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의 매다는 장치와 매다는 장치 끝부분 사이의 연결은 매다는 장치의 최소 파단하중의 최소 몇 % 이상을 견딜 수 있어야 하는가?
1.
70
2.
80
3.
90
4.
100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매다는 장치 끝부분 연결 강도 → 최소 파단하중의 80% 이상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2.
에스컬레이터의 과속역행방지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폴 래칫 휠 방식
2.
디스크 웨지 방식
3.
디스크 브레이크 방식
4.
다이나믹 브레이크 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 과속역주행방지장치의 종류 의도되지 않은 역전을 즉시 감지한는 장치로써 종류는 ① 폴래칫휠 방식 ② 디스크웨지 방식 ③ 디스크브레이크 방식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에스컬레이터의 과속역행방지장치는 기계식브레이크가 사용됨. (1,2,3 모두 기계적, 물리적으로 회전을 멈추게 하는 방식임.)
다이나믹 브레이크 방식은 모터의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한 제동방식이므로 x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3.
호출버튼·조작반·통화장치 등 승강기의 안팎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 기준은? (단, 스위치 수가 많아 기준 높이 이내로 설치되는 것이 곤란한 경우는 제외한다.)
1.
바닥면으로부터 0.8m 이상 1.2m 이하
2.
바닥면으로부터 0.9m 이상 1.3m 이하
3.
바닥면으로부터 1.0m 이상 1.4m 이하
4.
바닥면으로부터 1.2m 이상 1.5m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승강기의 안팎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 기준 : 바닥면으로부터 0.8m 이상 1.2m 이하 (다만, 스위치가 많아 곤란한 경우 1.4m 이하까지 완화 가능) [해설작성자 : 승강기야호]
4.
유압식 승강기에서 미터인 회로를 사용하는 유압회로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유량을 간접적으로 제어하므로 정확한 제어가 어렵다.
2.
유량제어밸브를 주회로에서 분기된 바이패스회로에 삽입한 것으로 효율이 높다.
3.
릴리프밸브로 유량을 방출하지 않으므로 설정압력까지 오르지 않고 부하에 의해 압력이 결정된다.
4.
카를 기동할 때 유량 조정이 어렵고, 기동 쇼크가 발생하기 쉬우며, 상승 운전 시의 효율이 좋지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유압제어 회로의 종류 METER IN, BLEED OFF 있으며 특징은 안전밸브를 유량제어 밸브와 직접연결하므냐 간접(병렬) 연결 하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미터인 회로는 1.유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므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2.유량제어밸브를 주회로에 직접 삽입한 것으로 여분의 유량이 탱크로 보내지므로 유량효율이 낮다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5.
엘리베이터를 동력매체별로 구분한 것이 아닌 것은?
1.
로프식 엘리베이터
2.
유압식 엘리베이터
3.
스크루식 엘리베이터
4.
더블테크 엘리베이터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더블데크식은 용도별에 해당되며 특지ㅇ징은 탑승칸 두 대를 연결해 동시에 움직이는 2층 엘리베이터. 아래쪽은 홀수 층, 위쪽은 짝수 층에 멈추기 때문에 정차시간을 줄이고 더 많은 사람을 실어 나를 수 있다. 아래층과 위층 사이의 거리가 달라져도 정교한 맞춤장치를 사용해 정확한 위치에 멈춘다. 운송능력이 2배, 정지층수 감소로 탑승객 대기시간이 줄어들어 효율성이 높다.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6.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모든 출입문이 닫혔을 때 밝히기 위한 승강로 전 구간에 걸쳐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조명의 조도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카 지붕과 피트를 제외한 장소 : 20 lx
2.
카 지붕에서 수직 위로 1m 떨어진 곳 : 50 lx
3.
사람이 서 있을 수 있는 공간의 바닥에서 수직 위로 1m 떨어진 곳 : 50 lx
4.
작업구역 및 작업구역 간 이동 공간의 바닥에서 수직 위로 1m 떨어진 곳 : 80 lx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작업구역 및 작업구역 간 이동 공간의 바닥에서 수직 위로 1m 떨어진 곳 : 50 lx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7.
직접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이 작다.
2.
추락방지안전장치(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3.
일반적으로 실린더의 점검이 간접식에 비해 쉽다.
4.
