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가연물의 점화 (발화)시간은 물체의 두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열적으로 얇은 고체가연물(두께가 약 2mm 미만)의 경우 점화시간 계산 시 주요 영향요소가 아닌 것은?
1.
열전도도(W/m∙K)
2.
정압비열(J/kg∙K)
3.
순열유속(W/m2)
4.
밀도(kg/m3)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고체연료 발화시간 측면에서 고체연료의 착화를 결정하는 주요변수는 표면온도이고, 표면이 착화온도에 도착할 때 바로 착화시간입니다. 발화온도=착화온도 로 본다면, 발화온도는 재료의 밀도 + 비열 + 재료의 두께(온도변화 조건 제외) 이 3가지를 열유속으로 나누어 주면 착화온도가 산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화재가혹도에 견디는 내력을 화재저항이라고 하며 건축물의 내화구조, 방화구조 등을 의미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단위면적당 가연물의 양 = 화재하중 kg/m2 [해설작성자 : 퍼스트]
화재 강도 : 단위시간당 축적되는 열량 [해설작성자 : shark]
15.
바닥면적이 300m2인 창고에 목재 1,000kg과 기타 가연물 1,000kg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 화재하중(kg/m2)은 얼마인가? (단, 목재의 단위발열량은 4,500kcal/kg, 기타 가연물의 단위발열량은 5,000kJ/kg이며, 소수점 이하 셋째자리레에서 반올림한다.)
1.
2.11
2.
4.22
3.
7.04
4.
14.08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가연물량(kg) x 가연물의 단위발열량(kcal/kg)}의 합 화재하중 = -------------------------------------------------- 목재의 단위발열량(4500kcal/kg) x 바닥면적
* 문제에 주어진 기타 가연물의 단위발열량은 5,000kJ/kg을 kcal/kg으로 환산하여야한다. 1J = 0.24cal [해설작성자 : 한방가자]
16.
화재 시 인간의 피난행동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처음에 들어온 빌딩 등에서 내부 상황을 모를 경우 들어왔던 경로로 피난하려는 본능을 귀소본능이라 한다.
2.
건물내부에 연기로 인해 시야가 제한을 받을 경우 빛이 새어나오는 방향으로 피난하려는 본능을 지광본능이라 한다.
3.
열린 느낌이 드는 방향으로 피난하려는 경향을 직진성이라 한다.
4.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경로로 피난하려는 경향을 이성적 안전지향성이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향개방성 본능- 열린 느낌이 드는 방향으로 피난 [해설작성자 : 퍼스트]
17.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건축물의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실은 창문ㆍ출입구 기타 개구부를 제외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2.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계단실의 창문등(출입구를 제외한다)은 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제곱미터 이하로 할 것
3.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류효너비는 0.9미터 이상으로 할 것
4.
계단실의 바깥쪽과 접하는 창문등은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 부터 1미터 이하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m 이상 [해설작성자 : 한잔하까]
18.
가로 50㎝, 세로 60㎝인 벽면의 양쪽 온도가 350℃와 30℃이고, 벽을 통한 이동열량이 250W일 때 이 벽의 두께 t(m)는? (단, 열전도도는 0.8W/m∙K이고 기타 조건은 무시하며, 소수점 이하 섯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0.31
2.
0.45
3.
0.64
4.
0.78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Q = K * A * T / L -> L = 0.8 * 0.5 * 0.6 * 320 / 250 = 0.3072 M -> L = 0.31M [해설작성자 : 갈길이 멀다.]
19.
아레니우스(Arrhenius)의 반응속도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활설화에너지가 클수록 반응속도는 증가한다.
2.
기체상수가 클수록 반응속도는 증가한다.
3.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속도는 감소한다.
4.
가연물의 밀도가 높을수록 반응속도는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활성화에너지가 (낮을)수록 반응속도 증가 3.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속도 (증가) 4. 밀도가 (낮을수록) 반응속도 증가 [해설작성자 : 퍼스트]
1. 저장용기를 방호구역 외에 설치한 경우에는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3. 온도가 55℃ 이하이고 온도 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한 것 4. 저장용기와 집합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다만, 저장용기가 하나의 방호구역만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shark]
42.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저장용기의 최대충전밀도가 가장 큰 것은?
