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입면계획이란,평면공간을 입체화하여 건물의 외부를 디자인하는 계획으로 설계도면에 입면도와 비슷한 것임.그러므로 연소확대 방지와는 거리가 있음, [해설작성자 : 변재관]
3.
화재 발생 시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칼슘카바이드
2.
무기 과산화물류
3.
마그네슘 분말
4.
염소산염류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제3류 탄화칼슘은 마른모래 등에 의한 질식 소화 2. 제1류이나 무기과산화물은 모래 등에 의한 질식 소화 3. 금속분은 마른 모래 등에 의한 질식 소화 [해설작성자 : 첫글자는엄]
4.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소화작용으로 틀린 것은?
1.
부촉매작용
2.
냉각작용
3.
유화작용
4.
질식작용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할론소화약제> 주 소화작용 : 질식작용, 부촉매작용(억제작용) *주로 질식작용,부촉매작용을 나타내지만 일부 냉각작용도 나타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동도로동]
5.
부피비로 질소가 65%, 수소가 15%, 이산화탄소가 20%로 혼합된 전압이 760mmHg인 기체가 있다. 이 때 질소의 분압은 약 몇 mmHg인가? (단, 모두 이상기체로 간주한다.)
1.
152
2.
252
3.
394
4.
494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혼합기체 전체의 압력을 전압이라고 하며 혼합기체 개개의 기체성분을 나타내는 압력이 분압이다. 달톤의 법칙(혼합기체의 법칙)에 의하면 혼합기체의 압력 즉 전압은 각 기체의 분압의 합과 같다. 질소의 분압 = (65/65+15+20)*760 = 494 [해설작성자 : 도경민]
<문제 해설> 보기2= 도체운동에 의한 유기기전력의 방향 결정 보기3=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크기(전류에 의한 자계의 세기) 보기4= 자속변화에 의한 유도기전력의 방향 결정 [해설작성자 : 피곤해]
40.
논리식 A(A+B)를 간단히 하면?
1.
A
2.
B
3.
AB
4.
A+B
정답 : [
1
] 정답률 : 80%
3과목 : 소방관계법규
41.
특정소방대상물의 건축ㆍ대수선ㆍ용도변경 또는 설치 등을 위한 공사를 시공하는 자가 공사 현장에서 인화성 물품을 취급하는 작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을 하기 전에 설치하고 유지ㆍ관리해야 하는 임시소방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단, 용접ㆍ용단 등 불꽃을 발생시키거나 화기를 취급하는 작업이다.)
<문제 해설> 철분이란? 철의 분말로서 53마이크로미터의 표준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합니다.!
금속분이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철 및 마그네슘외의 금속의 분말을 말하고, 구리분, 니켈 분 및 150마이크로미터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합니다. [해설작성자 : DoubleM]
43.
소방기본법상 관계인의 소방활동을 위한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1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제54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8. 4., 2015. 7. 24., 2016. 1. 27., 2022. 4. 26.>
1. 삭제 <2021. 11. 30.> 1의2. 제16조의3제2항을 위반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의 생활안전활동을 방해한 자 2. 제20조제1항을 위반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조치를 하지 아니한 사람 3. 제26조제1항에 따른 피난 명령을 위반한 사람 4. 제27조제1항을 위반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물의 사용이나 수도의 개폐장치의 사용 또는 조작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방해한 자 5. 제27조제2항에 따른 조치를 정당한 사유 없이 방해한 자 [전문개정 2011. 5. 30.]
4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분류로 틀린 것은?
1.
카지노영업소-위락시설
2.
박물관-문화 및 집회시설
3.
물류터미널-운수시설
4.
변전소-업무시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물류터미널은 창고시설입니다
운수시설: 여객자동차터미널,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 공항시설(관제탑포함), 항만시설 및 종합여객시설 [해설작성자 : 소방공부중]
4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 또는 일반 취급소의 위험물취급탱크 노즐 또는 맨홀을 신설하는 경우, 노즐 또는 맨홀의 직경이 몇 mm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1.
250
2.
300
3.
450
4.
600
정답 : [
1
] 정답률 : 65%
46.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소방계획서의 작성 및 시행
2.
화재경계지구의 지정
3.
자위소방대의 구성ㆍ운영ㆍ교육
4.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화재경계지구의 지정은 시도지사 입니다 [해설작성자 : 소방공부중]
4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무창층으로 판정하기 위한 개구부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틀린 것은?
1.
크기는 반지름 30cm 이상의 원리 내접할 수 있을 것
2.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및 부분까지 높이가 1.2m 이내일 것
3.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4.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이나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아니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개구부의 크기가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어야 함 추가로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할 수 있어야 함 [해설작성자 : 소방공부중]
4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 정하는 소방시설이 아닌 것은?
1.
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2.
이산화탄소소화설비
3.
가스누설경보기
4.
방염성물질
정답 : [
4
] 정답률 : 69%
49.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등에 대한 자체점검 기술자격자의 범위에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술자격자’는?
1.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설비산업기사
2.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설비기사
3.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전기기사
4.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시설관리사 및 소방기술사
정답 : [
4
] 정답률 : 79%
50.
