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재조사측량규정」상 지적측량수행자가 시ㆍ도지사 또는 지적소관청과의 별도 협의를 거치지 않고 지적재조사측량을 시행하는 경우 측량 절차를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ㅁ-ㄱ-ㄴ-ㄷ-ㄹ-ㅂ
2.
ㅁ-ㄴ-ㄷ-ㄱ-ㄹ-ㅂ
3.
ㅁ-ㄴ-ㄹ-ㄱ-ㅂ-ㄷ
4.
ㅁ-ㄹ-ㄱ-ㄴ-ㅂ-ㄷ
정답 : [
3
] 정답률 : 68%
1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경계점좌표등록부가 있는 지역의 토지분할을 위하여 면적을 정하고자 한다. 분할 후 각 필지의 면적합계가 분할 전 면적보다 많은 경우 처리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1.
구하려는 끝자리의 숫자가 큰 것부터 순차적으로 올려서 정하되, 분할 전 면적에 증감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2.
구하려는 끝자리의 다음 숫자가 큰 것부터 순차적으로 올려서 정하되, 분할 전 면적과 동일하게 하거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구하려는 끝자리의 다음 숫자가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버려서 정하되, 분할 전 면적에 증감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4.
구하려는 끝자리의 숫자가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버려서 정하되, 분할 전 면적과 동일하게 하거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 19조 2항 2. 토지를 분할하는 경우 가. 분할 후의 각 필지의 면적의 합계와 분할 전 면적과의 오차의 허용범위는 제1호가목의 계산식에 따른다. 이 경우 A는 오차 허용면적, M은 축척분모, F는 원면적으로 하되, 축척이 3천분의 1인 지역의 축척분모는 6천으로 한다. 나. 분할 전후 면적의 차이가 가목의 계산식에 따른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그 오차를 분할 후의 각 필지의 면적에 따라 나누고,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적공부(地籍公簿)상의 면적 또는 경계를 정정하여야 한다. 다. 분할 전후 면적의 차이를 배분한 산출면적은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필요한 자리까지 계산하고, 결정면적은 원면적과 일치하도록 산출면적의 구하려는 끝자리의 다음 숫자가 큰 것부터 순차로 올려서 정하되, 구하려는 끝자리의 다음 숫자가 서로 같을 때에는 산출면적이 큰 것을 올려서 정한다. r=(F/A) x a (r은 각 필지의 산출면적, F는 원면적, A는 측정면적 합계 또는 보정면적 합계, a는 각 필지의 측정면적 또는 보정면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는 1등도선의 경우 해당 지역 축척분모의 이하로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이 의미하는 것은?
1.
각 측선의 수평거리의 총합계를 100으로 나눈 수
2.
각 측선의 수평거리의 총합계를 1,000으로 나눈 수
3.
각 측선의 경사거리의 총합계를 100으로 나눈 수
4.
각 측선의 경사거리의 총합계를 1,000으로 나눈 수
정답 : [
1
] 정답률 : 83%
20.
동일한 정밀도로 회 관측한 값의 표준편차가 ±σx일 때, 최확값 의 표준편차 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③
④
①
②
②
②
①
④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③
④
④
②
③
③
③
①
④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