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열원 방식의 선정 및 검토는 기본계획 단계에서 안전성, 신뢰성, 운전의 용이성, 고해방지성 경제성, 에너지 절약성 필요 스페이스 등을 감안하여 선정한다. 열원방식의 선정은 기계실 배치, 굴뚝이나 배관 경로 등 건축 계획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해설작성자 : 21학번]
8.
다음 중 흡수식 감습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상흡수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트리에틸렌글리콜
2.
실리카겔
3.
활성알루미나
4.
탄산소다수용액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고체-실리카겔 액체-트리에틸렌글리콜 [해설작성자 : ㅇㅅㅇ]
9.
공기 중의 수증기 분압을 포화압력으로 하는 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건구온도
2.
습구온도
3.
노점온도
4.
글로브(globe)온도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노점온도 습공기 중의 수증기가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응축하여 이슬이 맺히게 될때의 온도, 즉 습공기의 분압과 동일한 분압을 갖는 포화습공기의 온도로 이때 절대습도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공기조화 설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각탑
2.
보일러
3.
냉동기
4.
압력탱크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기조화설비 열원장치(냉동기,보일러) 열운반장치(송풍기,덕트) 공기조화기(필터,가열냉각코일,가습기) 자동제어장치 압력탱크는 급수설비 중 압력수조방식에서 사용하는 급수탱크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대류 난방과 비교하여 복사난방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환기 시에는 열손실이 크다.
2.
실의 높이에 따른 온도편차가 크지 않다.
3.
하자가 발생하였을 때 위치확인이 곤란하다.
4.
열용량이 크므로 부하에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건축물의 축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기시에 열손실이 작다. [해설작성자 : 궁시렁]
12.
실내 압력은 정압상태로 주로 작은 용적의 연소실 등과 같이 급기량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장소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환기방식은?
1.
압입 흡출 병용 환기
2.
압입식 환기
3.
흡출식 환기
4.
풍력 환기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제 2종 환기법(압입식) 오염된 공기의 침입을 꺼리는 곳이나 연소공기를 필요로 하는실에 적합하다 소규모 변전실이나 창고등에적용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인체의 발열은 일반적으로 현열로 간주됩니다. 인체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신진대사 과정에서 열을 생성하고, 이는 주변 환경과의 온도 차이를 균형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인체의 발열은 현열로 간주됩니다.
외기의 취득열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열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외기의 취득열은 주로 현열로 간주됩니다. 외부 온도가 건물 내부 온도보다 높을 때, 외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건물 내부로 현열이 들어오게 됩니다.
증기소독기의 발생열은 증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의미합니다. 증기소독기는 일반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은 주로 현열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증기소독기의 발생열은 현열로 간주됩니다. [해설작성자 : 다크템플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작성자 : 다크템플러의 정답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인체 발열, 외기취득열, 증기소독기 열은 잠열에 해당 합니다. 조명기구의 발열만 현열입니다. [해설작성자 : 손영창]
16.
다음 중 표면 결로발생 방지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실내측에 방습막을 부착한다.
2.
다습한 외기를 도입하지 않는다.
3.
실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량을 억제한다.
4.
공기와의 접촉면 온도를 노점온도 이하로 유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 [해설작성자 : 궁시렁씨부렁몰러]
17.
제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각식 제습장치는 처리공기를 노점온도 이하로 냉각시켜 수증기를 응축시킨다.
2.
일반 공조에서는 공조기에 냉각코일을 채용하므로 별도의 제습장치가 없다.
3.
제습방법은 냉각식, 흡수식, 흡착식으로 구분된다.
4.
에어와셔 방식은 냉각식으로 소형이고 수처리가 편리하여 많이 채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에어와셔는 제습이 아닌 분무! [해설작성자 : ㅎㄹ]
에어 와셔: 제습장치가 아닌 공기 세정기 [해설작성자 : 메갈사냥꾼]
에어와셔는 공기세정 및 가습 기능 [해설작성자 : tt]
에어와셔는 가습장치로, 증발식에 속합니다. 더불어 공기 중 이물질 제거하는 효과. 가습장치 수분무식 - 원심, 초음파, 분무 증발식 - 회전, 모세관, 적하, 에어와셔 증기식 - 가습팬(전열), 전극, 적외선 (다음중 가습장치 중 수분무식이 아닌 것이라는 문제로 한문제 출제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축류형 취출구 : 급기 기류을 직선상으로 분사함으로, 유인비(誘引比)는 크지 않으나, 반면에 도달거리가 길다. * 복류(輻流, Radial)형 취출구 : 복류형(확산형)은 공기를 층상(層狀)으로 취출하여 여기에 실내공기를 유인 혼합함으로, 일반적으로 취출온도차를 크게 취할 수는 있으나 도달거리가 적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1]
20.
겨울철 외기조건이 2℃(DB), 50%(RH), 실내조건이 19℃(DB),5 0%(RH)이다. 외기와 실내공기를 1:3으로 혼합 할 경우 혼합공기의 최종온도(℃)는?
