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워크넷(www.work.go.kr)에서 제공하는 중ㆍ고등학생 대상 직업심리검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대학전공(학과)흥미검사
2.
청소년직업흥미검사
3.
고등학생적성검사
4.
진로의사결정유형검사
5.
청소년진로발달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33%
23.
다음에 제시된 진로교육의 각 영역별 세부목표가 적용되는 학교급은?
1.
초등학교
2.
중학교
3.
고등학교
4.
전문대학
5.
4년제 대학교
정답 : [
1
] 정답률 : 30%
24.
슈퍼(D. Super)의 전생애이론 생애단계가 포함하는 하위단계로 옳은 것은?
1.
성장기는 잠정기를 포함한다.
2.
탐색기는 시행기를 포함한다.
3.
확립기는 명료화기를 포함한다.
4.
유지기는 안정화기를 포함한다.
5.
쇠퇴기는 개선기를 포함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22%
25.
진로상담의 목표와 이론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ㄱ - a
2.
ㄴ - b
3.
ㄴ - d
4.
ㄷ - b
5.
ㄷ - c
정답 : [
4
] 정답률 : 11%
2과목 : 집단상담
26.
게슈탈트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ㄱ: 게슈탈트 상담 - 프릿츠 펄스 교류분석 상담 - 에릭 번 ㄷ. 내사 : 자신에게 필요한것을 받아들일 때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반전 : 타인에게 하고 싶은 행동을 자신에게 돌리는 것. [해설작성자 : 청풍]
27.
교류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여러 자아상태를 이해함으로써 변화를 가져온다.
2.
부모, 성인, 어린이 자아상태가 삶에 적용되는 것을 다룬다.
3.
커뮤니케이션 이론, 아동발달 이론과 연관된다.
4.
상보적 의사교류는 의사교류의 자극과 반응이 평행을 이룬다.
5.
스트로크는 게임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불쾌한 감정을 말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스트로크: 친밀한 신체적 접촉이라는 일반적 용어가 확대되어, 타인에 대한 존재의 인정을 뜻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개념.
라켓: 게임 뒤에 맛보는 불쾌하고 쓰라린 감정.
28.
현실치료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현실치료의 인간의 욕구 5가지 : 소, 힘, 즐, 자 생 사랑과 소속, 힘과 성취, 즐거움(재미), 자유, 생존 [해설작성자 : 청풍]
29.
참만남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ㄱ
2.
ㄱ, ㄴ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ㄱ. 참만남 집단 : 개인적 경험에 중점을 두는 체험집단. 비구조적 형태 ㄴ. 로저스모형 : 집단을 위한 특수한 목적도 없으며 사전에 꾸며진 진행계획도 없다 : 비구조적 ㄷ. 로저스는 집단상담자의 역할은 집단촉진자이며 집단의 경험은 성장의 과정으로 이해함. ㄹ. 과거, 무의식적 동기보다는 지금-여기를 중시함. [해설작성자 : 청풍]
30.
행동주의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47%
31.
정신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원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역사적인 근거를 탐색한다.
2.
집단원의 무의식적 동기를 해석을 통해 의식화시킨다.
3.
집단원의 고착된 의사소통 영역을 확장시킨다.
4.
집단원의 자율성을 권장하기 위해 권유, 지적을 자제한다.
5.
집단원의 즉각적인 문제해결보다는 장기간의 성격 재구성에 도움을 준다.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정신분석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는 지도적 기능, 자극적 기능, 확충적 기능, 해석적 기능을 수행함! 그렇기 때문에 권유, 지적을 자제한다는 것은 옳지 않음! [해설작성자 : 짛니]
32.
합리정서행동(REBT)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35%
33.
로저스(C. Rogers)의 인간중심 집단상담 과정에서의 경험을 모두 고른 것은?
1.
ㄷ, ㄹ
2.
ㄱ, ㄴ, ㄷ
3.