실린더를 설치하기 위한 보호관을 지중에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유압 직접식 엘리베이터의 특징 ∙ 램 또는 실린더가 카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추락방지안전장치가 없어도 된다. ∙ 실린더를 설치하기 위한 보호관을 땅에 묻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다. ∙ 해당 승강로 평면이 작아도 되고 구조가 간단하다. ∙ 부하에 대한 케이지 응력이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8.
과속 또는 매다는 장치가 파단할 경우 카나 균형추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장치는?
1.
완충기
2.
브레이크
3.
차단밸브
4.
추락방지안전장치(비상정지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77%
9.
엘리베이터의 카에는 자동으로 재충전되는 비상전원공급장치에 의해 5 lx 이상의 조도로 얼마 동안 전원이 공급되는 비상등이 있어야 하는가?
1.
30분
2.
40분
3.
50분
4.
60분
정답 : [
4
] 정답률 : 83%
10.
주택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기준 중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 179, ㉡ 305
2.
㉠ 195, ㉡ 295
3.
㉠ 179, ㉡ 300
4.
㉠ 195, ㉡ 305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 카의 유효면적 가) 자동차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카의 유효면적은 1m2 당 150㎏으로 계산한 값 이상. 나) 주택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카의 유효 면적은 1.4m2 이하 1) 유효면적이 1.1m2 이하: 1m2 당 195㎏으로 계산한 수치, 최소 159㎏ 2) 유효면적이 1.1m2 초과: 1m2 당 305㎏으로 계산한 수치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11.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오일 완충기
2.
스커트 가드
3.
핸드레일 안전장치
4.
인레트(Inlet) 스위치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유입완충기는 엘리베이터용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12.
균형추의 총중량은 빈 카의 자중에 그 엘리베이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재하중의 35~55%의 중량을 더한 값으로 한다. 이때 적재하중의 몇 %를 더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것은?
1.
마찰률
2.
트랙션 비율
3.
균형추 비율
4.
오버 밸런스율
정답 : [
4
] 정답률 : 81%
13.
엘리베이터의 자동 동력 작동식 문에 대한 기준 중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25, ㉡ 1400
2.
㉠ 30, ㉡ 1500
3.
㉠ 25, ㉡ 1600
4.
㉠ 30, ㉡ 1600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문이 닫힘 안전장치 1) 카문 문턱 위로 최소 25~1,600 mm 사이에 감지 2) 최소 50 mm의 물체를 감지 3)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무효화.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14.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스커트가 디딤판(스텝) 측면에 위치한 경우 수평 틈새는 각 측면에서 최대 몇 mm 이하이어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스커트가 디딤판(스텝) 측면에 위치한 경우 수평 틈새는 각 측면에서 최대 몇 4mm 이하, 좌우 합계는 7mm 이하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15.
주차장법령상 주차구획이 3층 이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출입구가 있는 층의 모든 주차구획을 주차장치 출입구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그 주차구획을 아래·위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자동차를 주차하는 주차장치는?
1.
2단식 주차장치
2.
다단식 주차장치
3.
수평이동식 주차장치
4.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56%
16.
일반적으로 교류이단 속도제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단속도 전동기의 속도비는?
1.
8 : 1
2.
6 : 1
3.
4 : 1
4.
2 : 1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상 교류2단 속도제어방식의 특징 - 기동과 주행은 고속 권선, 감속과 착상은 저속 권선으로 속도 제어하는 방식 - 착상 오차를 줄이기 위해 2단속도모터로 속도비는 4 : 1 사용하며 교류1단 속도제어보다 착상이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17.
엘리베이터용 전동기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소음이 적을 것
2.
기동토크가 클 것
3.
기동전류가 적을 것
4.
회전속도가 느릴 것
정답 : [
4
] 정답률 : 73%
18.
엘리베이터 카의 상승과속방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 장치가 작동되면 기준에 적합한 전기안전장치가 작동되어야 한다.
2.
이 장치는 빈 카의 감속도가 정지단계 동안 1gn를 초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
3.
이 장치는 두 지점에서만 정적으로 지지되는 권상도르래와 동일한 축에 작동되지 않아야 한다.
4.