1.
FK-5-1-12
2.
FC-3-1-10
3.
HCFC BLEND A
4.
HCFC-124
정답 : [
1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할로겐화합물 최대충전 밀도 FK-5-1-12 (1,441) FC-3-1-10 (1,281) HCFC-124 (1,185) HCFC BLEND A (900) ※첫 숫자 5>3>1>A [해설작성자 : 퍼스트]
43.
다음 그림은 값 3A의 전류 파형이다. 이 파형을 표현한 수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3sin (ωt-30°)
2.
i=3∠-30
3.
i=2.6-j1.5
4.
i=3e-j30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i=3(루트2)sin(wt-30°) [해설작성자 : 퍼스트]
44.
전계 내에서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전계, 전위를 표현한 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F: 힘, Q: 전하, r: 거리, V: 전위, K: 비례상수, E: 전계)
1.
F=QE[N]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F=K(Q1Q2/r^2) [해설작성자 : 퍼스트]
45.
그림과 같이 전류가 흐를 때, 미소길이(dℓ) 0.1m인 전선의 일부에서 발생한 자속이 P점에서 측정한 자기장의 세기 dH(AT/m)는 약 얼마인가? (단, π=3.14이다.)
1.
1.732×10-3
2.
1.532×10-3
3.
1.414×10-3
4.
1.212×10-3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자기장의 세기=(2A×0.1m×sin60°)/(4×3.14×3^2) =1,532×10^-3 ※분모 자리에 '4파이r제곱'만 기억하면 어렵지 않다. [해설작성자 : 퍼스트]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중앙소방특별조사단의 편성∙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2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ㄱ
2.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2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화재예방법 부칙<법률 제18523호, 2021.11.30.> 제5조(소방특별조사위원회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구성ㆍ운영된 소방특별조사위원회는 제10조에 따른 화재안전조사위원회로, *"중앙소방특별조사단"*은 제9조에 따른 **"중앙화재안전조사단"**으로 본다.
화재예방법 시행령 제10조(화재안전조사단 편성, 운영) ① 법 제9조제1항에 따른 중앙화재안전조사단 및 지방화재안전조사단(이하 “조사단”이라 한다)은 각각 단장을 포함하여 50명 이내의 단원으로 성별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② 조사단의 단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에서 소방관서장이 임명하거나 위촉하고, 단장은 단원 중에서 소방관서장이 임명하거나 위촉한다. 1. 소방공무원 2. 소방업무와 관련된 단체 또는 연구기관 등의 임직원 3. 소방 관련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풍부한 사람 [해설작성자 : 관리사화이팅]
22년 12월 1일 부로 개정되었습니다 화재예방법 제9조(화재안전조사단 편성 운영) 중앙화재조사단 및 지방화재안전조사단 각각 단장 포함 50명 이내의 단원 [해설작성자 : 한국정력공사]
[관리자 입니다. 이전 규정으로는 ㄱ의 21명이 맞았으나. 개정된 규정에 의하여 50명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2번 보기를 ㄱ, ㄷ에서 ㄷ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허가등을 할 때 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은?
1.
층수가 5층인 건축물
2.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이 200제곱미터인 층이 있는 주차시설
3.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15대를 주차할 수 맀는 시설
4.
연면적이 15제곱미터인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층수가 6층인 건축물 3.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20대를 주차할 수 맀는 시설 4. 연면적이 300제곱미터인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해설작성자 : shark]
6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벌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시설관리업의 등록을 하지 아니라고 영업을 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시설을 유지∙관리할 때 소방시설의 기능과 성능에 지장을 줄 수 있는 폐쇄∙차단 등의 행위를 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시설을 유지∙관리할 때 소방시설의 기능과 성능에 지장을 줄 수 있는 폐쇄∙차단 등의 행위를 하여 사람을 상해에 이르게 한 때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시설을 유지∙관리할 때 소방시설의 기능과 성능에 지장을 줄 수 있는 폐쇄∙차단 등의 행위를 하여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한 때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소방시설관리업의 등록을 하지 아니라고 영업을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6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관리사시험에 응시 할 수 없는 사람은?