ㄴ, ㄹ,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5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로저스 인간중심 집단상담 과정 경험
1) 혼돈과 무질서(맴돌기, 서성거림) 2) 자기노출의 저항(사적인 표현 및 탐색에 대한 저항) 3) 과거의 느낌 진술 4) 부정적 느낌 표현(부정적 감정들의 표현) 5) 개인에게 의미 있는 자료의 표출과 탐색 6) 즉시적 대인 간의 느낌 표현 7) 집단에서 치료적 능력의 발달 8) 자기 수용과 변화의 시작 9) 가면 파괴(가면 깨뜨리기) 10) 피드백 주고받기 11) 직면(맞닥뜨림, 대립) 12) 집단 밖에서 조력관계 발전 13) 기초적 만남(기본 직면) 14) 긍정적 느낌과 친근감 표현 15) 집단 내에서의 행동 변화 [해설작성자 : 짛니]
34.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집단원의 자기패배적 언어와 행동을 반박한다.
2.
집단원의 사회적 상황과 사회적 태도를 파악한다.
3.
열등감의 근원 탐색이 아닌 우월성 추구를 목표로 한다.
4.
빈 의자 기법, 혐오치료의 기법을 활용한다.
5.
가족구도, 생활양식 분석의 기법을 활용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35.
말러(A. Mahler)의 집단상담 과정에서 집단의 과도기 단계 특징은?
1.
집단원간의 신뢰감 수준이 높은 편이다.
2.
집단참여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3.
집단원은 흔히 자신에 대한 초점을 회피하지 않는다.
4.
집단원의 불안 수준은 낮은 편이다.
5.
거기-그때(there and then)에 맞추어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집단의 과도기 단계: 집단원 간의 신뢰감 수준은 낮고, 집단참여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자신에 대한 초점은 회피하면서 집단원의 불안 수준은 높은 편임.
* 집단의 과도기 단계란? 의존성, 저항, 갈등, 응집력의 단계를 거치면서 작업단계로 발전함. [해설작성자 : 짛니]
5. 거기-그때에 맞추어 이야기 하는 것은 초기 시작단계, 탐색단계에서 이뤄지는 것. [해설작성자 : 지몬]
36.
성적이 부진한 중학생들에게 학습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체계화된 프로그램을 매주 1회 12주 진행되는 집단의 유형은?
1.
비구조화된 동질적 구성의 집중적 집단
2.
구조화된 동질적 구성의 집중적 집단
3.
구조화된 동질적 구성의 분산적 집단
4.
비구조화된 이질적 구성의 분산적 집단
5.
구조화된 이질적 구성의 집중적 집단
정답 : [
3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구조화/비구조화 : 틀이 있고, 목적이 정해져있는 것은 구조화 동질적/이질적 : 집단원의 배경이 비슷하냐의 차이 분산적/집중적 : 분산적은 주1회 주기적으로, 집중적은 2박3일 워크숍처럼 짧고 굵게.
중ㆍ고등학교 장면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을 진행할 때 집단상담자가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소년의 자율성 증진을 위해 비구조화 집단상담이 더 효과적이다.
2.
청소년기에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므로 집단 크기를 고려한다.
3.
문화적 민감성을 토대로 청소년 하위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인다.
4.
수업시간을 고려하여 집단참여가 가능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집단원을 선발한다.
5.
비자발적으로 의뢰된 청소년에게는 집단에 참여하지 않을 권리와 집단참여를 거부할 경우 수반되는 책임을 알려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청소년 집단 상담은 구조적 집단 상담의 형태로 진행하는것이 더 효과적임 [해설작성자 : hane]
45.
다음 대화에서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술(ㄱ~ㄴ)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직면하기, 연결하기
2.
연결하기, 해석하기
3.
반영하기, 자기개방하기
4.
질문하기, 자기개방하기
5.
해석하기, 직면하기
정답 : [
2
] 정답률 : 52%
46.
집단상담구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2.
ㄴ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5
] 정답률 : 47%
47.
집단상담 평가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정보수집 - 평가계획 수립 - 현상기술 - 현상설명 - 대안제시 - 재과정
2.
정보수집 - 현상설명 - 현상기술 - 평가계획 수립 - 재과정 - 대안제시
3.
현상기술 - 평가계획 수립 - 정보수집 - 현상설명 - 대안제시 - 재과정
4.
평가계획 수립 - 정보수집 - 현상기술 - 현상설명 - 대안제시 - 재과정
5.
