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1인 위험예지훈련 : 한 사람 한 사람의 위험에 대한 감수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삼각 및 원 포인트 위험예지훈련이다.
5. 시나리오 역할연기 훈련 : 작업 전 5분간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멤버가 시나리오에 의해 역할 연기를 함으로써 체험학습하는 기법이다.
1번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쭈짱]
정답 1번 1인 위험예지훈련 * 작업장의 도해나 사진 등을 보고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스스로 찾아내고 대책을 수립하는 훈련 * 각자의 위험에 대한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
TBM 위험예지훈련 * 작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유형을 10가지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사고에 대한 위험요소와 대책을 훈련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김툴툴]
2.
다음 중 참가자에 일정한 역할을 주어 실제적으로 연기를 시켜봄으로써 자기의 역할을 보다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체험학습을 시키는 교육방법은?
1.
Role playing
2.
Brain storming
3.
Action playing
4.
Fish Bowl playing
정답 : [
1
] 정답률 : 93%
3.
다음 중 안전모의 성능시험에 있어서 AE, ABE종에만 한하여 실시하는 시험은?
1.
내관통성시험, 충격흡수성시험
2.
난연성시험, 내수성시험
3.
내관통성시험, 내전압성시험
4.
내전압성시험, 내수성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AE, ABE종은 내전압성을 가지는 안전모 입니다. 따라서 내전압성시험을 하며, 내수성시험을 합니다.
골드수님이 말씀하신 내관통성시험은 AB, AE,ABE종 안전모의 시험방법입니다.
따라서 4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JJangDol]
AB-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시키기 위한 것 AE-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 ABE-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안전.보건교육의 단계별 교육과정 중 근로자가 지켜야 할 규정의 숙지를 위한 교육에 해당하는 것은?
1.
지식교육
2.
태도교육
3.
문제해결교육
4.
기능교육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안전,보건교육의 단계 1단계 지식교육 : 안전의식 향상, 책임감 주입, 기능,태도 교육에 필요한 기처지식 주입, 안전규정 숙지 2단계 기능교육 : 전문적 기술기능, 안전기술기능, 방호장치 관리기능, 점검,검사장비기능 3단계 태도교육 : 표준작업방법의 습관화, 공구 보호구 취급과 관리 자세의 확립, 작업 전후의 점검•검사요령의 정확한 습관화 [해설작성자 : 태워니]
11.
다음 중 교육형태의 분류에 있어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교육의도에 따라 형식적교육, 비형식적교육
2.
교육성격에 따라 일반교육, 교양교육, 특수교육
3.
교육방법에 따라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4.
교육내용에 따라 실업교육, 직업교육, 고등교육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교육 방법에 따른 분류 : 시청각 교육 , 실습 교육 , 방송통신교육 [해설작성자 : 이재훈]
12.
안전교육 방법 중 OJT(On the Job Training)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상호 신뢰 및 이해도가 높아진다.
2.
개개인의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3.
사업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4.
관련 분야의 외부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OJT 와 OFF.J.T
1. OJT(On the Job Training) 현장중심 교육으로 직속상사가 현장에서 업무상의 개별교육이나 지도훈련을 하는 교육형태
2. OFF.J.T(OFF the Job Training) 계층별 또는 직능별 등과 같이 공통된 교육대상자를 현장외의 한 장소에 모아 집체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교육형태 [해설작성자 : OnAir]
13.
다음 중 일반적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야간에 상승하는 생체리듬은?
1.
맥박수
2.
염분량
3.
혈압
4.
체중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야간작업시 생체리듬 변화 1. 체중감소 2. 말초운동 기능 저하 3. 체온, 혈압, 맥박수 감소 (주간엔 상승) 4. 염분량 증가 (주간은 감소) [해설작성자 : 한번에 붙자]
14.
다음 중 산소결핍이 예상되는 맨홀 내에서 작업을 실시 할 때 사고 방지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 시작 전 및 작업 중 충분한 환기 실시
2.
작업 장소의 입장 및 퇴장시 인원점검
3.
방독마스크의 보급과 착용 철저
4.
작업장과 외부와의 상시 연락을 위한 설비 설치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밀폐공간 작업시(맨홀등) - 송기마스크 착용 [해설작성자 : 한번에 붙자]
15.