1.
건축사
2.
소방설비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3년의 소방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공무원으로 3년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소방안전 관련 학과의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3년의 소방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소방시설관리사의 응시자격(제36조) 1. 소방기술사, "건축사", 건축기계설비기술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또는 공종냉동기계기술사 2. 위험물기능장 3. 소방설비기사 4. 이공계 분야를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한사람 5. 소방안전 관련학(소방학 및 소방방재학을 포함) 또는 소방안전공학(소방방재공학 및 안전공학을 포함)분야에서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사람 6.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소방에 관한 "실무 경력이 3년 이상"인 자
q-net 응시자격 소방공무으로 5년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용도 및 수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갖추어야 하는 소방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파트등 및 16층 이상 로피스텔의 모든 층에는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창고시설(물류터미널은 제외한다)로서 바닥면적 합계가 5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3.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을 이용하여 15대 이상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것은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숙박시설로서 연면적 500제곱미터 이상인 것은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아파트등 및 30층 이상 오피스텔의 모든 층에는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3.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을 이용하여 20대 이상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것은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숙박시설로서 연면적 600제곱미터 이상인 것은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 또는 부착하는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고시는 제외함)
1.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20초 이내일 것
2.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30초 이내일 것
3.
탄화한 면적은 50제곱센티미터 이내, 탄화한 길이는 30센티미터 이내일 것
4.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 까지 불꽃의 접촉 횟수는 3회 이상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20초 이내일 것 2.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30초 이내일 것 3. 탄화(탄화)한 면적은 50제곱센티미터 이내, 탄화한 길이는 20센티미터 이내일 것 4.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횟수는 3회 이상일 것 5.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방법으로 발연량(발연량)을 측정하는 경우 최대연기밀도는 400 이하일 것 [해설작성자 : 연진아 기다려]
6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용품의 품질관리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개발 목적으로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소방용품은 소방청장의 형식승인을 받아야한다.
2.
누구든지 형식승인을 받지 아니한 소방용품을 판매하거나 판매 목적으로 진열하거나 소방시설공사에 사용할 수 없다.
3.
소방청장은 제조자 또는 수입자 등의 요청이 있는 경우 소방용품에 대하여 성능인증을 할 수 있다.
4.
소방청장은 소방용품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유통 중인 소방용품을 수집하여 검사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6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이 아닌 것은? (단,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을 적용받는 특정소방대상물은 제외함)
1.
가연성 가스를 1첨톤 이상 저장 ∙취급하는 시설
2.
지하구
3.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4.
가스 제조설비를 갖추고 도시가스사업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옥내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물분무등소화설비(화재안전기준에 따라 호스릴방식의 물분무등소화설비만을 설치할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은 제외)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2. 가스 제조설비를 갖추고 도시가스사업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시설 또는 가연성 가스를 100톤 이상 1천톤 미만 저장 취급하는 시설 3. 지하구 4. 공동주택(옥내소화전설비 또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공동주택으로 한정) 5.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해설작성자 : shark]
6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제품검사 전무기관의 지정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청장은 제품검사 전문 기관이 거짓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2.
소방청장은 제품검사 전문 기관이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제품검사 증 지정받은 업무를 수행하지 아니 한 경우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3.
소방청장 또는 시∙도지사는 전문기관의 지정취소 및 업무정지 처분을 하려면 청문을 하여야 한다,
4.
전문기관은 재품검사 실시 현황을 소방청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소방청장은 제품검사 전문 기관이 거짓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 지정 취소 [해설작성자 : shark]
6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등의 자체 점검 시 점검인력 배치기준 중 작동기능점검에서 점검인력 1단위가 하루 동안 점검할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점검한도 면적) 기준은?(2024년 12월 01일 변경된 규정)
1.
