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크게 한다.
3.
건축물은 대지의 향, 일조 및 주풍향 등을 고려하여 배치하며, 남향 또는 남동향 배치를 한다.
4.
거실의 층고 및 반자 높이는 실의 용도와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낮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 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작게 한다. [해설작성자 : ㅇ]
2.
다음 설명에 알맞은 국지도로의 유형은?
1.
loop형
2.
격자형
3.
T자형
4.
간선분리형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쿨데삭(Cul-de-sac)형 도로 ㆍ정의 : 도로의 한쪽 끝을 폐쇄함으로써 단지 내 교통을 한쪽 방향으로 집중시키게 됨 ㆍ특징 : 주거단지에 조성되는 도로 유형 중 부정형지형이나 경사지 등에 주로 이용되며, 통과교통이 차단되어 보행자들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으나, 개별획지로의 접근성은 다소 불리하고, 우회도로가 없어 방재 또는 방범상의 단점이 있는 국지도로의 패턴
□ 루프(loop)형 도로 - 특징 ㆍ빠른 우회도로를 두어 단지 내로 통과차량의 진입을 방지 - 장점 ㆍ통과교통감소로 안전한 도로공간 및 생활공간형성 ㆍ통과교통을 차단하여 안정된 도로공간이 조성되므로 국지도로를 생활공간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 ㆍ가구내부 주민에게 독점적으로 활용되는 쾌적한 도로 공간이 형성되므로 가구의 규모에 따라 정돈된 경관연출 가능 - 단점 ㆍ루프형으로 도로길이가 길어져 불필요한 차량의 진입이 감소하여 통과 교통량이 감소하지만 도로율이 높아짐
3.
주거단지 내의 공동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심을 형성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2.
이용 빈도가 높은 건물은 이용거리를 길게 한다.
3.
확장 또는 증설을 위한 용지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4.
이용성, 기능상의 인접성, 토지이용의 효율성에 따라 인접하여 배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이용 빈도가 높은 건물은 거리를 짧게 하여 동선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고 이용률을 높인다. [해설작성자 : 2064]
4.
다음 설명에 알맞은 도서관의 자료 출납시스템 유형은?
1.
폐가식
2.
반개가식
3.
자유개가식
4.
안전개가식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구분법 : 열람자가 책을 직접 꺼낼 수 있는지 없는지 안전개가식 : 열람자가 직접 책을 꺼낸다. 반개가식 : 표지나 제목 정도는 볼 수 있지만 책을 열람하기 위해선 관원의 도움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김현동]
폐가식-목록만 볼 수 있음. 직원이 제일 번거로움 반개가식-제목이나 표지만 볼 수 있음. 신간도서에 적합 안전개가식-직접 꺼내지만 보려면 허락받아야 함. 자유개가식-마음대로 보고 넣고 자-유. 엉망의 위험성이 있음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들 화이팅]
레이아웃 계획은 작업장 내의 기계설비 배치에 관한 것으로 공장규모변화에 따른 융통성은 고려대상이 아니다.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설비나 배치에 관한 것이므로 규모변화에 따른 융통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2064]
12.
한국 전통건축의 지붕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팔작지붕은 원초적인 지붕형태로 원시움집에서부터 사용되었다.
2.
모임지붕은 용마루와 내림마루가 있고 추녀마루만 없는 형태이다.
3.
맞배지붕은 용마루와 추녀마루로만 구성된 지붕으로 주로 다포식 건물에 사용되었다.
4.
우진각지붕은 네 면에 모두 지붕면이 있으며 전후 지붕면은 사다리꼴이고 양측 지붕면은 삼각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팔작지붕 가장 완비된 지붕형식으로 기와지붕의 구성에 아주 적절하다. 가구가 맞배지붕이나 우진각지붕보다 복잡하나 외관상 위용이 궁궐건축과 사찰건축에 있어 정전(正殿), 금당(金堂) 같은 중심이 되는 건축에 즐겨 사용되었다.
모임지붕 추녀마루로만 구성되고 용마루 없이 하나의 꼭짓점에서 지붕골이 만나는 지붕형태이다.