소방시설공사업자는 소방시설착공신고서의 중요한 사항이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서류를 첨부하여 변경일로부터 며칠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5일
3.
21일
4.
30일
정답 : [
4
] 정답률 : 52%
51.
소방기본법상 소방의 역사와 안전문화를 발전시키고 국민의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소방체험관을 설립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자는? (단, 소방체험관은 화재 현장에서의 피난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관을 말한다.)
1.
행정안전부장관
2.
소방청장
3.
시ㆍ도지사
4.
소방본부장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행정안전부- 소방박물관 시 도지사- 소방체험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소방 박물관- 소방청장 [해설작성자 : ㄴㄱㄴ]
52.
화재안전기준을 달리 적용하여야 하는 특수한 용도 또는 구조를 가진 특정소방대상물인 원자력발전소, 핵폐기물처리시설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소방시설은?
1.
옥내소화전설비 및 소화용수설비
2.
연결송수관설비 및 연결살수설비
3.
옥내소화전설비 및 자동화재탐지설비
4.
스프링클러설비 및 물분무등소화설비
정답 : [
2
] 정답률 : 75%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제3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1.
나트륨
2.
염소산염류
3.
무기과산화물
4.
유기과산화물
정답 : [
1
] 정답률 : 74%
54.
다음 중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이 아닌 것은?
1.
연면적 15000m2 이상인 공장
2.
층수가 11층 이상인 업무시설
3.
지하구
4.
가연성 가스를 1000톤 이상 저장ㆍ취급하는 시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하구는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입니다.
55.
다음 중 화재예방강화지구의 지정대상 지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장지역
2.
시장지역
3.
목조건물이 밀집한 지역
4.
소방용수시설이 없는 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화재경계지구 명칭은 법령 개정으로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변경되었습니다. 소방특별조사 또한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제정ㆍ개정이유 안의 내용입니다.
"화재경계지구"를 화재예방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명칭을 변경하고, 시ㆍ도지사로 하여금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설비 등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 "소방특별조사"를 조사의 목적이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화재안전조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사전에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관계인에게 통지하도록 하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를 인터넷 홈페이지나 전산시스템 등에 공개할 수 있도록 함
[이전 해설] 밀집한지역 3종: 공장&창고, 목조건물,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화재경계지구 지정지역: 시장, 밀집지역3종, 석유화학제품 생산공장 있는 곳, 산업단지, 소방시설&소방용수시설 또는 소방출동로 없는 곳, 그 외 소방청장 본부장 서장이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지역 [해설작성자 : 소방공부중]
공장단지로 할경우 화재경계지구에 속함
56.
성능위주설계를 할 수 있는 자의 기술인력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소방기술사 1명 이상
2.
소방기술사 2명 이상
3.
소방기술사 3명 이상
4.
소방기술사 4명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0%
57.
소방기본법렵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가연물의 품명별 수량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가연성고체류:2m3 이상
2.
목재가공품 및 나무부스러기:5m3 이상
3.
석탄ㆍ목탄류:3000kg 이상
4.
면화류:200kg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목재가공품 및 나무부스러기 10m3 이상 [해설작성자 : 시험생]
가연성고체류 : 3000kg 이상 목재가공품 및 나무부스러기 : 10m3 이상 석탄ㆍ목탄류 : 10000kg 이상 면화류 : 200kg 이상 [해설작성자 : 동도로동]
추가 : 가연성 액체류 : 2m3 이상
58.
시장지역에서 화재로 오인할 만한 우려가 있는 불을 피우거나 연막 소독을 한 자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를 하지 아니하여 소방자동차를 출동하게 한 때에 과태료 부과 금액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만원 이하
2.
50만원 이하
3.
100만원 이하
4.
200만원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64%
59.
제조소등의 설치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받고자 하는 자는 설치허가 또는 변경허가신청서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1.
소방본부장
2.
소방서장
3.
소방청장
4.
시ㆍ도지사
정답 : [
4
] 정답률 : 82%
60.
보일러, 난로, 건조설비, 가스ㆍ전기시설, 그 밖에 화재 발생 우려가 있는 설비 또는 기구 등의 위치ㆍ구조 및 관리와 화재 예방을 위하여 불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하는 사항은 다음 중 어느 것으로 정하는가?
1.
대통령령
2.
총리령
3.
행정안전부령
4.
소방청훈령
정답 : [
1
] 정답률 : 68%
61.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른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 음향장치의 설치 기준이다. 다음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건전지를 주전원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1.
㉠ 80, ㉡ 1, ㉢ 90
2.
㉠ 110, ㉡ 3, ㉢ 120
3.
㉠ 140, ㉡ 1, ㉢ 120
4.
㉠ 150, ㉡ 3, ㉢ 90
정답 : [
1
] 정답률 : 84%
62.
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Z 104)에 따른 물분무소화설비의 비상전원을 자가발전설비 또는 축전지설비로 설치하고자 할 때 그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물분무소화설비를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것
2.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3.
비상전원(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 축전기를 제외)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4.
사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0분 이상 [해설작성자 : 이동건 ]
63.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5)에 따른 누전경보기의 전원과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여야 한다.
