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보면 자기주식(자본조정), 자기주식처분이익(자본잉여금), 자본금(자본금), 감자차손(자본조정)으로 판단합니다. [해설작성자 : 채잼]
2.
다음의 매도가능증권에 대한 회계처리 방법 중 잘못된 것은?
1.
매도가능증권의 취득원가는 취득시점에 제공한 대가에 매입수수료나 이전비용 등의 거래원가를 가산한 금액으로 한다.
2.
매도가능증권의 공정가치와 장부금액의 차액은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손실)의 과목으로 자본항목(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분류한다.
3.
매도가능증권을 매각하는 경우에는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손실) 잔액을 먼저 상계시킨 후 투자자산처분이익(손실)또는 매도가능증권처분이익(손실)의 계정과목으로 인식한다.
4.
매도가능증권은 보고기간 종료일마다 평가하여 손상차손의 발생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해당 손상차손은 자본항목으로 분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매도가능증권은 보고기간 종료일마다 평가하여 손상차손의 발생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 손상차손을 인식하고까지는 맞는데, 해당 손상차손은 자본항목이 아니라 당기손익으로 분류하는 것 입니다. 회복하는 경우에는 그 회복한 장부가액만큼은 넘길 수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채잼]
3.
다음 중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새 건물을 신축하기 위하여 기존 건물이 있는 토지를 취득하고 그 건물을 철거하는 경우 기존 건물의 철거 관련 비용은 건물의 취득원가에 포함한다.
2.
현물출자, 증여, 기타 무상으로 취득한 유형자산은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한다.
3.
유형자산을 사용하거나 이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당해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여 인식하지 아니한다.
4.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소개하는데 소요되는 원가는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건물+토지를 취득하고 건물을 즉시 철거하는 경우, 기존 건물에 대한 철거비용은 "토지"의 금액에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에 이 문제에서 건물+토지를 구입하고 즉시철거가 아닌 보유하다가 철거하는 경우에 대한 철거비용은 해당 유형자산처분손실에 전액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채잼]
4.
다음 중 일반기업회계기준상 무형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독점적ㆍ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있는 관계 법령이나 계약에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20년을 초과할 수 없다.
2.
무형자산의 잔존가치는 취득가액의 5%를 원칙으로 한다.
3.
무형자산의 상각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시작한다.
4.
무형자산의 공정가치 또는 회수가능액이 증가하더라도 상각은 원가에 기초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무형자산인 경우에는 취득가액에 대한 잔존가치는 0으로 합니다. 잔존가치에 대한 5%는 정율법만 인정이 됩니다. 정액법도 잔존가치는 0으로 보고 있고, 정율법은 왜 5%만 인정하냐면은 잔존가액이 0이면 상각률을 계산할 때 0%로 나와 상각률 계산이 되지 않기에 5%까지만 인정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채잼]
5.
다음의 회계정보의 질적특성 중 잘못된 것은?
1.
회계정보가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그 정보가 의사결정의 목적과 관련되어야 하는데 관련성은 예측가치, 피드백가치, 적시성 등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2.
회계정보가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쓰이기 위해서는 편의 없이 중립적이어야 한다.
3.
정보 제공의 적시성을 추구하는 목적적합성과 정보의 신뢰성이 상충되는 경우 반드시 적시성을 우선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4.
질적특성을 갖춘 회계정보일지라도 정보 제공 및 이용에 소요될 사회적 비용이 정보 제공 및 이용에 따른 사회적 효익을 초과한다면 정보의 제공은 정당화될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3)회계정보의 질적특성은 서로 상충될 수는 있지만 적시성을 우선적으로 판단해야되는것은 아닙니다. 즉 적시성이 우선이 된다라는 얘기가 틀린 부분입니다. [해설작성자 : 채잼]
6.
㈜가나는 단일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원재료는 공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비는 공정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하며, 기말재공품의 평가는 선입선출법을 사용한다. 당기원가계산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당기완성품과 기말재공품 평가에 적용할 재료비와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는 각각 얼마인가?(단, 생산과정 중 감손이나 공손 등 물량 손실은 없다.) (순서대로 재료비, 가공비)
1.
205원, 260원
2.
205원, 200원
3.
175원, 200원
4.
175원, 260원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이 문제에서는 선입선출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위당원가까지 찾아야하기 때문에 일단 수량부터 찾아야 합니다. 기초: 200개, 당기착수량: 1,800개 총 2,000개중 완성수량 1,600개 며 기말 400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