이 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외부 에너지가 필요할 경우, 에너지가 없으면 엘리베이터는 정지되어야 하고 정지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카의 상승과속방지장치의 안전조건 ① 카의 상승과속을 감지하여 카를 정지시키거나 균형추 완충기에 대해 설계된 속도로 감속 되고 다음 조건에서 활성화. 가) 정상 운전 나) 수동구출운전 ② 내장된 이중장치가 아니고 정확한 작동이 자체 감시되지 않는다면 속도 또는 감속을 제어하고, 카를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다른 부품의 도움 없이 만족 ③ 빈 카의 감속도가 정지단계 동안 1 이하 ④ 적합한 전기안전장치가 작동되어야 한다. ⑤ 외부 에너지가 필요할 경우, 에너지가 없으면 엘리베이터는 정지되고 정지 상태가 유지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19.
기어드(Geared)형 권상기에서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시브의 직경
2.
로프의 직경
3.
기어의 감속비
4.
권상모터의 회전수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권상기 속도 V= {(π*D*N)÷1000}*a에 변수를 문제를 푼다. 즉 D, N, a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20.
승강로 벽은 0.3m×0.3m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의 단면에 몇 N의 힘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벽의 어느 지점에 가할 때 1mm를 초과하는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하고 15mm를 초과하는 탄성 변형이 없어야 하는가?
1.
500
2.
1000
3.
1500
4.
2000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벽, 바닥, 천장의 강도 - 승강로 벽은 0.3m×0.3m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의 단면에 1,000N의 힘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벽의 어느 지점에 가할 때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한다. 가) 1mm를 초과하는 영구적인 변형이 없을 것 나) 15mm를 초과하는 탄성 변형이 없을 것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2과목 : 승강기 설계
21.
동력전원설비 용량의 계산에서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부등률을 1로 하여야 하는 엘리베이터는?
1.
침대용 엘리베이터
2.
전망용 엘리베이터
3.
화물용 엘리베이터
4.
소방구조용(비상용) 엘리베이터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부등률은 기동빈도 및 교통량이 많으면 크게 설계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22.
승객용 엘리베이터에서 카문과 문턱과 승강장문의 문턱 사이의 수평거리 기준은?
1.
25mm 이하
2.
30mm 이하
3.
35mm 이하
4.
40mm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73%
23.
엘리베이터에서 정격하중을 적재한 카 또는 균형추/평형추가 자유 낙하할 때 점차 작동형 추락방지안전장치(비상정지장치)의 평균감속도 기준은?
1.
0.1 gn ~ 1 gn
2.
0.1 gn ~ 1.25 gn
3.
0.2 gn ~ 1 gn
4.
0.2 gn ~ 1.25 gn
정답 : [
3
] 정답률 : 70%
24.
유압 엘리베이터의 실린더와 체크밸브 또는 하강밸브 사이의 가요성 호스는 전 부하 압력 및 파열 압력과 관련하여 안전율이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문제 해설> 방구조용 기본요건 ① 소방운전 시 모든 승강장의 출입구마다 정지할 수 있을 것 ② 크기는 630㎏의 정격하중, 폭 1100mm, 깊이 1400mm 이상, 출입구 유효 폭은 800mm 이상 ③ 소방관 접근 지정층에서 문이 닫힌 이후부터 60초 이내에 가장 먼 층에 도착, 운행속도는 1㎧ 이상 ④ 연속되는 상‧하 승강장문의 문턱간 거리가 7m 초과한 경우, 승강로 중간에 카문 방향으로 비상문이 설치되고, 승강장문과 비상문 및 비상문과 비상문의 문턱간 거리는 7m 이하 ⑤ 소방운전 스위치는 승강장문 끝부분에서 수평으로 2m 이내에 위치되고, 승강장 바닥 위로 1.4m부터 2.0m 이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 알림표지가 부착
소방구조용 추가요건 ① 모든 승강장문 전면에 방화 구획된 로비를 포함한 승강로 내에 설치 ② 소방운전 시 건축물에 요구되는 2시간 이상 운전 ③ 승강장의 전기/전자 장치는 0℃에서 65℃까지의 주위 온도 범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 ④ 2개의 카 출입문이 있는 경우, 소방운전 시 어떠한 경우라도 2개의 출입문이 동시에 열리지 않아야 한다. ⑤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방화구획 된 장소에 설치 ⑥ 주 전원과 보조 전원공급의 전선은 방화구획이 되어야 하고 서로 구분되어야 하며, 다른 전원공급장치와도 구분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27.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의 설계 기준 중 (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 2.0, ㉡ 4
2.