평가계획 수립 - 현상기술 - 정보수집 - 현상설명 - 재과정 - 대안제시
정답 : [
4
] 정답률 : 42%
48.
집단상담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가계획은 집단계획단계에서 수립한다.
2.
집단목표를 관리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둔다.
3.
평가준거에 따라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로 구분된다.
4.
평가결과는 집단상담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수정 및 보완에 활용된다.
5.
평가내용에는 집단의 분위기, 집단원의 변화 정도, 의사소통 형태가 포함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평가준거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진행시기나 평가목적에 따라 구분되는 것입니다.
진단평가: 수업을 실시하기 전! 이 학생이 현재 어느 정도인지 진단하기 위한 것이 진단평가입니다. (ex. 선수학습 정도, 수업목표 성취 수준 정도.) 형성평가: 수업의 전 과정에서 수시로 이루어짐. 피드백 제공과 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실시합니다. 총괄평가: (모든 것을 총괄하여 평가함.) -> 장기간에 걸친 학업 성취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종결시점에 총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평가를 실시합니다. [해설작성자 : 짛니]
49.
집단상담에서 개인의 행동을 제한해야 할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47%
50.
문제행동을 하는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대처 반응을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처싸매기 하는 집단원 - 미해결 감정을 탐색해 보게 한다.
2.
충고하는 집단원 - 충고하는 행동의 동기를 탐색해 보게 한다.
3.
침묵하는 집단원 - 표정이나 태도를 언급하면서 자연스럽게 집단참여를 유도한다.
4.
의존하는 집단원 - 집단상담자 자신이 집단원의 의존행동을 조장하지 않았는지 탐색해 본다.
5.
대화를 독점하는 집단원 - 다른 집단원들이 독점 집단원에 대해 불만을 표현하도록 허용하면서 집단원들끼리 해결할 때까지 기다린다.
정답 : [
5
] 정답률 : 59%
3과목 : 가족상담
51.
개인상담과 비교한 가족상담의 특성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0%
<문제 해설> 개인치료 vs 가족치료 !! 비교하면서 보기
기계론적 세계관 vs 유기체론적 세계관 왜? vs 무엇? 직선적 인과관계 vs 상호적, 순환적 인과관계 이원론(주체, 객체) vs 전체주의 이분법 vs 변증법 결정론적 vs 선택의 자유, 능동적 법칙과 법칙에 따른 외재적 실제 vs 패턴(상호작용) 과거사에 초점 vs 지금-여기에 초점 개인주의적 vs 관계적 환원주의적(개체는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vs 맥락적 절대적 vs 상대적 객관성의 과학 vs 인식의 과학 객관주의적 인식론 vs 주관주의적 인식론 양적분석 vs 질적분석 [해설작성자 : 짛니]
52.
체계이론을 적용한 가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16%
53.
가족상담 초기 단계에 상담자의 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의 상호작용 과정을 탐색한다.
2.
상담 과정을 설명하고 구조화한다.
3.
구체적인 문제와 시도했던 해결책을 점검한다.
4.
궁금한 점에 대해 질문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5.
해석을 통해 내담자가 문제의 원인을 통찰하도록 돕는다.
정답 : [
5
] 정답률 : 34%
54.
다음 사례에서 상담자가 부부에게 시도하고 있는 구조적 가족상담 기법은?
1.
실연
2.
재정의
3.
과제부여
4.
경계선 설정
5.
균형 깨뜨리기
정답 : [
5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남편보다는 아이들에게 더 관심이 많으시군요. -> 부모하위체계보다는 모자하위체계가 더 강하다는 것을 시사. -> 역기능적 균형을 '깨뜨려야' 하겠지요? 그래서 답은 균형 깨뜨리기! [해설작성자 : 짛니]
55.
다음 상담자의 행동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가족상담 윤리는?
1.
고지된 동의
2.
이중관계 금지
3.
자기결정권 존중
4.
의뢰에 대한 책임
5.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정답 : [
1
] 정답률 : 35%
56.
보웬(Bowen)의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대 이상의 가계도를 통해 가족 구조와 관계 패턴을 살펴본다.
2.
과정 질문을 통해 내담자의 내면 및 타인과의 관계를 탐색한다.
3.
상담자는 가족의 삼각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가족과 융합한다.
4.