재해로 인한 직접비용으로 8000만원이 산재보상비로 지급되었다면 하인리히 방식에 따를 때 총 손실비용은 얼마 인가?
1.
16000만원
2.
24000만원
3.
32000만원
4.
40000만원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하인리히의 법칙 (1:4 의 법칙) 직접비용 1 : 간접비용 4 간접비용 = 8000(직접비용)×4 = 32000만원 총 손실 비용 = 직접비용 + 간접비용 [해설작성자 : 이재훈]
총재해손실비용=직접비+간접비=직접비×5 8000×5=40000
1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단, 그 밖에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1.
업무수행 내용의 기록.유지
2.
근로자의 건강관리,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지도
3.
안전분야에 한정된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를 위한 지도.조언
4.
법 또는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한 안전에 관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보좌 및 조언ㆍ지도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수립및 안전교육 실시에관한 봐좌 및 조언.지도 2.사업장 순회점검.지도 및 조치 의 건의 3.산업재해발생의 원인조사 분서 및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봐좌 및 조언.지도 4.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분석을 위한 보좌 및 조언 지도 5.안전인증대상 기계 기구등 과 자율안전확인 대상기계 기구등 구입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조언지도 6.위험성 평가에 관한 보좌 및 조언 지도 7.안전에 관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봐좌및 조언 지도 8.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노사협의체 안전봐건 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 정한 직무 9.업무수앵 내용의 기록 유지 10.그밖에 안전에관한 사황으로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17.
경험한 내용이나 학습된 행동을 다시 생각하여 작업에 적용하지 아니하고 방치함으로서 경험의 내용이나 인상이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에서 근로자 정기 안전.보건교육의 교육내용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단, 기타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1.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2.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근로자의 정기안전보건교육
1. 산업안전 및 사고예방에 관한 사항 2. 산업보건 및 직업병예방에 관한 사항 3.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관한 사항 4. 유해 및 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5.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6. 산업재해보상제도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OnAir]
4번은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고육에 관한사항 [해설작성자 : 남동수]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2023년9월27일 개정) 1)산업안전 및 사고예방에 관한사항 2)산업안전보건 및 직업병예방에 관한 사항 3)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관한사항 4)유해위험작업환경관리에 관한사항 5)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에 관한 사항 6)직무스트레스예방 및 관리에 관한사항 7)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8)위험성 평가에 관한사항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문제 해설> 의자설계의 일반원리 1. 요추의 전만곡선을 유지 2.디스크 압력 줄임 3.등근육의 정적부하 감소 4.자세 고정 줄임 5.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 [해설작성자 : 유리무짱]
23.
3개 공정의 소음수준 측정 결과 1공정은 100dB에서 1시간, 2공정은 95dB에서 1시간, 3공정은 90dB에서 1시간이 소요될 때 총 소음량(TND)과 소음설계의 적합성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90dB에 8시간 노출할 때를 허용기준으로 하며, 5dB 증가할 때 허용시간은 1/2로 감소되는 법칙을 적용한다.)
움직이는 요소에 대한 수동 조절을 설계할 때는 바늘(pointer)을 조정하는 것이 눈금을 조정하는 것보다 좋다.
4.
중요한 미세한 움직임이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때는 동침형을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날로그 표시장치 1. 일반적으로 고정눈금에서 지침이 움직이는 것 선호 (동목형보다 동침형 선호함) [해설작성자 : 합격할꾸야]
32.
인간공학의 연구를 위한 수집자료 중 동공확장 등과 같은 것은 어느 유형으로 분류되는 자료라 할 수 있는가?
1.
생리지표
2.
주관적 자료
3.
강도 척도
4.
성능 자료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동공확장 -> 생리지표 [해설작성자 : 난널알아9]
33.
다음 중 음성통신에 있어 소음환경과 관련하여 성격이 다른 지수는?
1.
AI(Articulation Index)
2.
MAMA(Minimum Audible Movement Angle)
3.
PNC(Preferred Noise Criteria Curves)
4.