맞배지붕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형태이다.
우진각지붕 네면에 모두 지붕면이 있고 용마루와 추녀마루로 구성된 지붕으로서, 전후 지붕면은 사다리꼴이고 양측 지붕면은 삼각형입니다. 원초적인 지붕 형태로 원시 움집에서 부터 사용되었다.
13.
사무소 건축의 중심코어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조코어로서 바람직한 형식이다.
2.
유효율이 낮아 임대 사무소 건축에는 부적합이다.
3.
일반적으로 기준층 바닥면적이 작은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4.
2방향 피난에는 이상적인 관계로 방재/피난상 가장 유리한 형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유효율이 높으며 임대 사무소로서 가장 작합한 유형 3. 편단코어 (편심형) 4. 양단코어 (분리형) [해설작성자 : 2064]
14.
백화점의 에스컬레이터 배치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렬식 배치는 승객의 시야도 좋고 점유면적도 작다.
2.
병렬연속식 배치는 연속적으로 승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3.
교차식 배치는 점유면적이 작으며 연속 승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
병렬단속식 배치는 승객의 시야는 안 좋으나 점유면적이 작아 고층 백화점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직렬식 배치는 승객의 시야가 좋지만 점유면적이 가장 크다. 2. 병렬연속식 배치는 연속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3. 교차식 배치는 점유면적이 작으며 연속 승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 병렬단속식 배치는 승객의 시야가 막히지 않지만 점유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다. [해설작성자 : ㅇ]
15.
다음 중 상점계획에서 파사드 구성에 요구되는 소비자 구매심리 5단계(AIDMA 법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콘크리트 블록(Block) 벽체의 크기가 3×5m일 때 쌓기 모르타르의 소요량으로 옳은 것은? (단, 블록의 치수는 390×190×190mm, 재료량은 할증이 포함되었으며, 모르타르 배합비는 1:3)
1.
0.10m3
2.
0.12m3
3.
0.15m3
4.
0.18m3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콘크리트 블록 기본형(390) 1m2당 13매 표준형(290) 1m2당 17매
문제에서는 콘크리트 블록 기본형이므로 3m*5m*13매 = 총 195매 195매에서 총 모르타르는 10×10×10mm=1000mm3씩 사용되었고 순수 모르타르는 전체 ¾만큼 사용되었다. 따라서 195매*1000mm3*¾=146250mm3=0.15m3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들 화이팅]
블록의 치수 390mm X 190mm X 190mm 경우 쌓기모르타르의 소요량은 할증률 포함 1m2당 0.01m3이므로 (3×5)×0.01=0.15m3 [해설작성자 : 합격목걸이]
25.
건설공사현장에서 보통 콘크리트를 KS규격품인 레미콘으로 주문할 때의 요구항목이 아닌 것은?
1.
잔골재의 조립율
2.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3.
호칭강도
4.
슬럼프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규격품 레미콘 주문 요구항목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호칭강도 슬럼프 [해설작성자 : 오징어야]
<문제 해설> 브리딩현상 = 번짐현상 - 하도의 색이 상도막 표면에 떠올라 상도의 색이 변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ㅇ]
31.
유동화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은 유동성을 가지면서도 단위수량은 보통 콘크리트보다 적다.
2.
일반적으로 유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화학혼화제를 사용한다
3.
동일한 단위시멘트량을 갖는 보통콘크리트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매우 높다.
4.
일반적으로 건조수축은 묽은 비빔 콘크리트보다 작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압축강도는 보통콘크리트와 유사하다. [해설작성자 : 인국공간다.]
32.
계약 방식 중 단가계약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시수량의 확정에 따라서 차후 정산하는 방식이다.
2.
긴급공사 시 또는 수량이 불명확할 때 간단히 계약할 수 있다.
3.
설계변경에 의한 수량의 증감이 용이하다.
4.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공사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단가계약 - 간단히, 착공이 빠름, 나중에 정산, 단순한 공사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들 화이팅]
33.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는 청정, 견경하고 유해량의 먼지, 유기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2.
골재의 입형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갖도록 한다.
