡선입니다 !! [해설작성자 : 다산에듀 기기 16p]
<문제 해설> 기동보상기법은 최종속도에 다다르면 전전압이 가해지고 동시에 기동보상기는 회로에서 끊어지게 된다. [해설작성자 : Jacky]
59.
3상 반작용 전동기(reaction motor)의 특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가.
역률이 좋은 전동기
나.
토크가 비교적 큰 전동기
다.
기동용 전동기가 필요한 전동기
라.
여자권선 없이 동기속도로 회전하는 전동기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3상 반작용 전동기(reaction motor)-자극만 있고 여자권선이 없는 회전자를 가진 일종의 동기전동기로서 출력은 작고 역률이 낮지만 직류전원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구도가 간단하여 전기시계 및 각종 측정장치 용으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Jacky]
60.
2대의 3상 동기발전기를 동일한 부하로 병렬운전하고 있을 때 대응하는 기전력사이에 60°의 위상차가 있다면 한 쪽 발전기에서 다른 쪽 발전기에 공급되는 1상당 전력은 약 몇 kW인가? (단, 각 발전기의 기전력(선간)은 3300V, 동기 리액턴스는 5Ω이고 전기자 저항은 무시한다.)
가.
181
나.
314
다.
363
라.
720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P = ( 상전압^2 / 전체 동기 리액턴스 ) * sin (상차각)
상전압 = 3300 / 루트3 전체 동기 리액턴스 = 2개 * 5 = 10옴 상차각 60도
따라서 P = { (3300 / sqrt 3)^2 / 10 } * sin 60 = 314000W = 314KW
[오류신고 반론] 이상 없습니다. 전달함수의 정의 자체가 입력함수를 x(t) 출력함수를 y(t)라 했을때 둘을 라플라스변환 한것을 걱걱 X(s), Y(s)라고 하면 전달함수 G(s)=Y(s)/X(s) = 출력의 라플라스 변환 / 입력의 라플라스 변환 이기 때문에 Y(s)(s+1)=X(s)e^-sT 에서 G(s)=Y(s)/X(s) = e^-sT/s+1 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단자 a, b 사이의 합성저항Ω은?
가.
r
나.
다.
라.
3r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모양 변형시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 중간 3r, 왼쪽 위아래 2r, 오른쪽 위아래 r로 구성 2r*r=2r*r 때문에 3r에 전류가 흐르지 않음(개방) 저항 2r+r 이 2개 병렬 R=3/2r [해설작성자 : 전기끄아앙]
식물과 이격거리 1. 저/고압: 상시 바람에 접촉되지 않도록 시설 2. 25kV 이하: 1.5m 3. 60kV 이하: 2m 4. 60kV 초과: 2m + 단수*0.12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6.
전기부식방지 시설에서 전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로 옳은 것은?
가.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사용전압은 교류 60V 이하일 것
나.
지중에 매설하는 양극(+)의 매설깊이는 50㎝ 이상일 것
다.
지표 또는 수중에서 1m 간격의 임의의 2점간의 전위차는 7V를 넘지 말 것
라.
수중에 시설하는 양극(+)과 그 주위 1m 이내의 거리에 있는 임의점과의 사이의 전위차는 10V를 넘지 말 것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전기부식방지 시설(판단기준 제243조) 1.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사용전압은 직류 60V 이하일 것. 2. 양극은 지중에 매설하거나 수중에서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곳에 시설할 것. 3. 지중에 매설하는 양극의 매설깊이는 75cm 이상일 것. 4. 수중에 시설하는 양극과 그 주위 1m 이내의 거리에 있는 임의점과의 사이의 전위차는 10V를 넘지 아니할 것. 5. 지표 또는 수중에서 1m 간격의 임의의 2점간의 전위차가 5V를 넘지 아니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87.
400V 미만인 저압용 전동기 외함을 접지공사 할 경우 접지선의 공칭단면적은 몇 mm2 이상의 연동선이어야 하는가?