5,000제곱미터
2.
8,000제곱미터
3.
10,000제곱미터
4.
12,000제곱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존] 소방시설등의 자체점검 시 점검인력 배치기준 종합점검 10,000m2 / 아파트 350세대 작동점검 12,000m2 / 아파트 350세대
[2024년 12월 01일부터 적용되는 규정] 종합점검 - 면적 8000 / 아파트250세대 / 보조 인력 추가 +2000 작동점검 - 면적 10000 / 아파트250세대 / 보조 인력 추가 + 2500
6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자체소방대의 설치 의무가 있는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일반취급소는? (단, 지정수량은 3천배 이상임)
1.
용기에 위험물을 옮겨 담는 일반취급소
2.
보일러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치로 위험물을 소비하는 일반취급소
3.
이동저장탱크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일반취급소
4.
세정을 위하여 위험물을 취급하는 일반취급소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자체소방대 설치제외대상인 일반취급소 1. 보일러,버너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치로 위험물을 소비하는 일반취급소 2. 이동저장탱크 그 밖에 이와 유사한것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일반취급소 3. 용기에 위험물을 옮겨담는 일반취급소 4. 유압장치, 윤활유 순환장치 그 밖에 이와 유사한장치로 위험물을 취급하는 일반취급소 5. 광산보안법의 적용을 받는 일반취급소 [해설작성자 : Allyou]
6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1인의 안전관리자를 중복하여 선임할 수 있는 저장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저장소는 동일구내에 있고 동일인이 설치함)
1.
30개 이하의 옥내저장소
2.
30개 이하의 옥외탱크저장소
3.
10개 이하의 옥외저장소
4.
10개 이하의 암반탱크저장소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10개 이하의 옥내저장소 2. 30개 이하의 옥외탱크저장소 3. 10개 이하의 옥외저장소 4. 10개 이하의 암반탱크저장소 5. 옥내탱크저장소 6. 지하탱크저장소 7. 간이탱크저장소 [해설작성자 : shark]
7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시∙도지사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위탁하는 업무에 해당 하지 않은 것은?
1.
암반탱크안전성능검사
2.
암반탱크저장소의 변경에 따른 완공검사
3.
암반탱크저장소의 설치에 따른 완공검사
4.
용량이 50만리터 이상인 액체위험물을 저장하는 탱크안전성능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시도지사가 기술원에 위탁하는 업무 1. 탱크안전성능검사 중 다음 각 목의 탱크에 대한 탱크안전성능검사 가. 용량이 100만리터 이상인 액체위험물을 저장하는 탱크 나. 암반탱크 다. 지하탱크저장소의 위험물탱크 중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액체위험물탱크 2. 완공검사 중 다음 각 목의 완공검사 가. 지정수량의 3천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의 설치 또는 변경(사용 중인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의 보수 또는 부분적인 증설은 제외한다)에 따른 완공검사 나. 옥외탱크저장소(저장용량이 50만 리터 이상인 것만 해당한다) 또는 암반탱크저장소의 설치 또는 변경에 따른 완공검사 3.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대형의 운반용기 검사 [해설작성자 : 시지관리사]
71.
다음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주유취급소 피난설비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이 옳은 것은?
1.
ㄱ: 2, ㄴ: 일반, ㄷ: 철도
2.
ㄱ: 2, ㄴ: 휴게, ㄷ: 옥내
3.
ㄱ: 3, ㄴ: 일반, ㄷ: 철도
4.
ㄱ: 3, ㄴ: 휴게, ㄷ: 옥내
정답 : [
2
] 정답률 : 69%
72.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보험회사가 화재배상책임보험의 보험금 청구를 받은 경우, 지급할 보험금을 결정한 후 피해자에게 며칠 이내에 보험금을 지급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0일
3.
14일
4.
30일
정답 : [
3
] 정답률 : 60%
73.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소방안전교육 강사의 자격 요건으로 옳은 것은?