<문제 해설> 1) 응축기에서 버리는 열량은 증발기에서 취하는 열량보다 많다(응축열량은 증발기를 통과하는 동안 냉매가 흡수한 열량과 압축기에서 받은 열량을 공기나 냉각수에 의해 방출하는 열량의 합이다) 3) 팽창밸브에서 팽창하는 냉매는 외부와의 열출입이 없는 단열 팽창 과정이므로 엔탈피의 변화는 압력이 감소함과 동시에 온도가 저하된다 4) 증발기 내에서의 냉매증발온도는 그 압력에 대한 포화온도보다 같거나 높다 [해설작성자 : 임수민]
22.
컴파운드(compound)형 압축기를 사용한 냉동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증발기가 2개 이상 있어서 각 증발기에 압축기를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온도에서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는 방식
2.
냉매를 한 가지만 쓰지 않고 두 가지 이상을 써서 각 냉매에 압축기를 설치하여 낮은 온도를 얻을 수 있게 하는 방식
3.
한쪽 냉동기의 증발기가 다른 쪽 냉동기의 응축기를 냉각시키도록 각각의 사이클에 독립된 압축기를 배열하는 방식
4.
동일한 냉매에 대해 1대의 압축기로 2단 압축을 하도록 하여 고압의 냉매를 사용하여 냉동을 수행하는 방식
q=t1-t2 / (1/h1)+(L/k)+(1/h2) = u x (t1-t2) ===> u = 1 / 1/h1+L/k+1/H2 (1/0.02093 + 0.2/5.8 x 10^-5 + 1/0.00814) 의 역수 2.77 x 10^-4 2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아마도 이게~]
24.
냉동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냉동효과란 응축기에서 방출하는 열량을 의미한다.
2.
냉동효과는 압축기의 출구 엔탈피와 증발기의 입구 엔탈피 차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3.
냉동효과는 팽창밸브 직전의 냉매 액온도가 높을수록 크며, 또 증발기에서 나오는 냉매증기의 온도가 낮을수록 크다.
4.
냉매의 과 냉각도를 증가시키면 냉동효과는 커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냉동효과란 증발기에서 흡수하는 열량을 의미한다 2) 냉동효과는 압축기의 입구 엔탈피와 증발기 입구 엔탈피 차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3) 냉동효과는 팽창밸브 직전의 냉매 액온도가 낮을수록 크며, 또 증발기에서 나오는 냉매 증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 [해설작성자 : 임수민]
25.
조건을 참고하여 흡수식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얼마인가?
1.
0.88
2.
1.16
3.
1.34
4.
1.52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재생기/증발기-> 5.8/6.7 [해설작성자 : 몰?루]
COP = 냉동능력 / 재생기 열량 6.7/5.8 = 1.155172414 따라서 약 1.16 정답 2 번 [해설작성자 : 마지막처럼]
26.
다음 압축기의 종류 중 압축 방식이 다른 것은?
1.
원심식 압축기
2.
스크류 압축기
3.
스크롤 압축기
4.
왕복동식 압축기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번은 축류형 나머지 용적형 [해설작성자 : ㅎㄹ]
원심력 압축기는 터보압축기 [해설작성자 : Zzzz]
27.
터보 압축기에서 속도 에너지를 압력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임펠러
2.
베인
3.
증속기어
4.
스크류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터보 압축기(=원심식 압축기) :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해 흡입가스를 임펠러로 가속하여 얻어진 속도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시켜 가스를 압축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모두합격기원]
28.
노즐에서 압력 1764kPa, 온도 300℃인 증기를 마찰이 없는 이상적인 단열 유동으로 압력 196kPa 까지 팽창시킬 때 증기의 최종속도(m/s)는? (단, 최초 속도는 매우 작아 무시하고,입출구의 높이는 같으며 단열 열낙차는 442.3kJ/kg로 한다.)
1.
912.1
2.
940.5
3.
946.5
4.
963.3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열낙차만 활용하면 되는 문제 열낙차 = 노즐입구엔탈피 - 노즐출구엔탈피 442.3kJ/kg = 442.3 * 10^3 J/kg
<문제 해설> C(s)경로 = 위로 흐르는 화살표 방향 1 x 2 x 1 x 1 = 2 중간으로 흐르는 화살표 방향 1 x a x 1 x 1 = a 아래로 흐르는 화살표 방향 1 x 3 x 1 = 3 다 더하면 a + 5 R(s)폐로 = 1-0 C/R = a + 5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린이]
64.
피드백제어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확성이 증가한다.
2.
대역폭이 증가한다.
3.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증가한다.
4.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오픈루프에 비해 설치비가 많이 든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피드백 제어의 특성 1. 정확성이 증가한다. (애당초 목표값을 바꿔가며 정확히 맞추려고 쓰는게 피드백 제어이니 맞는 말이다.) 2. 대역폭의 증가 3.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오픈루프에 비해 설비비가 많이 든다. (피드백 제어는 설비비 무진장 든다.)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증가한다 ㅡ> 감소하여야 정확히 맞추기 쉬워진다. [해설작성자 : 합격 시켜줘 ]
65.
동작 틈새가 가장 많은 조절계는?
1.
비례동작
2.
2위치 동작
3.
비례 미분 동작
4.
비례 적분 동작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위치(on-off동작) 조작량 또는 조작량을 지배하는 신호가 입력의 크기에 따라 2가지 정해진 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으로 동작틈새가 가장 많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