3.
골재는 예각으로 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4.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내 경화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보다 커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골재는 둔각으로 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ㅇ]
둥근골재사용 [해설작성자 : 노맨]
34.
창호철물과 창호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어체크(door check)- 미닫이문
2.
플로어 힌지(floor hinge)- 자재 여닫이문
3.
크리센트(crescent)- 오르내리창
4.
레일(rail)- 미서기창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도어 체크 = 도어 클로저 - 여닫이문 [해설작성자 : ㅇ]
35.
목구조 재료로 사용되는 침엽수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직선부재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2.
단단하고 가공이 어려우나 미관이 좋다.
3.
병·충해가 약하여 방부 및 방충처리를 하여야 한다.
4.
수고(樹高)가 높으며 통직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침엽수 목재는 부드러워서 가공이 편함 [해설작성자 : ㅇ]
침엽수 - 가공 쉬움, 곧고 길게 자람, 병충해에 약함, 구조재로 사용 활엽수 - 가공 어려움, 미관이 좋음, 장대재를 얻기 어려움, 수장재나 가구재로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대안입찰제도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설계상 문제점의 보완이 가능하다.
3.
신기술의 개발 및 축적이 기대할 수 있다.
4.
입찰기간이 단축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대안 협상의 과정 등으로 기간 증가 [해설작성자 : 전력질주고라니]
37.
잔류유(찌꺼기)를 저온으로 장시간 증류한 것으로 응집력이 크고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으며 연화점이 높고 안전하여 방수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아스팔트 펠트
2.
블로운 아스팔트
3.
아스팔타이트
4.
레이크 아스팔트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아스팔타이트 - 암석의 균열 등에 석유가 스며들어 오랜 세월에 걸쳐 아스팔트로 변질된 것으로 불순물이 없는 순수한 아스팔트 4. 레이크 아스팔트 - 아스팔트가 호수와 같은 모양으로 지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 [해설작성자 : ㅇ]
아스팔트는 천연 / 인공으로 나뉜답니다. 1, 2는 인공 / 3, 4는 천연
38.
지표 재하 하중으로 흙막이 저면 흙이 붕괴되고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 볼록하게 되어 파괴되는 현상은?
1.
히빙(heaving) 파괴
2.
보일링(boiling) 파괴
3.
수동토압(passive earth pressure) 파괴
4.
전단(shearing) 파괴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히빙 현상 - 흙막이 벽 전, 후 흙의 중량차이로 굴착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보일링 현상 - 지하수위 아래의 지반을 흙막이공법으로 굴착할 때, 흙막이공 내외의 수위차이 때문에 침투수압이 생긴다. 이 침투수압이 커지면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분출하여 마치 물이 끓는 상태가 되는 현상 파이핑 현상 - 연약 사질토 지반에서 굴착면에 침투수류가 용출하여 급격히 지반파괴가 생기는 현상 [해설작성자 : ㅇ]
39.
블록조 벽체에 와이어메시를 가로줄눈에 묻어 쌓기도 하는데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강도설계법에 의한 콘크리트 설계시 전단강도의 경우 상세한 계산을 할 경우 강도감소계수는 전단력0.75를 곱하여 구하는게 맞습니다, vs=0.75*λ*1/6 *루트 fck* bd/ 참고 강도감소계수는 인장지배, 압축지매, 전단력구간 마다 계수가 다릅니다 [해설작성자 : 건축조아]
<문제 해설> 변전실 면적 결정요소는 수전전압,변압기용량,수전방식,기기의 배치 방법, 큐비클(폐쇄분전반)의 종류 등이 있다. * 큐비클 - 차단기,단로기 등의 전력용 개폐기,계기용 변성기,모선,접속도체 및 감시제어에 필요한 기기로 된 접합장치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죠르디]
62.
가스사용시설에서 가스계량기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접속기와의 거리가 최소 30cm 이상이 되도록 한다.
2.
전기점멸기와의 거리가 최소 60cm 이상이 되도록 한다.
3.
전기개폐기외의 거리가 최소 60cm 이상이 되도록 한다.