충동적이거나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가족원을 분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본다.
5.
내담자가 확대가족의 구성원과 관계를 맺고 연결하는 것은 분화 수준을 높이는 과정에 포함된다.
<문제 해설> * 나 - 입장 (I-Position)은 보웬이 제시한 개념입니다. [해설작성자 : 짛니]
64.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가족의 특성 및 가족발달과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경계의 확대가 요구된다.
2.
가족경계의 융통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3.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 자립과 의존의 갈등이 증가된다.
4.
부모의 부부관계 및 진로문제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5.
부모는 배우자, 형제, 동료의 상실에 대응하고, 죽음을 준비해야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5번은 자녀독립기에 대한 이야기라서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가족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가족상담 모델과 상담목표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세대 가족치료 - 불안수준의 감소
2.
MRI모델 - 증상제거 및 행동변화
3.
구조적 가족상담 - 가족의 재구조화
4.
해결중심모델 - 무의식적 상호작용의 의식화
5.
경험적 가족치료 - 느낌의 표현 및 자발성 성장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무의식적 상호작용의 의식화 - 무의식을 강조하는 치료 이론이 뭐였죠? 정신역동적 모델입니다! [해설작성자 : 짛니 ]
66.
가족상담의 실제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가족원이 동시에 말하는 경우 상담자가 특정 가족원을 지정해서 질문할 수 있다.
2.
다른 가족원을 대신해서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는 규칙을 만들어 놓는 것이 효과적이다.
3.
다른 가족을 비난하는 경우 평소 상호작용이 드러난 것이므로 비난을 지속하도록 허용한다.
4.
내담자가 두서없이 말하는 경우 상담자는 상담주제로 대화의 초점을 전환시킨다.
5.
가족구성원들이 상담을 통해 습득한 대처방법이나 행동방식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종결의 지표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26%
67.
가정 내에서 폭력문제를 보이는 청소년 가족에 대한 이해 및 개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폭력의 대상은 가족 내에서 자신보다 힘이 약한 사람이다.
2.
어머니에 대해 의존과 폭력이라는 양면적인 태도를 보인다.
3.
폭력을 청소년 개인의 병리가 아닌 가족체계의 병리로 간주하여 개입한다.
4.
가정 내 폭력행위 외에 가정 밖에서 도벽, 약물남용, 범죄행위 등을 동반한다.
5.
가족들이 폭력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의 눈치를 보며 맞춰주면 오히려 공격성을 자극할 수 있음을 주지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가정 내에서 폭력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은 가정 안과 가정 밖의 이중성의 특징을 보입니다. 가정 밖에서 도벽, 약물 남용, 범죄행위 등을 동반하는 것은 드문 편입니다.
* 가정폭력 청소년의 특징 지속적인 자아정체감을 유지하려는 의지가 결여, 정상적인 대인관계의 형성 및 유지가 어렵고, 죄책감, 수치심 희박, 고립감 강하고, 사랑과 미움을 통합하는 능력 부족. - 어머니에 대한 폭력행동 - 분노에 대한 억제 결여 - 어머니에 대하여 어리광과 폭력의 양먼적 태도 - 가정 안과 밖의 이중성 지적 - 지능수준 높은 것에 비해 언행은 미숙 - 어린시절 반항기를 경험 하지 못했고, 자아정체감 확립하지 못해 고립감, 공허감, 비참함 등의 감정 - 아버지는 가정 내에서 무력한 존재 [해설작성자 : 짛니]
68.
이혼한 내담자와의 상담에서 부모-자녀 관계에 관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경계선을 재구조화하도록 돕는다.
2.
부모가 자녀에게 일관된 규칙을 가지고 대하도록 한다.
3.
자녀가 새로운 가족체계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수 있음을 설명한다.
4.
자녀가 부모 중 누구 편을 들어야 할지 갈등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5.
양육부모와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비양육부모와의 면접교섭을 자제하도록 조언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33%
69.
가족상담 기법 및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20%
70.
가족상담 이론가와 주요 개념 및 기법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보웬(Bowen) - 핵가족 정서체계, 치료적 삼각관계
2.
사티어(Satir) - 의사소통유형, 증상처방
3.
마다네스(Madanes) - 가족게임, 가장기법
4.
