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무선통신보조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해당 소방활동에서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설비
화재 발생사실을 통보하는 기계 기구 >>> 경보설비 1.비상벨설비 및 자동식 사이렌설비(비상경보설비) 2.단독경보형감지기 3.비상방송설비 4.누전경보기 5.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6.자동화재속보설비 7.가스누설경보기 8.통합감시시설 [해설작성자 : 게릴라]
6.
역화현상에 대해 잘못 말한 것은?
1.
연소속도 < 혼합가스분출
2.
혼합가스의 양이 많을 때
3.
노즐이 부식되어 분출 구멍이 커질 때
4.
버너가 과열 되었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리프팅(선화)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홍장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도 틀림 혼합가스의 양이 적을때 역화현상이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짱궁ㅇㅇ]
[추가 오류 신고] [ 역화 현상 ] 연소속도가 혼합가스분출보다 빠를 때 혼합가스의 양이 적을 때 노즐이 부식되어 분출 구멍이 커질 때 버너가 과열 되었을 때 [해설작성자 : ㅈㅎㅅ]
[오류신고 반론] 2번이 헷갈리는 이유는 아마 "가스 바깥의 압력이 높을 때 역화현상이 발생" 이 부분이랑 헷갈리시는것 같습니다. 다시 정리해드리자면 가스의 압력은 낮아야 즉 내용물이 적어야 역화현상이 일어나고 가스 바깥의 압력이 높아야 역화현상이 발생합니다. 추가로 가스 바깥의 압력이 높으면 압력이 고-->저 로 이동하기 때문에 불이 안쪽으로 들어온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예비 소방합격자]
[추가 오류 신고] 복수 정답 역화 1번 연소속도 > 혼합가스 분출량 - O 2번 혼합가스의 양이 적을 때 - 0
[추가 오류 신고] 1번 연소속도가 혼합가스 분출속도보다 빨라야 한다. 2번 혼합가스의 양이 적을때 주로 역화현상이 나타난다.
[오류신고 반론] 역화의 원인 - 연료분출속도 < 연소속도 (O) - 혼합가스량이 너무 적을 경우 (1차 공기가 적은 경우) (O) - 공급가스의 압력이 낮은 경우 - 염공이 크거나 부식으로 분출구멍이 커진 경우 - 버너의 과열 - 연소속도보다 혼합가스의 분출속도가 느릴 경우 출처 : 2024 해커스소방 이영철 소방학개론 기본서 1권 PART 1 연소론 및 화재론 CHAPTER 4 연소의 형태 P.78
7.
가연물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활성화 에너지 값이 작아야 한다.
2.
산소친화력이 높아야 한다.
3.
열전도도가 높아야 한다.
4.
발열량이 높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열전도도가 낮아야 됨. [해설작성자 : 홍장군]
가연물 구비조건에서 낮은 인자만 외워두면 되요. 활성화 에너지, 열전도도 → 가슴을 활작 열자(작) [해설작성자 : 경주인]
중앙긴급구조 통제단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중앙(긴급구조) 통제단의 단장은 국민안전처장관이다.
2.
중앙통제단은 국민안전처에 설치됨
3.
중앙통제단 설치는 대통령령으로
4.
중앙통제단의 구성·기능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기준이 바뀜 중앙 긴급구조 통제단: 긴급 구조기관( 소방청/ 소방본부/ 소방서 + 해양에서 사고가 났다면 해양경찰청/ 지방해양경찰청/ 해양경찰서) 및 긴급 구조지원기관이 하는 긴급구조 활동의 역할 분담과 지휘, 통제함. 단장: 소방청장 설치: 소방청 *참고 _ 긴급 구조 통제단장은 긴급구조 지원요원의 현장출동을 명령 할 수 있다(X) 요청할 수 있다(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법률 개정으로 1. 중앙긴급통제단 단장 - 소방청장 2. 중앙긴급통제단은 소방청에 설치
16.
소화 적응성에 따른 표시 색상과 화제의 종류로 맞는 것은?
1.
A급 – 황색 - 일반화재
2.
B급 – 무색 - 금속화재
3.
C급 – 청색 - 전기화재
4.
D급 – 백색 - 유류화재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A : 백, 일반 B : 황, 유류 C : 청, 전기 D : 무, 금속
17.
건물화재 시 실내,외 정압 같아지는 경계면은?
1.
중심점
2.
중성대
3.
상중점
4.
안전대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중성대 실내의 화재가 발생하면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여 실내 상부의 압력은 외부보다 높아지고 하부의 압력은 외부보다 낮아진다. 상부와 하부 사이에 외부와 압력이 같은 곳을 중성대라고 한다. 중성대 기준으로 상부는 기체가 외부로 유출 하부는 내부로 유입된다.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상중점: 기체, 액체, 고체의 세 가지 상이 평형상태에서 함께 존재할 수 있는 온도와 압력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18.
화재조사, 보고규정→ 화재원인 조사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발화원인
2.
인명피해
3.
연소상황
4.
발견/통보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화재원인조사(발화원인, 발견.통보 및 초기 소화상황 조사, 연소상황 조사, 피난상황 조사, 소방시설 등 조사)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19.
소방시설설비→ 소방시설의 종류중 분류가 다른 것?
1.
상수도 소화용수
2.
연결살수
3.
연결송수관
4.
제연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소화용수설비 -상수도 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저수조, 그 밖의 소화용수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