4.
전기계량기와의 거리가 최소 60cm 이상이 되도록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소 30cm 이상
개계 60 점접30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들 화이팅]
63.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중 일정 이상의 속도가 되었을 때 브레이크 등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조속기
2.
권상기
3.
완충기
4.
가이드 슈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조속기는 엘레베이터가 일정 이상 속도가 되었을 때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안전장치이다. 사전에 설정된 속도에 이르면 스위치가 작동한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64.
흡음 및 차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의 차음성능은 투과손실이 클수록 높다.
2.
차음성능이 높은 재료는 흡음성능도 높다.
3.
벽의 차음성능은 사용재료의 면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4.
벽의 차음성능은 동일 재료에서도 두께와 시공법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차음≠흡음 [해설작성자 : 건설김미연]
65.
다음 설명에 알맞은 화재의 종류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K급 화재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A급 화재 - 일반화재 - 목재, 섬유, 고무, 합성수지 등의 화재 B급 화재 - 유류화재 - 인화성 액체 등 기름성분의 화재 C급 화재 - 전기화재 - 전기설비 및 기기의 화재 D급 화재 - 금속화재 - 금속분, 박 등의 화재 E급 화재 - 가스화재 - LPG, LNG, 도시가스 등의 화재 [해설작성자 : ㅇ]
K급 화재 - 부엌화재 [해설작성자 : ㅇ]
66.
전기설비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장치는?
1.
퓨즈
2.
누전차단기
3.
단로스위치
4.
절환스위치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절환 스위치 - 공장 또는 병원처럼 정전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곳에서 갑작스런 정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정전시 비상용 발전전원으로 바꾸는 전기장치 [해설작성자 : ㅇ]
1. 퓨즈 과전류(정해진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흐를 때 녹아서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 전선이나 기기가 과열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
2. 누전차단기 누전(전기가 새는 현상)이나 감전 위험이 발생하면 즉시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감전사고나 화재를 예방하는 역할.
3. 단로스위치 회로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장치. 주로 유지보수할 때 안전하게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됨.
4. 절환스위치 전원을 하나에서 다른 전원으로 전환(교체)하는 장치. 예를 들어, 상용 전원과 비상 발전기 전원을 전환할 때 사용됨. [해설작성자 : 국립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67.
급수방식 중 고가수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급수압력이 일정하다.
2.
2층 정도의 건물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3.
위생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다.
4.
저수조가 없으므로 단수 시에 급수가 불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고가수조방식 - 항상 일정한 수압을 얻을 수 있음 - 정전, 단수 시 수조의 물 사용가능 - 위생에 상대적으로 취약 - 4층 이상의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 [해설작성자 : ㅇ]
다음 중 실내를 부압으로 유지하며 실내의 냄새나 유해물질을 다른 실로 흘려 보내지 않으므로 욕실, 화장실 등에 사용되는 환기 방식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화장실 자연급기 강제배기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들 화이팅]
72.
자연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부 풍속이 커지면 환기량은 많아진다.
2.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면 환기량은 작아진다.
3.
중력환기는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공기의 밀도차가 원동력이 된다.
4.
자연환기량은 중성대로부터 공기유입구 또는 유출구까지의 높이가 클수록 많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온도차가 크면 환기량은 커진다 [해설작성자 : 오징어야]
73.
고온수 난방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치의 열용량이 크므로 예열시간이 길게 된다.
2.
공급과 환수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열수송량이 크다.
3.
공업용과 같이 고압증기를 다량으로 필요로 할 경우에는 부적당하다.
4.
지역난방에는 이용할 수 없으며 높이가 높고 건축면적이 넓은 단일 건물에 주로 이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온수 난방방식은 지역난방의 세분 중 하나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들 화이팅]
고온수 난방방식은 대규모 단지의 지역난방에 많이 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국소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관의 열손실이 적다.
2.
급탕개소와 급탕량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3.
급탕개소마다 가열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4.
건물 완공 후에도 급탕 개소의 증설이 비교적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2. 중앙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징어야]
국소식 급탕방식 (=개별식) [해설작성자 : Azoh]
75.
