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가정하수의 BOD 측정 방법과 지표로서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BOD는 물 속의 유기물량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 항목이다.
2.
시료를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소모된 산소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3.
시료 중의 유기물 분해가 거의 종료되면 질소화합물의 산화가 일어나 산소를 소모하므로 질소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시료는 질산화 억제제를 별도로 첨가한다.
4.
가정하수의 경우 20°C에서 일반적으로 5일이 경과되면 60~70%, 20일이 경과되면 95~99%의 유기물이 분해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혐기성x->호기성 조건에서 배양 [해설작성자 : 최동춘]
2.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상 지정폐기물은?
1.
폐유기용제
2.
폐목재
3.
금속 조각
4.
동물의 분뇨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지정폐기물 1.기준에 의한 지정폐기물-오니류,폐흡착제 등에 함유된 유해물질 광재,분진,폐주물사 및 샌드블라스트,폐사,페내화물 및 도자기조각,소각재,안정화 또는 고형화 처리물,폐촉매,폐흡착제,폐흡수제 2.목록에 의한 지정폐기물-폐유기용제 중 할로겐족에 해당되는 물질(15가지)+기타 폐유기용제(모든 유기용제),폐합성 고분자화합물 3.지정폐기물 지정사유- 부식성,반응성,용출특성,유해성,난분해성 등 [해설작성자 : 최동춘]
3.
비산먼지 저감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의 경우 비포장도로와의 접속 구간에는 세륜장치를 설치하고, 포장도로 인접 지역은 녹지화로 바람에 의한 먼지 발생원을 제거한다.
2.
먼지를 다량 배출하는 업소의 경우 분쇄기, 저장 싸이로와 같은 먼지 발생 시설을 개방하여 먼지 양을 희석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3.
공사장의 비산먼지 저감을 위하여 먼지 발생 주변에 방진망을 설치함으로써 인근 주민을 비산먼지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4.
야적장 비산먼지 발생 억제를 위하여 야적물에 대한 표면 경화제 또는 보습제 살포 등을 실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9%
4.
염소 소독 공정에서 염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아염소산(HOCl) 및 차아염소산이온(OCl-)으로 존재하는 염소를 유리염소라고 한다.
2.
pH가 낮을수록 차아염소산이온(OCl-) 형태로 존재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pH가 높을수록 차아염소산(HOCl) 형태로 존재하는 비율이 높아진다.
3.
차아염소산(HOCl)이 차아염소산이온(OCl-)에 비하여 살균 효율이 높다.
4.
차아염소산(HOCl)이 수중의 암모니아와 결합하면 클로라민이 생성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pH가 높을수록 차아염소산이온(OCl-) 형태로 존재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pH가 낮을수록 차아염소산(HOCl) 형태로 존재하는 비율이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최동춘]
5.
어떤 폐수처리장에서 BOD 400mg/l의 폐수가 1,000m3/day로 유입되고, BOD 1,000mg/l의 슬러지 탈수액이 200m3/day로 유입될 때, 최종 방류수의 BOD가 50mg/l였다면 BOD 제거율[%]은?
<문제 해설> 편리공생 뜻-공생자 한쪽만 이익을 받고, 다른 쪽은 이익이나 불이익을 받지 않는 관계 뿌리에 들어온 뿌리혹세균들은 숙주 식물에서 제공받은 영양분으로 살아가면서 공기 중의 유리질소(공기의 80퍼센트임)를 고정하여 그것을 숙주에게 준다->상리공생 [해설작성자 : 최동춘]
14.
초기 수분 함량이 80%인 폐기물 1kg을 건조시킨 후, 수분 함량이 50%가 되도록 하였다. 건조 후 폐기물의 질량[kg]은?
다른 두 음원에서 발생한 소음을 수음자 위치에서 측정한 음압레벨이 각각 60dB과 70dB이었다. 이 때, 두 소음의 합성 음압레벨[dB]은? (단, log(11×105)=6.04, log(11×106)=7.04, log(6.5×106)=6.81, log(6.5×107)=7.81이다)
수질 분석 결과, 칼슘(M.W.=40)과 마그네슘(M.W.=24) 이온이 동일한 농도[mg/l]로 나타났다. 이 때, 총경도가 66mg/l as CaCO3(M.W.=100)라면 칼슘의 농도[mg/l]는 약 얼마인가? (단, 시료 내 다른 경도 유발물질은 존재하지 않는다)
1.
2
2.
5
3.
7
4.
10
정답 : [
4
] 정답률 : 59%
19.
폐기물의 퇴비화(Compost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퇴비화는 미생물에 의해서 유기물을 분해시키고,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크기로 폐기물을 분쇄하여야 한다.
2.
호기성 퇴비화는 반응 속도가 빨라 퇴비 생산 기간을 단축시킨다.
3.
퇴비화는 공기 주입, 혼합, 온도 조절이 필요 조건이며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4.
잎사귀와 옥수숫대, 볏짚단과 종이는 C/N비가 낮으나 퇴비화가 종료된 후에는 이 값이 상승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20.
토양 산성화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이 산성화 되면 토양 내의 Al3+과 Mn2+이 용해되어 작물에 유해하게 된다.
2.
산성토양에서는 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되어 토양이 노후화된다.
3.
산성토양에서는 Al3+의 활성화가 저하되며 인산과 결합하지 않는다.
4.
산성토양에서는 토양 내의 Ca2+이 유출되어 토양에서 Ca2+의 결핍이 생긴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①
②
②
③
③
①
①
③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③
②
②
①
③
④
④
③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