1.
소방 관련학의 학사학위 이상을 가진 자
2.
대학에서 소방안전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소방 관련 기관에서 3년 이상 강의경력이 있는 자
3.
소방설비기사 자격을 소지한 소방장 이상의 소방공무원
4.
소방설비산업기사 및 위험물기능사 자격을 소지한 자로서 소방 관련 기관에서 3년 이상의 강의경력이 있는 자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소방 관련학의 석사학위 이상을 가진 자 4. 소방설비산업기사 및 위험물기능사 자격을 소지한 자로서 소방 관련 기관에서 5년 이상의 강의경력이 있는 자 [해설작성자 : shark]
7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화재위험평가대행자가 등록사항을 변경할 때 소방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하는 중요사항이 아닌 것은?
1.
사무소의 소재지
2.
등록번호
3.
평가대행자의 명칭이나 상호
4.
기술인력의 보유 현황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사무소의 소재지 2. 대표자 3. 평가대행자의 명칭이나 상호 4. 기술인력의 보유 현황
75.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다중이용업주의 안전시설등에 대한 정기점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기적으로 안전시설등을 점검하고 그 점검결과서를 6개월간 보관하여야 한다.
2.
다중이용업주는 정기점검을 소방시설관리업자에게 위탁할 수 있다.
3.
정기적인 안전점검은 매월 1회 이상 하여야 한다.
4.
해당 영업장의 다중이용업주는 정기점검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해당 영업장의 다중이용업주는 정기정검을 직접 수행할수 있다. 정답 정답 2번 4번 [해설작성자 : 6학년1반]
[오류신고 반론] 구문의 해석차이로 다중이용업주가 직접 안전점검자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위탁하여 진행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정답은 2번만입니다.
제13조(다중이용업주의 안전시설등에 대한 정기점검 등) ① 다중이용업주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안전시설등을 점검하고 그 점검결과서를 1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다중이용업소에 설치된 안전시설등이 건축물의 다른 시설ㆍ장비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경우에는 해당 건축물의 관계인(「소방기본법」 제2조제3호에 따른 관계인을 말한다. 이하 같다) 및 소방안전관리자는 다중이용업주의 안전점검에 협조하여야 한다. <개정 2011. 8. 4., 2021. 1. 5.>
② 다중이용업주는 제1항에 따른 정기점검을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9조에 따른 소방시설관리업자에게 위탁할 수 있다. <개정 2011. 8. 4., 2013. 3. 23., 2014. 11. 19., 2017. 7. 26., 2018. 10. 16.>
③ 제1항에 따른 안전점검의 대상, 점검자의 자격, 점검주기, 점검방법,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 3. 23., 2014. 11. 19., 2017. 7. 26.>
2. 안전점검자의 자격: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가. 해당 영업장의 다중이용업주 또는 다중이용업소가 위치한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소방안전관리자가 선임된 경우"에 한한다) 나. 해당 업소의 종업원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소방안전관리자등 소방관련 자격증 취득한 사람)
시행규칙을 보면 모든 다중이용업주가 수행할 수 있는게 아니라 소방안전관리자 선임된 경우만 해당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종업원 기준에 빗대어 생각해볼 경우) [해설작성자 : 관리사화이팅]
4과목 : 위험물의 성상 및 시설기준
76.
과염소산암모늄과 알루미늄 분말이 반응하여 폭발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알루미늄은 급격히 환원되어 고온에서 염화알루미늄이 생성된다.
2.
과염소산암모늄은 전자를 주는 물질을 발생하여 알루미늄 분말을 환원시키는 반응이다.
3.
산화성 물질과 환원성 물질의 반응으로 많은 가스 발생을 수반하는 폭발 반응이다.
4.
가연성 산화제와 알루미늄의 급격한 산화∙환원 반응으로 압력이 발화원으로 작용한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7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2류 위험물 인화성고체로 분류되는 것은?
1.
고형알코올
2.
마그네슘
3.
적린
4.