㉠ 2.0, ㉡ 5
3.
㉠ 2.5, ㉡ 4
4.
㉠ 2.5, ㉡ 5
정답 : [
3
] 정답률 : 64%
28.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로프 또는 체인이 동기화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체인의 안전율은 8 이상이어야 한다.
2.
로프의 안전율은 12 이상이어야 한다.
3.
2개 이상의 독립된 로프 또는 체인이 있어야 한다.
4.
최대 힘은 전 부하 압력에서 발생하는 힘, 로프 또는 체인의 수를 고려하여 계산되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매다는 장치의 안전율 ① 3가닥 이상의 로프(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권상 구동 엘리베이터의 경우: 12 ② 3가닥 이상의 6 mm 이상 8 mm 미만의 로프에 의해 구동되는 권상 구동 엘리베이터의 경우: 16 ③ 2가닥 이상의 로프(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권상 구동 엘리베이터의 경우: 16 ④ 로프가 있는 드럼 구동 및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12 ⑤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10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29.
지진대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주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2.
엘리베이터의 균형추가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3.
승강로내에는 지진 시에 로프, 전선 등의 기능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돌출물을 설치하여서는 안 된다.
4.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제어반 및 권상기는 카마다 설치하고, 또한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전도 또는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문제 해설> ○출입문 및 비상문, 점검문의 크기 ① 기계실, 승강로, 피트 출입문: 높이 1.8 m 이상, 폭 0.7 m 이상 ② 풀리실 출입문: 높이 1.4 m 이상, 폭 0.6 m 이상 ③ 비상문: 높이 1.8 m 이상, 폭 0.5 m 이상 ④ 점검문: 높이 0.5 m 이상, 폭 0.5 m 이하 ( 피트 깊이 2.5 m 이상은 점검문 설치)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36.
추락방지안전장치(비상정지장치)가 없는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T형 주행안내 레일에 대해 계산된 최대 허용 휨은?
1.
한방향으로 3mm
2.
양방향으로 5mm
3.
한방향으로 10mm
4.
양방향으로 10mm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최대 허용 휨 = 추락방지안전장치가 없는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주행안내 레일: 양방향으로 10 mm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37.
교통수요 산출을 위해 이용자 인원을 산정할 때 하향방향승객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는?
1.
병원
2.
아파트
3.
사무실
4.
백화점
정답 : [
3
] 정답률 : 66%
38.
정격속도 60m/min, 정격하중 1150kgf, 오버밸런스율 45%, 전체효율이 0.6인 승강기용 전동기의 용량은 약 몇 kW 인가?
<문제 해설> 7.3.3 수직 개폐식 문의 현수 ① 문짝은 2개의 독립된 현수 부품으로 고정 ② 현수 로프․체인 및 벨트의 안전율은 8 이상 ③ 현수 로프 풀리의 피치 직경은 로프 직경의 25배 이상 ④ 현수 로프/체인은 풀리 홈 또는 스프로킷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현수로프 직경 40배이상인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준비자.]
[오류신고 반론] 7.3.3.3 25배 이상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영]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0.
엘리베이터 브레이크의 능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제동력을 너무 작게 하면 제동 시 회전부분에 큰 응력을 발생시킨다.
2.
브레이크는 카나 균형추 등 엘리베이터의 전 장치의 관성을 제지할 필요가 있다.
3.
정지 후 부하에 의한 언밸런스로 역구동되어 움직이는 일이 없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4.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정격의 120% 부하로 전속 하강 중 위험 없이 감속·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120%라고 되어 있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3과목 : 일반기계공학
41.
측정하고자 하는 축을 V블록 위에 올려놓은 뒤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하고 회전하였더니 눈금 값이 1mm라면 이 축의 진원도(mm)는?
1.
2
2.
1
3.
0.5
4.
0.25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v블록을 이용한 측정시 진원도 = TIR/2 =1/2=0.5mm 양센터를 이용한 측정시 진원도 = TIR TIR=인디게이터 움직임 전량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42.
주축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꾸는데 사용하는 밀링 머신의 부속장치는?
1.
분할대
2.
슬로팅 장치
3.
래크 절삭 장치
4.