어떤 상태의 습공기를 절대습도의 변화없이 건구온도만 상승시킬 때, 습공기의 상태변화로 옳은 것은?
1.
엔탈피는 증가한다.
2.
비체적은 감소한다.
3.
노점온도는 낮아진다.
4.
상대습도는 증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온도 상승시 엔탈피 증가 [해설작성자 : ㅇ]
엔탈피 증가 비체적 증가 상대습도 감소 [해설작성자 : 프리패스]
노점온도는 변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다음 중 옥내의 노출된 건조한 장소에 시설할 수 없는 배선 방법은? (단,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1.
금속관 배선
2.
버스덕트 배선
3.
가요전선관 배선
4.
플로어덕트 배선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금속관 배선 - 주로 노출된 곳에 쓰며 가장 튼튼함 2. 버스덕트 배선 - 알루미늄이나 구리 도체를 절연물로 피복하거나 지지하여 케이스 내에 수납한 것으로 옥내의 건조한 장소로 노출장소나 점검가능한 은폐장소에 한하여 시공가능함 3. 가요전선관 배선 - 굴곡이 많아 배관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자유롭게 굽힐 수 있는 가요 관로를 이용하며, 옥내의 건조한 장소로 노출장소나 점검가능한 은폐장소에 한하여 시공가능함 4. 플로어덕트 - 사무실, 백화점, 실험실 등의 바닥에 배선함. 노출 불가능 [해설작성자 : ㅇ]
77.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실내에 500W의 열을 발산하는 기기가 있을 때, 이 열을 제거하기 위한 필요환기량은?
1.
41.3m3/h
2.
148.5m3/h
3.
413m3/h
4.
1485m3/h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발열량에 의한 환기량 Q= ( Hs ) / { Cp * r * (ti - t0) } Q= 필요 환기량 [m^3/h], Hs= 발열량 [kJ/h], Cp= 비열 [J/kgK], r= 밀도 [kg/m^3], ti= 실내 온도 [K], t0= 환기온도 [K]
옥상조경 면적은 대지면적의 50%를 초과할 수 없고 설치 면적의 3분의 2만 인정됨 따라서 200제곱미터의 10%는 20제곱미터를 설치해야하고 현재 대지에 10제곱미터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 10제곱미터를 설치해야 조경면적이 충족됨. 그래서 옥상조경 면적이 10제곱미터를 인정받으려면 10제곱미터가 3분의 2에 해당이 되야함. 따라서 X x 3분의 2 = 10제곱미터, 따라서 15제곱미터를 설치해야 이에 3분의 2인 10제곱미터만 인정되서 20제곱미터 설치 조건이 충족되는거임 [해설작성자 : 정리]
200*01=20m^2이상 20m^2이상-20m^2지상설치=10m^2이상 옥상 설치 10m^2이상 옥상설치*3/2=15m^2이상 결과적으로 옥상에 15m^2이상 설치해야 지상조경 인정면적 2/3 와 1/2초과 충족함 최소 10으로 하면 10*2/3=6.666으로 지상 포함 16.666으로 기준 미달임 [해설작성자 : 3]
200x1/10=20 20-10=10 X x 2/3 = 10 -> X = 15 [해설작성자 : 원팡대미만잡]
다 읽어보고 정리함 1. 200~300 대지에는 10%인 20을 조경면적으로 넣어야함 2. 대지에 이미 10을 넣었으니 나머지 10이 남음 3. 근데 옥상조경면적을 대지조경면적으로 넣으려면 2/3만 인정해줌 4. 따라서 옥상에 15를 넣어야 계산식 15*(2/3)=10이 나오고 이걸 대지조경으로 쳐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공동주택을 리모델링이 쉬운 구조로 하여 건축허가를 신청할 경우 100분의 120의 범위에서 완화하여 적용받을 수 없는 것은?
1.
대지의 분할 제한
2.
건축물의 용적률
3.
건축물의 높이제한
4.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용적률, 건축물의 높이제한, 일조권 -> 120/100 범위 안에서 완화하여 적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방화와 관련하여 같은 건축물에 함께 설치할 수 없는 것은?
