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평형변조기는 AM변조에서 반송파를 제외한 상,하측대파의 출력을 얻는 변조기이다. [해설작성자 : 오그루트]
15.
다음 회로 중 Flip-Flop 회로를 쓰지 않는 것은?
1.
리미터 회로
2.
분주 회로
3.
기억 회로
4.
2진 계수 회로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리미터 회로는 다이오드를 사용한 회로입니다. [해설작성자 : 남민기]
16.
다음 회로 중 결합 상태가 직류로 구성된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는?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비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정답 : [
3
] 정답률 : 65%
17.
다음 논리 함수 를 간소화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A+B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Y = AB + AB' + A'B = (AB + AB) + AB' + A'B = AB + AB' + AB + A'B = A(B + B') + B (A + A') = A + B [해설작성자 : 맑은행복]
18.
J-K 플립플롭을 그림과 같이 결선하였을 때 클록 펄스가 인가될 때마다 출력 Q의 동작 상태는?
1.
Reset
2.
Toggle
3.
Set
4.
∞
정답 : [
2
] 정답률 : 78%
19.
계산기에서 뺄셈을 보수 덧셈으로 하기 위해서 최종적으로 필요한 보수는?
1.
1의 보수
2.
2의 보수
3.
7의 보수
4.
9의 보수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의보수 (0을 1로, 1을 0으로 바꾸고 ) -> 2의보수 ( 1더함) [해설작성자 : 내가이긴다]
20.
다음 그림은 T F/F을 이용한 비동기 10진 상향계수기이다. 계수값이 10이 되었을 때 계수기를 0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체 F/F을 clear시켜야 하는데 이렇게 하기 위해 빈칸에 알맞은 게이트는?
1.
OR
2.
AND
3.
NOR
4.
NAND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0 즉, 1010이 되었을 때 CLR가 되어야 합니다. Qb와 Qd가 동시에 On이 되었을 때 1010(10)이 되었음을 의미하므로 Qb와 Qd를 AND 또는 NAND 게이트로 연결하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CLR 부분에 NOT이 붙어있으므로 Qb와 Qd가 동시에 켜졌을 때 0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시에 1일 때만 0이 출력되는 NAND 게이트가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개강하다]
2과목 : 정보통신 시스템
21.
정보통신망에서 사용되지 않는 교환방식은?
1.
회선교환방식
2.
메시지교환방식
3.
위성교환방식
4.
패킷교환방식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정보통신망은 정보 교환에 따른 방식을씁니다. 회선 교환 - 축척후 교환(패킷,메세지 교환) 위성교환방식은 위성통신망입니당. [해설작성자 : 사이엘]
22.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장치의 이름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CSU, DSU
2.
모뎀, ONU
3.
DSU, CSU
4.
모뎀, DSU
정답 : [
4
] 정답률 : 89%
23.
다음 중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서 대화형 통신에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메시지 교환방식
2.
회선 교환방식
3.
데이터그램 교환방식
4.
가상회선 교환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메시지 교환방식은 메시지 전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각 교환 노드마다 거치게 되면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OSI 7계층에서 네트워크 시스템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경로배정과 중계기능, 흐름제어, 오류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계층
2.
네트워크계층
3.
세션계층
4.
응용계층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경로선택 - 네트워크계층 [해설작성자 : 남민기]
26.
다음 중 표준 제정을 위한 표준기구와 거리가 먼 것은?
1.
ANSI
2.
ITU-T
3.
IEEE
4.
OSI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OSI는 네트워크 표준계층입니다. ISO가 국제표준화기구!!!
27.
통신 시스템 내에 있는 동위 계층 또는 동위 개체 사이에서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은?
1.
네트워크 프로세스간 프로토콜
2.
응용 지향 프로토콜
3.
네트워크 액세스 프로토콜
4.
네트워크 내부 프로토콜
정답 : [
1
] 정답률 : 68%
28.