헤일리(Haley) - 위계질서, 체계적 둔감화
5.
미누친(Minuchin) - 정서적 단절, 일치적 의사소통
정답 : [
1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2. 사티어 : 의사소통유형, 가족조각, 역할극 / '증상처방'은 밀란 학파나 전략적 가족치료에서 주로 사용한다. 3. 마다네스 : 가장기법 / '가족게임'은 밀란 학파의 주요 개념이다. 4. 헤일리 : 위계질서 / '체계적둔감화'는 행동치료기법이다. 5. 미누친 : 하위체계, 동맹, 연합 등 구조적 가족치료자 / '정서적 단절'은 보웬, '일치적 의사소통'은 사티어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71.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갈등으로 가족상담에 참여한 사례에 대한 상담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족 내 학대나 폭력 문제가 있는지 확인한다.
2.
반항하는 자녀의 문제가 가족 전체의 문제를 드러내는 증상인지 확인한다.
3.
상담목표의 선정과 상담진행과정에서 부모의 의견을 자녀의 의견에 우선해서 반영한다.
4.
가족들이 그동안 표현하지 못했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5.
초기상담에서는 수용적 자세로 가족원들이 상담에 대해 편안하게 느끼고 마음을 열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72.
다음 사례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교 폭력이 있었는지 확인한다.
2.
자해의 강도, 빈도, 방법을 확인하고 생명존중서약을 받는다.
3.
지영이가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할 무렵 가족 내에 발생한 문제가 있었는지 확인한다.
4.
가족조각을 활용하여 지영이가 다른 가족구성원에게 느끼는 내적 정서 상태를 탐색한다.
5.
지영이가 자해의 위험이 있음을 담임교사를 통해 같은 반 학생들에게 알려 도와주도록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31%
73.
다음 상담자와 아동의 대화에 나타난 이야기치료 기법은?
1.
모방
2.
공명하기
3.
스캐폴딩
4.
외재화하기
5.
대안적 이야기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문제를 객관적으로 보고 검토할 수 있도록 문제를 내담자에게서 외부화함. (ex. "말더듬이 도깨비가 나를 말 더듬게 한다. ) [해설작성자 : 짛니]
74.
다음이 설명하는 해결중심모델의 상담자-내담자 관계유형과 그 유형에 부여할 과제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방문형 - 상담에 온 것을 칭찬하고 상담에 오도록 격려하며 과제를 주지 않는다.
2.
불평형 - 다른 사람의 긍정적인 부분을 관찰하는 과제를 준다.
3.
불평형 - 문제의 원인이라 생각하는 가족원에 대한 비난을 멈추고 감사할 내용을 찾아 표현해보게 한다.
4.
고객형 - 예외적 상황이 일어날 수 있는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과제를 준다.
5.
고객형 - 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해 가족원들을 관찰하는 과제를 준다.
정답 : [
4
] 정답률 : 18%
75.
가족상담 모델과 개입방법 예시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이야기치료 - 엄마의 우울증을 외재화하고 변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한다.
2.
다세대 모델 - 가계도를 통해 삼각관계 유형이 세대간에 어떻게 계속되는지 살펴본다.
3.
해결중심모델 - 질문기법을 사용하여 자녀의 야뇨증 원인을 파악한다.
4.
구조적 모델 - 아빠와 아들의 연합을 강화하여 남성하위체계를 명확하게 한다.
5.
경험적 모델 - 청소년 자녀와 갈등을 보이는 가족에게 대안적 이야기를 재구성하도록 돕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30%
76.
맥키치(W. McKeachie)가 제시한 정교화전략의 기법은?
1.
암송
2.
조직화
3.
심상법
4.
목표설정
5.
복습
정답 : [
3
] 정답률 : 4%
77.
학습장애 진단에 사용하는 검사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7%
<문제 해설> MBTI와 LCSI는 성격검사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78.
다음에서 설명하는 학습전략은?
1.
PMI(Plus-Minus-Interesting)
2.
장소법
3.
강제관련법
4.
체크리스트
5.
개념도
정답 : [
5
] 정답률 : 4%
79.
다음에서 혜진이가 보이는 학습부진 요인은?
1.
인지적 요인
2.