로터리 밀링 헤드 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밀링머신 1. 분할대 원주 및 각도 분할시 사용. 주축대와 심압대 한쌍으로 테이블 위에 설치 2. 아버 주축단에 고정 할 수 있도록 각종 테이퍼를 갖고 있는 환봉재 아버 컬러에 의해 커터의 위치를 조정하여 회전시킨다. 3.슬로팅 장치 주축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꾸어줌 4. 래크 절삭장치 만능 밀링 머신에서 컬럼면에 고정하여 각종피치의 랙을 가공할 수 있도록 변환 기어를 이용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43.
지름 2.5cm 의 연강봉 양단을 강성벽에 고정한 후 30℃에서 0℃까지 냉각되었을 경우 연강봉에 생기는 압축응력(kPa)은? (단, 연강의 선팽창계수는 0.000012, 세로탄성계수는 210 MPa 이다.)
주로 나무나 가죽, 베크라이트 등 비금속이나 연한 금속의 거친 가공에 가장 적합한 줄(file)은?
1.
귀목(rasp cut)
2.
단목(single cut)
3.
복목(double cut)
4.
파목(curved cut)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단목 : 외줄눈 연한 금속이나 얇은 판금가장자리 거스러미 제거 복목 : 외줄 눈 위에 교차시켜 줄눈을 냄 다듬질용 귀목 : 펀치나 정으로 날을 하나하나 만든 것. 베크라이트 용 피목 : 물결모양으로 날을 만든 것 . 목재, 납 등 부드러운 면의 황삭 [해설작성자 : 고구미고씨]
57.
키(key)의 설계에서 강도상 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은?
1.
키의 굽힘응력과 전단응력
2.
키의 전단응력과 인장응력
3.
키의 인장응력과 압축응력
4.
키의 전단응력과 압축응력
정답 : [
4
] 정답률 : 47%
58.
평벨트 전동장치와 비교한 V-벨트 전동장치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두 축의 회전방향이 다른 경우에 적합하다.
2.
평벨트 전동에 비해 전동 효율이 나쁘다.
3.
축간거리가 짧고 큰 속도비에 적합하다.
4.
5m/s 이하의 저속으로만 운전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V벨트 -운전 중 소음, 진동 적다 -충격을 완화 -축간거리가 짧아서 가능(설치면적 절약) -미끄럼 적어 큰 속도비 -장력이 적어 베어링 부담하중 적음 -작은 장력으로 큰 회전력 -고속운전 가능 -바로걸리만 가능 -길이 조정 불가능으로 축간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 -벨트가 안 벗겨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구상 흑연 주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조가 가능한 주철이다.
2.
차량용 부품이나 내마모용으로 사용한다.
3.
노듈러 또는 덕타일 주철이라고도 한다.
4.
인장강도가 50~70 kgf/mm2 정도인 것도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60.
동력 전달용 나사가 아닌 것은?
1.
관용 나사
2.
사각 나사
3.
둥근 나사
4.
톱니 나사
정답 : [
1
] 정답률 : 60%
61.
코일에 단상 200V의 전압을 가하면 10A의 전류가 흐르고 1.6kW의 전력을 소비된다. 이 코일과 병렬로 콘덴서를 접속하여 회로의 합성역률을 100%로 하기 위한 용량 리액턴스(Ω)는 약 얼마인가?
<문제 해설>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1. 극성이 같을 것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을 소손시킴) 2. 권수비 및 정격전압이 같을 것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을 과열시킴) 3.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부하분담의 균형이 이뤄지지 않음) 4. 저항과 누설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전류간에 위상차가 생겨 동손이 증가함) 5. 상회전 방향이 같을 것 6. 위상 변위가 같을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다음 회로도를 보고 진리표를 채우고자 한다. 빈칸에 알맞은 값은?
1.
ⓐ 1, ⓑ 1, ⓒ 0, ⓓ 0
2.
ⓐ 0, ⓑ 0, ⓒ 1, ⓓ 1
3.
ⓐ 0, ⓑ 1, ⓒ 0, ⓓ 1
4.
ⓐ 1, ⓑ 0, ⓒ 1, ⓓ 0
정답 : [
2
] 정답률 : 47%
74.
다음 회로에서 E=100V, R=4Ω, XL=5Ω, XC=2Ω 일 때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A)는?