PSIL(Preferred-Octave Speech Interference Level)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가. 명룡도지수 (AI) 음성 레벨과 암소음레벨의 비율인 신호대 잡음비에 기본을 두고 음성의 명료도를 측정하는 방법 나. PNC 1/1 옥타브 밴드로 분석한 결과에 의해 실내소음을 평가 다. 우선 회화 방해 레벨 (PSIL) 1/1옥타브 밴드로 분석한 중심주파수 500, 1000, 2000HZ 대역의 산술 평균치로 계산 라. 회화 방해 레벨 (SIL) 원래는 항공기내 승객들간 회화확보를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 불특정 말발생기구를 사용하여 확실한 대화를 위한 2사람 사이의 요망되는 거리측정으로 이루어진다. 마. 소음평가지수(NRN) [해설작성자 : 4기사를향하여]
MAMA : 스피커가 움직일 때 사람이 얼마나 작은 움직임까지 인지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인지 한계 [해설작성자 : ㅇㅇ]
34.
어떤 설비의 시간당 고장률이 일정하다고 할 때 이 설비의 고장간격은 다음 중 어떠한 확률분포를 따르는가?
1.
t 분포
2.
와이블 분포
3.
지수 분포
4.
아이링(Eyring) 분포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설비 고장 곡선(욕조 곡선) 1) 초기 고장 : 고장 감소형 - 웨이블분포 2) 우발 고장 : 고장 안정된 수준 - 지수분포 3) 마모 고장 : 설비 마모로 고장 증가 - 정규분포 [해설작성자 : nicekammy]
35.
인간 신뢰도 분석기법 중 조작자 행동 나무(Operator Action Tree) 접근 방법이 환경적 사건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위해 인정하는 활동 3가지가 아닌 것은?
1.
감지
2.
추정
3.
진단
4.
반응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조작자 행동나무(OAT) 사건의 전개과정에서의 인적 오류 분석 대상으로 한다. 지단과 의사결정시 착오에 대한 휴먼에러 분석기법 인간의 대응을 3가지 활동 인지(perception), 진단(diagnosis), 반응(response)로 표현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상남이인조]
36.
다음 중 FT의 작성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성.정량적으로 해석.평가하기 전에는 FT를 간소화 해야 한다.
2.
정상(Top)사상과 기본사상과의 관계는 논리게이트를 이용해 도해한다.
3.
FT를 작성하려면, 먼저 분석대상 시스템을 완전히 이해하여야 한다.
4.
FT 작성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정상(Top)사상을 최대한 광범위하게 정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 정상사상은 광범위하게 정의하면 안됨 [해설작성자 : day]
FTA 단점으로 단일사고의 해석으로 인해 예상하지 못하거나 사소한 위험성 간과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짜이디]
37.
다음 중 인간의 과오(Human error)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기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THERP
2.
FMEA
3.
CA
4.
FMECA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시스템에 있어서 인간의 과오(휴먼 에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1963년 Swain들에 의해서 개발된 기법이며, 인간의 에러(error)율 추정(推定)법 등 5개 step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 제시하는 것은 그 중에 인간동작이 시스템이 미치는 영향을 표시하는 그래프와 같은 수법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는 ETA의 변형으로 간주되지만 루프(loop)나 바이 패스(bypass)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맨 머신 시스템의 국소(局所)적인 상세한 해석하는데 적합하다. 그림은 THERP에서 그래프 해석의 사례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THERP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산업안전대사전, 2004. 5. 10., 도서출판 골드) [해설작성자 : jun]
38.
다음 중 위험 조정을 위해 필요한 방법(위험조정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험 회피(avoidance)
2.
위험 감축(reduction)
3.
보류(retention)
4.
위험 확인(confirmation)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위험 전가, 위험 보류, 위험 회피, 위험 감축 [해설작성자 : 든다기]
3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에 따른 구분.판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류
2.
부적정
3.
적정
4.
조건부 적정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안전보건공단은 계회석 심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판정 합니다. 1. 적정: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가 구체적으로 확보되었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조건부 적정: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3. 부적정: 기계ㆍ설비 또는 건설물이 심사기준에 위반되어 공사착공 시 중대한 위험발생의 우려가 있거나 계획에 근본적 결함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조건부적정/보류는 없ㅋ엉ㅋ]
40.
다음 중 은행 창구나 슈퍼마켓의 계산대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인체 측정 자료의 응용원칙은?
1.
평균치 설계
2.
최대 집단치 설계
3.
극단치 설계
4.
최소 집단치 설계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인체계측 자료의 응용 3원칙 슈퍼마켓의 계산대와 은행창구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의 원칙을 따른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빡세]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재료에 대한 시험 중 비파괴시험이 아닌 것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자분탐상시험
3.