정서적 요인
3.
사회적 요인
4.
환경적 요인
5.
관계적 요인
정답 : [
1
] 정답률 : 8%
80.
학습의 요인 중 흥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기질적 특성의 하나로 보는 관점도 있다.
2.
상황적, 환경적 특성의 변화를 통해 학생이 흥미를 느끼도록 하는 공부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3.
하이디와 레닝거(Hidi & Renninger)에 따르면 흥미는 상황에 따라 일시적으로 시작되지만 필요한 지원을 얻게 되면 떨어진다.
4.
개인적 성향이 특정한 맥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심리적 상태로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5.
레닝거(Renninger) 모델에 따르면 흥미는 정서적인 측면보다 선행지식의 수준이나 가치부여 등의 측면이 더 강한 개념으로 볼 수도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
81.
맥키치(W. McKeachie)가 제시한 학습전략 중 자원관리 전략이 아닌 것은?
1.
따라 읽음, 밑줄 치기, 복사 등의 시연
2.
목표설정, 시간표 작성 등의 시간 관리
3.
장소정리, 조용한 장소에서 하는 공부환경 조성
4.
노력에 대한 귀인, 자기강화 등의 노력
5.
교사나 동료로부터의 조력을 추구
정답 : [
1
] 정답률 : 4%
82.
테일러(R. Taylor)가 제시한 학습과진아(overachiever)와 학습부진아(underachiever)의 비교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습과진아는 목표 설정이 현실적이고 성공적이지만, 학습부진아는 목표에 대해 비현실적이고 실패를 경험한다.
2.
학습과진아는 상대적으로 대인관계에 적응적이지만, 학습부진아는 고립감을 느끼기 쉽다.
3.
학습과진아는 성인과 비교적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지만, 학습부진아는 회피하거나 적대감을 가진다.
4.
학습과진아는 학업에 대해 긴장감이 있지만, 학습부진아는 불안을 느끼지 않는다.
5.
학습과진아는 자신을 수용하고 낙관적이지만, 학습부진아는 자기비판적이고 부적절감을 가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11%
83.
댄서로우(D. Dansereau)가 제시한 학습전략의 주전략이 아닌 것은?
1.
이해전략
2.
파지전략
3.
회상전략
4.
사용전략
5.
동기화전략
정답 : [
5
] 정답률 : 0%
84.
시간관리 전략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5%
85.
노트필기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ㄹ
정답 : [
5
] 정답률 : 0%
86.
옥스퍼드와 크루칼(Oxford & Crookall)이 제시한 6가지 외국어 학습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억 전략
2.
보상 전략
3.
정의적 전략
4.
언어적 전략
5.
사회적 전략
정답 : [
4
] 정답률 : 0%
<문제 해설> 직접전략으로 기억, 인지적, 보상전략 간접전략으로 상위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전략 [해설작성자 : 청상이]
87.
학습장애 진단 모형으로서 중재반응(Response-to-Intervention)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인의 능력과 성취간의 불일치만으로 학습장애를 판별하는 모델이다.
2.
임상적 진단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현장에서의 교육을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3.
학년수준편차 공식을 사용하여 단회에 학습장애를 진단한다.
4.
학습문제를 가진 학생을 조기에 선별하여 중재를 실시하고, 중재에 대한 반응에 따라 학습장애 학생을 선별하는 모델이다.
5.
3단계 중 1단계는 강도 높은 개별화 중재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11%
88.
토마스와 로빈슨(Tomas & Robinson)의 PQ4R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ㅁ
2.
ㄷ, ㄹ
3.
ㄱ, ㄴ, ㅁ
4.
ㄴ, ㄷ, ㄹ
5.
ㄷ,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4R은 읽기, 숙고하기, 암송하기, 복습 3R은 자세히 읽기, 되새기기, 다시 보기 [해설작성자 : 청상이]
89.
시험불안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8%
90.
학업부진 영재아를 돕기 위한 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벽을 추구하는 내담자에게는 자신의 능력보다 높은 이상적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2.
과민성을 보이는 내담자에게는 자극에 대해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하게 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내담자가 대인관계를 통해 관계기술을 적절히 학습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4.
상담과정에서 가족 및 부모의 지지와 참여를 강조한다.
