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인증서 취소 사유 1. 사용자 개인키가 노출 2. CA가 사용자를 더이상 인증해줄 수 없는 경우 * Secure Socket list :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 * CA : 공개키 인증서와 폐기목록을 생성하고 발급 [해설작성자 : 사이버]
3.
AES 알고리즘의 블록크기와 키길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블록크기는 64비트이고 키길이는 56비트이다.
2.
블록크기는 128비트이고 키길이는 56비트이다.
3.
블록크기는 64비트이고 키길이는 128/192/256비트이다.
4.
블록크기는 128비트이고 키길이는 128/192/256비트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AES / 벨기에 / 블록 128bit / 키 길이 128,192, 256 / 라운드 10, 12, 14 [해설작성자 : 내꿈은세계정복☆]
4.
우리나라 국가 표준으로 지정되었으며 경량 환경 및 하드웨어 구현에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개발된 128비트 블록암호 알고리즘은?
1.
IDEA
2.
3DES
3.
HMAC
4.
ARIA
정답 : [
4
] 정답률 : 91%
5.
‘정보시스템과 네트워크의 보호를 위한 OECD 가이드라인’ (2002)에서 제시한 원리(principle) 중 “참여자들은 정보시스템과 네트워크 보안의 필요성과 그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사항을 알고 있어야 한다.”에 해당하는 것은?
1.
인식(Awareness)
2.
책임(Responsibility)
3.
윤리(Ethics)
4.
재평가(Reassessment)
정답 : [
1
] 정답률 : 87%
6.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상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자등이 이용자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을 위한 동의 절차에서 이용자에게 고지해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이전되는 개인정보 항목
2.
개인정보가 이전되는 국가, 이전일시 및 이전방법
3.
개인정보를 이전받는 자의 개인정보 이용 목적 및 보유ㆍ이용 기간
4.
개인정보를 이전하는 자의 성명(법인인 경우는 명칭 및 정보 관리책임자의 연락처)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개인정보를 이전하는 자의 성명: 미리 알려진 정보이므로 이용자에게 굳이 고지해야할 필요 없음. [해설작성자 : ASO]
7.
IPSec에서 두 컴퓨터 간의 보안 연결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Authentication Header
2.
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
3.
Internet Key Exchange
4.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인터넷 키 교환 (IKE) : IPSec에서 내부, 외부 보안 연관을 생성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내꿈은세계정복☆]
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Web Shell
2.
Ransomware
3.
Honeypot
4.
Stuxnet
정답 : [
2
] 정답률 : 98%
9.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상 개인정보처리자가 하여야 하는 안전성 확보 조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인정보의 안전한 처리를 위한 내부 관리계획의 수립ㆍ시행
2.
개인정보가 정보주체의 요구를 받아 삭제되더라도 이를 복구 또는 재생할 수 있는 내부 방안 마련
3.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저장ㆍ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 기술의 적용 또는 이에 상응하는 조치
4.
개인정보 침해사고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조ㆍ변조 방지를 위한 조치
정답 : [
2
] 정답률 : 88%
10.
공개키 암호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에 들어갈 말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 ㉡, ㉢)
크라임웨어는 온라인상에서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사용자가 알지 못하게 불법적인 행동 및 동작을 하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말한다.
2.
스니핑은 적극적 공격으로 백도어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상의 남의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의 하나이다.
3.
파밍은 정상적으로 사용자들이 접속하는 도메인 이름과 철자가 유사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위장 홈페이지를 만든 뒤 사용자로 하여금 위장된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한 후 개인 정보를 빼내는 공격 기법이다.
4.
피싱은 해당 사이트가 공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던 도메인 자체를 탈취하는 공격 기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스니핑은 소극적 공격 파밍은 도메인 자체를 탈취 피싱은 사칭,위조된 이메일을 보내 정보를 빼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피싱에 대한 내용 4. 파밍에 대한 내용 [해설작성자 : 사이버전사]
1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Whitebox
2.
Sandbox
3.
Middlebox
4.
Bluebox
정답 : [
2
] 정답률 : 90%
19.
각 주체가 각 객체에 접근할 때마다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규정된 규칙과 비교하여 그 규칙을 만족하는 주체에게만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기법은?
1.
Mandatory Access Control
2.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3.
Role Based Access Control
4.
Reference Monitor
정답 : [
1
] 정답률 : 72%
20.
임의로 발생시킨 데이터를 프로그램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안전성 및 취약성 등을 검사하는 방법은?
1.
Reverse Engineering
2.
Canonicalization
3.
Fuzzing
4.
Software Prototyping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역공학: 장치 또는 시스템의 기술적인 원리를 그 구조분석을 통해 발견하는 과정 2. 정규화: 하나 이상의 가능한 표현을 가진 데이터를 표준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3. 퍼징: 컴퓨터 프로그램에 예상치 않은 또는 무작위 데이터를 입력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법 4. 프로토타이핑: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불완전한 버전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③
④
④
①
④
③
②
②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②
④
②
④
①
①
②
①
③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