황린
정답 : [
1
] 정답률 : 68%
78.
과산화칼륨이 다량의 물과 완전 반응하여 표준상태(0℃, 1기압)에서 112m3의 산소가 발생하였다면 과산화칼륨의 반응량(kg)은? (단, K2O2 1mol의 분자량은 110g이다.)
<문제 해설> 알킬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메탄이나 에탄을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80.
마그네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마그네슘 : 가연성 고체(제2류 위험물) [해설작성자 : shark]
이산화탄소와 마그네슘이 만나면 일산화탄소가 발생 [해설작성자 : shark]
81.
질산암모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환원제이다.
2.
질소비료의 원료이다.
3.
화약, 폭약의 산소공급제이다.
4.
분해폭발하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질산 암모늄: 강산화제 [해설작성자 : shark]
8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에서 보유공지를 단축할 수 있는 물분무설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탱크에 보강링이 설치된 경우에는 보강링이 인접한 바로 위에 분무헤드를 설치한다.
2.
탱크표면에 방사하는 물의 양은 탱크의 원주길이 1m에 대하여 분당 37L 이상으로 한다.
3.
수원의 양은 15분 이상 방사할 수 있는 수량으로 한다.
4.
화재 시 1m2당 10kW 이상의 복사열에 노출되는 포면을 갖는 인접한 옥외저장탱크에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탱크에 보강링이 설치된 경우에는 보강링이 인접한 바로 아래에 분무헤드를 설치한다. 3. 수원의 양은 20분 이상 방사할 수 있는 수량으로 한다. 4. 화재 시 1m2당 20kW 이상의 복사열에 노출되는 포면을 갖는 인접한 옥외저장탱크에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광원점등방식의 피난유도 표시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위치 또는 바닥면에 설치할 것
4.
광원점등방식의 피난유도 표시부는 60㎝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하되 실내장식물 등으로 설치가 곤란할 경우 1.5m이내로 설치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축광방식의 피난유도선은 바닥으로부터 높이 50㎝ 이하의 위치 또는 바닥 면에 설치할 것 2. 축광방식의 피난유도 표시부는 50㎝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할 것 3. 광원점등방식의 피난유도 표시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0m 이하의 위치 또는 바닥면에 설치할 것 4. 광원점등방식의 피난유도 표시부는 50㎝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하되 실내장식물 등으로 설치가 곤란할 경우 1.0m이내로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shark]
104.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발신기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구의 경우에는 발신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2.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3.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 수평거리사 2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4.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부터 10°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 이내의 어느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부터 15°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 이내의 어느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105.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용어의 정의 및 음향장치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량조절기란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전류를 변화시켜 음량을 크게 하거나 작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2.
증폭기란 전류량을 늘려 감도를 좋게 하고 미약한 음성전류를 커다란 음성전류로 변화시켜 소리를 크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3.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할 것
4.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이상의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때에는 각각의 조작부가 있는 장소 상호간에 동시통화가 가능한 설비를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증폭기란 (진폭)을 늘려 감도를 좋게 하고 미약한 움성전류를 커다란 음성전류로 변화시켜 소리를 크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퍼스트]
106.
단상 2선식 220V로 수전하는 곳에 부하전력이 65kW, 역률이 85%, 구내배선의 길이가 100m 일 때 전압강하를 5V까지 허용하는 경우 배선의 최소 굵기 (mm2)는 약 얼마인가?
소화전함과 방수구는 편도 2차선 이상의 양방향 터널이나 4차로 이상의 일방향 터널의 경우에는 양쪽 측벽에 각각 60m 이내의 간격으로 엇갈리게 설치할 것
2.
소화전함에는 옥내소화전 방수구 1개, 15m 이상의 소방호스 2본 이상 및 방수노즐을 비치 할 것
3.
가압송수장치는 옥내소화전 2개(4차로 이상의 터널인 경우 3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옥내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은 0.35MPa 이상이고 방수량은 190ℓ/min이상이 되는 성능의 것으로 할 것
4.