2.
각 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3.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20A 이하의 것으로 각 극을 개폐할 수 있어야 한다.
4.
전원을 분기할 때에는 다른 차단기에 따라 전원이 동시에 차단되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64.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설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비상방송용 확성기를 각 층마다 설치하였다.
2.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별도의 음향장치를 설치하였다.
3.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므로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하였다.
4.
실내에 설치된 비상방송용 확성기의 음성입력을 확인해 보니 2W 이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확성기 음성입력은 실외 3w, 실내 1w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음량조정기는 3선식 배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시행 2017. 7. 26.] [소방청고시 제2017-1호, 2017. 7. 26., 타법개정] 제4조(음향장치) 비상방송설비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별도의 음향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1.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1W) 이상일 것
2.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3.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할 것
4.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5. 조작부는 기동장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해당 기동장치가 작동한 층 또는 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6. 증폭기 및 조작부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로서 점검이 편리하고 방화상 유효한 곳에 설치할 것
7.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m2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 각 목에 따라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08. 12. 15., 2012. 2. 15.> 가.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및 그 직상층에 경보를 발할 것 나. 1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그 직상층 및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다.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7의2. 삭제 <2013. 6. 11.>
8. 다른 방송설비와 공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화재 시 비상경보외의 방송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9. 다른 전기회로에 따라 유도장애가 생기지 아니하도록 할 것
10.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때에는 각각의 조작부가 있는 장소 상호간에 동시통화가 가능한 설비를 설치하고, 어느 조작부에서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전 구역에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11.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로 할 것
12. 음향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른 구조 및 성능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가.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을 할 것 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65.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에 따른 증폭기의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2.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여야 한다.
3.
증폭기의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4.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 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증폭기는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66.
비상조명등의 화재안전기준(NFSC 304)에 따른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설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외함은 난연성능이 있을 것
2.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조일 것
3.
어둠 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4.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0.5m 이상 1.2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휴대용비상조명등은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비참]
67.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에 따른 거실통로유도등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거실의 출입구에 설치할 것
2.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상의 위치에 설치할 것
3.
구부러진 모퉁이 및 수평거리 10m 마다 설치할 것
4.
거실의 통로가 벽체 등으로 구획된 경우에는 비상구유도등을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거실통로에 설치하여야 하고,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 마다 설치해야 한다.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정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높이는? (단, 천장의 높이가 2m 초과인 경우이다.)
1.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
2.
바닥으로부터 1.0m 이상 1.5m 이하
3.
바닥으로부터 1.5m 이상 2.0m 이하
4.
바닥으로부터 2.0m 이상 2.5m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천장의 높이가 2 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0.15 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69.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비상전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도 되는 유도등은?
1.
객석유도등
2.
계단통로유도등
3.
거실통로유도등
4.
복도통로유도등
정답 : [
1
] 정답률 : 74%
70.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에 따라 피난구유도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는?
1.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출입구
2.
바닥면적이 800m2인 층으로서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외부의 식별이 용이한 경우에 한한다.)
3.
거실 각 부분에서 하나의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15m 이고 비상조명등과 유도표지가 설치된 거실의 출입구
4.
출입구가 4개 있는 거실 각 부분에서 하나의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25m인 주된 출입구 2개소 외의 출입구를 가진 숙박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61%
71.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비호환선형 수신부는 신호입력회로에 공칭작동전류치의 42%에 대응하는 변류기의 설계출력전압을 가하는 경우 몇 초 이내에 동작하지 아니해야 하는가?
1.
0.2초
2.
1초
3.
30초
4.
60초
정답 : [
3
] 정답률 : 53%
72.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에 따라 비상방송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몇 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
2.
10
3.
3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74%
73.
자동화재속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4)에 따라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어떤 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하는가?
1.
비상경보설비
2.
비상방송설비
3.
무선통신보조설비
4.
자동화재탐지설비
정답 : [
4
] 정답률 : 79%
74.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에 따라 비상콘센트설비의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할 경우 그 실내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1.
유도등
2.
실내조명등
3.
비상조명등
4.
휴대용비상조명등
정답 : [
3
] 정답률 : 71%
75.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수신기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2.
감지기ㆍ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4.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관계인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0%
76.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에 른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 제외 기준이다. 다음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2, ㉡ 1
2.
㉠ 2, ㉡ 3
3.
㉠ 3, ㉡ 2
4.
㉠ 3, ㉡ 3
정답 : [
1
] 정답률 : 75%
77.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른 발신기에 대한 용어의 정의이다. 다음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수동
2.
자동
3.
전기적
4.
기계적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발신기는 수동 감지기는 자동 [해설작성자 : 매너있는사람]
78.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부착높이가 15m 이상 20m 미만에 설치할 수 없는 감지기는?
1.
연기복합형
2.
불꽃감지기
3.
이온화식 1종
4.
보상식 스포트형
정답 : [
4
] 정답률 : 73%
79.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라 가로 28m 세로 16m 인 어느 특정소방대상물의 구획된 공간에는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몇 개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내부 구획된 공간은 없으며 벽체의 상부 또는 일부가 개방된 곳이 없는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