PPP(Point-to-Point Protocol)에서 IP의 동적 협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은?
1.
NCP(Network Control Protocol)
2.
LCP(Link Control Protocol)
3.
SLIP(Serial Line IP)
4.
PPPoE(Point-to-Point Protocol over Ethernet)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NCP ㅇ PPP 프로토콜에서 네트워크 계층과는 독립적인 방법으로 네트워크 계층의 옵션들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구성 요소
29.
다음 중 디지털중계선 회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Ringing
2.
Office Signaling
3.
Polar Conversion
4.
Generation of Frame Code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Ringing은 교환기가 가지는 기능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30.
현재 국내ㆍ외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시스템에 사용하는 주파수대역 및 용도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35[kHz]이하의 저주파(출입통제, 가축관리 등)
2.
13.56[MHz]의 고주파(도서관리, 교통카드 등)
3.
700[MHz]의 극초단파(유통, 물류 등)
4.
2.45[GHz]의 마이크로파 대역(여권, ID카드, 위치추적 등)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LF 에선 125kHz 출입통제 135KHz 가축관리로 쓰이고 MF 에선 13.56Mhz 가 우리가 흔히 쓰는 도서관리,교통카드에 쓰입니다 그위 초고주파 영역은 전송 거리도 멀어집니다 UHF 에선 400Mhz 국방,컨테이너 900Mh,유통,물류관리 SHF에선 2.45Ghz 여권,ID카드에 쓰입니다.
따라서 700Mhz라 했으므로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부산킹코브라곽맹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Mf가 아니라 HF입니다. 잘못씀 [해설작성자 : 부산킹코브라곽맹은]
31.
PCM 통신방식에서 4[kHz]의 대역폭을 갖는 음성 정보를 8[bit] 코딩으로 표본화하면 음성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전송률은 얼마인가?
<문제 해설>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SPC, Stored Programmed Control) 교환 처리 순서 및 동작 과정을 프로그램에 기억시켜 제어, 대부분의 전자교환기에서 사용 중. 장점 : 시설비 저렴, 가입자에게 다양한 기능 제공, 보수 및 운영경비 절감, 고도의 신뢰성, 기능 변경 및 추가 융통성, 공통 제어장치 수 절감 [해설작성자 : keith park]
[추가 오류 신고] 서브넷 숫자는 2^12로 4096개로 정정해 주셔야 하는게 맞습니다. 호스트에서는 모든 호스트 주소 범위가 0일때(=네트워크 주소)와 모든 호스트 주소 범위가 1일때(=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하기 때문에 호스트 숫자에서만 2개를 빼주는 계산이 맞습니다.
따라서, 서브넷 숫자 = 2^12 호스트 숫자 = (2^4)-2 [해설작성자 : 별이]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문제와 보기는 원본과 동일합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세화출판 정보통신기사 필기 과년도 책(2021년 4월 출판) 살펴보니 3번 보기가 서브넷 4094, 호스트 14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여기 CBT에 써있는 3번 보기는 서브넷이 4904로 오타가 되어 있어요.
이 문제에 대해 대학시절 정보통신 담당 교수님께 문의해본 결과, 보기 3번은 4094가 아닌 4096이 정확한 계산값이 맞다고 합니다. 물론 근사치로 4094를 정답으로 칠 수 있으나, 정확한 계산 결과로는 4096이 맞다고 하네요.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별이]
75.
다음 중 자율 시스템(AS: Autonomous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터넷 상에서 자율시스템이라 함은 관리적 측면에서 한 단체에 속하여 관리되고 제어됨으로써, 동일한 라우팅 정책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그룹을 말한다.
2.
라우팅 도메인으로도 불리며,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자율시스템번호, AN(Autonomous System Number)을 부여받는다.
3.
한 자율시스템 내에서의 IP네트워크는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인 IGP(Interior Gateway Protocol)를 사용한다.
4.