방수구는 40mm 구경의 단구형을 옥내소화전이 설치된 도로의 바닥면으로 부터 1.5m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소화전함과 방수구는 편도 2차선 이상의 양방향 터널이나 4차로 이상의 일방향 터널의 경우에는 양쪽 측벽에 각각 50m 이내의 간격으로 엇갈리게 설치할 것 2. 소화전함에는 옥내소화전 방수구 1개, 15m 이상의 소방호스 3본 이상 및 방수노즐을 비치 할 것 4. 방수구는 40mm 구경의 단구형을 옥내소화전이 설치된 벽면의 바닥면으로 부터 1.5m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해설작성자 : shark]
111.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상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하는 소방시설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유도선 설치기준에서 피난유도 표시부의 너비는 최소 25mm 이상으로 설치할 것
2.
인명구조기구는 피난안전구역이 50층 이상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동일한 성능의 예비용기를 5개 이상 비치할 것
3.
비상조명등은 상시 조명이 소등한 상태에서 그 비상조명등이 점등되는 경우 각 부분의 바닥에서 조도는 10 lx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설치 할 것
4.
제연설비는 피난안전구역과 비 제연구역간의 차압은 50Pa(옥내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인명구조기구는 피난안전구역이 50층 이상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동일한 성능의 예비용기를 10개 이상 비치할 것 [해설작성자 : shark]
112.
소방펌프의 정격유량과 압력이 각각 0.1m3/s 및 0.5MPa일 경우 펌프의 수동력(kW)은 약 얼마인가?
옥외소화전이 10개 이하 설치된 때에는 옥외소화전마다 5m 이내의 장소에 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옥외소화전이 11개 이상 30개 설치된 때에는 1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각각 분산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
옥외소화전이 31개 이상 설치된 때에는 옥외소화전 2개마다 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설치하여야 한다.
4.
가압송수장치의 조작부 또는 그 부근에는 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명시하는 적색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옥외소화전이 31개 이상 설치된 때에는 옥외소화전 3개마다 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115.
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수원의 저수량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콘베이어 벨트 등은 벨트부분의 바닥면적 1m2에 대하여 8ℓ/min로 20분간 방수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할 것
2.
차고 또는 주차장은 그 바닥면적 1m2에 애하여 10ℓ/min로 20분간 방수 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할 것
3.
절연유 봉입 변압기는 바닥부분을 제외한 표면적을 합한 면적 1m2에 대하여 8ℓ/min로 20분간 방수 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할 것
4.
케이블트레이, 케이블덕트 등은 투영된 바닥면적 1m2에 대하여 12ℓ/min로 20분간 방수 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콘베이어 벨트 등은 벨트부분의 바닥면적 1m2에 대하여 10ℓ/min로 20분간 방수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할 것 2. 차고 또는 주차장은 그 바닥면적 1m2에 애하여 20ℓ/min로 20분간 방수 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할 것 3. 절연유 봉입 변압기는 바닥부분을 제외한 표면적을 합한 면적 1m2에 대하여 10ℓ/min로 20분간 방수 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shark]
116.
지상 11층의 내화구조 건물에서 특별피난계단용 부속실의 급기 가압용 송풍기의 동력(kW)은 약 얼마인가요?
1.
1.68
2.
7.21
3.
16.8
4.
72.1
정답 : [
2
] 정답률 : 52%
117.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약제”란 할로겐화합물(할론 1301, 할론 2402, 할론 1211 제외) 및 불활성기체로서 전기적으로 전도성이며 휘발성이 있거나 증발 후 잔여 물을 남기지 않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2.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약제”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재를 말한다.
3.
“불활성기체소화약제”란 혜륨, 네온, 아르곤 또는 질소가스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 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4.
“충전밀도”란 용기의 단위용적당 소화약제의 중량의 비율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이며~ [해설작성자 : 퍼스트]
118.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화재안전기준상 호스릴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1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
노즐은 20℃에서 하나의 노즐마다 50kg/min 이상의 소화약제를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
소화약제 저장용기는 호스릴을 설치하는 장소마다 설치 할 것
4.