1.
의료시설과 업무시설 중 오피스텔
2.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과 공장
3.
위락시설과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
4.
공동주택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단독주택(다중, 다가구주택에 한정)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조산원과 산후조리원,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 시설은 같은 건축물에 함께 설치할수 없다 [해설작성자 : 건축기사쿠란보]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을 4일부터 시행한다. 건축기준에 따르면 2종 근린생활시설인 면적 500m2 이하 다중생활시설을 지을 때는 취사시설과 욕조(샤워부스 제외) 등을 방별로 설치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공동주택과 다중생활시설은 방화와 관련하여 같은 건물에 설치할 수 없는 이유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노외주차장 내부 공간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이 가장 빈번한 시각의 앞뒤 8시간의 평균치가 몇 pp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가?
1.
80ppm
2.
70ppm
3.
60ppm
4.
50ppm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실내 실한화탄소(CO) 농도는 차량 이용이 빈번한 전후 8시간의 평균치가 50ppm 이하가 되도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두 도로의 너비가 각각 6m 이고 교차각이 90°인 도로의 모퉁이에 위치한 대지의 도로 모퉁이 부분의 건축선은 그 대지에 접한 도로 경계선의 교차점으로부터 도로경계선에 따라 각각 얼마를 후퇴한 두 점을 연결한 선으로 하는가?
바닥면적은 건축물의 각 층 또는 그 일부로서 벽, 기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획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4.
연면적은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거실 면적의 합계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거실이 아닌 바닥면적의 합계로 한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94.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2.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가 15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3.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할 것
4.
회전문의 중심축에서 회전문과 문틀 사이의 간격을 포함한 회전문 날개 끝부분까지의 길이는 140c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 회전수가 8회를 넘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ㅇ]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개발행위 허가를 받지 아니하여도 되는 경미한 행위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무게 100t 이하, 부피 50m3 이하, 수평투영면적 25m2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
2.
조성이 완료된 기존 대지에 건축물이나 그 밖의 공작물을 설치하기 위한 토지의 형질 변경(절토 및 성토 제외)
3.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채취면적이 25m2 이하인 토지에서의 부피 50m3 이하의 토석 채취
4.
녹지지역에서 물건을 쌓아놓는 면적이 25m2 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50t 이하, 전체부피 50m3 이하로 물건을 쌓아놓는 행위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도시지역 또는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무게가 50톤 이하, 부피가 50세제곱미터 이하, 수평투영면적이 50제곱미터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 [해설작성자 : 초리뽀리집사]
도시지역 또는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무게가 50톤 이하, 부피가 50세제곱미터 이하, 수평투영면적이 25제곱미터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는 개발행위 허가를 받지 아니하여도 되는 행위기준에 해당 [해설작성자 : 기사 화이팅]
제53조(허가를 받지 아니하여도 되는 경미한 행위) 법 제56조제4항제3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행위”란 다음 각 호의 행위를 말한다. 다만, 다음 각 호에 규정된 범위에서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도시ㆍ군계획조례로 따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 <개정 2005. 9. 8., 2006. 8. 17., 2008. 9. 25., 2009. 7. 7., 2009. 7. 27., 2010. 4. 29., 2012. 4. 10., 2014. 10. 14., 2014. 11. 11., 2023. 3. 21.>
2. 공작물의 설치
가. 도시지역 또는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무게가 50톤 이하, 부피가 50세제곱미터 이하, 수평투영면적이 50제곱미터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 다만, 「건축법 시행령」 제118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작물의 설치는 제외한다.
나. 도시지역ㆍ자연환경보전지역 및 지구단위계획구역외의 지역에서 무게가 150톤 이하, 부피가 150세제곱미터 이하, 수평투영면적이 150제곱미터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 다만, 「건축법 시행령」 제118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작물의 설치는 제외한다.
다. 녹지지역ㆍ관리지역 또는 농림지역안에서의 농림어업용 비닐하우스(「양식산업발전법」 제43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양식업을 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안에 설치하는 양식장은 제외한다)의 설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