타 자율시스템과의 라우팅 정보 교환을 위해서는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인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on Protocol)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내부입니다. 외부가 아니라 [해설작성자 : 사람과인터페이스]
자율시스템 AS : EGP(Enhanced~) 사용 AS 내 : I(Interior~)GP 사용
4. 내부 라우팅 [해설작성자 : 내가이긴다]
76.
다음 중 TCP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접속형 프로토콜
2.
신뢰성 서비스
3.
데이터그램 서비스
4.
혼잡 제어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데이터그램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다루는 서비스이다. TCP는 전송계층의 프로토콜이다. [해설작성자 : 방기]
77.
다음 IP 주소들이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지를 알맞게 연결한 것은?
1.
ⓐ C 클래스, ⓑ E 클래스, ⓒ D 클래스
2.
ⓐ A 클래스, ⓑ B 클래스, ⓒ C 클래스
3.
ⓐ B 클래스, ⓑ C 클래스, ⓒ A 클래스
4.
ⓐ A 클래스, ⓑ B 클래스, ⓒ D 클래스
정답 : [
3
] 정답률 : 89%
78.
프로토콜의 기능 중 송신측 개체로부터 오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수신측 개체에서 조절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1.
연결제어
2.
에러제어
3.
흐름제어
4.
동기제어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오고 가고 흘러가듯 흐름제어 쉽게 생각합시다 [해설작성자 : 사람과인터페이스]
79.
짝수 패리티 비트의 해밍코드로 0011011을 받았을 때(왼쪽에 있는 비트부터 수신됨), 오류가 정정된 정확한 코드는 무엇인가?
1.
0111011
2.
0011000
3.
0101010
4.
0011001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0011011 의 8421 자리 0111 오른쪽부터 8421 자리 제외하고 처음 1이 나오는 위치 == 5번째 이진수표현은 0101 이 두개를 비교하면 2에 해당하는 값이 틀림 2에 해당값을 정정하면 0011001 [해설작성자 : 시험합격기원자]
젤왼쪽부터 1 2 3 4 5 6 7 8 번째 비트이고 문제의 코드를 적으면 0 0 1 1 0 1 1 0 이다. (8번째비트는 어없으니 0으로 적자) 먼저 해밍코드를 구하면 8421번째 자리의 비트를 나열하게 되는데, 0100 이다. 8,4,2,1번째 자리 말고 1을 나타내는 자리는 3, 6, 7번째 자리인데 이 숫자들과 해밍코드의 EXOR을 구하여 나온 숫자가 오류가 발생한 위치가 된다. 즉, 해밍코드 0 1 0 0 3의이진 0 0 1 1 6의 이진 0 1 1 0 7의 이진 0 1 1 1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EXOR 0 1 1 0 → 십진법으로 바꾸면 6이됨을 알 수있고, 6의 자리값이 1에서 0으로 바뀐 4번이 답이된다 [해설작성자 : 킹항스틸러스]
80.
다음 중 IEEE 802.3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것은?
1.
CSMA/CD
2.
Token Bus
3.
Token Ring
4.
Frame Relay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IEEE 802.3 : CSMA/CD IEEE 802.4 : TOKEN BUS IEEE 802.5 : TOKEN RING IEEE 802.11 : 무선 LAN [해설작성자 : 킹항스틸러스]
81.
다음 중 CPU(Central Processing Unit)의 내부 구성요소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ALU, Address Unit, Control Unit
2.
Instruction, Register, Control Unit
3.
ALU, Register, Control Unit
4.
Instruction, Address Unit, Control Unit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CPU의 2대 기능 : 연산, 제어 CPU의 3개 기능 : 연산, 제어, 기억
ALU : 산술논리연산장치 Register : CPU 내부의 고속 기억장치 Control Unit : 제어장치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82.
수식 “(011100)2+(100011)2”를 계산한 후, 8진수로 올바르게 변환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