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 자료 구조 : 큐, 스택, 데크, 연결 리스트 비선형 자료 구조 : 트리, 그래프 [해설작성자 : 구리]
2.
비트열(bit string) A를 2의 보수로 표현된 부호 있는(signed) 2진 정수로 해석한 값은 -5이다. 비트열 A를 1의 보수로 표현된 부호 있는 2진 정수로 해석한 값은?
1.
-4
2.
-5
3.
-6
4.
-7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의 보수로 해석된 값이 -5라면 이진수로 1101이다 여기서 1을 빼면 1의보수 이므로 1100 는 -4 이다 [해설작성자 : 고라니]
3.
직원 테이블 emp의 모든 레코드를 근무연수 wyear에 대해서는 내림차순으로, 동일 근무연수에 대해서는 나이 age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얻기 위한 SQL 질의문은?
1.
SELECT * FROM emp ORDER BY age, wyear DESC;
2.
SELECT * FROM emp ORDER BY age ASC, wyear;
3.
SELECT * FROM emp ORDER BY wyear DESC, age;
4.
SELECT * FROM emp ORDER BY wyear, age ASC;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내림차순: DESC <생략불가능 오름차순: ASC <생략가능 첫번째 기준: wyear 에 대해 내림차순 - wyear desc 두번째 기준: age 에 대해 오름차순 - age (as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에서 설명하는 디스크 스케줄링은?
1.
선입 선처리(FCFS) 스케줄링
2.
최소 탐색 시간 우선(SSTF) 스케줄링
3.
스캔(SCAN) 스케줄링
4.
라운드 로빈(RR) 스케줄링
정답 : [
3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디스크가 트랙의 끝에서 방향을 바꾸어 처리하면 SCAN 방식이며 트랙의 끝에서 처음부분으로 이동해서 다시 끝까지 가는 방식은 C-SCAN이다 이때 요청이 있는 트랙까지만 이동하면 SCAN대신 LOOK이라 한다(LOOK,C-LOOK) [해설작성자 : 고라니]
5.
정보량의 크기가 작은 것에서 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PB, TB, ZB, EB는 각각 petabyte, terabyte, zettabyte, exabyte이다)
1.
1PB, 1TB, 1ZB, 1EB
2.
1PB, 1TB, 1EB, 1ZB
3.
1TB, 1PB, 1ZB, 1EB
4.
1TB, 1PB, 1EB, 1ZB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용량(크기)이 작은 단위부터 큰 단위 순서 KB > MB > GB > TB > PB > EB > ZB [해설작성자 : 우기]
2-way 집합 연관 사상(set-associative mapping) 방식을 사용하는 캐시 기억장치를 가진 컴퓨터가 있다. 캐시 기억장치 접근(access)을 위해 주기억장치 주소가 다음 세 필드(field)로 구분된다면, 캐시 기억장치의 총 라인(line) 개수는?
1.
128개
2.
256개
3.
512개
4.
1,024개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라인=세트 라고 생각하면 된다 2way 이므로 한세트에 2개의 라인이 적재된다 세트필드가 9비트이므로 512개의 세트가 있다는 뜻이고 총 1024개의 라인이 있다는 의미다 [해설작성자 : 고라니]
9.
다음 C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는?
1.
a = 7, b = 10
2.
a = 7, b = 30
3.
a = 10, b = 10
4.
a = 10, b = 30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의 값과 b의 값을 물어보는 문제다. func(num,&a,b)에서 a의 주솟값을 넘겨주며 *x가 받아 *x는 a의 값을 의미하게된다 *(m+1)은 배열num의 두번째 원소(=3)를 뜻하며 (*m+1)은 배열num의 첫번째 원소에 +1을 한것(=3)을 의미한다 고로 n은 3+3=6이되며 *x = ++n에 의해 연산전에 +1을 하여 *x = a = 7 이된다 함수에 리턴값이 없지만 주솟값으로 접근해 저장공간을 직접 조작하였으므로 값이 변경된다 b는 값을 복사해 넘겨줬을뿐 돌려받거나 주솟값으로 값을 바꾼적이 없으므로 그대로 30을 받아 30이된다. [해설작성자 : 고라니]
10.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이중(full duplex)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2.
3-way 핸드셰이크(handshake)를 사용하여 연결을 설정한다.
3.
흐름제어(flow control)와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를 제공한다.
<문제 해설> 1. IOS - 애플에서 제작하는 애플 모바일 기기(iPhone)용 운영체제 2. Android - 구글에서 제작하는 범용 모바일 기기용 운영체제 3. Symbian - 사이온, 모토로라, 노키아, 에릭슨이 공동 개발한 모바일 기기용 운영체제이나 2012년 이후 지원 중단 4. Solaris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하고 오라클에 인수되어 운영되는 워크스테이션 및 서버용 운영체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 표는 단일 중앙처리장치에 진입한 프로세스의 도착 시간과 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실행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비선점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 P1, P2, P3, P4 프로세스 4개의 평균 대기 시간은? (단, 프로세스 간 문맥 교환에 따른 오버헤드는 무시하며, 주어진 4개의 프로세스 외에 처리할 다른 프로세스는 없다고 가정한다)
<문제 해설> 순차 논리 회로 : 상태값을 저장, 상태값이 입력으로 들어가서 다음 상태값과 출력 결정(출력 값 = 입력값 + 상태값) 카운터 조합 논리 회로 : 입력값에 의해 출력값이 정해지는 회로 (출력값 = 입력값) 디코더, 전가산기, 반가산기, 멀티플렉서, 인코더 [해설작성자 : 구리]
18.
클록(clock) 주파수가 2GHz인 중앙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 A에서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데 10초가 소요된다. 클록 주파수가 더 높은 중앙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 B에서 프로그램 P를 실행하면, 소요되는 클록 사이클 수는 컴퓨터 A에 대비하여 1.5배로 증가하나 실행 시간은 6초로 감소한다. 컴퓨터 B에 사용된 중앙처리장치의 클록 주파수는? (단, 실행 시간은 중앙처리장치의 실행 시간만을 고려한 것이며 프로그램 P만 실행하여 측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