초음파탐상시험
4.
피로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피로시험은 파괴시험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예린하린]
42.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승강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리프트
2.
에스컬레이터
3.
화물용 승강기
4.
인화(人貨) 공용 승강기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승강기의 종류 : 승용,화물,인화물,에스컬레이터 리프트의 종류 : 건설,일반,간이,이삿짐(0.1톤 이상) [해설작성자 : 불꽃노을]
1. 시선은 정의 날끝을 본다. 2. 정을 잡은 손의 힘을 뺀다. 3. 처음에는 가볍게 두드리고 점차 힘을 가한 후, 작업이 끝날 때는 가볍게 두드린다. 4. 절삭 칩을 손으로 제거하지 말 것. [해설작성자 : OnAir]
4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대상 방호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산업용 로봇 안전매트
2.
압력용기 압력방출용 파열판
3.
압력용기 압력방출용 안전밸브
4.
방폭구조(防爆構造) 전기기계.기구 및 부품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프레스 및 전단기 방호장치 2.양중기용 과부하장치 3.보일러 압력방출용 안전밸브 4.압력용기 압력방출용 안전밸브 5.압력용기 압력방출용 파열판 6.절연용 방호구 및 활선작업용 기구 7.방폭구조 전기기계 기구및 부품 8.추락 낙하 붕괴 등의 위험방호에 필요한 가설기자재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 [해설작성자 : 불꽃노을]
2020년 법개정 산업용 로봇도 추가되어 답 없음 처리가 되는게 맞음
45.
다음 중 휴대용 동력 드릴 작업시 안전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드릴 손잡이를 견고 하게 잡고 작업하여 드릴손잡이 부위가 회전하지 않고 확실하게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2.
절삭하기 위하여 구멍에 드릴날을 넣거나 뺄 때 반발에 의하여 손잡이 부분이 튀거나 회전하여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팔을 드릴과 직선으로 유지한다.
3.
드릴이나 리머를 고정시키거나 제거하고자 할 때 금속성 망치 등을 사용하여 확실히 고정 또는 제거한다.
4.
드릴을 구멍에 맞추거나 스핀들의 속도를 낮추기 위해서 드릴날을 손으로 잡아서는 안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드릴이나 리머를 고정시키거나 제거하고자 할 때 '고무망치' 등을 사용하여 확실히 고정 또는 제거한다. [해설작성자 : lwj]
46.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로봇을 운전하는 경우 근로자가 로봇에 부딪칠 위험이 있을 때에는 높이 얼마 이상의 방책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90cm
2.
120cm
3.
150cm
4.
180cm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사람의 키가 180cm라고 이해하면 쉬움 [해설작성자 : 김선호 잘생김]
47.
다음 중 지게차의 안정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게차의 등판능력을 표시한다.
2.
좌우 안정도와 전후 안정도가 있다.
3.
주행과 하역작업의 안정도가 다르다.
4.
작업 또는 주행시 안정도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지게차 안정도 = 지게차가 넘어지지 않는 성향을 뜻함 [해설작성자 : 오뚜기]
48.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선반 등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하고 있는 가공물을 작업할 때 설치하여야 할 방호조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다음 중 금속 등의 도체에 교류를 통한 코일을 접근시켰을 때, 결함이 존재하면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이나 전류가 변하는 것을 이용한 검사방법은?
1.
자분탐상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와류탐상검사
4.
침투형광탐상검사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금속검사=와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가스집합용접장치에는 가스의 역류 및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저압용 수봉식 안전기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옳은 것은?
1.
수봉 배기관을 갖추어야 한다.
2.
도입관은 수봉식으로 하고, 유효수주는 20mm 미만 이어야 한다.
3.
수봉배기관은 안전기의 압력을 2.5kg/cm2 에 도달하기 전에 배기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파열판은 안전기 내의 압력이 50kg/cm2 에 도달하기 전에 파열되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유효수주는 25mm 압력 0.007kg/cm2 도달하기전에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2. 도입관은 수방식으로 하고 유효수주는 25mm이상 이어야 한다. 3. 수봉배기관은 안전기의 압력을 0.07kg/cm2에 도달하기전에 배가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한다. 4. 파열하는 안전기 내의 압력이 설정 파열압력에 도달하기전에 파열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안전맨]
"누설경보기"란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건물의 전기설비로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며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누전경보기 구성요소 ---> 영상변류기/수신부/음향장치/차단기 [해설작성자 : 김툴툴]
62.