<문제 해설> 계측장치(판단기준 제50조) 1)발전기․연료전지 또는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및 전류 또는 전력 2) 베어링(수중 메탈을 제외한다) 및 고정자의 온도 3) 주요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 또는 전력 4) 특고압용 변압기의 온도 5) 동기발전기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동기검정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6) 동기조상기를 시설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계측하는 장치 및 동기검정장치를 시설한다. 7) 동기조상기의 용량이 전력계통의 용량과 비교하여 현저히 적은 경우에는 동기검정장치를 시설하지 아니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acky]
애초에 동기 발전기 자체를 기동하기 위한 조건이 '동기화' 즉, 자계의 회전속도가 실제 회전속도와 일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되었는지 검정(증명) 해줄만한 장치가 있어야함 따라서 동기발전기에는 무조건 동기검정기를 사용하여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통신선 중 옥내에 시설하는 부분은 몇 V 이상의 저압 옥내배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도록 하고 있는가?
가.
150
나.
300
다.
380
라.
400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 특고압 가공 전선로 첨가 통신선에 직접 접속하는 옥내 통신선의 시설 >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통신선 중 옥내에 시설하는 부분은 400(v) 이상의 저압 옥내배선의 규정에 ( 300(v) 랑 헷갈리지 말것 ! )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코로나 조심]
<문제 해설> 상주 감시를 하지 아니하는 변전소의 시설(판단기준 제56조) 1) 운전조작에 필요한 차단기가 자동적으로 차단한 경우(차단기가 재폐로한 경우를 제외한다). 2) 주요 변압기의 전원측 전로가 무전압으로 된 경우. 3) 옥내변전소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4) 제어 회로의 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5) 조상기는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6) 출력 3,000kVA를 초과하는 특고압용변압기는 그 온도가 현저히 상승한 경우. 7) 특고압용 타냉식변압기는 그 냉각장치가 고장 난 경우. 8) 가스절연기기의 절연가스의 압력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9) 수소냉각식 조상기를 시설하는 변전소는 그 조상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85% 이하로 저하한 경우. [해설작성자 : Jacky]
94.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금속재의 것은 내식성 재료의 것이어야 한다.
나.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1.25 이상이어야 한다.
다.
비금속제 케이블 트레이는 난연성 재료의 것 이어야 한다.
라.
전선의 피복 등을 손상시킬 돌기 등이 없이 매끈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케이블 트레이 안전율 1.5
95.
의료장소의 수술실에서 전기설비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의료용 절연변압기의 정격출력은 10kVA 이하로 한다.
나.
의료용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정격전압은 교류 250V 이하로 한다.
다.
절연감시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누설전류가 5mA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하도록 한다.
라.
전원측에 강화절연을 한 의료용 절연변압기를 설치하고 그 2차측 전로는 접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의료장소 전기설비의 시설(판단기준 제249조) 1. 전원측에 이중 또는 강화절연을 한 의료용 절연변압기를 설치하고 2차측 전로는 접지하지 말 것. 2. 의료용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정격전압은 교류 250V 이하 할 것. 3. 공급방식 및 정격출력은 단상 2선식, 10kVA 이하로 할 것. 4. 의료용 절연변압기의 과부하 및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장치를 적절한 장소에 설치할 것. 5. 의료 IT 계통의 절연저항을 계측, 지시하는 절연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절연저항이 50㏀ 까지 감소 하면 표시설비 및 음향설비로 경보를 발하도록 할 것. 6. 의료장소의 전로에는 정격 감도전류 30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내의 누전차단기를 설치할 것. 7. 절연감시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누설전류가 5mA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96.
전등 또는 방전등에 저압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의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
가.
100
나.
200
다.
300
라.
400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옥내 대지전압 무조건 300 [해설작성자 : 무조건]
97.
저압 가공인입선 시설 시 사용할 수 없는 전선은?
가.
절연전선, 다심형 전선, 케이블
나.
지름 2.6㎜ 이상의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다.
인장강도 1.2kN 이상의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라.
사람의 접촉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옥외용 비닐절연 전선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저압 인입선 등의 시설 >
일반 => 4(m) 도로 => 5(m) [ 교통에 지장이 없음 : 3(m) ] 철도 => 6.5(m) 횡단보도 => 3(m)
15(m) 이하 : 1.25(kN) , 2.0(mm) 이상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 다심형 전선 , 케이블
15(m) 초과 : 2.30(kN) , 2.6(mm) 이상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 다심형 전선 , 케이블 [해설작성자 : 코로나 조심]
98.
전용부지가 아닌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가.
3.6
나.
4
다.
4.4
라.
4.8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EC개정으로 삭제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중앙고 전기박사]
99.
고압 가공전선로의 가공지선으로 나경동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지름은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