화재시 현저하게 연기가 찰 우려가 없는 장소로서 지상 1층 및 피난층에 있는 부분으로서 지상에서 수동 또는 원격조작에 따라 개방할 수 있는 개구부의 유효면적의 합계가 바닥면적의 15% 이상이 되는 부분에 설치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노즐은 20℃에서 하나의 노즐마다 60kg/min 이상의 소화약제를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50kg/min -> 60kg/min [해설작성자 : nojh3729]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송수구가 부설된 옥내소화전을 설치한 특정소방대상물 중 방수구를 설치하니 않아도 되는 층은?
1.
지하층의 층수가 2 이하인 숙박시설의 지하층
2.
지하층의 층수가 2 이하인 창고시설의 지하층
3.
지하층의 층수가 2 이하인 관람장의 지하층
4.
지하층의 층수가 2 이하인 공장의 지하층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연송송수관 방수구 층마다 설치 예외 1. 아파트 1~2층 2. 소방차 접근 가능 3. 송수구 부설 옥내소화전 설치 특정서방대상물 ♧집관백매공장지 집회장,관람장,백화점,매(도매시장,소매시장,판매시설),공장,창고시설,지하가 [해설작성자 : 퍼스트]
121.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상 수평배관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2022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황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설계하중은 설치된 위치의 좌우 6m를 포함한 15m내의 배관에 작용하는 횡방향수평지진하중으로 산정한다.
2.
황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대관구경에 관계없이 모든 주배관, 교차배관에 설치하여야 한다.
3.
마지막 버팀대와배관 단부 사이의 거리는 1.8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4.
버팀대의 간격은 중심선 기준으로 최대간격이 12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오류(해당 보기로 폴게되면 정답이 3개임) 1.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설계하중은 설치된 위치의 좌우 5m를 포함한 15m 내의 배관에 작용하는 횡방향수평지진하중으로 산정한다. 2.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배관구경에 관계없이 모든 주배관, 교차배관에 설치하여야한다. 3. 마지막 버팀대와 배관 단부 사이의 거리는 2m를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4. 버팀대의 간격은 중심선 기준으로 최대간격이 15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비어섬랑]
[추가 오류 신고] 정답수정이 아니고 문제 (보기)가 수정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댐퍼는 두께 1.5mm 이상의 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비 내식성 재료의 경우에는 부식방지 조치를 할 것
2.
수직풍도의 내부면은 두께 0.5mm 이상의 아연도금가유ㅏ나 또는 동등이상의 내식성∙내열성이 있는 것으로 마감되는 접합부에 대하여는 통기성이 없도록 조치할 것
3.
화재층의 옥내의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전층의 댐퍼가 개방될 것
4.
열기류에 노출되는 송풍기 및 그 부품들은 25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가동상태를 유지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3. 화재층의 옥내의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당해 층의 댐퍼가 개방될 것 전층 -> 당해층 [해설작성자 : nojh3729]
12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재연구역으로부터 공기가 누설하는 출입문의 틈새면적을 산출하는 기준이다. ( )에 들어갈 값으로 옳은 것은?
1.
ㄱ: 0.01, ㄴ: 0.02, ㄷ: 0.03
2.
ㄱ: 0.02, ㄴ: 0.03, ㄷ: 0.04
3.
ㄱ: 0.03, ㄴ: 0.04, ㄷ: 0.05
4.
ㄱ: 0.04, ㄴ: 0.05, ㄷ: 0.06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외여닫이문으로 제연구역의 실내 쪽으로 열리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0.01), 제연구역의 실외 쪽으로 열리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0.02), 쌍여닫이문의 경우에는(0.03), 승강기 출입문에 대하여는 0.06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퍼스트]
124.
바닥면적이 가로 30m, 세로 20m인 아래의 특정소방대상물에서 소화기구의 능력 단위를 산정한 값으로 옳은 것은? (단,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는 내화구조가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