5.
학업적 특성에 맞는 교육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8%
91.
발레란드와 비소네트(Vallerand & Bissonnette)가 제시한 학습동기의 단계 중 다음이 설명하는 단계는?
1.
유익 추구(Extrinsic-identified regulation)
2.
지적 자극 추구(Intrinsic-to experience stimulation)
3.
내적 강압(Extrinsic-introjected regulation)
4.
지적 성취 추구(Intrinsic-to accomplish to things)
5.
외적 강압(Extrinsic-external regulation)
정답 : [
3
] 정답률 : 11%
92.
마이켄바움과 굿맨(Meichenbaum & Goodman)이 제시한 자기-교시 훈련 단계에 따르면, 상담자는 보기의 바로 다음 단계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동환이로 하여금 소리 내지 않고 마음속으로 자기 통제 언어를 사용하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2.
상담자의 시연과 지도하에 동환이가 자기 통제 언어를 큰소리로 말하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3.
동환이로 하여금 자기통제 언어를 입 밖으로 소리내되 작은 소리를 내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4.
동환이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수정하여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5.
상담자가 과제를 수행하면서 입 밖으로 자기통제 언어를 큰 소리로 말하고, 동환이에게 관찰하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
93.
반두라(A. Bandura)가 제시한 효능감 정보원이 아닌 것은?
1.
성공경험
2.
생리적ㆍ정서적 상태
3.
대리적 경험
4.
귀인의 통제소재
5.
언어적(사회적) 설득
정답 : [
4
] 정답률 : 7%
94.
학업상담에서 검사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를 실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명확히 한다.
2.
검사의 실시와 해석이 내담자 문화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한다.
3.
내담자가 검사 결과를 잘못 이해하지 않도록 정확한 해석을 제공한다.
4.
검사 결과를 절대적으로 신뢰하여 내담자에게 진단명을 전달하는데 초점을 둔다.
5.
검사는 자격이 있는 사람이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
95.
K-WISC-Ⅳ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점수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체지능지수(FSIQ)
2.
동기선별지표(MSI)
3.
언어이해지표(VCI)
4.
작업기억지표(WMI)
5.
처리속도지표(PSI)
정답 : [
2
] 정답률 : 13%
96.
DSM-5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의 진단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된다.
2.
17세 미만인 경우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과거 병력이 표준화된 평가를 대신할 수 있다.
3.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 기술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히 드러날 수도 있다.
4.
학습의 어려움이 지적장애나 적절한 교육 부족으로 더 잘 설명될 때에도 진단내릴 수 있다.
5.
학습의 어려움이 최소 3개 이상의 학업기술이나 학업영역에 나타나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10%
97.
A와 B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A) 자기실현 욕구, (B) 인정 욕구
2.
(A) 내적귀인 욕구, (B) 불안 욕구
3.
(A) 사랑과 소속의 욕구, (B) 합리화 욕구
4.
(A) 과제수행욕구, (B) 불안 욕구
5.
(A) 합리화 욕구, (B) 인정 욕구
정답 : [
4
] 정답률 : 4%
98.
켈러(J. Keller)가 제시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주의(Attention)
2.
준비성(Readiness)
3.
만족감(Satisfaction)
4.
자신감(Confidence)
5.
관련성(Relevance)
정답 : [
2
] 정답률 : 4%
99.
로젠샤인과 스티븐스(Rosenshine & Stevens)가 제시한 것으로, 학생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사의 피드백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8%
100.
다음에서 설명하는 자기조절 학습전략은?
1.
자기평형
2.
조직화와 변형
3.
환경의 구조화
4.
자기강화
5.
자료검토
정답 : [
4
] 정답률 : 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①
②
③
③
①
②
③
①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⑤
②
③
④
⑤
④
②
⑤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⑤
④
①
②
④
③
⑤
④
①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③
⑤
②
⑤
③
①
④
③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②
①
①
②
⑤
④
③
①
⑤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③
⑤
⑤
①
③
②
②
⑤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②
③
⑤
④
③
④
⑤
①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⑤
④
④
②
③
②
⑤
①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④
⑤
②
⑤
④
④
②
⑤
①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③
④
④
②
③
④
②
⑤
④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0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