방폭전기기기의 등급에서 위험장소의 등급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3종 장소
2.
2종 장소
3.
1종 장소
4.
0종 장소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0종 :정상상태에서 위험분위기가 장시간 지속적으로 존재하는장소 1종 :정상상태에서 위험분위기가 주기적으로 생성될 우려가 잇는 장소 2종 :이상상태 하에서 위험분위기가 단시간 생성될 우려가 있는장소 [해설작성자 : 사니조아]
위험장소 등급분류 3가지
1. 0종 장소 2. 1종 장소 3. 2종 장소 [해설작성자 : OnAir]
63.
인체의 표면적이 0.5m2이고 정전용량은 0.02pF/cm2 이다. 330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전선에 접근하여 작업을 할 때 인체에 축척되는 정전기 에너지(J)는?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전압 저항 Slev및Pelv 250V 0.5옴 Felv및500V이하 500V 1.0옴 500V 초과 1000V 1.0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KEC 규정에서 250,500,1000V는 시험전압입니다 그리고 slev,pelv는 특별저압으로 둘다 교류 50, 직류 120 이하인건데 전동드릴은 220v 이고 이건 일반적으로 사용전압이니 Felv 및 500v 이하탭의 1.0M옴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1]
78.
통전중의 전력기기나 배선이 부근에서 일어나는 화재를 소화할 때 주수(注水)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염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물기둥인 상태로 주수
2.
낙하를 시작해서 퍼지는 상태로 주수
3.
방출과 동시에 퍼지는 상태로 주수
4.
계면 활성제를 섞은 물이 방출과 동시에 퍼지는 상태로 주수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물기둥인 상태로 주수하는 것은 A급 화재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전력기기나 배선 부근에서 일어나는 화재는 C급 화재입니다. [해설작성자 : 레오22]
물기둥인 상태로 주수할 경우는 내악소화에 해당하며 전기화재에 사용할수 없음. 퍼지는 상태로 주수(물의 분무)-> 질식효과 [해설작성자 : 난널알아9]
79.
방폭전기설비의 용기내부에 보호가스를 압입하여 내부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폭발성가스 또는 증기가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된 방폭구조는?
1.
내압 방폭구조
2.
압력 방폭구조
3.
안전증 방폭구조
4.
유입 방폭구조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내압방폭구조:용기의 내부에 폭발성 가스이 폭발이 일어날경우 용기가 폭발 압력에 견디고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위험이 없도록 한 방폭구조 압력방폭구조: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용기 안에 넣고 보호 기체(신선한공기 또는 불활성기체)를 용기 안에 압입함으로써 폭발성 가스가 침입하는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방폭구조
<문제 해설> 하중 -> 응력 -> 단면 및 배치간격 순으로 진행됨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111.
클램쉘(Clam shell)의 용도로 옳지 않은 것은?
1.
잠함안의 굴착에 사용된다.
2.
수면아래의 자갈, 모래를 굴착하고 준설선에 많이 사용된다.
3.
건축구조물의 기초 등 정해진 범위의 깊은 굴착에 적합하다.
4.
단단한 지반의 작업도 가능하며 작업속도가 빠르고 특히 암반굴착에 적합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 연약지반, 수중굴착에 사용됨 [해설작성자 : day]
112.
표준관입시험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치(N-value)는 지반을 30cm 굴진하는데 필요한 타격횟수를 의미한다.
2.
50/3의 표기에서 50은 굴진수치, 3은 타격횟수를 의미 한다.
3.
63.5kg 무게의 추를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하여 타격하는 시험이다.
4.
사질지반에 적용하며, 점토지반에서는 편차가 커서 신뢰성이 떨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50이 타격횟수 3이 굴진수치 // 타격횟수/굴진수치
113.
지반조사 보고서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은?
1.
지반공학적 조건
2.
표준관입시험치, 콘관입저항치 결과분석
3.
시공예정인 흙막이 공법
4.
건설할 구조물 등에 대한 지반특성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지반조사 보고서 내용- 1. 지반의 특성 2. 보링주상도 및 추정 단면도 3.토량 변화율 및 성토재의 특성 4.연약지반의 물리적,역학적 특성 5.연약지반 처리 범위 및 처리공법 6.구조물 기초의 안정검토를 위한 자료 및 안정성 검토 결과 등 [해설작성자 : 난널알아9]
114.
