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는항목:설치장소 준비원가(토지정지 비용,건물철거 비용),매입운임,설치비,설계비,이자비용,취득관련세금(취득세...),복구원가,시운전비 취득원가에 포함되지않는 항목:새로운 시설을 개설, 광고 및 판촉활동 관련, 직원 교육훈련비, 관리 및 기타 일반간접원가, 자산의 보유와 관련된 지출(재산세, 종합소득세, 보헙료, 보관료...) *재산세는 비용처리 [해설작성자 : 당비]
4.
다음의 사채를 2018년 1월 1일 발행하였다. 이자는 매년 말에 지급한다고 가정할 경우 사채와 관련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2018년 결산일 현재 사채 장부가액은 사채 액면가액보다 작다.
2.
2018년 현금으로 지급된 이자는 8,000원이다.
3.
2020년 말 이자비용 인식 후 사채할인발행차금 잔액은 0원이다.
4.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매년 감소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사채할인발행과 할증발행의 상각액의 절댓값 크기는 매년 증가한다. 즉,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매년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5.
재화의 판매로 인한 수익 인식의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2.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
3.
재화의 소유에 따른 유의적인 위험과 보상이 판매자에게 있다.
4.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했거나 발생할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수익 인식 조건이 되려면 위험과 보상이 구매자에게 넘어가야함 [해설작성자 : 박쌤전산세무2급 듣고 합격한 사람]
전자세금계산서는 모든 사업자가 발행할 수 있지만 모든 사업자가 의무적으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되는것은 아닙니다. 의무: 법인사업자, 직전연도 공급가액 3억 이상인 개인사업자 [해설작성자 : 조인혜]
14.
다음 중 소득세법상 거주자의 종합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배당소득
2.
사업소득
3.
기타소득
4.
퇴직소득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퇴직소득, 양도소득과 같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고 일시에 실현되는 소득은 종합 소득과는 별도로 분류하여 과세합니다. 즉 퇴직소득은 종합과세가 아닌 분류과세에 해당됩니다. [해설작성자 : 땡뻘]
15.
다음 중 종합소득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종합과세 제도이므로 거주자의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과세한다.
2.
소득세의 과세기간은 사업개시나 폐업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이자, 배당 및 연금소득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열거주의 과세 방식을 적용한다.
4.
거주자의 소득세 납세지는 원칙적으로 주소지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퇴직소득과 양도소득은 분류과세된다. [해설작성자 : 세무세무]
1. 분류과세와 분리과세 제외한 소득 합산 3. 유형적포괄주의방식 : 이자소득, 배당소득 열거주의방식 : 원칙적으로 소득세는 열거주의 방식이다.[=유형적포괄주의방식 이외 소득] 해당문제는 1번, 3번 모두 오답이며 특히 3번은 연금소득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답이 아님. [해설작성자 : C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