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대한민국 정부수립 1948 최소 소방본부 설치 1972 [해설작성자 : 홍장군]
2.
민간 소방조직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유취급소에는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한다.
2.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는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한다.
3.
소방업무를 체계적으로 보조하기 위해 의용소방대를 설치한다.
4.
제4류 위험물을 저장·취급하는 제조소에는 반드시 자체소방대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위험물의 지정수량 3000배 이상일 때 부터 자체소방대를 운영해야한다. 참고. 자체소방대 인원 소방차 3000-12만배. 5. 1 12만배-24만배. 10. 2 24만배-48만배. 15. 3 48만배 이상 20. 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년 개정내용으로 48만배 이상 20 4 아래칸에 옥외탱크 저장소에 저장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50만배 이상인 사업소 자체 소방대 인원 10명 화학소방자동차 2대 가 추가됩니다 [해설작성자 : 정우현]
3.
화재예방, 소방활동 또는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방신호에 해당하는 것은?
1.
대응 신호
2.
경계 신호
3.
복구 신호
4.
대비 신호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경계, 발화, 해제, 훈련 암기법 : 발해 훈련 경계 [해설작성자 : 복학생]
* 소방신호 [타종신호] 사이렌신호 경계신호- 1타와 연2타를 반복 5초 간격을 두소 30초씩 3회 발화신호(방화신호x) 난타 5초 간격을 두고 5초씩 3회 해제신호 상당한 간격을 두고 1타씩 반복 1분간 1회 훈련신호 연3타 반복 10초 간격을 두고 1분씩 3회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다음은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특별재난지역의 선포와 관련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순서대로 ㉠, ㉡)
1.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안전정책조정위원회
2.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중앙사고수습본부
3.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4.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재난 복구 특별재난지역 선포 • 중앙대책본부장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의 재난이 발생하여 국가의 안녕 및 사회질서의 유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거나 피해를 효과적으로 수습하기 위하여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지역대책본부장의 요청이 타당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중앙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해당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할 것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 • 지역대책본부장이 특별재난지역 선포 건의 >>>중앙대책본부장>>>중앙위원회 심의 선포: 대통령 [해설작성자 : 게릴라]
* 비교하기[재난사태] [시.도시자가 중앙대책본부장에게 건의]하거나 [중앙대책본부장이 필요하다고 느끼면]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행정안전부장관이 선포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포소화약제의 혼합방식 중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츄리(Venturi) 관의 벤츄리(Venturi) 작용에 의하여 포소화약제를 흡입·혼합하는 것은?
1.
라인 프로포셔너(Line Proportioner)
2.
펌프 프로포셔너(Pump Proportioner)
3.
프레셔 프로포셔너(Pressure Proportioner)
4.
프레셔 사이드 프로포셔너(Pressure Side Proportioner)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라인프로포셔너 : 벤츄리관의 벤추리 작용에 의하여 포 소화약제를 흡입,혼합 2. 펌프프로포셔너 :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조정된 필요량을 흡입측에 보내어 혼합 3. 프레져프로포셔너 :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 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의하여 흡입 혼합 4. 프레져사이드프로포셔너 : 압입용펌프로 포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 [해설작성자 : 복학생]
20.
열감지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보상식
2.
정온식
3.
광전식
4.
차동식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감지기의 종류 : 정온식(열 축적 감지), 보상식(열축적+공기팽창), 차동식(공기 팽창 감지) cf> 감지범위에 따라 스포트형과 분포형으로 나뉜다.
연기감지기의 종류 : 광전식, 이온화식 [해설작성자 : 헬창공]
* 열감지 종류 -차동식(온도가 일정상승률 이상인 경우 작동) 1.분포형 -공기관식, 열전대식, 열반도체식 2.스포트형 -공기팽창에 의한 것 -열기전력에 의한 것
-정온식(일정한 온도 이상일 때 작동) 1.감지선형(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는 것) 2.스포트형(외관이 전서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
-보상식(차동식과 정온식 어느하나라도 작동되면 신호를 발하는 것)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②
①
②
④
①
③
②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③
①
②
①
②
①
②
①
③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