흙막이 가시설 공사시 사용되는 각 계측기 설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침하계 - 지표면 침하량 측정
2.
수위계 - 지반 내 지하수위의 변화 측정
3.
하중계 - 상부 적재하중 변화 측정
4.
지중경사계 - 지중의 수평 변위량 측정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하중계 - 흙막이 버팀대의 작용하는 토압, 어스앵커의 인장력 등을 측정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깊은돌]
11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철골공사 작업시 작업을 중지해야 할 경우는?
1.
강우량 1.5mm/hr
2.
풍속 8m/sec
3.
강설량 5mm/hr
4.
지진 진도 1.0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강우량 1mm/hr 이상 강설량 1cm/hr 이상 풍속 10m/sec 이상 시 철골공사 작업 중단 [해설작성자 : 장원영]
단위 조심하세요 비는 [mm]이고 눈은 [cm]입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보러감]
116.
폭풍시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크레인에 대하여 이탈방지를 위한 조치가 필요한 풍속 기준은?
1.
순간풍속이 20m/sec 초과할 때
2.
순간풍속이 25m/sec 초과할 때
3.
순간풍속이 30m/sec 초과할 때
4.
순간풍속이 35m/sec 초과할 때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순간풍속이 초당 10m를 초과: 타워크레인의 설치,수리,점검 또는 해체작업을 중지 2.순간풍속이 초당 15m를 초과: 타원그레인의 운전작업을 중지 3.순간풍속이 초당 30m를 초과: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 크레인 이탈방지조치 4.순간풍속이 초당 30m를 초과하는 바람이 불거나 중진 이상 진도의 지진이 있은 후: 옥외 양중기 각 부위 이상 점검 5.순간풍속이 초당 35m를 초과: 옥외 승강기 및 건설작업용 리프트(지하에 설치되어 있는것은 제외)에 대하여 받침의 수를 증가시키는 등 그 도괴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 [해설작성자 : 난널알아9]
117.
철골조립작업에서 안전한 작업발판과 안전난간을 설치 하기가 곤란한 경우 작업원에 대한 안전대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안전대 및 구명로프 사용
2.
안전모 및 안전화 사용
3.
출입금지 조치
4.
작업중지 조치
정답 : [
1
] 정답률 : 75%
118.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
1.
램머(Rammer)
2.
압쇄기
3.
철제 해머
4.
핸드 브레이커(Hand Breaker)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기통 2사이클의 가솔린 엔진에 의해 기계를 튕겨 올리고 자중과 충격에 의해 지반, 말뚝을 박거나 다지는 것. 보통 소형의 핸드 래머 외에 대형의 프로그 래머가 있다. [해설작성자 : jun]
램머 : 지반다짐용기계 [해설작성자 : 다니엘]
119.
낙하물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하는 경우에 수평면과의 각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 이상 20° 이하
2.
20° 이상 30° 이하
3.
25° 이상 35° 이하
4.
35° 이상 45°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높이는 10m 내민길이 2m 각도는 20도~30도 이하 [해설작성자 : 깊은돌]
120.
강풍시 타워크레인의 작업제한과 관련된 사항으로 타워크레인의 운전 작업을 중지해야 하는 순간풍속 기준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순간풍속이 매초 당 10 미터 초과
2.
순간풍속이 매초 당 20 미터 초과
3.
순간풍속이 매초 당 30 미터 초과
4.
순간풍속이 매초 당 40 미터 초과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타워크레인의 경우 최고풍속 매초당 15m초과시 운행이 중지 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헐랭]
[추가 해설]
15m로 법 개정 [해설작성자 : 곰미]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①
④
②
②
①
④
③
①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④
②
③
④
②
③
②
③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④
②
③
③
③
④
②
④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①
②
③
②
④
①
④
①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①
④
①
③
④
①
②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③
①
④
②
③
④
①
①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①
②
③
④
②
③
④
①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③
④
②
④
③
④
①
②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④
①
④
③
①
③
③
④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①
②
②
②
④
①
②
④
①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①
④
④
④
③
③
①
③
②
③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④
②
③
③
①
③
①
①
②
②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